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7

        61.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Yang Myung-hee, Kang Huisuk and Park Dong-geun. 2013. A Sociolinguistic Study on the name of Korean and Koreans' language attitudes toward the name: Focused on teenage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1(3). This paper aim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name and language attitudes towards name of teenage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This thesis carried out a nationwide survey and as a result drew out several important conclusions. First, the percentage of Sino-Korean name was the highest; the rate of the native name of teenage high school students is two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ir parents, and more male students had Sino-Korean name than female students. Second, the percentage of parents taking part in the naming process was 60% in parents generation, whereas the percentage of parents and grandparents respectively taking part in the naming process were similar in teenage high school students. This result indicates that grandparents became to play a bigger role in the naming process due to their socio-economic status. Third, the percentage of using the generation character(hangryeol) decreased in teenage high school students, indicating that people are not bound to traditions. Fourth, the rate of female parent who were unsatisfied with their names was the highest. It suggests that there was a social preference of a son to a daughter. Fifth, the parents replied that the most desirable namer is father, followed by naming specialist, and students replied father followed by grandparents. Sixth, the number of students who answered that fetus names are necessary was two times bigger than their parents, and it seems likely that fetus names will be popular in the future as well. Hereafter, by carrying out nationwide surveys of different age groups(their late teens and 40's or 50's), this paper intends to study how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name and Koreans' language attitudes towards it changed through different age groups. (279 word)
        6,000원
        62.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auguration of the collective Reality and Utterance (Hyŏnsil kwa Parŏn) in 1979 and 1980 marked a watershed moment in Korean art. This is not only be-cause the collective gave birth to the politically-engaged art movement that would come to be labeled “Minjung Art” by the middle of the 80s, but also because it enthusiastically embraced a wide range of images from the urban culture. With a special focus on the members’ early work, my research explores an issue largely neglected in the dominant narrative of Minjung art as a form of activism against the authoritarian Korean government during the 80s. The issue is what was at stake in Reality and Utterance’s exploration of contemporary urban visual culture. The aim of this essay is to recognize the engagement with the urban visual culture as central to the group’s early project and to consider it at some distance from the anti-urban and anti-mass culture perspective which was endorsed by the Minjung narrative. Focusing on members’ turn to urban visual culture, this essay instead argues that this turn was by no means merely a means to making art as social cri-tique, but more importantly, it was an experiment with the shared image world, as opposed to the rarefid visual vocabularies of abstract modernism. Visual produc-tions such as advertisements, billboards, posters, and kitsch paintings, which come from outside the narrow confins of fin art, were definitly ominous signs of the colonization of everyday life in the capitalist city, but at the same time they were an-ticipated to be a catalyst for redefiningKorean art in a more communicative, acces-sible, and democratized way. In this regard, in the early 1980s—in particular 1980 and 1982—the members’ gesture oscillated between critique and embrace, which allowed the group to occupy a unique domain in the realm of Korean art production.
        6,900원
        6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AP(Knowledge, Attitude, Practice)이론은 노작활동 중심의 실과 교육에 적합한 교육이론이다. 본 연구는 KAP이론을 적용한 실과 교육을 통해 일과 노작활동에 대한 바람직한 가치관을 길러주고 실천지향적인 태도 변화를 이끌어 내는데 목적이 있다. 학생들의 노작활동이 주를 이루는 실과 교육은 학생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와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정을 먼저 알아야 하고(Knowledge), 알고 있는 지식을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긍정적인 생각을 가진 다음(Attitude), 행동으로 옮겨 직접 실천해 보는(Practice) 과정을 거쳐야 학습의 성과가 높아진다. KAP이론을 적용한 실과 교육을 위해 5학년 실과 학습내용을 K(Knowledge)영역, A(Attitude)영역, P(Practice) 영역으로 나누어 연간 지도 계획을 수립하였다. 또한 KAP 실과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2시간 단위의 블록타임제 운영, 실과실 정비, 학습준비물 예산 확보 등의 선행 작업을 거쳐 총 68차시의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KAP 실과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실습활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지식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깨닫고 필요한 지식의 습득에 적극성을 띠게 되었다. 또한 노작활동에 대한 참여율, 작업수행 능력 등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일에 대한 태도, 성별에 따른 직업관 등에서 모두 바람직한 태도 변화를 보였다.
        7,000원
        65.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of 280 University students towards nutrition label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regarding nutrition labeling, and whether body mass index (BMI) with nutrition labeling was associated with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zed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regarding food labeling. The ANOVA and χ2 analysis was evaluated and assessed for its relationship with BMI.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examined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More than 90 percent of answers relating to 11 nutritional knowledge questions were correct. Only 30% of participants answered correctly regarding questions about plan source oil and cholesterol content. Attitudes and behaviors of nutrition lab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among participants who were obese (p<0.001). Knowledge sco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general label usage behavior (r=.169, p<0.01), and item buying behavior (r=0.142, p<0.05). Attitude also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ehavior (p<0.01). Nutrition labeling education efforts are needed to provide university students with a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and information on how to read nutritional labels and apply this information to their lives. University students need to understand their need for numerous nutrients instead of merely focusing on the fat and calories of foods.
        4,000원
        67.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knowledge, attitude and educational needs regarding breast feeding of women's mothers and mother-in-laws with a grandchild aged less than 24 months. The degree of knowledge regarding breast feeding was 14.84 points out of 25 points, while the attitude toward breast feeding was 83.88 points. Additionally, 16.4%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education regarding breast feeding was unnecessar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knowledge regarding breast feeding among individuals of different age (p<0.05), economic status (p<0.05), and with different aged grandchildren (p<0.05). Addition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itude toward breast feeding based on the type of feeding (p<0.05), the practice of breast feeding (p<0.01), and reasons for low breast feeding rate (p<0.05).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regarding breast feeding and attitude toward breast feeding. The factors affecting knowledge regarding breast feeding were attitude toward breast feeding and middleclass economic status. In addition, the factors affecting attitude toward breast feeding included knowledge of breast feeding and the practice of breast feeding. Overall, the subjects had high educational needs regarding breast feeding; therefore, women's mothers and mother-in-laws should be given the opportunity for various types of education to improve their breast feeding knowledge.
        4,000원
        69.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effective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overseas Korean restaurants through a multilateral comparison analysis of American, Chinese, and Japanese consumers' attitudes towards communication media and Korean restaurants. The survey was written in English, Chinese, and Japanese, with guideline for surveyors, and conducted using both online and offline methods. Samples were collected from five major cities - Los Angeles, New York, Tokyo, Beijing and Shanghai, which are the foothold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When it comes to attitudes towards communication media, word-of-mouth showed a high mean value, indicating it as the most useful and reliable media recognized by consumers who visited Korean restaurants. Furthermore, the necessity of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visual communication i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Korean restaurants and specialized websites, featuring restaurants and gourmet food, was observed. Consumers in all three nations chose word-of-mouth as the most useful and reliable media for learning about Korean restaurants. In addition, American consumers highly depended on signage and restaurant exteriors. Chinese consumers highly recognized the usefulness and reliability of offline media, such as newspapers, magazines, and events, while Japanese consumers considered online media, such as gourmet websites, blogs and social networks, as useful and reliable sources. A significantly positive attitude and high value was observed in all who had visited Korean restaurants. American and Japanese consumers had a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intention to visit Korean restaurants in the future and to tell others about their satisfaction with Korean restaurants. Meanwhile, the average rate of prior preference for Korean restaurants (when choosing restaurants) was the lowest in all three countries. This study is useful for both the Korean government and food enterprises abroad to plan and develop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ies properly for overseas Korean restaurants.
        4,200원
        70.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주기 위해 실천적 추론 과정을 적용하는 실천적 문제중심수업을 강조한다. 그러나 교실에서 만나는 학생들은 가정 교과에 대한 필요성이나 흥미도가 매우 낮아 가정 교과를 유용하지 않은 과목으로 인식하였으며, 학습에 적극적이지 못하고 실생활에서의 실천도도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이에 학생들로 하여금 가정 교과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학습 참여도와 실천적 태도를 신장시킬 목적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우선 어떻게 하면 학생들의 학습참여를 높일 수 있을까 고민하였다. 수업은 재미있어야 한다. 재미있는 수업을 통하여 흥미도를 높이고, 가정과목에 대한 인식을 바꾸어 나가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더욱 적극적인 동기부여를 주기 위하여 켈러의 동기이론을 적용한 실천적 문제중심수업을 구안·적용하였다. 실천적 문제는 다양한 학습자료의 제공으로 흥미를 느끼고 접근하게 하였으며, 소그룹 협동학습 모둠을 기반으로 한 토론 및 다양한 체험 활동 위주의 수업을 통해 실천적 추론을 용이하게 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가정 교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가져왔는데, 가정 교과는 재미있고, 유용한 과목이며 실생활에서도 실천적 태도가 향상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실천적 문제중심수업은 사고력, 협동심, 문제해결력 향상에 효과적이며, 앞으로도 실천적 문제중심의 수업을 희망하였다.
        5,400원
        71.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produce rapidly the traditional Kanjang soy sauce-like product with rich flavors, lactic acid bacteria of Enterococcus spp. isolated from Chungkukjang was used as one of starter cultures. Among 119 Enterococcus spp., eight strains were selected by protease-secreting activities and identified as four E. faecium, three E. faecalis, and one E. gallinarium. The strains showed low resistances toward eight antibiotics and had no resistant genes to the vancomycin. Especially, E. faecium O24 was cultivated well on 5% NaCl medium that was selected for further study as the starter. E. faecium O24 grew well on the steamed soybean and the counts increased by ten times overnight, which produced mostly 80 mg%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 as the seasoning amino acids on the product. Various organic acids including principal lactic acid were also produced. Flavors of maltol and guaiacol, typical soy-sauce flavor, were produced in the mixed cultures of Zygosaccharomyces rouxii and Candida versatilis. Therefore, E. faecium O24 could be a starter of soybean fermentation for soy sauce-like product with rich flavors rapidly.
        4,000원
        72.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통장례방법의 문제 해소를 위한 대안으로 제시된 수목장의 국내 정착화를 위한 정부와 관계기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시민들의 수목장 선택 비율은 여전히 매우 낮은 실정이다. 시민들의 보다 적극적인 수목장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수목장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수목장에 대한 지식, 수목장 선택 행동결과에 대한 신념, 수목장 선택행동에 대한 태도 및 수목장 선택의도와 더불어 이들 변수와 인구사회학적 특성과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2011-5월 중 광주시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총 320명의 답변이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이용되었다. 분석결과, 응답자의 65.3%가 수목장에 대해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47.6%가 TV/Radio를 통해 정보를 입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령, 교육수준, 결혼여부, 장남여부는 수목장에 대한 지식수준과 관련이 있었다. 연령과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기혼자와 비장남이 수목장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과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기혼자가 수목장 선택행동에 대한 보다 긍정적 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관습 탈피적 경향이 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령과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비장남이 수목장 선택의도가 높게 조사되었다. 수목장에 대한 지식수준은 수목장 선택행동에 대한 태도 및 선택의도와 긍정적 관계가 있었다. 결과에 대한 토의와 더불어 수목장 선택행동 촉진을 위한 몇 가지 대안을 제시하였다.
        4,500원
        73.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e to an overall increase of income, the general standard of living has improved and people have begun to be interested in being more healthy in their lives. This tendency has affected the food market, especially in relation to organic and eco-friendly food. Thus, the overall market size for those products has grown to give more choices to consumer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motive for choosing certain food products on the actual attitude and intent to purchase the products, a survey was given to 330 people living in Seoul, which resulted in 235 usable responses. The content of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18 questions on food choice motives, 3 questions on the attitude toward organic foods and 3 questions on the intention of purchasing for organic foods. The SPSS 12.0 statistic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of follow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 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Five factors of food choice motives were obtained from the analysis: health, convenience, price, familiarit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food choice motive, health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factors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organic food attitudes and organic food attitudes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intent to purchase organic food.
        4,000원
        74.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사료 값의 상승과 한우 값의 하락으로 한우 사육농가의 어려움이 증대되고 있으 며, 한우 번식농가에서는 공태기간과 수태당 수정횟수의 증가 등에 의한 사육비용 증가 가 문제점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한우 번식농가에서 분만후 공태기 간이 90일 이상인 한우와 3회 이상 인공수정하여도 임신되지 않은 저수태우의 생식기 상 태를 점검한 후 조기임신을 위해 배란동기화법인 Ovysynch와 CIDR-based TAI 처리에 의한 수태율을 조사하였다. 장기공태 한우 52두의 수정기록 및 분만기록을 확인 후 생식 기의 상태를 검사하였다. 자궁 및 난소 등을 검사한 결과 자궁 상태는 모두 정상이었으 나 1두는 허약(BCS 2.0)과 난소기능 휴지로 시험축에서 제외하였다. 장기공태우 51두 중 수정횟수 3회 이상인 저수태우는 13두로 평균 수정횟수 3.6회, 평균 공태일 123.8일, 평 균 산차 4.2회였으며, 분만후 공태기간이 90일 이상인 장기공태우 38두의 평균 수정횟수 는 1.8회, 평균 공태일 115.9일, 평균 산차 3.3회였다. 수정횟수 3회 이상인 저수태우 6두 에 Ovysynch를 처리하였고, 나머지 7두에 CIDR-based TAI를 처리하였다. 분만후 공태기 간이 90일 이상인 한우 38두는 19두씩 두 그룹으로 나누어 Ovysynch와 CIDR-based TAI를 처리하였다. Ovysynch 처리는 발정주기 임의의 시기인 Day 0에 gonadorelin (Gonadon, Dongbang, Korea) 100 μg를 근육주사하였고, Day 7에 dinoprost(LutalyseTM, Pharmacia, Belgium) 25 mg을 근육주사하였으며, Day 9에 gonadorelin 100 μg를 근육주 사하고 16시간 후 즉 Day 10에 한우 동결정액 1straw를 융해하여 인공수정하였다. CIDR- based TAI 처리는 Day 0에 gonadorelin 100 μg를 근육주사와 CIDRⓇ(InterAg, New Zealand)를 질내에 삽입하였고, Day 7에 CIDR를 제거하고 dinoprost 25 mg을 근육주사 하였으며, Day 9에 gonadorelin 100 μg를 근육주사하고 16시간 후 즉 Day 10에 한우 동 결정액 1 straw를 융해하여 인공수정하였다. 수정 횟수 3회 이상인 저수태우에서 수태율 은 Ovysynch 처리가 50%, CIDR-based TAI 처리가 57.1%였다. 분만후 공태기간이 90일 이상인 한우에서 수태율은 Ovysynch 처리가 63.1%, CIDR-based TAI 처리가 68.4%였다. 본 실험에서 장기공태우의 생식기 검사결과 52두 중 51두에서 정상적인 자궁과 난소상태 를 나타낸 것으로 보아 장기공태 한우의 대부분이 미약발정, 발정관찰 미흡 및 배란지연 등의 가능성을 추정할 수 있었다. 장기공태 한우 51두에 두 종류의 배란동기화법을 처리 한 결과 32두 임신으로 62.7%의 수태율을 나타내어 배란동기화법을 장기공태우에 적용 할 경우 양호한 수태율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본 실험에서는 장기공 태우에 Ovysynch와 CIDR-based TAI 처리에 의한 수태율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처리 비용측면에 있어서 Ovysynch 처리에 의한 배란동기화법이 효율적인 것 으로 추정된다.
        75.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멸강나방(Pseudaletia separata)은 해외에서 비래하는 해충으로 대량 발생할 때 유충 섭식으로 인해 옥수수와 호밀, 밀, 보리, 벼 등의 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해충의 성충 비래 및 발생 시기 예찰에 노동력을 절감하면서 그 시점을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무인예찰용 성페로몬 트랩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검토가 되어야 하는 요인들로 성페로몬 조성과 트랩 형태를 검정하였다. 유인용 성페로몬으로는 이미 알려진 (Z)-11-hexadecenal과 (Z)-11-hexadecenyl acetate, (Z)-11-hexadecenol로 구성된 멸강나방 성페로몬과 (Z)-11-hexadecenal과 (Z)-9-hexadecenyl acetate로 구성된 왕담배나방(Helicoverpa armigera) 성페로몬이 비교되었다. 멸강나방트랩에는 멸강나방 이외에 메밀거세미나방(Trachea atriplicis), 왕담배나방, 회양목명나방(Glyphodes perspectalis)이, 왕담배나방트랩에는 멸강나방, 왕담배나방, 쌍띠밤나방(Mythimna turca), 회양목명나방이 포획되었는데, 왕담배나방트랩에는 지역에 따라서는 멸강나방트랩에서 보다 더 많은 수의 멸강나방이 포획되었다. 그러나 지역과 시기에 따라 포획된 멸강나방 비율은 멸강나방 트랩에서 0~100%를 보여 왕담배나방트랩에 포획된 멸강나방 비율인 0~12% 보다 더 특이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무인예찰용으로는 멸강나방 성페로몬 조성을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무인예찰용으로 콘트랩을 변형시킨 고깔형태의 트랩(G가이어)을 장착하였는데, 다시 밑에 큰 갓을 덧댄 형태로 수정한 것에서 더 효율적으로 포획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깔대기형 트랩은 멸강나방 포획에서 비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과 올해 멸강나방 성충은 4월과 5월 처음 발생한 후에 6월중 발생 피크를 보였고, 올해의 경우 2010년 보다 약 10일 정도 빠른 발생피크를 보였다.
        76.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자연공원의 하나인 무등산도립공원 내 케이블카 설치에 대한 탐방객의 인식 및 태도를 이해하고자 실시되었다. 2010년도 9월 중 무등산도립공원에서 실시된 현지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 수집이 이루어졌으며, 총 401명의조사대상자가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이용되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총 응답자의 61.7%가 무등산도립공원 내 케이블카 설치에 대하여 '반대' 의사를 표명하였으며 '찬성' 의사를 나타낸 응답자는 20.6%로 나타났다. 케이블카 설치로 인하여 '생태환경 및 자연경관 훼손', '늘어난 방문객수로 인한 혼잡문제', '무등산도립공원의 자연성 및 자연경험의 소멸이 발생할 것이라는 것에 높은 동의를 보인 반면, '관광객 유치로 인한 경제소득 증대 및 지역경제 성장에 긍정적 영향'에 대해서는 낮은 동의를 나타냈다. 총 응답자의 32.4%가 현재 무등산도립공원을 '자연보존지역'으로 보았으며 10.5%는 '개발공원지역'이라고 응답하였다. 반면, 총 응답자의 48.8%는 무등산도립공원이 '자연보존지역'으로 관리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으며 단지 2.5%만이 '개발공원지역'으로 관리되어야 한다고 답변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연령, 학력수준, 광주시 거주기간), 이용행태(무등산도립공원 및 무등산도립공원 내 중봉일대지역의 방문경험)및 장소에 대한 규범이 케이블카 설치에 대한 지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대한 몇 가지시사점을 제시하였다.
        4,200원
        79.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s Chungnam dialect speakers’ perceptual dialect boundaries, their images of Korean dialects, and also their auditory ability to distinguish the dialects. Thirty Chungnam resident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as subjects and performed four tasks: pile-sorting, description of dialect images, dialect recognition, and a short interview. The focus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informants’ subjective dialect boundaries among Chungnam dialect and geographically adjacent Chungbuk, and Jeonbuk dialects, the informants’ images about these dialects, and their ability to distinguish the three. The results from the tasks suggest that speakers of Chungnam dialect perceive Jeonbuk dialect at least as close as or even closer than Chungbuk dialect. The results from the dialect recognition experiment also reveal auditory-perceptual similarity between Chungnam and Jeonbuk dialects. Chungnam dialect speakers were, in addition, analyzed as having relatively favorable images about their dialect.
        8,7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