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6

        61.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지형 마늘의 엽초유인 방법에 따른 마늘 엽 생육과 수량 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관행유인, 비닐절개유인, 일시제 거유인 등 3처리를 두어 실험을 실시한 결과, 초장은 생육 초 기 일시제거유인에서 좋았으나, 생육 후기로 갈수록 차이가 없 었으며, 엽초경은 4월 상순까지는 비슷한 생육을 보였으나, 생 육후기로 갈수록 일시제거유인에서 저조하였다. 엽록소 함량 은 비닐 일시제거 유인에서 SPAD값이 46.0~62.5로 변화폭이 컸던 반면, 관행유인은 3.0(SPAD값)으로 변화폭이 적었다. 엽 초유인 방법별 토양온도는 관행 및 비닐절개 유인에서 최고· 최저 온도차가 비닐 일시제거유인에서는 14oC로 온도의 변화 폭이 컸다. 구중은 관행 및 비닐 절개 유인에서 무거웠으며, 1,000당 투하노동력은 비닐절개구와 비닐 일시제거구에서 관 행 66.5시간/2인 대비 각각 17.3%와 18.3%의 점감효과가 있 었고, 1,000당 수량은 비닐절개 유인이 751 kg로 관행유인 686 kg에 비해 9% 증수되었다.
        3,000원
        62.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find out how imagery training program influence students' motor skills in high jump and how various teaching techniques should be applied to improve students' motor learn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ninety studen
        4,600원
        63.
        2012.10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 ADHD) 아동을 대상으로 독립변 인인 Interactive Metronome®(IM) 중재를 실시했을 때, 실시 후에 종속변인인 주의집중력에 속하는 충동적인 반응 감소와 집 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ADHD 관련검사에서 ADHD 아동 1명을 대상으로 하여 단일사례 연구(Single-case research) 방법 중 ABA 디자 인을 적용하였다. 2011년 8월 12일부터 9월 25일까지, 약 7주간 기초선(A) 3회기, 중재선(B) 15회기, 유지선(A') 3회기를 시행 하였다. 평가로는 아동의 주의집중력을 중재 전과 후에 측정하기 위해 아동․청소년 행동평가 척도(Korean-Child Behavior Checklist : K-CBCL), 전산화 신경인지기능 검사(Computerized Neurocognitive Test : CNT), IM의 Long Form Test(LFT)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IM Short Form Test(SFT)를 중재선 회기동안 훈련 이전에 실시하여, 기준음(reference sound)과 안내음 (guide sound)을 구분하는지 그리고 점차적인 집중력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ADHD 아동의 집중하지 못하는 행동 관찰 측정, 전산화신경인지기능 검사, K-CBCL, 그리고 IM LFT의 결과들은 각각 표와 시각적 그래프를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결과 : 중재 이후, 과제수행에 따른 집중하지 못하는 행동 빈도수는 22.6회에서 7.8회로 감소하였고, IM LFT에서 운동과제 평 균치는 104.0ms에서 49.5ms로 시간이 감소하였다. CNT의 항목 T점수들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K-CBCL의 하위 항목의 T점수들은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IM 중재가 ADHD 대상자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알 수 있었지만 이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한 더 객관적이고 일반화 가능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4,800원
        64.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weight shift training with joint mobilization on the ankle joint passive range of motion (PROM), balance capacity and gait velocity in hemiplegic patients. Fourteen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EG) or the control group (CG), with seven subjects in each group. The EG received weight shift training with joint mobilization in the paretic leg's subtalar joint in order to increase ankle dorsiflexion. The CG received general physical therapy training. Both groups received training five times a week over a period of two consecutive weeks. The figures for PROM of ankle dorsiflexion on the paretic leg, the functional reach test (FRT), the timed up and go (TUG) test, and gait velocity were recorded both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sessions for both groups. The EG's results in gait velocity, the FRT and the TUG test improved after training (p<.05). The PROM of ankle dorsiflexion improved both in the EG and the CG (p<.05), the EG demonstrated a significantly higher increase (p<.05) than that of the C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creased joint mobilization positively affects balance and gait velocity of hemiplegic patients. Further studies with a greater sample size are necessary in order further prove the accurac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4,000원
        65.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동작관찰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목적 있는 활동 과제와 관련된 상지 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13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를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무작위 선정하였다. 실험군은 동영상을 통해 목적 있는 활동 과제의 수행 동작을 관찰한 후 동작을 반복적으로 모방 연습하였고, 대조군은 전통적인 작업치료를 시행 하였다. 훈련은 주 3회, 회당 30분, 3주간 실시하였다. 상지 운동기능 평가는 울프운동기능과 장악력 및 파악력을 시행하였고, 각 군의 전후 차이는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s test)과 두 군 간의 비교는 맨 휘트니 검정(Mann-whitney u test)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훈련 후, 대상자의 상지 운동기능은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특히 실험군은 훈련 후에 유의한 증진을 보였다. 실험군의 장악력과 외측집기는 훈련 후에 유의한 증진을 보였다. 결론 : 동영상을 통한 동작관찰은 같은 동작을 집중적이고 반복적으로 연습하는 전통적인 작업치료 접근보다 상지 운동기능 회복의 긍정적인 효과를 이끌어 주었다. 따라서 동작관찰 훈련을 작업치료 중재 유형의 한 전략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4,000원
        66.
        201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spiratory muscle training (RMT) with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ADIM) on pulmonary function. Twenty-two subjects with restrictive breathing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7 subjects in RMT group, 7 subjects in RMT with ADIM group, 8 subjects in control group). The first group performed the RMT by using incentive respiratory spirometer (IRS). The second group performed the RMT by using IRS and the ADIM by using a Stabilizer. The exercises were conducted over four days. The pulmonary function was evaluated using the spirometer to measure the force exploratory volume in 1 second () and forced vital capacity (FVC). Measurements were conducted on the first day and the last day. A paired-t test was used for pre-post changes and the change rates in FVC and among each group were investigated by a one-way ANOVA. The findings of the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FVC and between pre and post in the two training groups (p<.05)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change ratio the FVC and between the RMT group and RMT with ADIM group.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respiratory muscle and ADIM training, combined with two methods of treatment would suggest positive evidence for improving pulmonary function.
        4,000원
        67.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 determine whether elastic band on treadmill training might effect the chest expansion and pulmonary function of the 20's men. 40 subjects with experimental group(male: 20) and control group(male: 20) was participated in experiment. During four weeks, each group participated thirty minutes for three times per week. Subjects were assessed using pre-value and postvalue measurement chest length(chest length for resting, chest expansion) and pulmonary function(forced vital capacity, forced expiratory volume at one second, FEV1/FVC, peak expiratory flow, vital capacity, tidal volume, expiratory reserve volume, inspiratory reserve volume) by the CardioTouch 3000S(BIONET, USA).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xperimental group can be used to improve chest expansion, pulmonary function than control group. In comparison of both groups, post-test was more improved in experimental group. In conclusion, experimental group helped improving function of pulmonary volume and respiratory muscle, and thus it indicates that the functions will be more improved through the continued respiratory exercise program.
        4,000원
        68.
        201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ction-observation training on arm function in people with stroke. Fourteen chronic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in action-observation training. Initially, they were asked to watch video that illustrated arm actions used in daily activities; this was followed by repetitive practice of the observed actions for 3 times a week for 3 weeks. Each training session lasted 30 min. All subject participated 12 training session on 9 consecutive training days. For the evaluation of the clinical status of standard functional scales, Wolf motor function test was carried out at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and at 2 weeks after the training. Friedman test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clinical test.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upper arm functions after the 3-week action-observation training, as compared to that before training. The improvement was sustained even at two weeks after the training. This result suggest that action observation training has a positive additional impact on recovery of stroke-induced motor dysfunctions through the action observation-action execution matching system, which includes in the mirror neuron system.
        4,000원
        70.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목적: 본 연구에서는 뉴로피드백 훈련이 ADHD 아동의 문제행동과 주의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ADHD로 진단받거나 관련검사에서 ADHD 성향을 보이는 아동 2명을 대상으로 하여 개별실험 연구방법 중 AB 디자인을 적용하였다. 2010년 8월 9일부터 9월 2일까지 기초선 3회기, 중재 12회기를 시행하였다. 평가로는 학습능력검사, 문제행동 관찰, 전산화 신경인지기능 검사를 사용하였고, 중재로는 뉴로피드백 훈련을 12회기 실시하였다. ◉ 결과: 아동 1은 전산화 신경인지 기능 검사 중 시각 조건 연속수행 검사의 반응시간과 색채-단어 간섭 검사의 색단어 단어 읽기 항목에서 T-점수가 증가되었고, 색단어 색채 말하기 항목에서는 중재 전과 후의 변화가 없었다. 아동 2는 전산화 신경인지 기능검사 중 시각 조건 연속수행 검사의 반응시간에서 T-점수가 증가되었고, 색단어 단어 읽기 항목에서는 T-점수 변화가 없었으며 색단어 색채 말하기 항목에서는 감소되었다. 학습능력검사에서 집중력은 아동 1, 아동 2 각각 평균 0.4% 감소, 약 2% 증가를 보였다. 각 아동의 문제행동은 평균 약 2회 감소하거나 변화가 없었다. ◉ 결론: 본 연구에서는 중재 시에 나타난 통제가 불가능한 여러 문제점으로 인해 긍정적인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그러나 ADHD 아동의 비약물적 중재 방법인 뉴로피드백 훈련을 적용하여 문제행동과 주의력에 대한 중재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앞으로 본 연구의 문제점을 보완한 향후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900원
        71.
        2010.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Nintendo Wii Sports 프로그램을 이용한 가상현실공간 훈련이 만성 요통 클라이언트의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추후 연구를 위한 예비 연구로서 개별실험 연구 AB디자인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2명이었다. 검사자는 연 구대상자의 균형 능력을 기초선 기간 1주 동안 3회, 치료선 4주 동안 1주 3회씩 균형 능력을 측정하였다. 연구대상자가 수행 한 Nintendo Wii Sports의 가상현실공간 훈련은 세 개의 활동으로 구성되었으며 1회기 총 운동 시간은 45분이었다. 결과 : 연구에 참여한 만성 요통 클라이언트의 균형 능력은 치료선에서 기초선과 동일하거나 향상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토대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Nintendo Wii Sports가 만성 요통 클라이언트의 균형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치료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72.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되먹임 제공 및 차단으로 시행된 자세수직훈련의 효과를 비교함으로써, 시각되먹임을 차단한 자세수직훈련이 뇌졸중 밀기증후군 환자의 기능회복 및 일상생활동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개별사례 교차중재 연구설계 중 대상자간 다중기초선을 이용하였으며, 밀기증후군 환자 3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초선 측정은 대상자 1이 4회, 대상자 2가 7회 그리고 대상자 3이 10회였으며, 치료회기는 대상자 1이 14회, 대상자 2가 11회 그리고 대상자 3이 8회였다. 치료중재는 대상자 1이 14회, 대상자 2가 11회 그 리고 대상자 3이 8회였다. 밀기증상의 기능회복 평가는 밀기 증후 척도, 일상생활동작을 평가하기 위하여 바델지 수 및 실험 전∙후 대칭적인 서기자세를 평가하기 위하여 근전도기로 양측 중둔근에서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시각되먹임을 차단한 자세수직훈련이 적용되었을 때 대상자 1, 2, 3의 밀기 증후 척도는 각각 기초선과 비교 하여 52.4%(5.3점에서 2.8점), 36.4%(4.4점에서 1.6점) 및 23.6%(3.6점에서 0.9점) 향상되었다. 시각되먹임을 제공한 자세수직훈련은 42.9%(5.3점에서 2.3점), 26.1%(4.4점에서 1.2점) 및 13.2%(3.6점에서 0.5점) 향상되었다. 대상자 1, 2, 3의 바델지수는 각각 기초선과 비교하여 22.4%(44.3점에서 54.1점), 15.5%(44.7점에서 51.6 점) 및 15.8%(51.5점에서 59.6점) 향상되었다. 시각되먹임을 제공한 자세수직훈련은 17.0%(44.3점에서 51.8점), 11.4%(44.7점에서 49.8점) 및 14.8%(51.5점에서 59.1점) 향상되었다. 또한 실험 전과 비교하여 실험 후 환측의 중둔근 근활성도가 더 크게 향상되었다. 결론 : 교대로 적용된 치료중재 결과를 통하여 시각되먹임을 차단한 자세수직훈련이 시각되먹임을 제공한 자세수직훈련보다 밀기증후군 환자의 기능회복 및 일상생활동작능력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에는 많은 대상자를 포함시키고 오랜 기간 동안 적용한 연구들이 계속 이어져야 할 것이다.
        4,000원
        73.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al physical training (AOPT) on manual dexterity and corticomotor facilitation in stroke patients. Ten hemiparetic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subject was asked to participate the three conditions; base condition (Base), physical training (PT), AOPT. Participants were asked to observe the action in the video that a therapist moved the blocks during the AOPT conditions. Corticomotor facilitation was determined in three conditions by monitoring changes in the amplitude of motor-evoked potentials (MEPs) elicited in hand muscles by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MEP responses were measured from the first dorsal interosseous after participants attended to three conditions. For the manual dexterity, Box and Block test (BBT) was used.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MEPs amplitude significantly tended to be larger than PT and Base condition. The scores of BBT in the AOPT condition were also significantly larger than other conditions. In conclusion, this finding of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physical training for observation of an action is beneficial for enhancing a dexterity of paretic arm in stroke patients.
        4,000원
        74.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echnological innovation depends on the quality of workers, whose ability is the key component to raise business competitiveness. Our study evaluates how satisfactory is the training of workers at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 and suggest how to improve
        4,200원
        75.
        200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at motor skill training enhance motor function and cerebellar development. Using an animal model of fetal alcohol syndrome-which equates peak blood alcohol concentrations across developmental period-critifical periods for the effect of alcohol on body and cerebellar weigh was examined. The effect of motor skill training on motor function and cerebellar development of rat exposed alcohol on postnatal days 4 through 10 were studied. Newborn rats were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1) Control group (CG), via artificial rearing to milk formula and (2) experimental groups (EG), via 4.5g/kg/day of ethanol in a milk solution. After completion of the treatments, the pups were fostered back to lactating dams, and wearing they were raised in standard caged until they were postnatal 48 days. Rats from experimental group of postnatal treatment then spent 10 days in one of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II (EGII) was had got motor skill training (training traverse a set of 6 elevated obstacles) for 4 weeks. Experimental group I (EGI) was not trained. Before sacrificing, the rat got examined two behavioral test, body weigh and cerebellar weigh, then coronal sections were processed. The section was investigated the Purkije cell in the cerebellum using light microscop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body weight test, the outcome of alcohol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normal group. 2. In cerebellar weight test, the outcome of EGI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CG and EGII. 3. In motor behavioral test, the outcome of EGI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NG and EGII. 4. In Purkinje cells counting test, the outcome of EGI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NG and EGII. These result suggest that improved motor function induced by motor skill training after postnatal exposure is associated with dynamically altered expression of Purkinje cells and that is related with cerebellar function. Also, these data can potentially serve as a model for therapeutic intervention.
        4,000원
        76.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균형에 이상을 보이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Dynavision 2000을 사용하여 시지각 훈련을 적용하고, Tetrax Portable Multiple System으로 기립자세에서의 균형능력을 반복 측정하여 시지각 훈련이 균형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연구방법 : 뇌졸중 진단을 받은 5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개별사례 실험 연구 방법 중 반전연구(reversal de-sign)로 설계되었다. 연구기간은 기초선 1은 1주간의 3회기, 중재 적용기간은 4주간의 12회기, 기초선 2는 1주간의 3회기로 총 6주간 이루어졌다. 기초선 1과 2기간 동안 시지각, 일상생활수행과 균형능력을 평가하였으며, 중재 기간에는 Dynavision 2000을 사용하여 시지각 훈련을 한 후 매 회기마다 균형능력을 측정하였다. 결과분석에는 Wilcoxon Signed-Ranks Test를 사용하였으며, 균형능력은 안정성 지수에 대한 기술통계, 회기별 변화정도는 시각적 분석으로 하였다.결과 : Dynavision 2000 중재기간 동안, 성인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이 중재 전에 비해 향상되었으며, 중재 종료 후에도 균형능력이 유지되었다.결론 : Dynavision 2000을 이용한 시지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수행과 균형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향후연구에서는 충분한 기간 동안 대조군을 이용한 집단연구가 이루어졌으면 한다.
        4,500원
        77.
        200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the center of pressure (COP) trajectory in healthy elderly subjects while crossing an obstacle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Tai Chi training. Forty healthy elderly subjects participated either in a 12-week intervention of Tai Chi training or in a health education program.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ubsequently, the participants were pre- and post-tested on crossing over an obstacle from a quiet stance.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ai Chi training that emphasized the smooth integration of trunk rotation, a shift in weight bearing from bilateral to unilateral support and coordination and a gradual narrowing of the lower-extremity stance three times weekly. The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attended a health education program one hour weekly and heard lectures about general information to promote health. Performance was assessed by recording the changes in the displacement of the COP in the anteroposterior (A-P) and mediolateral (M-L) directions using a force platform. Participants in the Tai Chi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P and M-L displacement of the COP after Tai Chi training (p<.05).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P and the M-L displacement of the COP between pre-testing and post-testing in the control group were found. This study has shown that participation in Tai Chi exercise increased the magnitude of the A-P and M-L displacement of the COP, thereby improving the ability of healthy elderly participation to generate momentum to initiate gait. These findings support the use of Tai Chi training as an effective fall-prevention program for the elderly.
        4,000원
        78.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반복적인 동작 행위에 따른 뇌파의 훈련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훈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반복적인 동작시의 뇌파 출현량 및 EMG와 EEG의 coherence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피실험자는 5명으로 실험 시간은 총 48분이며, 반복 일에 대한 훈련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5일간 진행하였다. 반복적인 동작은 손을 오므렸다 폈다 하는 행위로, 5초간의 동작실행과 10초간의 휴식시간으로 나눠 실험하였다. 동작 유무와 반복 일에 따른 뮤파와 베타파량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반복시간에 따라 뮤파 및 베타파량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5일 동안의 반복 일에 따른 훈련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EMG와 EEG의 coherence는 반복 시간과 반복 일에 대한 훈련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4,000원
        79.
        200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dministration of Prostaglandin F2α (PGF2α) on semen collection training and semen characteristics in sexually inexperienced boars. Boars were moved individually to a semen collection pen and were trained to mount dummy sow. During the first and second semen collection secessions, 4 out of 17 boars and 4 out of remaining 13 boars allowed collection of semen. The 9 boars that failed semen collection from first 2 attempts received immediately 15 mg of PGF2α i.m. (intramuscular injection) upon entering the collection pen for semen collection resulted in successful semen collection from all 9 boars. Total numbers of spermatozoa were higher in PGF2α treated boar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 motility kinematics characteristics between control and PGF2α treated groups during 72 hr period. Overall, administration of PGF2α in sexually inexperienced boars increased the sex drive and facilitated the mounting activity to the dummy sow for semen collection.
        3,000원
        80.
        200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alance training with upper extremity exercise on the improvement of balance performance in people who have had a stroke. Eighteen candidates who have all experienced a stroke, were living in Dong-Gu, Ulsan and were participating in a 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program, have been included in this study. The program was conducted three times weekly, 1 hour per session, for 7 consecutive weeks. Subjects were tested with 7 m and 100 m Timed Gait Test (sec), Timed Get Up and Go Test (sec), Functional Reach Test (cm) and 5 items of Berg's Balance Test at pre-training and post-training. Total balance index and balance ratios were measured by K.A.T. 3000. The balance training program performed by sitting on a chair and gymnastic ball and standing on stable and unstable surfaces during upper extremity exercises such as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upper extremity pattern, picking a ball up from floor, throwing and catching it. After seven weekends of balance training, subjec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alance test results. The exceptions were three items of Berg's Balance Test (p<.05). Balance index score and affected and unaffected side balance ratio had a larger improvement than pre-training (p<.05).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intervention of this balance training program could improve the balance performance in people who have had a stroke.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