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8

        82.
        202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s of experience motivations based on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environment and visitors’ satisfaction of Jeonju Hanok Village. With respect to these matters, I hope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es to further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Jeonju Hanok Village. First, attractiveness, convenience, and cleanlines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f Jeonju Hanok Village have positive effects on visitors’ satisfaction level; yet, accessibility and entertainment were found not to have significant impacts. Second, experience motivations have moderating effects between convenience and visitors’ satisfaction, and cleanliness and visitors’ satisfaction. Due to limitations on sampling methods, one needs to take caution to generalize the result of the study and implement the result in practice subsequentially. However, I think that there was a meaningful result, which successfully expanded the area of research,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f Jeonju Hanok Village on visitors’ satisfaction and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experience motivation.
        83.
        202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홍모 장로는 6.25전쟁 과정에서 겪었던 생명의 위기 속에서 고아들과 경제적으로 불우한 청소년들에게 교육을 통한 복음 전파의 사명을 가졌으며, 영생교회와 함께 영생학원을 세워 이들을 교육하였다. 영생학원은 전주에서 1956년에 처음으로 야간학교이면서 동시에 남녀공학 학교로 출발 하였다. 영생중고등학교는 1962년에 주간교육을 원하는 학생들이 많아지면서 주간과 야간학급을 함께 운영하였다. 그리고 여학생들을 위해 1963년에 영생여자중학교와 영생여자실업학교가 설립되었다. 그리고 지역의 공무 원, 초등학교 교사, 목회자들의 고등교육에 대한 수요가 많아지자 1964년에 이들을 위한 영생대학이 야간으로 설립되었다. 이렇게 설립된 영생학원 산하의 학교들은 1970년대의 새로운 사회적인 변화를 맞이하여 여러 가지 변화를 겪게 되었다. 첫째 영생학원은 1972년에 영생중학교와 영생여자중 학교를 폐교하고 고등학교와 대학의 발전에 집중하였다. 둘째 야간교육 수요가 줄어들자, 1978년에 고등학교는 주간으로 전환하고 영생대학은 주간을 신설하여 주간과 야간을 병행하였다. 셋째 1976년에 영생공업전문학교를 설립하여 중화학공업이 발전하던 한국사회에 필요한 산업인력을 육성하게 되었다.
        84.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정부의 미세먼지 특별법이 발효됨에 따라 비상저감조치 시행시 건설현장 및 공장 작업시간을 조정 및 단축하도록 권고하고 있지만 정량적인 기준 및 저감기술 부재로 인해 기업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 도로포장 재료생산 플랜트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 및 유해가스로 인한 피해사례가 다수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공장 주변 주민들과의 갈등이 심각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도로포장 관련 비산먼지 발생현황 및 관련법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고, 도로포장 전주기(생산-시공-운영)에서의 단계별 발생량 조사를 통해 각 단계에 적합한 비산먼지 저감기술 개발 및 적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85.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제의 추방으로 폐쇄되었던 전주 스테이션은 1947년에 복구되어 활동을 시작했는데, 1948년에는 9명의 선교사들이 활동하였다. 이들 가운데 인돈, 위인사, 조요셉 등은 노회원으로 교회들의 목회활동을 도왔지만, 주로 교육분야와 의료분야에서 활동하였다. 인돈 부부는 신흥과 기전의 교장으로, 윈과 폰테인은 한예정신학교를 위해 사역하였고, 구바울 부부와 변마지는 예수병원에서 사역하였다. 해방 후 일제에 의해 강제로 합병되었던 전주 시내 5개 교회들이 문을 다시 열면서 교회가 성장하기 시작하여 1952년에는 12개로 늘어났다. 1952년부터 기장과 예장으로 총회가 분열하면서 노회도 분열하였고, 1959년에 다시 예장 합동과 통합으로 분열하였다. 이 과정에서 1960년에 기장 전북 노회는 16개의 교회로, 통합 전북노회는 1962년에 자립 9개와 미자립 6개로 늘어났고, 합동은 1960년에 7개로 출발하였다. 인톤 선교사가 1946년 7월 귀국한 후에 신흥과 기전 학교의 복교가 추진되어 11월에 문을 열었고 1950년에 중고등학교로 분리되었다. 강흥모에 의해 1955년에 영생중학교와 영생고등학교를 인가받았고 1963년에 영생여자중학교를 인가받았다. 그 결과 1960년대에 전주에서 기독교학교가 중학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30%이고, 고등학교에서는 30-40%를 차지하였다. 고등교육기관은 강흥모가 세운 영생대학교와 전주공업전문학교가 오늘 날 전주대학교와 전주비전대학으로, 여자성경학교였던 한예정성경학교가 1968년에 한일여자신학교로, 예수병원의 간호기술학교는 1973년에 간호전문학교로, 기전여자고등학교에서 1974년에 기전전문학교로 발전하였다. 전주예수병원은 1948년 45병상으로 출발하여 1960년에는 160개 병상의 종합병원이자 지방거점병원으로 발전하였다. 구바울, 설대위, 켈리, 필립 등의 다양한 분야의 의사들이 진료를 하였고, 전문수련의 병원으로서의 역할을 통해 1960년대에는 외과, 이비인후과, 안과, 신경외과 등과 함께 암전문치료 병원으로 발전하였다. 전주는 미션 스테이션의 복구와 전주 장로교회들의 협력을 통해 교육과 의료의 인프라를 구축하고 많은 교회들이 설립되어 최근에도 27.6%의 높은 복음화율을 가진 도시가 되었고 많은 기독교 관광장원을 활용하여 기독교를 지역의 특성으로 활용하는 도시가 되었다.
        86.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옥마을은 전주시의 대표적인 관광지로 주목받고 있으며, 연간 관광객이 2016년 기준으로 1,066만명에 이를 정도로 좁은 관광지역에 대규모 인파가 폭증함에 따라 교통체증은 물론 먹거리 문제, 이에 따른 폐기물 관리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음식업소배출량을 제외하고 연간 3,551톤(약 10톤/일)의 생활폐기물이 길거리수거함에 배출되고 있으며, 종량제봉투(100L 기준)사용량이 월 5,000장 정도 소요되며, 총 12지점의 배출지를 확보하여 운영하고 있지만, 관광객증가 및 음식소비 등에 따른 발생량 증가에 대응하기에 한계가 있다. 주요배출원인 길거리 음식점의 1회용품에 의한 것으로 확인되며, 길거리 배출함내 일반 및 재활용성 폐기물이 혼합되어 배출되고 있고, 상가 및 거주 주민들의 생활폐기물도 무단배출되는 지역특성을 고려하여 현장조사를 통해 폐기물 발생특성을 확인하고, 단계별로 규모별 적정한 관리방안을 모색하려고 한다. 또한 한옥마을 관광형태가 한옥숙박과 함께 거리여행의 특성이 크고, 이동반경이 작은 만큼 실내 음식 소비형태보다는 길거리 요기형태의 소비가 높아 길거리 배출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고려하여 한옥마을 도로에 대한 관광객 및 길거리 음식업주의 쓰레기 분리 및 수거상황을 조사를 통해 관리 실태를 확인하고자 한다.
        87.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Despite the global economic crisis, the numbers of coffee shops used for providing a place for social and cultural interactions show an upward trend and have become an indispensable part in people’s daily life in recent years. Under the circumstance of tremendous efforts of searching new management strategies and projects, the concept of servicescape(which has physic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may provide a better alternativ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can be broadly divided into 3 key points. First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rvicescape on customer satisfaction, service value and customer loyalty about Coffee Shops in Jeonju area. Second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service value between servicescape and customer loyalty. Third, there is evidence that indicates the moderating effect among the interaction of customer and staff, brand image and the composition of servicescape, customer satisfaction, service value and customer loyalt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begins empirical research about users of coffee shops’ services. The data of the study is collected from 285 samples of a questionnaire which has been made from Korea and analysed by IBM SPSS 24.0 and IBM AMOS 24.0. Results - The results are reported below: First of all, the composition of condition, functionality, cleanlines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scap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s ervice value. Furthermore, customer satisfaction is identified as a factor to influence service value. Moreover, customer satisfaction and service value are identified as the causal relationship with customer loyalty. Besides, customer satisfaction and service value illustrated the mediation effect between the composition of servicescape and customer loyalty. Finally, the interaction between customer and staff, brand image illustrates the moderated effect. Conclusions - The composition of servicescape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enhancing the customer's perceived service value in coffee shops. By meeting diverse and complex needs of consumers in coffee shop, the service value will not only attract loyal customers, but also increase customer loyalty and profitability. In a word, managers should rely on servicescape to enhance service experience by making differences with other competitors.
        88.
        2018.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전주한옥마을 관광객을 대상으로 독특성욕구에 따른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를 토대로 전주한옥마을 음식관광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표본의 인구통 계학적 특성 중 전주한옥마을은 30대가 가장 많이 방문하며, 한 달 수입이 201만 원 이상인 관광객이 가장 많은 소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검증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사성회피는 전통비빔밥의 선호도에 부정적인 영향관계를 보였으나 독특한 비빔밥의 선호도는 독창적선택과 비대 중적선택에 긍정적인 영향관계가 있음을 검증하였고, 독창적선택과 유사성회피는 독특한 비빔밥의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관계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전통비빔밥의 선호도는 전통비빔밥의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관계를 보였으며, 전통비빔밥의 선호도와 독특한 비빔밥의 선호도는 독특한 비빔밥의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관계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89.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방자치제도는 지역 간 경쟁구도를 견인하였고, 각 지역은 강력한 지역아이덴티티 구축 및 강화를 위한 차별화 전략을 필 요로 하게 되었다. 지역의 차별화란 지역고유의 역사, 자연, 산업, 생활, 문화, 가치 등의 요소를 통해 형성되는 특성화 이미 지 구축전략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으로 지역의 특성화 이미지를 활용한 문화관광상품은 지역을 이해하는 연상 이미지 형성의 역할을 담당할 뿐 아니라, 관광활동 중 체득된 체험요소들을 기억하게 도와주는 회상자원이 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에 따라 지역 고유성을 대표하는 관광자원의 특성화 이미지 발굴 및 이를 활용한 문화관광상품 개발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여, 독창적이고 지속가능한 지역아이덴티티 강화 전략의 하나로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로는 지역문화의 정체성을 핵심평가지표로 제시하고 있는 국제슬로시티의 기준을 통과하고 재지정에 성공한 전주한옥마을을 선정하였다. 선행연구 및 현장조사를 통하여 관광목적지에서 유통되는 대부분의 상품들이 그 독창 성과 차별성을 나타내지 못하는 현실을 반영하였으며, 특히 전주한옥마을의 지역아이덴티티 강화는 물론 오랜 시간 축척되 어온 도시브랜드 전략의 일관성을 담아내고자 노력하였다. 전주한옥마을의 문화적 정체성과 연결되는 대표자원을 선정하 고, 특성화 이미지 요소 발굴을 통한 디자인 전략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실제 판매유통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문화 관광상품 예시를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와 차별성을 확인할 수 있다.
        90.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공예산업의 활성화 문제점은 사회·문화적 트랜드에 대한 변화를 인지하지 못하고 과거의 생산체계를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전문 인력과 전시 및 판매할 수 있는 시설 등의 부족과 정책적인 지원체계 등 국가산업으로서의 인식과 체계가 부족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공예문화의 산업화를 꾀하면서도 장인이나 명인에게만 너무 의존하는 인식과 접근법에도 문제가 있다. 생활양식의 변화와 새로운 트렌드 분석, 현대적 디자인 적용, 편익성과 효용성 등은 물론이거니와, 공예 본연의 의미인 실생활에 사용되는 조형물로 전통과 기술 그리고 문화를 내포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영세한 소규모의 가내수공업적 제작환경과 수요에 대한 분석 및 디자인과 기술개발 등의 지속적인 투자와 전문 인력 양성 등의 어려움이 악순환을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적 기반에도 불구하고 지역적으로 성공한 산업화 유형분석을 통해 공예문화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첫째, 지역적 특색을 띄고 있는 공예의 특징을 활용한 협업체계의 구축, 둘째, 공예가 생활 속 예술품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저변확대, 셋째, 공예를 산업으로서 접근하는 인식, 넷째, 전통성, 예술성, 편익성 등을 포함하고 있는 복합산업으로서의 통합브랜드 구축 등을 성공요소로 도출하였다.
        92.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analyzed the CO2 emission of existing buildings with reconstruction and reusing in the declined residential area of Jeonju old town. The average CO2 emission to square meter of residential buildings in Jeonju is 1.7tCO2/m2.
        93.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analyzed the CO2 emission of existing buildings with reconstruction and reusing in declined commercial area of Jeonju old town. The average CO2 emission to square meter of commercial buildings in Junju is 1.4tCO2/m2.
        94.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analyzed the CO2 emission of existing buildings on the operation phase in the declined residential area of Jeonju old town. The average CO2 emission to square meter of residential buildings in jeonju was calculated.
        95.
        2011.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주지역의 모주는 막걸리에 인삼, 칡, 감초, 계피, 대추, 생강 등 생약재와 흑설탕을 넣고 일정시간 교반 가열한 후 여과해서 만드는 해장술 개념의 저농도 알코올성 음료이다. 기호성이 높은 모주 개발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전주 시내의 음식점에서 판매되는 전주모주 22종의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이화학적 분석치의 평균값은 수분 91.28%, 알코올 1.09%, pH 4.25, 총산 0.27%, 환원당 40.68 mg/mL,
        96.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관광객이 인식하는 사전 중요도와 사후 성취도에 대한 비교 연구 측면에서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통해 전주자연생태박물관의 생태관광 매력성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자연생태박물관 서비스품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본 논문은 관광객 만족도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는 생태관광 매력속성을 확인함으로써, 차별적이고 세분화된 생태관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바람직한 관리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분석 결과, 전주자연생태박물관의 생태관광 매력속성에 대한 관광객의 평가는 전반적으로 방문 전 기대수준에 비해 실제 만족도가 분명하게 낮은 수치를 기록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전주자연생태박물관은 자연학습 및 환경해설과 관련된 속성을 대표적인 생태관광 매력성으로 활용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 및 투자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반면에 자연관찰용 전망시설과 자연생태계 체험프로그램에 대한 재정비 및 개선을 통해 생태관광 서비스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집중적인 노력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중요도에 비해 지나치게 높은 성취도를 나타내는 박물관의 자연생태계 현황에 관련된 속성들은 과잉 개선 노력이 투입되는 것을 지양해야 한다.
        98.
        200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전주수목원 생태관광객의 방문동기 유형에 따른 각각의 세분집단별로 수목원 이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함으로써,바람직한 수목원 서비스품질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도출된 방문동기 요인들을 토대로 수목원 관광객을 ‘생태적 추구형’, ‘학습지향형’, ‘탈일 상추구형’의 3개의 세분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이들 세분집단에 따라 모든 이용만족도 요인들과 종합적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시설․환경’ 요인을 제외한 모든 이용만족도 요인들이 종합적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특히 ‘관찰시설’과 ‘교육’요인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시설․환경’요인은 그 영향력이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생태적 추구형’ 집단은 관찰용 전망시설과 자연학습 탐방로 등 관찰시설을 중요시하고, 자연생태계에 대한 지적인 활동을 추구하는 특성을 나타냈다. ‘학습지향형’ 집단은 자연체험․생태학습이나 교육적으로 유익하고 이해하기 쉬운 해설내용 등 지식추구적이고 환경교육적인 측면을 강조하였다. ‘탈일상추구형’ 집단은 직원들의 친절한 안내서비스나 수목원의 시설․환경적인 측면을 중요시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00.
        200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주시 건지산 일대의 자원식물상을 조사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건지산 도시자연공원의 생태계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한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전주시 건지산 일대의 자원식물상은 92과 242속 303종 48변종 3품종으로 총 354종류가 확인되었다. 자원식물을 용도별로 구분하면, 식용식물에는 205종류(57.1%), 약용식물에는 234종류(65.2%), 관상창식물에는 167종류(46.5%), 기타용 식물에는 218종류(60.7%)로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에는 IV등급에 목련(식재)과 수염마름, III등급에는 호랑가시나무(식재)와 향나무(식재), II등급에는 꽃창포와 복자기(식재), I등급에는 전나무(식재), 잣나무(식재), 왕버들, 물오리나무, 종가시나무(식재), 애기괭이눈, 황매화(식재), 예덕나무, 대팻집나무, 사철나무(식재), 장구밥나무, 동백나무(식재), 정금나무, 까치수영, 들메나무, 광나무(식재)등의 16종류로 분석되어 총 22종류가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에는 큰이삭풀, 애기수영, 돌소리쟁이, 좀명아주, 개비름, 미국자리공, 다닥냉이, 아까시나무, 붉은토끼풀, 가죽나무, 큰달맞이꽃, 미국나팔꽃, 도깨비가지,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미국가막사리, 기생초, 개망초, 붉은서나물, 방가지똥, 도꼬마리 등 12과 23속 28종 2변종으로 총 30종류가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전체 354종류의 관속식물 중 8.5%로 분석되었다. 이중 도깨비가지와 돼지풀은 환경부의 생태계교란야생식물로 최근 들어 건지산 일대에 개체수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임으로 이들의 세력 확장을 막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관리와 대책방안이 요망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