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6

        101.
        2001.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σ-VFe 금속간화합물에 대한 기계적 합금화(MA) 효과를 중성자 및 X선 회절법으로 조사하였다. MA 분말의 구조분석은 X선 회절(Cu-Kα) 린 중성자회절(HRPD, λ=1.835Å)을 이용하여 행하였다. σ-VFe화합물의 MA시 큰 구조변화가 관찰되었으며, MA 60시간의 경우 Fe-Fe 훤자분포는 unit cell에 30개의 원자를 포함하고 있는 σ상의 tetragonal구조에서 120˚C이상에서 안정하게 존재하는 α-(V,Fe) 고용체의 bcc 구조로 상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α-VFe 화합물에 대한 중성자 및 X선 회절패턴의 비교분석을 행하였으며 그 결과 σ상이 가지는 화학적 규칙성에 기인하는 (101)과 (111) 회절 피크가 중성자 회절에서 뚜렷하게 관찰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02.
        2001.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104.
        200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900원
        105.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magnetic cataclysmic variable has a rotating magnetic white dwarf which accretes matter from its late type companion. Kim & Beuermann (1995) presented a phenomenological model of the accretion from its surrounding structure e.g., a disk into the magnetosphere of the white dwarf, and presented results for the spin modulated X-ray spectrum and light curves. Using this model, we calculate the optical continuum and line emission which result from reprocessing of X-rays in the accretion stream within the magnetosphere. Penning (1985) suggested the observed spin-modulated radial-velocity variations might result from reprocession of X-rays in the disk. We, however, find the radiation can be originated from the magnetosphere accretion stream. We use the same geometrical model to calculate the optical and the X-ray behaviour. The results from the two wavelength bands are internally consistent. We conclude that this approach will increase the diagnostic accuracies of the results.
        4,000원
        106.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X-ray astronomy deals with measurements of the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energy range of E \~ 0.1 − 100 k e V ( λ \~ 0.12 − 120 \AA ) . The wavelength of X-ray is comparable to the size of atoms, so that the photons in the X-ray range are usually produced and absorbed by the atomic processes. Since the launch of the first X-ray astronomy satellite 'Uhuru' in 1970, technological advances in a launch capability and a detection capability make X-ray astronomy one of the most rapidly evolving fields of astronomical research. Particularly, a spectral resolving power E / Δ E has been increased by an order of 2 - 3 (in the energy range of 0.1 - 10 keV) during the past 30years. In this paper, I briefly review a developing process of the resolving power and spectroscopic techniques. Then I describe important emission/absorption lines in X-ray astronomy, as well as diagnostics of gas property with line parameters.
        4,200원
        108.
        2000.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에 소량의 Ti를 첨가하여 그 함량 변화에 따른 X-선 마스크 흡수체용 W-Ti 박막의 물성을 연구하였다. W-Ti 박막은 DC magnetron sputtering system을 이용하여 증착하였다. Sputtering 증착시 증착압력의 증가에 따라 박막의 밀도는 감소하였으며 박막의 응력은 압축응력으로 바뀌었다. Ti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천이 압력 근방에서의 응력곡선의 기울기가 감소하였으며 천이 압력도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Pure-W 시편의 경우 천이 압력이 약 6.5mTorr로 비교적 높았으며, 이 때 박막의 밀도는 17.8g/cm3이었고 함량 6.5%에서 가장 낮은 천이 압력(4.3mTorr)을 보였으며, 이때의 박막 밀도는 17.7g/cm3로 pure-W과 거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SEM을 이용한 미세구조 분석결과 pure-W 박막은 원형의 주상정 조직을 보이고 있으며, Ti가 첨가된 W-Ti 박막의 경우에는 가늘고 긴 침상 모양을 가지는 주상정 조직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침상조직은 Ti함량이 증가할수록 더욱 발달하고 있으며, AFM 분석결과 Ti 첨가 시편 모두 18Å이하의 우수한 평균 표면 평활도를 나타내었다. 나타내었다.
        4,000원
        110.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present the results of one-dimensional numerical simulations of SNR evolution in the in­homogeneous medium considering the effects of the evaporation of the cloud and the thermal conduction. We have included the effects of changing evaporation rate as a function of cloud size and the ambient temperature so that the clouds could be evaporated completely before they reach the center of the SNR. The heat conduction markedly changes the density distribution in the remnant interior. To explain the observed morphologies of the centrally peaked X-ray SNRs(for example W44), the maximal thermal conduction is required. However, this is unlikely due to the magnetic field and the turbulent motion. The effects of the evaporation of the cloud and the thermal conduction described here may explain the class of remnants observed to have centrally peaked X-ray emmision.
        4,000원
        111.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선량 방사선에 의한 식물 유익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2개 종묘회사로부터 4년간 묵은 종자를 분양받아 저수준의 γ선을 조사하여 온실과 포장에서 재배하여 그 생육 상황을 조사하였다. 서울종묘의 한여름배추는 0.5 Gy 조사구를 제외하고는 발아율 증대효과는 없었고 8 Gy와 12 Gy 조사구에서 유묘초장과 생체중이 각각 평균 20%와 40%정도 증가하여 초기생육 촉진효과는 있었으나 포장수량 증가 효과는 볼 수 없었다.
        4,000원
        113.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냉동상태로 포장하여 판매되고 있는 생선(대구살)을 대구지역 수퍼마켓에서 구입하여 냉장(R : refrigerating), 냉동(F : freezing), 냉장과 동결을 반복(RFR : repeated freezing and refrigerating)하는 3군으로 나누어 저온저장하면서 저장중의 중온균과 저온세균의 수, free drip량과 pH의 변화를 측정하여 이들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다. 저장직전의 해동어육의 생균수는 중온균이 6.5×10 exp (4), 저온세균이 7.4×10 exp (3)cells/g이었으며 냉장한 시료에서는 저장 8일, 냉장과 동결을 반복한 시료에서는 저장 16일 후에 10 exp (7)cells/g을 초과하여 초기 부패에 도달하였다. 동결시료의 경우에는 46일간의 전 저장기간 동안 저장 28일째에 약 10 exp (6)cellls/g으로 생균수가 가장 많았으며 신선한 상태가 유지되었다. 저온저장 중 저장초기에는 중온균의 수가 약간 많았으나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저온세균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여 저장말기에는 저온세균의 수가 중온균의 수보다 증가하였다. 저장중 pH의 변화는 생균수의 변화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r=0.73∼0.96의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저온저장 중의 drip량은 냉장시료에서 27.06±9.75, 냉동시료에서 27.56±8.02%로서 전 저장기간 동안 drip량은 큰 변화가 없이 두 시료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냉장과 동결을 반복한 시료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drip량이 증가하는 경향으로서(r=0.84) 전 저장기간 동안의 평균치는 33.97±10.70%로서 냉장과 냉동시료에 비하여 20% 정도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냉장과 냉동시료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4,000원
        114.
        199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쥐치 Stphanolepis cirrhifer의 선시력을 구하기 위하여, 표적물거리 100cm, 광환경 5가지(400,20,3,1,lx)및 표적물의 굵기(8.0~0.2mm)12가지 조건하에서 행동학적 수법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쥐치의 학습교과는 실험회수가 210회이상에서 시인율이 80%이상이였고, 도달시간이 4~5초로 안정되었따. 2. 시인율은 표적물의 굵기가 굵고 겉보기 콘트라스트가 클 때 높았으나, 1lx이하에서는 대체로 낮았다. 3. 시인한계선의굴기는 밝기가 감소함에 따라 굵었는데, 400lx의 경우가 0.24m로 가장 가늘고, 다음으로 20lx인 경우 0.30mm, 5lx인 경우 0.40mm, 3lxmm, 5lx인 경우가 2.87mm로 가장 굵었다. 4. 시인한계선의 굵기에 대한 겉보기 콘트라스트는 밝기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400lx와 20lx인 경우 0.01로 가장 작았으며, 5lx와 3lx인 경우는 각각 0.02와 0.03이였으며, 1lx의 경우가 0.09로 가장 컸다. 5. 쥐치의 선시력은 400lx의 경우가 1.21로 가장 좋았고, 다음으로 20lx인 경우 0.97, 5lx인 경우 0.73, 3lx인 경우 0.63으로 밝기가 감소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특히 1lx의 경우가 0.10로 현저距하게 감소하였다. 6. 표적물의 굵기 1mm와 6mm에 대한 시인거리는 밝기 400lx하에서 각각 약 4.2m와 25.0m였으나, 1lx인 경우는 400lx의 1/14과 1/12로 감소하였다.
        4,000원
        115.
        1997.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비파괴적 분석 기법인 각분해 X-선 광전자 분광기(Angle-Resolve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GaAs 표면 자연 산화막의 깊이에 따른 화학적 결합 상태 및 조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GaAs의 벽개면 및 Ar이온으로 식각된 면을 기준시료로 하여 각 원자의 광전자 강도(intensity)를 보정해주는 인자인 ASF(atomic sensitivity factor)의 최적값을 구하였다. 이륙각에 따라 발생되어지는 각 원소의 피이크 분해와 정확한 ASF의 보정을 통한 각 원소의 실험적인 결과를 이용하여 깊이 방향으로의 조성 분포 모델을 세웠으며, 이론적인 강도와의 상호비교로부터 표면 오염층의 구조는 표면으로부터 탄소층, Ga-oxide와 As-oxide로 이루어진 oxides층, As-As결합의 elemental As층 및 GaAs기판의 순으로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GaAs 표면에 존재하는 오염층은 35.8±3.3 Å이었다. 또한 위 결과로부터 분석깊이 영역에서 원자수의 비로써 정의되는 의미로서의 실질조성을 구하였는데 단지 특정 이륙각에 따라 일반적인 ASF로 보정된 표면조성 결과는 표면 상태를 명확히 표현해주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119.
        199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lationship between width of line target and distance at the limit of discrimination was examined by means of the behavioral method, for filefish Stephanolepis cirrhifer from 11 to 15cm body length. Target distance was distance from beginning of partition board to target plate, and was varied from 50cm to 200cm. The target plate was made of white acrylic resin with a vertical black line in the center. The width of line target was varied from 0.2mm to 8.0mm. Fish were trained to respond to a line target and the width of line target reduced until the minimum width required to elicit a response was established. Rate of success was expressed as the percentage of target choices in 90 trials. The line acuity of filefish was found to be 0.58 at a target distance of 50cm. The rate of success decreased slowly as line target width decreased from 8.0mm to 1.5mm, and decreased suddenly for target widths less than about 1.5mm. The width of the line target D(mm) at the limit of discrimination was shown to be an exponential function of the target distance L(cm) as follows : D=exp(9.947×10-3.L+0.146)
        4,000원
        120.
        1995.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aNb O370 mol%와 SrTi O330 mol%의 고용체인 (Na0.7S r0.3)( Ti0.3N b0.7) O3는 완전 고용에 의한 one phase의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형성하였으며 온도변화에 대한 유전 특성 측정 결과 100K 부근에서 완만한 유전 피크가 관찰되었다. 유전 피크를 전후한 상온과 12K에서 결정 구조 해석을 Rietveld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결과 상온에서는 단순 페로브스카이트의 a, b 그리고 c격자를 2배로 하는 격자를 격자 상수로 갖는 사방정계의 단위포를 형성하며 공간군은 Pmmm이였고, 12K로 온도를 낮추었을때 역시 단순 페로브스카이트의 a, b 그리고 c격자를 2배로 하는 격자를 격자 상수로 갖는 사방정계 단위포를 형성하나 공간군은 Pnma로 바뀌었다. 이러한 결정 구조의 변화는 c축 방향의 (Ti, Nb)-O-(Ti, Nb) 결합 각도에는 거의 변화가 없이 팔면체 중심의 (Ti, Nb)-O간의 결합 거리가 대칭성이 낮아지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이로인해 산소 팔면체가 distortion되어 생기는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l00K 부근에서의 완만한 유전 피크는 산소 팔면체의 distortion에 의한 구조상전이 결과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수 있었다.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