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2

        101.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감귤의 색소 중 널리 분포되어있는 flavonoid와 limomoid 그리고 carotenoid들의 항암성을 비롯한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결과들이 과일의 기능성식품으로서 가치를 재조명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이 있는 색소물질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색깔돌연변이 감귤의 품종등록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품종의 신규성과 유용성을 제공하여 품종화에 기여하고자 수행되고 있다. 연구를 위한 궁천조생의 가지변이인 붉은색을 띄는 자연발생적 돌연변이과실을 확보하였다. 색깔돌연변이체 특성을 분석한 결과 과실의 종·횡경, 무게, 과피두께, 가용성 고형물 및 유기산함량은 유의차(p<0.025)가 없었다. 변이체의 L(명도)는 46.5, a(적녹도)9.2, b(황청도)22.6 으로 대조군보다 +2.2 적녹도와 +6.6의 황청도가 측정되었다. 과피의 80℃열수추출물과 메탄올추출물의 DPPH radical scavenging test에서는 Vtiamin C 만큼의 좋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대조군과 색깔돌연변이체의 과피 FT-IR분석 결과 변이체가 protein/amide Ⅰ과 Ⅱ(1,500-1,700cm-1) 지역에서 빠른 감소를 보여주는 것을 제외하고는 유사하였다. HPLC를 이용한 분석에서는 변이체의 성숙한시기 과피에서의 violaxanthin함량이 대조군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현재 색깔돌연변이체를 대상으로 분석된 결과와 계획 중인 flavonoid분석등의 기능성분석을 통하여 변이체가 갖고 있는 우수한 형질을 조사하여 육성품종으로서의 가치를 조명하고자한다.
        102.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감귤은 제주 농업조수입의 절반가량을 차지할 정도로 주요 과수이다. 2012년부터 UPOV(국제신품종보호동맹) 협정이 감귤을 대상으로 적용되고, 한중 FTA(자유무역협정) 등의 시장개방화가 진행 중인 현재 국내 재배되고 있는 대부분의 품종은 일본에서 들여온 외래 품종인 실정이다. 따라서 세계적으로 경쟁력있는 우리 품종의 확보가 시급하다. 본 연구는 2005년부터 온주감귤 궁천조생을 대상으로 돌연변이육종법을 선택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005년부터 2008년까지 매해 봄과 가을에 새순을 채취하여 감마선(60Co)을 조사하여 돌연변이를 유도한 후, 이를 궁천온주 성목과 탱자 묘목에 접목하여 경과를 지켜보았다. 변이된 가지로부터 외형적 특이, 당산 우수, 수확시기 변화에 중점을 두고 관찰하여 가지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가지는 다시 접목하여 계속해서 형질을 관찰하고 있다. 최종 선발과정을 통해 특허출원 또는 품종등록의 지식재산권을 확보할 예정이다.
        103.
        2012.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rirutin-added alcohol fermentation of citrus hydrolysates were investigated to produce functionally improved citrus wine. The pH of narirutin-added citrus wine ranged from 3.38 to 3.51, and the titratable acidity was about 0.55% which show no significant differences attributable to the narirutin quantity. With regard to the color and brown color, with the addition of more narirutin, the a value was decreased while the b value and brown color increased. The sugar content decreased from 24 to 8.0-8.5 ˚Brix after alcohol fermentation, and the alcohol content appeared to be between 14.5 and 14.6% in all the sections. For the free sugar contents, the glucose and fructose contents were relatively high in every section. For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it was shown to increase when more narirutin was added. and the 2%-narirutin-added section showed the highest polyphenol content(46.44 mg%).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were that the color, flavor and bitterness increased while the sweet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reduced by the additional narirutin. Functionally improved citrus wine can be produced by using narirutin, but more researches regarding quality improvement should be carried out to overcome the bitterness.
        104.
        2011.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감귤 가수분해물에 각각의 당(설탕, 꿀, 과당, 플락토올리고당)으로 보당하여 알코올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알코올 함량은 모든 보당구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주요 유리당으로는 fructose, glucose, sucrose 및 maltose가 검출되었다. 특히 설탕 보당구에서 fructose 및 glucose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감귤와인의 주요 유기산은 lactic, citric 및 malic acid로 총 3종이 검
        107.
        2011.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imonoid는 항바이러스 및 항균제로써의 치료적인 목적으로 널리 연구되고 있는 성분으로 감귤에서 풍부하게 존재한다. 그러나 성분 자체의 쓴맛으로 인하여 기호성이 저하되므로 이를 해결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제품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쓴맛을 제거할 수 있는 훌륭한 효소로써 LUGT가 주목되고 있으며, 이에 효소의 특성화 연구를 위하여 분리 및 정제를 시도하였다. Plasmid vector인 pET30a(+)을 사용하여 대장균에서
        109.
        2009.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감귤의 유망품종인 세토카의 저장 중 품질변화 양상을 구명하고자 관행인 무포장과 LDPE로 포장하여 상온()과 저온()에서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요소를 분석하였다. 감모율은 상온+무포장 처리구에서 현저하게높았으나 LDPE포장 처리구는 중량감소 억제 효과가 뛰어나 상온저장도 외부적인 품질 유지에 효과적이었다. 부패율은 온도의 편차가 큰 상온에서, 그리고 습도가 항상 높게 유지된 LDPE포장 처리구에서 높았다. 호흡량은 다른 감귤류의 품종보다 다소
        112.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consumers" consumption behavior of environment-friendly mandarin and attributes of mandarin in Korea. It is also to measure consumers" marginal willingness to pay by the attributes of mandarin and to estimate the market-share by products of mandarin from the data surveyed by a survey research company. The questionnaires for consumers were given randomly by interview to 500 married women lived in Seoul and to 200 wholesaler in Seoul, Busan, Daegu, Kwangju. The conjoint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consumers" preference and suggest several implications for the rational production and marketing policy of mandarin.
        113.
        2008.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라봉감귤의 Si+CaO 혼합필름포장과 LDPE 필름포장에 따른 저장 중에 품질변화를 검토하였다. 과육율은 포장처리와 무처리에서 로 저장기간에 따른 한라봉과 M16A의 과육율의 변화가 없었으며, 무처리에서 저장 후기 약간의 증가를 보였다. 경도는 M16A가 한라봉보다 100 g-force 정도 높은 값을 보였으며, 포장재처리에 따른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가용성고형물은 한라봉과 M16A 모두 Brix였으며, 무포장처리에서 저장 후기에 약간의
        114.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ichotomous-choic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is applied to estimate the landscape value of Jeju mandarin(orchard). A distribution-free approach, Turnbull empirical distribution model, is employed to solve negative willingness to pay and truncation problems. The data used are collected from the interviews with tourist about willingness-to-pay at the various donation amount levels of Jeju mandarin(orchard)'s landscape value. The evaluation result is shown that the average amount of willingness to pay for the Jeju mandarin's landscape value is 12,926 won per person with standard deviation of 1,874.7 won/person. When the number of Jeju visitors is considered, the economic value of Jeju mandarin's landscape rises every year(2005:64.89 billion won, 2011: 84.43 billion won). The average economic value of Jeju mandarin's landscape are estimated 59.65 billion won during 2000-2005 and 76.88 billion won during 2006-2011, respectively.
        115.
        2008.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감귤착즙박의 자원화를 위하여 감귤 착즙박과 완숙기에 수확한 궁천조생의 유용성분 등을 분석하였다. 채취시기에 따라 감귤착즙박의 성분 함량은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평균적으로 수분 82.23%, 무질소화합물 16.94%, 조단백질 1.27%, 조지방 2.5%, 조회분 0.58%였다. 일반성분은 온주 밀감의 과육보다 껍질 부위의 특성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감귤 착즙박의 pH는 3.57, 산 함량은 0.43%, 펙틴 1.49% 그리고 비타민 C는 온주밀
        116.
        200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라봉의 생육과정과 수확 후에 온도처리에 따른 품질변화를 검토하였다. 한라봉은 12월 초순까지 지속적으로 당도()가 증가하였다. 한라봉 변이품종인 M16A에서는 10월 이후에 산 함량이 감소가 두드러져 1% 수준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한라봉에서는 산 함량의 감소가 지속적으로 일어나, 1월 중순 이후에도 산 함량이 높아 후숙처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과일의 경도는 11월까지 서서히 감소하여 1,000 g-force 수준을 유지하였다. 가용성고
        117.
        200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ctivated carbon was prepared from waste citrus peels using NaOH. With the increase of NaOH ratio, iodine adsorptivity and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activated carbon prepared were increased, but activation yield was decreased. The optimal condition of activation was at 300% NaOH and 700℃ for 1.5 hr. For the activated carbon produced under optimal condition, iodine adsorptivity was 1,006 mg/g, specific surface area was 1,356 m2/g, and average pore diameter was 20~25Å. From the adsorption experiment for benzene vapor in fixed bed reactor, it was found that the adsorption capacity of activated carbon prepared from waste citrus peel was higher than that of activated carbon purchased from Calgon company. This result implied that the activated carbon prepared from waste citrus peel could be used for gas phase adsorption.
        118.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ctivated carbon was prepared from waste citrus peels by chemical activation with ZnCl2. The optimal condition of carbonization was at 300℃ for 1.5 hr. Activation experiments with carbonized samples prepared at optimal carboniztion condition were carried out under various conditions such as activation temperature of 400 to 900℃, activation time of 0.5 to 2.0 hr, and ZnCl2 ratio of 100 to 300%.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activated carbons prepared, iodine adsorptivities and specific surface areas were measured and their morphologies were observed fro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s ZnCl2 ratio increased, activation yield decreased, while iodine adsorptivity and specific surface area increased. The optimal condition of activation was at 300% ZnCl2 ratio and 300℃ for 1.5 hr, and then iodine adsorptivity and specific surface area was measured as about 862 mg/g and 756 m2/g, respectively. SEM photography showed that the surface morphology was changed and many active pore were produced by chemical activation.
        119.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organic citrus on the quality of rice straw silage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mprove the quality of rice straw silage using agricultural by-products and therefore to secure the good quality forage sources. Firstly, looking at chemical composition of citrus added rice straw silage, crude protein content appeared improved with the addition of citrus to rice straw silage compared to control while NDF and ADF contents decreased. pH of the silages were different between control(4.39) and treatments(3.47~3.53). Lactic acid content was higher in citrus added silage(4.87mM) than in control (3.65mM). External quality of the silages was also better in citrus added silage when citrus added at the equal ratio with rice straw(1:1). This trend was the same as with pH and lactic acid content. Propion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itrus addd silage but butyrate was significantly lower. DM and NDF disappearance rates in the rumen were highest when citrus added at the equal ratio with rice straw(1:1). In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citrus to rice straw silage with equal ratio contributed the best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silage and it may have been due mainly to abundant content of non-structural carbohydrate in citrus.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