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6

        10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tribution of seaweed aquaculture to nutrients and carbon cycles in coastal environments, we measured the nutrients & carbon uptake rates of Porphyra yezoensis Ueda sampled at Nakdong-River Estuary using a chamber incubation method from November 2011 to April 2012. It was observed that the production rate of dissolved oxygen by P. yezoensis (n=30~40) was about 68.8±46.0 μmol gFW -1 h-1 and uptake rate of nitrate, phosphate and dissolved inorganic carbon (DIC) was found to be 2.5±1.8 μmol gFW -1 h-1, 0.18±0.11 μmol gFW -1 h-1 and 87.1±57.3 μmol gFW -1 h-1, respectively. There was a positive linear correlation existed between the production rate of dissolved oxygen and the consumption rates of nitrate, phosphate and DIC, respectively, suggesting that these factors may serve as good indicators of P. yezoensis photosynthesis. Further, there was a negative logarithmic relationship between fresh weight of thallus and uptake rates of nutrients and CO2, which suggested that younger specimens (0.1~0.3 g) were much more efficient at nutrients and CO2 uptake than old specimens. It means that the early culturing stage than harvesting season might have more possibilities to be developed chlorosis by high rates of nitrogen uptake. However, N & C demanding rates of Busan and Jeollabuk-do, calculated by monthly mass production and culturing area,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Jeollanam-do, the highest harvesting area in Korea. Chlorosis events at Jeollabuk-do recently might have developed by the reason that heavily culture in narrow area and insufficient nutrients in maximum yield season (Dec.~Jan.) due mostly to shortage of land discharge and weak water circulation. The annual DIC uptake by P. yezoensis in Nakdong-River Estuary was estimated about 5.6×103 CO2 ton, which was about 0.03% of annual carbon dioxide emission of Busan City. Taken together, we suggest more research would be helpful to gain deep insight to evaluate the roles of seaweed aquacul-ture to the coastal nutrients cycles and global carbon cycle.
        4,000원
        102.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옥수수 수확 시 세절여부에 따라 제조된 옥수수 사일리지를 이용하여 TMR 제조시 배합시간에 따른 물리적 특성(Particle size 및 laceration)과 반추위 내 in situ 건물분해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TMR 시험사료는 세절(20 mm)한 것(T1구)과 세절하지 않은 옥수수 사일리지(T2구)를 이용하여 총 60분간 배합하면서 시료를 채취한 후 Penn State Particle Separator(PSPS)로 분석하였다. 모든 배합시간에서 T2구보다 T1구에서 상층(>19 mm)과 하층(<8 mm)이 유의적으로 낮았고(p<0.05), 중층(8-19 mm)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굵은 비율(≥1 mm)의 감소율도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peNDF>8.0 및 반추위 내 in situ 건물분해율도 T1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본 연구 결과에서 옥수수 사일리지 위주의 TMR 제조 시 세절하지 않은 것보다 세절한 옥수수 사일리지가 적정 peNDF 범위가 유지되어 조사료로서 사료적 가치를 증진하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200원
        103.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팽이버섯 수확 후 배지에 3% 개미산 처리와 당밀 첨가수준별(0%, 2%, 4%, 6%)로 각각 25일 및 45일 동안 발효시켰을 때, 화학적 조성과 반추위내 in situ 분해율을 조사함으로써 반추가축용사료로서 적절한 처리방법을 규명해보고자 수행되었다. 반추위 cannula가 장착된 한우암소 3두(평균체중 450kg)를 이용하여 반추위내 발효시간별(0, 3, 6, 9, 12, 24, 48 시간)로 각각 3반복으로 in situ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공시축은 시판 배합사료와 볏짚을 4:1의 비율로 섭취하였다. 개미산 처리 후 당밀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팽이버섯 수확 후 배지의 pH는 4이하이었으며, 일반성분함량으로 볼 때, 중국산 대두피정도의 수준이었다. 시험사료의 건물 중, 반추위내에서 분해가 빠르게 일어나는 ‘a’부분은 당밀첨가수준이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반추위내에서 서서히 분해될 수 있는 ‘b’부분은 25일 동안 발효 시에는 당밀4% 첨가구에서 높았으며, 45일동안 발효 시에는 당밀 6%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건물의 유효분해도(r=0.06)는 평균 45%로 처리간 비슷한 수준이었다. 시험사료의 NDF 중 ‘b’부분은 25일 동안 발효 시에는 당밀 6%첨가구가 타 처리구에 비해 낮았으나 45일 동안 발효 시에는 당밀 6%첨가구에서 높았다. 당밀 6%첨가구에서 시간당 NDF 분해속도가 가장 느렸으며, NDF의 반추위내 유효분해도는 평균 39%(r=0.06)로 처리간 비슷한 수준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본 시험에 사용된 팽이버섯 수확후 배지는 반추가축용 사료로서 보관성 향상을 위하여 탈병 후 3% 개미산(HCOOH)만 처리하여 혐기발효시켜도 무방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04.
        2014.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원전 해체 시 원자력설비는 안전하게 해체되어야 한다. 고리 1호기나 월성 1호기와 같은 노후화된 원전의 경우 곧 원전 해 체를 계획하고 있는 대상 원전이지만, 이 원전들의 가동 중단 후 해체 시 선원항 평가 기준, 제염 및 해체 기술 등의 독자적 인 국내 기술 확보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원전 선원항 평가 기술 중 하나로 In-Situ 기법을 이용하여 대형 원 전 기기를 직접 측정하여 측정대상체에 대한 선원항 평가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원자로 헤드를 별도의 해체 없이 이동형 감마핵종분석기를 이용하여 직접 측정법으로 분석하고 간접 측정을 병행하여 측정 결과를 보완하였다. 그리고, 표면오염시 료는 방사화학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를 확장하여 원자로의 핵종 재고량을 계산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각 핵 종별 방사능량 변화에 따라 해체 시점을 결정할 수 있으며, 원전 해체 시 작업자의 피폭 저감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4,000원
        105.
        2014.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한국원자력연구원 부지 내 KURT 연구시설에 심지층 처분실증시험을 수행할 목적으로 사전 해외현황조사를 실시하였다. 고준위폐기물 심지층 처분을 목적으로 지하연구시설을 구축한 나라들을 대상으로 현재 수행되었거나, 수행이 진행 중인 공학적방벽 성능평가 시험들을 조사하였다. 주요 실증시험으로는, 스웨덴/프랑스 TBT, 스웨덴 LOT, 스위스 HEE, 벨기에 PRACLAY, 스페인 FEBEX, 일본 HORONOBE, 및 캐나다 BCE 등이었다. 각 실증시험에 대하여 시험의 목적, 시험 체의 구성, 시험조건, 세부 구성도, 측정 항목, 측정기기, 및 도출된 결과 등을 구체적으로 조사하였으며, 시험결과보다는 시 험목적 및 시험물의 구축방법 파악에 더 집중하였다. 왜냐하면, 각국의 공학적방벽 성능시험방법의 검토를 통해 향후 KURT 에서 추진하게 될 공학적방벽 실증시설의 설계에 도움을 얻고, 다양한 성능시험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였 다. 향후 KURT 확장을 통해 공학적방벽 성능시험 터널을 확보하고, 중규모의 성능 시험시연을 추진하게 될 예정이다. 본 기 술검토를 통해 이 때 추진할 시험내역과 시험체의 구성 및 크기 등의 상세 설계에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을 얻고자 하였다.
        4,500원
        107.
        201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ea cucumber, Apostichopus japonicus, is becoming an important aquaculture species in China, Japan and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biological performance of a tubular type of subsurface cage for sea cucumber grow-out by in-situ tests. The cage structure was constructed of PP (polypropylene) frames and PP tubes (ø130 mm×24 pieces). A set of tests were conducted at a depth of 15 m near Seosaeng, Ulsan, Korea for 295 days (23 July, 2012 to 13 May, 2013). A total of 155 sea cucumbers were used and fed a mixed diet containing mud, mineral, wheat, fish meal, etc (3% of their body weight). At the end of the experiments, sea cucumber showed a higher survival rate in feed shelter (77.14%) rather than no feed shelter (64.71%). The specific growth rate (SGR) of sea cucumbers in feed condition (0.04% day-1) was higher than that of no feed culture animals (-0.49% day-1) during total experimental periods. The result was able to find a no significance difference in survival rate but a significance difference in SGR under feed and no feed treatments.
        4,300원
        108.
        201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glucomannan content of Aloe vera gel was measured by a novel method using a bentonite suspension that floc-culates upon mixing with gels prepared by hand filleting of aloe leaf. An optimum flocculation condition was deter-mined to be Aloe vera gel diluted in the range of 2 to 5-fold and then a bentonite suspension 1% (w/v) mixed withthe gel sample in the ratio of 8:2 (v/v) to provide a mixture volume of 10mL with the length to diameter ratio of5. Under the conditions of these experiments, a rapid settling (<3 min) of more than 90% of the bentonite wasachieved only when the aloe gel sample was properly diluted. The glucomannan concentrations in various dilutedsamples with the highest settling rates were identified in the range of 195.7±21.4mg/L; thus, the results indicate thatthe glucomannan content may be determined from the dilution rate of the aloe gel sample that exhibits the highestsettling rate. This study provides a simple, rapid, and cost-effective assay for the estimation of the glucomannanlevel in raw Aloe vera gel.
        4,000원
        109.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high temperature dilatometer attached to a graphite furnace is built and used to study the sintering behaviorof B4C. Pristine and carbon doped B4C compacts are sintered at various soaking temperatures and their shrinkage pro-files are detected simultaneously using the dilatometer. Carbon additions enhance the sinterability of B4C with sinteringto more than 97% of the theoretical density, while pristine B4C compacts could not be sintered above 91% due to par-ticle coarsening. The shrinkage profiles of B4C reveal that the effect of carbon on the sinterability of B4C can be seenmostly below 1950°C. The high temperature dilatometer delivers very useful information which is impossible to obtainwith conventional furnaces.
        4,000원
        110.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약추출 부산물의 영양가치 및 사료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in vitro 소화율 및 in situ 반추위 분해 시험을 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10가지 한약추출 부산물은 인삼(Ginseng radix alba), 백복령(Hoelen), 감초(Glycyrrhizae radix),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 천궁(Cnidii rhizoma), 작약(Paeoniaeradix), 황기(Astragali radix), 생강(Zingiberis rhizoma crudus), 대추(Ziziphi fructus), 진피(Aurantii nobilis pericarpium)로 한약재 중 빈번하게 사용하는 약재이다. 반추위 누관이 장착된 체중이 평균 620kg인 홀스타인 2두를 이용하여 in vitro 소화율 및 in situ 건물 소실률을 평가하였다. 건물소화율은 한약추출 부산물 3%, 5% 첨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펩신 소화율의 평균은 68.17%로 옥수수, 대두박보다 낮았다. 반추위 건물 소실률은 인삼(Ginseng radix alba),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 및 대추(Ziziphi fructus)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백복령(Hoelen), 감초(Glycyrrhizae radix) 및 황기(Astragali radix)는 티모시 건초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한약추출 부산물의 12시간과 24시간대 건물 소실률 평균은 38.10, 44.43%이며, 티모시 건초의 평균 건물 소실률인 36.60, 43,25%보다 높았다. 이는 시험에서 사용된 한약추출 부산물은 한약재를 열수 추출 후 사용된 재료로써 한약추출 부산물의 물리적 처리에 의한 영향으로 건물 소실률이 티모시 보다 높은 결과를 보인 것으로 생각된다. 한약추출 부산물의 유효분해도는 인삼(Ginseng radix alba), 천궁(Cnidiirhizoma),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 대추(Ziziphi fructus) 및 진피(Aurantii nobilispericarpium)가 높은 추정치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한약추출 부산물은 반추동물용 조사료 대체자원으로 이용 가능 할 것으로 생각된다.
        4,200원
        111.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반추가축에게 주로 이용되는 조 사료원들의 영양소 함량 및 반추위 in situ 소실율을 평가 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착유우 30두 이상의 50여개 농가 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선정한 12종류의 조사 료를 다양한 수입원을 고려하여 확보한 다음, 주요 영양소 성분과 미네랄을 분석하였다. 또한 그 중 5개의 조사료원 (티모시, 알팔파펠렛, 볏짚, 클라인글라스 및 톨페스큐)을 선정하여 반추위 cannula가 장착된 거세 한우 2두(평균체 중 526 ± 14 kg)를 이용하여 반추위 in-situ 소실율을 평가하 였다. 조사한 조사료원들의 영양소 함량은 한국표준사료성 분분석표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최종 반추위 in-situ 건물 소실율은 클라인글라스가 가장 높 게 나타났으며 티모시, 알팔파 펠렛, 톨 페스큐, 볏짚 순으 로 낮아졌다. 최종 조단백질 소실율은 알팔파 펠렛이 가장 높았으며 클라인 글라스, 티모시, 톨페스큐, 볏짚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4,000원
        112.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poly(amic acid) was prepared via a polycondensation reaction of 3,3'-dihydroxybenzidine and pyromellitic dianhydride in an N-methyl-2-pyrrolidone solution; reduced graphene oxide/polybenzoxazole (r-GO/PBO) composite films, which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were successfully fabricated. GO was prepared from graphite using Brodie's method. The GO was used as nanofillers for the preparation of r-GO/PBO composites through an in situ polymerization. The addition of 50 wt% GO led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composite films by more than sixteen orders of magnitude compared with that of pure PBO films as a result of the electrical percolation networks in the r-GO during the thermal treatment at various temperatures within the films.
        3,000원
        11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추청벼를 이용하여 총체 벼 사일리지를 조제 하였을 때 총체 벼 사일리지의 사료가치 및 부위별 소화율 을 조사하여 총체 벼의 이용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수행되 었다. 총체 벼 사일리지의 무기물 함량은 망간이 가장 높 았으며 탄소, 철, 아연, 구리 등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마그네슘 함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추청벼 총체 사일리 지의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leucine, asparagine, alanine, valine, arginine 순으로 나타났 다. 그리고 methionine 함량이 가장 낮았다. 추청벼 총체 사일리지 부위(총체 벼, 낟알을 제거한 줄기, 왕겨를 포함 한 낟알, 쌀)에 따른 시간별 반추위내 건물 소화율은 쌀이 가장 높았으며 왕겨를 포함한 낟알, 총체 벼, 낟알을 제거 한 줄기 등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청 벼 총체 사일리지 소화율은 부위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 였으며 무기물 중 망간 그리고 아미노산 중 glutamic acid 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4,000원
        11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work, we report in-situ observations of changes in catalyst morphology, and of growth termination of individual carbon nanotubes (CNTs), by complete loss of the catalyst particle attached to it. The observations strongly support the growth-termination mechanism of CNT forests or carpets by dynamic morphological evolution of catalyst particles induced by Ostwald ripening, and sub-surface diffusion. We show that in the tip-growth mode, as well as in the base-growth mode, the growth termination of CNT by dissolution of catalyst particles is plausible. This may allow the growth termination mechanism by evolution of catalyst morphology to be applicable to not only CNT forest growth, but also to other growth methods (for example, floating-catalyst chemical vapor deposition), which do not use any supporting layer or substrate beneath a catalyst layer.
        4,000원
        115.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약추출 부산물을 반추가축용 사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섬유질배합사료 (TMR)에 첨가하였을 때, 사료영양소의 In situ 반추위내 분해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처리구는 대조구로서 한우 비육용 TMR과 TMR에 한약추출 부산물을 5% 첨가한 처리구(Herbal-TMR)로 나누었다. 공시동물은 반추위 캐뉼라가 장착된 Holstein 젖소(체중 650 kg)를 이용하였으며, in situ시험은 5 g의 공시사료를 넣은 nylon bag을 발효시간(0, 3, 6, 9, 12, 24, 48 및 72시간)에 따라 3반복으로 반추위 내에서 발효시켰다. 한약추출 부산물의 수분함량은 67%, 조단백질은 9.19%, NDF는 55.4%, ADF는 28.47% 수준이었다. Aflatoxtin과 ochratoxin은 허용범위 이내에 있었고, tannin이 약 0.33% 함유되어 있었다. 건물 소실율은 반추위내 발효 9시간대에서 한약추출 부산물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높았고, 발효 48시간 이후에는 거의 소실되지 않았으며, 건물의 반추위내 유효분해도는 한약추출 부산물 첨가구(Herbal-TMR)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 공시사료의 NDF는 한약추출 부산물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서서히 분해되는 부분(b)의 시간당 분해속도(c)가 빨라졌으며, ADF는 한약추출 부산물 첨가구에서‘b’ 부분이 크게 증가하였지만 시간당 분해속도는 대조구에 비해 크게(1/10) 떨어졌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본 시험에 사용된 한약추출 부산물은 영양적으로 사료적 가치가 있고 반추가축용 TMR의 원료로서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16.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속적인 양식활동과 어장환경 보호를 위해서는 연안해역과 양식어종마다 각기 다른 연안생태계의 물질순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양식장아래 퇴적물-수층 경계면의 침강 용출 플럭스에 관한 정확한 산정이 중요하다. 이에 관한 연구방법 중 벤틱 챔버를 이용한 현장배양법과 코아 채니를 이용한 실내배양실험법으로 퇴적물 산소요구량과 용존무기질소 용출 플럭스를 비교하여 보았다. 통영 어류 가두리양식장, 여수 어류 가두리양식장, 완도 전복양식장에 대하여, 퇴적물 산소요구량을 측정하여본 결과, 현장배양법은 116, 34, 31 mmol O2 m-2 d-1, 실내배양법은 52, 17, 15 mmol O2 m-2 d-1이었고, 용존무기질소 용출 플럭스의 경우, 현장배양법은 7.18, 7.98, 1.78 mmol m-2 d-1, 실내배양법은 3.33, 3.74, 1.96 mmol m-2 d-1로, 현장배양법이 실내배양법보다 약 2배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각 양식장에 따른 물질 플럭스를 살펴봄으로서, 양식장아래 퇴적물-수층 경계면에 대한 두 가지 물질수지 계산 방법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4,000원
        117.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fabrication method to improve the processability of thermoplastic carbon nanotube (CNT) mat composites was investigated by using in-situ polymerizable and low viscous cyclic butylene terephthalate oligomers.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CNT mat composites strongly depended on the compression pressure, and the trend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two cases, low and high compression pressure, respectively. High CNT mat content in the CNT mat composites and the surface of the CNT mat composites with fully contacted CNTs was achieved under high compression pressure, and direct contact between four probes and the surface of the CNT mat composites with fully contacted CNTs gave resistance of 2.1Ω. In this study the maximum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CNT mat composites, obtained under a maximum applied compression pressure of 27 MPa, was 11 904 S m-1, where the weight fraction of the CNT mat was 36.5%.
        4,000원
        118.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reduced graphene oxide/polyimide (r-GO/PI) composite films, which showed significant enhancement in their electrical conductivity, were successfully fabricated. GO was prepared from graphite using a modified Hummers method. The GO was used as a nanofiller material for the preparation of r-GO/PI composites by in-situ polymerization. An addition of 20 wt% of GO led to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volume resistivity of composite films by less than nine orders of magnitude compared to that of pure PI films due to the electrical percolation networks of reduced GO created during imidization within the films. A tensile test indicated that the Young's modulus of the r-GO/PI composite film containing 20 wt% GO increased drastically from 2.3 GPa to 4.4 GPa, which was an improvement of approximately 84% compared to that of pure PI film. In addition, the corresponding tensile strength was found to have decreased only by 12%, from 113 MPa to 99 MPa.
        4,000원
        119.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반적으로 많이 양식되는 방사무늬김(Porphyra yezoensis Ueda)에 대하여 방사무늬김 엽체의 형태적 특성, 탄소 및 질소 성분의 농도, 안정동위원소 비값, 광합성효율을 방사무늬김 양식이 이루어 지고 있는 남서해역에서 조사를 하였다. 방사무늬김의 형태적 특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평균 엽장은 11.6~16.3 (13.8) cm, 평균 엽폭은 4.6~6.3 (5.4) cm이었고, 단위면적당 방사무늬김 엽체의 평균 엽중량은 1.1~2.6 (1.86) g DW m-2이었다. 단위면적당 Chl a 농도는 2.18~17.77 (평균 9.65) mg DW Chl a m-2이었다. 방사무늬김의 탄소 농도는 201~317 (240) mg DW g-1이었고, 질소 농도는 39.8~50.0 (43.5)mg DW g-1이었으며, C/N비는 5.0~6.7 (5.5)이었다. 방사무늬김의 방사성 안정동위원소비 중에서 탄소 안정동위원소 비는 δ13C=-25.6‰ 에서 δ13C=-24.0‰ (평균-24.7‰ )의 값을 보였고,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는 δ15N=1.3‰ 에서 δ15N=4.1‰ (평균 2.1‰ )의 값을 보였다. PAM에 의한 해조류의 광합성 특성은 광합성 활동의 지시자로서 사용될 수 있다. 우리는 Diving-PAM을 이용하여 각 정점 해조류인 방사무늬김의 광합성율을 분석하였다. 최대양자수율은 0.46~0.55 (평균 0.52)로서 최대양자수율의 변동은 정점간 큰 차이는 없었다. 최대상대전자전달률은 4.71~5.84 (평균 5.33) μmol electrons m-2 s-1로서 최대양자수율과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기울기 (α)는 0.027~0.045 (평균 0.036)을 보였고, 전자전달을 위한 포화광은 지역에 따라서 일부 차이를 보였으나 139~180(156) μmol photons m-2 s-1이었다. 남서해역 방사무늬김엽체의 탄소 및 질소 농도와 광합성 효율은 지역에 따른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광합성 특성은 낮은 최대양자수율과 최대 상대전자전달률로 인한 낮은 광합성 효율이 나타났다.
        4,000원
        120.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Nemopilema nomurai is a large jellyfish attaining a weight of 200 kg and bell diameter of 2 m when fully grown. To prevent damage to this species, this study determined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N. nomurai using frequencies 38 and 120 kHz. The CPUE of N. nomurai and the averaged SV of 38 and 120 kHz had a lower (+) correlation coefficient and relationship at 120 kHz (R=0.51) than at 38 kHz (R=0.15) was significant. In addition, the averaged SV at 120 kHz was higher than at 38 kHz. The δMVBS120-38 in section catches ≥97.8% wet mass of N. nomurai was -2.2 to 5.6 dB. The δTS120-38 in situ TS was extracted in sections catches of only N. nomurai by FMT.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d in situ δTS120-38 were at 0.6 and 0.1 dB. Furthermore, it results showed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bell diameter and TS of N. nomurai. The dominance of smaller N. nomurai (11.0~20.0 cm bell diameter in the air) corresponded to a similar proportion of low TS values (-69.0~-65.0 dB). A small number of larger N. nomurai (25.0~38.0 cm bell diameter in the air) were collected, in which TS values were the highest (-62.0~-58.0 dB).
        4,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