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778

        141.
        2023.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요가와 자매 학문으로서 삶의과학, 예방의학, 통합의학, 체질의학이라고 할 수 있는 아유르베다를 기반으로, 백세 시대의 건강을 목표로 미각을 중시하는 식생활교육 현장에서의 접 목법을 찾고자 했다. 연구방법으로는 아유르베다의 몸 이해를 위해 첫째, 독특한 개념인 3-도샤(바따, 피타, 카파)와 기능, 구조, 질료를 포함하는 개념인 7-다뚜(dhātu), 질료의 개념인 3-말라를 살펴보았 다. 둘째, 아유르베다의 6가지 맛(단맛, 신맛, 쓴맛, 짠맛, 매운맛, 떫은맛)의 의미와 현대 음식의 맛에 대해 문헌고찰. 셋째, 오감 중에 음식의 맛과 관련이 깊은 미각력을 중심으로 문헌고찰하였다. 또한, 미각교육 시 적용이 쉬운 간단 미각테스트 활용법과 함께 일상에서 현대인의 미각력을 높이는 특이 한 음식조합을 제시하였다. 결론에서는 아유르베다의 맛과 현대 음식의 맛 의미를 정리하면서 백세 시대를 사는 현대인들에게 아유르베다적 식생활법을 권장하고, 내 몸에 맞는 맛을 찾아가며 보다 건 강한 삶을 영위할 것을 제언했다.
        5,100원
        142.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교직과정을 이수하는 교육대학원생의 심리적, 재정적 어려움으로부터 파생된 불안과 이들이 가진 교직에 대한 희망 사이의 갈등상황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구과학교육 전공 교육대학원생 3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해 내러티브 탐구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의 심리적 불안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전공 지식의 부족, 멘토의 부족, 늦은 출발, 재정적 문제와 차별, 정보의 부족 등이다. 둘째, 연구 참여자는 자신의 삶은 가치가 있다는 인식, 학생들을 선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는 인식, 자신은 점점 발전하고 있다는 인식에서 희망을 얻는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이 가진 희망 요소에 의해 현 상황을 감내하고 있지만 어려움으로부터 파생된 불안과 교직 으로 진출하고자 하는 희망 사이에서 심리적 갈등상황에 놓여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하였다. 첫째, 교직과정을 이수하는 교육대학원생의 수요를 바탕으로 정보의 수집 및 분석하여 그들의 요구를 충족시킬수 있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불안을 극복하지 못하는 교육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심리상담 프로그램이 필요하 다. 이 연구는 향후 현시점의 교육대학원이 현직 교사의 재양성에만 초점을 두지 않고 구성원 모두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더 나은 교육대학원의 환경이 마련될 수 있길 기대한다.
        4,600원
        143.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의 다문화교육은 이주 배경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다문화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 해 비판적 다문화주의에 기반한 중등학교 학생들의 다문화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교육 모델은 김포지역 중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교육사례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다문화 인식개선’의 의미는 다문화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다문화에 대한 고정 관념을 개선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제시한 교육 모델은 모든 학 생을 대상으로 하며, 비판적 다문화주의에 기초하여 다문화 인식개선 교 육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가치는 권력관계의 변화를 추구하고 이주민을 삶의 주체로 인식하며 주체적으로 참여하여 변화를 추구하는 것이다. 가 치를 이루기 위해 교실 권력이 교사에게 집중되지 않도록 교실을 배치하 였다. 수업은 동기유발-주제 접근-주제 심화-실천으로 구성하였다. 교육 주제를 이주민으로 한정하지 않고 젠더, 장애, 노동, 환경, 이주민, 난민 등으로 확대하여 차별이 발생하는 기제를 알아내고 그것을 금지 시키는 방법을 대화와 토론을 통해 찾아내고 학습자가 실천 방법까지 성찰할 수 있도록 하였다.
        6,700원
        144.
        202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생물환경조절학회지 31권 4호에 게재된 논문의 사사가 잘못 기재되어 있어 바로 잡습니다.
        145.
        2023.01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ursing ethics, which is an ethical norm of nursing practice, is basic to the professionalism of nurses, and ethical education is important in building the professional virtues. The study aimed to identify the needs of nursing ethics education targeting a group of nursing professionals in South Korea. This study adopted descriptive survey design via online survey. The questionnaire items consisted of the experience of ethical issues and the needs related to the subject of ethics education in nursing. 53 questionnaires were finally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showed that 40 of the study participants had more than 5 years of total clinical experience(69.8%). 48 of them previously participated in nursing ethics education(90.6%). The most frequently experienced ethical issues were ‘conflicts between colleagues’, ‘protecting of patient rights’ and ‘informed consent’. In relation to nursing ethics education, ‘ethical decision making and moral distress’, ‘shared decision making’ and ‘end-of-life care’ showed high needs for education. Overall, the higher the level of experience on ethical issues, the more educational needs for nursing ethics education(r=.360, p<.01). In addition, satisfaction with previous nursing ethics educ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eeds for the overall nursing ethics education topic(p.<01). In conclusion, the high level of experience on ethical issues shows the demands for continuity of ethical education and systematic improvement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of clinical nurses, and to meet the needs of nursing ethics education, a venue for discussion and education using case-based method should be provided.
        4,200원
        146.
        202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모국어와 한국어를 번역하는 능력은 한국어 전공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요구되는 핵심 역량이지만 지금까 지 다소 소홀하게 다루어진 경향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 대상 번역 수업의 내실을 기한다 는 목적에 따라 한국현대시 번역 활동의 한국어 교육적 의미를 확인하고 베트남 대학생의 번역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번역이란 원문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번역문을 ‘집필’하는 작업으로 진행된다. 하지만 이 연구는 논의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원문 텍스트의 이해가 번역 결과물에 주는 영향력을 확인하고 학습자가 정확하게 번역하게 도울 원문 이해 교육 내용을 도출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시사점은 베트남인 학습자 80명이 <사평역에서>(곽 재구, 1983) 번역한 결과를 분석 고찰한 결과인바, 향후 대학에서 외국인 학습자 대상의 한국어 번역 강의 를 개설할 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업 내용을 안내할 것으로 기대한다.
        6,900원
        147.
        202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학교교육이 직면한 새로운 위기를 존재 가치에 대한 위기로 간주하고, 위기의 극복을 위하여 그 문제의 근원을 학교학으로부터 도출하여 해체하였다. 그 대안으로서 배움의 철학을 중심으로 학교학 패러다임의 전이를 위한 방안도 제시하였다. 학교교육의 위기는 학교학의 변질로부터 시작되었다. 학교학 은 원래 학교교육의 전문성과 공정성, 그리고 과학성을 위하여 탄생한 교육학의 일부이자 타당한 패러다 임이었다. 그러나 학교를 인간교육의 전부로 만들고자 하는 정치적 욕망 때문에 학교학은 변질하였다. 학 교학은 위선적인 자본주의, 위증적인 능력주의, 위장된 민주주의를 활용하여 학교를 지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시험과 평균, 경쟁의 논리를 이용하여 학교의 지배구조를 형성하였다. 학교는 학교학의 정치 적 지배담론 형성을 위한 절대성과 합리성, 주체의 허구에 의해 존폐의 위기를 맞이한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지배담론을 사회철학적 사유체제를 적용하여 해체하고, 그 허구의 의도와 내용을 드러내었다. 더하 여 본 연구는 학교학의 패러다임 전이는 배움의 철학을 근원으로 하는 교육적 패러다임이 이루어져야 함 을 제언하였다. 배움에 근거한 학교학은 인간의 배움 본능 실현, 의미와 쓰임새 있는 지식의 전수, 뫔의 온전성을 실현하기 위한 교육이다. 배움에 근거한 학교학은 학생들의 배움에 관한 경외심을 바탕으로 단 한명의 학생도 포기하지 않는다는 결단을 내리고 행동하는 학문적 패러다임이 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 면 학교는 새로운 위기를 극복할 수 없음을 주장하였다.
        5,400원
        148.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스쿠버다이빙 레스큐 교육과정에서의 문제점을 분 석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는 스쿠버 레스큐 교육과정을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 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참여자들이 즐겁고, 안전하게 스쿠버다이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2022년 현재 스쿠버 레스큐 교육과정에 관여하고 있는 전문가 8명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연구 참여와 관련하여 연 구윤리동의서를 받은 후 실시하였다. 스쿠버 다이빙 레스큐 교육과정의 지도자, 프로그램, 시설 측면의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지도 자 측면에서는 지도자의 능력에 대한 검증제도가 필요하고, 지도자의 역량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했다. 프로그램 측면에서는 스쿠버 단 체별로 최신화된 프로그램 메뉴얼을 제작하고 평가 기준을 마련해야하며, 다양한 장비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고 했다. 시 설 측면에서는 시설 내 인공파도 장치 등을 구축해야 한다고 하였다.
        4,300원
        149.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생태형 해양스포츠의 체육교육 적용을 위한 지식구조를 구성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종목으로는 배구형 게임인 비치발리볼과 바다수영이 설정되었으며 연구수행을 위하여 지식구조 분석틀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문가협의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2022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시안에 기반한 지식구조를 마련하였다. 둘째, 생태형 해양스포츠의 체 육수업 적용 기반을 마련하였다.셋째, 비치발리볼의 지식․이해 영역, 과정․기능 영역, 가치․태도 영역의 학습 내용을 제안하였다. 넷째, 바다수영의 지식․이해 영역, 과정․기능 영역, 가치․태도 영역의 학습 내용을 제안 하였다. 이 연구는 향후 도입될 2022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실현된 모습을 미리 대비하였다는 것에 의미 가 있다.
        4,000원
        150.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need for dietary education and programs for young Koreans belonging to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 metropolitan area. A total of 500 young adults aged 19-34 participated in the study through an online survey. Participants responded to questions on general characteristics, dietary problems, and the need for dietary education and program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s follows: Undergraduate students, employed workers, and others. Among the subjects from single-person households, 20.2, 67, and 12.8% were undergraduate students, employed workers, and others, respectively. When asked for their estimation of an appropriate self-pay when participating in a cooking class, 39.8% of total subjects responded ‘5,000-10,000 won’. The most preferred program for young adults in single-person households was the ‘support food package’. For the preferred method of dietary education, undergraduate students showed a greater preference for classes ‘at campuses’. However, employed workers and others had a higher preference for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Undergraduate students tended to generally have a higher preference for dietary education and support programs compared to employed workers and others. This study provides data that will be useful for establishing healthy dietary policies and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in Korea.
        4,000원
        151.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 변화에 맞춰 미래 교육의 변화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교육의 패러다임 전환으로 메타버스에 대한 연구가 교 육계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인 게더타운을 활용 한 중국어-한국어 탄뎀 수업을 설계하고 적용시켜 대학의 중국어 교육에서의 메타버 스를 활용한 교육적 활용 방법과 효과를 증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메타버스를 활용하여 중국어 학습자의 흥미도와 몰입감을 높이고 참여를 이끌 수 있는 다양한 수업 방안을 제시하여, 대학의 외국어 교육에서의 메타버스 활용 수업에 대한 도입 가능성을 살펴보고 교육적 활용의 기초적인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5,800원
        152.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school safety education, it was difficult to apply how to link the safety education according to grades year, and student’s interest was reduced due to the repetition of existing safety education contents and the absence of new teaching methods and tools. In this study, as a new type of safety education, a performance forms fire safety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This program aims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and satisfaction in safety education, and to this end, it was connect with korean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nd combined various engineering teaching materials or tools and methods.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2,231 students, 25 schools in 10 regions of Gyeonggi-do and surveyed 476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program satisfaction and 3 factors of interest in fire safety education who could respond to the survey. As a result of applying the program, more than 90% of students responded more than 'satisfied' in all areas. and statistical test(independent t-test and non-parametric test) indicates over-all satisfaction and interest factors in the program are high regardless of gender and grade, so the effectiveness can be guessed indirectly and there is a universal applicability also. Moreover, examining the influence of student interest level in the satisfaction of the fire safety program, it was found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fire safety education, students should have more fun with the content and feel interest in the teacher's teaching method or explanation.
        4,000원
        153.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nursing simulation training needs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instructors.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inductive method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n online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six instructors with experience operating a nursing simulation. Data were collected in July 2021. Results: First, “nursing simulation practice operations” required simulation design elements, practical operations, and curriculum integration. Seco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howed a lack of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and there was a need for standard education reflecting the domestic nursing education environment. Third, for “instructor competencies”, the facilitator role, step-by-step education for strengthening instructor competencies, and cooperation with clinical experts were derived. Fourth, it was found that “learner competencies” should meet the nursing professionals’ needs;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and unique human competency should also be strengthened.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seeks to understand the instructor’s needs for nursing simulation training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Moreover, it identifies considerations for instructor and learner competencies in the nursing simulation operator training programs.
        5,100원
        154.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how the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safety education for adolescents affects fire safety consciousness and whether personality factors control the relationship.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at a high school in region C, and data of 1,049 people who agreed to the survey and responded faithfully were used for analysis. Hayes’ macro was use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dolescents’ awareness of the need for safety education increased, and their relationship was significantly regulated by extroversion, openness, and conscientiousness among the five personality factors. A simple regression line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specific direction, a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need for safety education in both the group with high extroversion, openness, and conscientiousness, the higher the awareness of safety educ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anges in educational methods and contents are needed to raise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education in fire safety education and to improve educational motivation, and that it may be helpful to actively utilize students’ personality strengths in education.
        4,000원
        155.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faculty development program for nursing simulation on perceived knowledge, confidence, and competence, and then evaluate its effects. Method: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eight-hour program covered simulation education theory, scenario design and development, simulation design and operation using patient simulators and standardized patients, debriefing, curriculum integration, simulation evaluation, and faculty development. Thirty-eight participants complet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in August 2021. The study used paired t-tests to analyze differences in perceived knowledge, confidence, and competence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Results: The participa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is program. The results indicated that knowledge, confidence, and competence for nursing simulation significantly improved. Conclusion: The faculty development program positively affected simulation instructors’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Therefore, this validated and standardized training program can be used for training simulation faculty members at universities and institutions. It can not only reduce the cost and effort required for faculty development at each university but also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spread of nursing simulation.
        5,100원
        156.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intradermal injection practice education. Practical augmented reality (AR) based educational interventions were conducted on clinical competence, self-efficacy,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Method: Participants were nursing students at “S” university. There were 37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6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for a total of 73 students. The measurement scales were clinical competence, self-efficacy,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questionnaires. The interven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ducted using AR with smart glasses; the intervention in the control group was conducted using a tablet PC.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χ2-test, and ANCOVA using the SPSS 25 program. Results: Clinical compet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90.99±0.23) than in the control group (70.43±0.23; F=3745.89, p<.001).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55.56±1.32) than in the control group (42.50±1.32; F=46.15, p<.001).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40.81±6.58) than in the control group (32.56±7.74; t=4.52, p<.00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to develop effective nursing competency teaching strategies and as basic data for improving learning and nursing education.
        4,300원
        157.
        202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보건복지부 주관의 교육통합관리시스템의 기능 개선 방안 모색을 목적 으로 한다. 이를 통해서 어린이집에 관련 된 기존 교육(신청,접수, 이수 확인) 의 수기 관리 방식에서 벗어 나 보육교직원 교육의 효율적 관리 및 사용자 편성 제고를 위한(one-stop) 가칭 “교육통합체계 플랫폼 (LMS)을 통해 교육관리체계의 일원화를 통해 활성화하여 어린이집 보육교직원 맞춤교육에 상생을 더하 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직원들의 다양한 교육은 여러 기관(17개)에서 분산되어 실시되고 있다. 타부처 및 공공기 관의 교육 이수 결과를 교육통합체계 플랫폼(LMS)과 연동하여 수시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둘째, 민간기관에서도 보육교직원의 의무;필요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이수 결과는 본인이 출력하여 보관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교육통합체계 플랫폼(LMS) 이수결과를 업 로드하여 사용자의 교육시간 이수결과 등 이력관리에 편리성을 제공한다. 셋째, 2022년도 보육사업안내 보육교직원 보수교육을 위한 시스템이 있으나 보육교직원의 자격관리 등에 한정되고 있으며 지존 시스템 교육통합관리시스템을 가칭 교육통합체계 플랫폼(LMS)으로 명칭변경 하여 교육시스템의 기능확대 개선 을 통해 활성화하는 방안으로 보육교직원등의 의무 및 필수 교육중 온라인(사이버)교육을 신청, 접수, 이 수결과 확인, 인정시간 이력관리 등을 한번에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 연구를 통해 최종적으로 교육통합체계 플랫폼을 구축하여 비효율적인 어린이집 교육관리에 소요되 는 시간 및 행정력 낭비의 불편을 줄이고, 보육환경에 대한 보육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를 해소하여 어린 이집 운영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5,500원
        158.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qualitative phenomenological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nursing students interpret their experiences with handover education using concept maps in simulation-based nursing educatio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8, 2021 to April 6, 2022, through in-depth one-to-one interviews with 11 nursing students. Interviews, which were conducted once or twice, lasted for 30 to 45 minutes per session. The main interview question was “How do you make meaning of your experiences with handover education using concept maps in simulation-based nursing educ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Results: Three categories of were identified: actively engaged with students, addressed the reality of handover education, and there are two sides to handover educa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require systematic education on the take-over method and process that can integrate and structure the continuity and thinking necessary for nursing work. Conclusion: Handover education using concept maps in simulation-based methods should be adapted according to the abilities of nursing students and their contextual needs. Future studies using large sample sizes and multiple settings should substantially evaluate the impact of handover education programs using concept maps on clinical outcomes.
        4,500원
        159.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s to improve nursing students’ competency through evidence-based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Simulations included blood transfusion care for cancer patients, pneumothorax post-op care, and blood pressure control for hypertension care. Moreover,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imulations on anxiety, self-confidence, and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 learning experience. Method: Participants completed a survey on student satisfaction, self-confidence, and anxiety. A prospective, one-group, pre- and post-test design of 135 fourth-grade nursing students was used. A simulation scenario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design. It consisted of pre-briefing, practice, serial tests, and debriefing. A simulation of three scenarios comprised blood transfusion care for cancer patients, pneumothorax post-op care, and blood pressure control for hypertension care. Twenty hours of evidence-based nursing simulation practicum consisting of three scenarios dealing with major adult diseases was conducted. Result: Studen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over time in self-confidence (t=4.67, p<.001), student satisfaction (t=3.94, p<.001), and anxiety (t=-4.63, p<.001) after the evidence-based nursing simulation. Conclusion: Simulation of evidence-based education may be a useful and effective learning strategy. Nursing educators can design evidence-based simulation programs to improve educational effectiveness.
        4,600원
        160.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의 산업안전보건교육은 일반근로자, 사업주, 근로감독관 등을 대상으로 하나, 체계적이지 못하고 산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청 소년들을 위한 산업안전보건육은 법적 근거가 명확하지 않고, 담당기관, 프로그램 등 체계적이지 못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한국고용 노동교육원이「한국고용노동교육원법」 제3조에 따라 전국 중·고등학생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노동인권교육을 실시한다고 발표하였으나, 주로 일반 적인 노동교육에 집중된 측면이 있어, 산업안전보건교육의 필요성이 제기 된다. 오늘날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사고 등이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건강하고 안전한 근무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산업안 전보건교육이 더욱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특히, 청소년들은 일을 처음으 로 하거나 시작하기 전, 사업장의 안전보건과 생산적 효율성을 위해 기본 지식, 기술 및 능력을 갖출 필요가 있다. 미국은 우리나라와 달리 산업안 전보건교육의 대상을 분리하여 대상자별로 법적 근거를 달리 규율하고, 담당기관, 교육내용, 교육수준 등을 차별화하여 교육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미국 산업안전보건교육의 법·정책적 제도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시사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첫째, 산업안전교육에 관한 공공부문 은 모범적 사용자 역할로서 근로자 등에게 교육을 제공하고 있으며, 교육 을 강화하고 있다. 둘째, 미국은 산업안전보건교육에 관한 법체계의 정합 성을 확립하고 있다. 산업안전보건교육 관련 「산업안전보건법」,「연방시행 규칙」,「훈련지침」을 마련함으로써 법체계의 정합성을 확립하고 있다는 것 을 알 수 있다. 셋째, 미국은 산업안전보건교육의 근거가 되는 법률과 대 상을 분리하여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넷째, 미국은 산업안전보건교육 관 련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본 논 문은 청소년을 위한 산업안전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청소년 기본법」 을 근거로 담당기관을 설립 또는 지정하여 교육수준별 전문성을 확보하여 야 하고, 업종별로 필요한 교육훈련과 기준을 상세하게 기술하고 이와 관 련된 과목들을 사업장 또는 사업장 외 훈련장에서 이수할 수 있도록 교육 편제를 변경하는 것도 고려해 볼 만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