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3

        141.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발아현미에 함유된 기능성 물질의 발아 전후 함량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일반미, 녹미, 적미, 흑미, 찹쌀현미 등 5종의 현미를 대상으로 발아 전 상태 및 발아현미 제조 후 상태에서의 tocopherol 및 tocotrienol류, squalene 및 phytosterol 류 등 기능성물질 함량 변화를 평가한 본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비타민 E 함량은 발아전보다 발아후의 현미에서 약 10% 수준의 함량 감소가 관찰되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2. Squalene 함량의 경우 발아찹쌀현미는 발아 과정 중 31%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다른 종류의 현미는 발아 전후 큰 변화가 없었다. 3. Phytosterol류 중 stigmasterol은 모든 종류의 발아현미에서 발아 전 대비 5-27%의 뚜렷한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campesterol, sitosterol 및 총 phytosterol 함량은 발아 전후 간 대차 없거나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4.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비록 현미 종류별 차이는 있었으나 대부분의 경우 발아 현미는 발아전과 비교할 때 stigmasterol은 뚜렷한 증가를 나타내며 본 실험 분석 대상이었던 tocopherol, tocotrienol, squalene, campesterol, sitosterol 등 기능성 물질은 발아 전후 대차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142.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생흑찰의 품질과 수량성을 높이는 방법을 찾기 위해 재배 지역과 이앙 시기를 달리하여 그에 따른 생육과 품질을 조사하여 최적의 이앙시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1. 출수기는 동일 이앙시기에서 청원이 제천에 비해 4~5 일 빨랐으며, 이앙시기가 첫 이앙 일을 기준으로 10일씩 늦어짐에 따라 제천은 각각 2, 5, 6일, 청원은 5, 6, 8일 각각 늦어졌다. 2. 출수기 간장은 제천 청원 모두 이앙시기가 늦어질수록 길어졌으며, 수장은 비슷하였으나 지역 간에는 제천보다 청원이 다소 길었다. 3. 수수는 제천보다 청원이 많았으며, 영화수는 5월 30일 이앙에서 두 지역 모두 많았다. 등숙 비율은 제천이 청원보다 높았고, 천립중은 청원지역이 무거웠다. 4. 수량은 제천이 이앙시기가 빠를수록 높았고, 청원은 늦어질수록 높은 경향이었다. 5. 현미수량으로 추정한 최적 이앙시기는 제천은 5월 11일 (491 kg/10a), 청주는 6월 16일(468 kg/10a)로 추정되었다. 6. 이앙시기별 현미의 색도는 제천의 경우 모든 이앙시기에서 검은색을 띠었으나, 청원의 경우 6월 10일 이앙 이후에서 검은색이 짙어졌다. 7. C3G 함량은 제천이 6월 10일 이앙 이전의 동일한 시기에서 청원보다 높았으며, 이앙 시기가 늦을수록 높았다.
        143.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 consumption of germinated brown rice is increasing due to its health-beneficial effects. To clarify germination-dependent changes in functional compounds, 5 different types of (ordinary, glutinous rice, green-kerneled, red-colored and black-colored) rices were selected and pre- and post-germination vit E (α-, β-, γ-tocopherols and α-, γ-, δ -tocotrienols), squalene, and phytosterols (campesterol, stigmasterol, sitosterol) contents were evaluated. In the case of vit E generally decreasing tendency were observed in most cases, except for δ-tocopherol which increased by 8 to 28% in all types of rices. Significant increase in squalene contents were observed only in glutinous rice (by 31%), while other types of rices exhibited no changes or slight reduction after germination. In all tested rice types, germin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stigmasterol by 5 to 27%, while no changes or slight reductions in campesterol and sitosterol were observed. In conclusion most of tested functional compounds exhibited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or slight changes except for stigmasterol which were increased by the process of producing germinated brown rice.
        144.
        200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아미 부산물의 -amylase 및 cellulase 혼합처리 조건에 따른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가용성 고형분 및 환원당은 -amylase 처리구(A)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cellulase 함량이 많아질수록 조금씩 감소하였다. 총식이섬유소 및 총당은 두 효소 농도에 따른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당류 분석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가 모두 검출되었으며, 말토올리고당은 -amylase 처리구(A)에서 약 2,200 mg%로 가장
        145.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미저장 중 저장온도에 따른 쌀과 밥의 품질변화를 구명하고자 추청벼 등 14품종의 현미를 15℃ 와 35℃ 에 10주간 저장 후 현미 및 백미, 밥의 품질관련 특성을 조사하였다. 1. 15℃ 저장이 35℃ 에 비하여 현미의 Tz값이 높아 배아 활성 정도가 높았으며 도정 후 백미 완전미율이 높아 15℃ 저장 쌀의 품질이 양호하였다. 2. 35℃ 에 비하여 15℃ 에 저장한 현미에서 쌀밥의 윤기치는 높았으나, 밥 색도 b 값, 밥 경도, 호화점도(최종점도, 강하점도)가 낮아 밥의 품질이 우수하였다. 3. 밥 색도 b값은 조생종이 중.만생종에 비하여 높았고, 밥 경도는 조생종이 낮았으며, 저장 현미의 도정 후 백미 완전미율은 15℃ 에서 78%, 35℃ 에서 70%이었으며 35℃ 에서 화성벼, 추청벼, 남평벼는 82%이상을 나타냈다. 4. 15℃ 저장에서 밥 색도 b값은 pH와 -0.693**, 윤기치와 -0.823**, L값과 -0.772**, 지방산도와 -0.548* , 백미 완전미율과 -0.576* , L값과 -0.772**, a값과 0.557* 의 유의성을 나타냈으며, 백미 완전미율은 밥색도 L값과 0.638* , 밥색도 b값과 -0.576* 의 유의성을 나타냈다.
        147.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벼멸구 저항성 개통 육성과정 중에 수행한 PS와 MAS system간의 선발 효율을 정확성, 소요시간, 소요비용 등의 요인으로 비교・분석함으로써 MAS system의 선발 효율을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MAS system을 구축하고 실용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DNA marker를 이용하여 벼멸구 저항성 개체를 선발하고 MAS 체제를 확립하기 위하여 ‘삼강/낙동’ 조합의 F2집단, RIL(F6), DH집단, 여교잡집단(BC6F5)을 대상으로 PS와 marker 검정을 병행하여 두 검정 방법 간에 각 잡종집단 및 세대별 저항성과 감수성 계통(개체)의 비율을 비교한 바 95%이상 일치하였다. MAS 체제와 PS간의 선발효율을 비교한 바 MAS는 PS에 비해 약 32%의 비용이 절감되었고, 검정에 소요되는 기간도 기존의 PS에서는 30일인데 비해 MAS에서는 7일로 크게 단축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MAS에 의한 벼멸구 저항성 계통 선발 체계를 확립 할 수 있었다.
        148.
        2008.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미(고아미) 비열처리 알코올발효 부산물을 식품소재로 활용하고자 cellulase처리조건에 따른 품질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가수분해 온도에 따른 고아미 부산물의 가용성 고형분 및 총당은 추출온도가 높을수록 함량이 증가하였고 총식이섬유소는 약 0.67%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환원당은 가수분해 온도 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말토올리고당은 가수분해하였을 때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maltotetraose와 maltopentao
        149.
        200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미(고아미) 비열처리 알코올발효 부산물을 식품소재로 활용하고자 처리조건에 따른 품질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가수분해 온도에 따른 고아미 부산물의 가용성 고형분, 총식이섬유소 및 총당은 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환원당은 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가수분해 온도 이상에서는 유리아미노산이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올리고당은 에서 가수분해 하였을 때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농도에 따른 가용성 고형분은 효소제 농도가 높을수록 함량
        150.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포니카형 품종에서 벼멸구 저항성 육종의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삼강벼'/'낙동벼' BC5F5 세대의 여교잡집단(SNBIL)에서 개발된 DNA marker RM28493에 대하여 활용성을 검토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벼멸구 저항성 유전자 Bph1의 근동질 유전자 계통인 SNBIL61과 감수성인 주남벼가 교배된 약배양 집단에서 RM28493은 벼멸구 저항성 생물검정 성적과 일치하였다. 2. RM28493은 다양한 유전자원에서 벼멸구 저항성 유전자인 B
        151.
        2007.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현미 4종의 알코올 발효액 및 부산물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비열처리 알코올발효 구간에서 알코올함량은 대안벼(A), 백진주(B) 및 설갱(C)이 각각 9.5, 9.7 및 9.8%로 높게 나타났으며 고아미(D)가 3.5%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비열처리구간의 유리당 총 함량은 고아미가 244.2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열처리 알코올 발효구간이 전반적으로 당 함량이 높았으며 현미 품종간 차이는 약간 있었다. 비열 및 열처
        156.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anho is a new japonica rice cultivar with brown pericarp color (Fig. 1). This cultivar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Ilmibyeo//Ilmibyeo/Pyeongtaekaengmi 4, where the recurrent parent Ilmibyeo is a japonica cultivar with high eating quality, and the donor
        157.
        2006.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이 강화된 배추김치 개발을 위하여 발아현미 농축액(A)과 발아현미 추출물 분말(B)이 첨가된 김치와 시판김치 4종의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pH와 총산은 시료들 간에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A)와 (B)의 배추김치 총당은 각각 29.86과 40.99 mg/g, 환원당은 각각 21.45와 22.88 mg/g으로 시판배추김치 4종의 총당과 환원당 함량에 비해 상당히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L 및 b값은 시료들 간
        158.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eed disinfectant, in control of brown leaf blight, growth characteristics, and dry root yield in the cultivation of Alisma plantago after early maturing rice cropping. Experimental plot was laid out in split plots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The major seed disinfectants were benomyl Wp, 20%, Captan Wp, 50%, Triferine Ec, 17%, Etridia zole Ec, 25%, and Thioplant-mythyl Wp, 50%. Even though seed disinfectant treated had no effect on the growth and flowering date of Alisma plantago, dry root yield was increased largely with benomyl Wp, 20%, in seed disinfectant than in the other seed disinfectants and contorl. All seed disinfectants had no injury with standard dosage. But all seed disinfectants had slight injury in the double dosage level for the Alisma plantago. On the basis of yield, vegetative and disease paramerer, benomyl Wp (20%) (100g/20l) had shown superior performance, however, all the seed disinfectants are effective as compare to without treatment.
        159.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화영벼와 일품벼를 이용하여 벼멸구에 피해에 따른 농업적 특성,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벼멸구 피해지에서 간장 수장 및 수당립수는 차이가 없었으나, 등숙율 및 쌀수량은 무피해구에 비해 감소되어 출수기 이후의 피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현미의 외관품질 분석 결과 벼멸구 피해지의 정상립 비율은 감소하였고, 미숙립, 피해립 및 사미의 발생은 증가되었다. 3. 벼멸구 피해지의 쌀의 이화학적 특성 분석 결과 아밀로스 함량은 차이가 없었으나, 단백질 함량은 높았다. 최고 점도는 낮고 치반점도는 높았으며 취반시 호화특성이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미치는 낮아졌다.
        160.
        200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brown planthopper (BPH, Nilapavata lugens) resistance and specific organic acids (oxalic acid, silicic acid, and trans-aconitic acid) known as BPH sucking inhibitors on different rice varieties and/or lines. There were no specific relations between BPH resistance and the contents of oxalic and silicic acids in the rice plant tissues. However, the stronger the BPH resistance was occurred, the higher the content of trans-aconitic acid was contained in the rice plants. The relations between the injury rate of rice plant by BPH and the content of trans-aconitic acid in the rice plant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hich were -0.84 and -0.82 at 30 and 60 days after seeding, respectively. Therefore, the content of trans-aconitic acid in rice plant tissues might be utilized as an index for improving BPH resistance of rice varieties.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