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0

        141.
        200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능력 한우 공란우의 이용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반복 과배란처리가 수정란회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공란우의 선발은 DNA marker에 의한 고급육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공란우는 Folltropin-V와 PG를 병용 처리하여 과배란을 유도하였고, FSH 처리 6회째 PG를 처리하여 발정을 유도하였다. 발정유도된 공란우의 수정은 12시간 간격으로 3회, 1회당 2 straw식 인공수정을 실시하였다. 수정 후 7~8일째 비외과
        4,000원
        142.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1보와 2보로 구성되었으며, 본 연구의 목적은 (1) 동작 인식형 입력기술에 기반한 디지털웨어(이하 DMDI로 약칭함)의 의류 상품화 가능성을 탐색하고, (2) 소비자의 잠재적 수요에 기초하여 디지털웨어의 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이다. 제1보에서는 소비자의 DMDI 대한 잠재수요를 고찰하기 위하여 디자인 에스노 그래피적 견지에 기초하여 개발된 심층면접 방식 및 범주분석 방식을 취하였다. 그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DMDI를 위한 7가지의 가능성 있는 어플리케이션 영역과 6가지 디자인 방향을 제안하였다.
        4,900원
        147.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속성건조에 의한 가을연맥의 건초 조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조생계통인 Swan을 공시하여 8월 24일 파종한 다음, 건초 조제시기(수잉후기, 출수기, 개화기)와 건조방법(건조제, Conditioning, 건조제 + Conditioning 및 대조구)을 달리하여 1996년 가을 축산기술연구소에서 수행되었다. 화학제인 건조제는 $K_2CO_3$ 수식 이미지 2%를 수확 직전 기계 분무하였으며, 물리적인 Conditioning은 모델 GMR 2800 Mower Conditioner(trail type)를 사용하였고, 포장건조 후 각형 곤포를 조제하였으며, 건초의 건물손실과 외관평가는 2개월간 보관저장 후 조사하였다. 수잉후기, 출수기, 개화기로 수확이 늦어질수록 연맥의 건물수량은 증가하고 건물률은 높아진 반면 사료가치는 크게 낮아졌다. 건조속도는 건초 조제시기에 관계없이 5일간의 포장건조에도 불구하고 수분 함량이 높아 건초 조제 적기에 도달하지 못하였으며, 특히 개화기에서는 수분감소가 거의 없었다. 건조방법별 건조효과는 전반적으로 건조효과가 낮았으나 Conditioning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2일정도 포장 건조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었으며 건조제 처리효과는 없었다. 건초의 건물손실은 수잉 후기에서 51.4%로 매우 높았으며, 출수기도 21.1%로 높았고, 건조방법별로는 Conditioning구와 건조제 + Conditioning 처리구에서 손실이 적은 경향이었다. 건초의 외관평가에서 수잉 후기로 조제시기가 빠를 때에는 수분 함량이 너무 높아 품질은 크게 불량하였으며, 출수기의 Conditioning구와 건조제 + Conditioning 처리구에서 80점으로 양호할 뿐 전반적으로 가을연맥 건초의 외관평점은 매우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서 포장에서의 건조기간 단축과 건초의 품질향상을 위한 건조제 처리효과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Conditioner 사용이 추천되었으나, 우리 나라에서 가을연맥의 건초 조제는 실용화하기 매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148.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spite of various applications of chitin derivatives from waste marine sources, commercial use of chitin has been limited due to resistance to chemicals and the absense of proper solvents. We prepared chitin through decalcification, bleaching and deproteination from protunus trituberculatus shells by the application of Hackman's method. Structur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chitin were investigated to have proper specific surface area and particle size by IR, BET and PSA. The amount of absorbed water of chitin reached equilibrium by stirring about 15 minutes. The amount of absored water of the prepared chitin were large than the commercial chitin. When prepared chitin tested on dyeing wastewater, they showed better treatment efficiency in COD, suspended solid, and color tests than the commercial chitin. The adsorption capacity increased with decreasing particle size for the prepared chitin. Treatment efficiency for color was increased as the sitirring rate increased. Results show the possibility of the prepared chitin from waste marine sources as a treatment system for dyeing wastewater.
        4,000원
        149.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파밤나방의 합성 성페로몬 대량유살 트랩을 이용하여 1992년부터 1994년까지 3년간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발생소장, 발생량 및 방제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파밤나방 서충은 4월부터 트랩에 유인되기 시작하였으며 6월하순까지는 발생량이 극히 미미하였으나 7월상순부터 발생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11월 상순까지 유인되었고 발생최성기느는 7월중순, 8월상순, 9월상순이었다. 년차별 발생량 및 발생면적은 전남지방의 경우 1992년은 1,630마리, 3,979.5ha, 1993년은 218마리, 283.0ha, 1994년은 1,630마리, 4,262.5ha로 그해의 기상에 따라 변이가 컸는데 특히 1993년의 저온과 8월중의 집중 강우는 본종의 발육과 정착에 영향을 끼쳐 발생량과 피해면적이 극히 적었다. 합성 성페로몬 트랩과 유아등에 의한 유인량은 1993년, 1994년 모두 페로몬 트랩이 1.5배, 2.3배 많았다. 비닐하우스 내에서 대량유살 트랩에 의한 방제 가능성은 330당 10개이상 처리한 경우에 효과적이었다.
        4,000원
        150.
        199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북지방(慶北地方)사과원(園)의 사과나무 개식장해(改植障害) 발생여부(發生(與否)와 발생정도(發生程度)를 밝힐 목적(目的)으로 20년이상(年以上) 사과재배(栽培)가 계속되고 있는 23개(個) 사과원(園)의 토양(土壤)을 채취(採取)하여, 토양소독(土壤消毒)에 의(依)한 사과실생묘(實生苗)의 생장(生長)과 개식장해(改植障害)에 관련(關聯)된 것으로 알려진 몇 가지 요인(要因)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1. 사과실생묘(實生苗)의 생장(生長)은 6개(個) 과원(果園)에서 유의차(有意差)가 있었고, 가장 큰 차이(差異)를 나타낸 과원(果園)에서 38% 증가(增加)되었다. 2. 생체중(生體重)에서는 지하부(地下部)가 4개원(個園), 지하부(地下部)가 10개원(個園) 전생체중(全生體重)에서는 9개원(個園)에서 유의차(有意差)를 나타내었고, 지상부(地上部)에서 토양소독(土壤消毒)에 의(依)한 차이(差異)가 가장 현저(顯著)하였으며, 5개과원(個果園)에서는 50%이상(以上) 증가(增加)되었다. 3. 토양중(土壤中)의 Cu 및 As 농도(濃度), 토양선충수(土壤線蟲數)는 사과실생묘(實生苗)의 생장(生長)과 생체중(生體重)에 뚜렷한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았다. 4. 토양(土壤) PH와 개식장해발생간(改植障害發生間)에는 뚜렷한 관계(關係)를 확인(認定)할 수 없었다.
        4,000원
        151.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본은 기후적으로 아열대와 온대에 걸친 아시아 Monsoon지대에 속하고 있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기후조건의 특성은 강우량이 평균 2,000mm로 상당히 많고 기온도 북해도와 본주, 구주지방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중략)
        4,000원
        152.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난해 9월21일부터 10월5일에 걸쳐 네델란드, 이태리, 일본 등 4개국을 순방하면서 각국의 시설원예 재배현장과 관련 연구기관을 방문하여 시설원예 생산환경, 재배기술, 경영분석 등 전문분야 별로 다각적인 분석을 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시설원예가_처한 입지를 재조명하면서 선진 시설 원예 재배기술의 도입가능성을 제시코자 한다. (지면관계로 우선 네델란드, 이태리편을 소개함)
        4,000원
        154.
        198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임간지(林間地)(차광정도(遮光程度) 50%)에서 춘파초지(春播草地) 개량(改良) 가능성(可能性)을 나지(裸地)(자연광(自然光) 조건(條件))와 병행하여 비교(比較) 검토(檢討)하고자 파종시기(播種時期)를 3월(月) 20일(日)과 4월(月) 10일(日)로 하여 출현(出現), 식생피복도(植生被覆度), 목초율(牧草率), 잡초율(雜草率), 근중(根重) 및 수량(收量) 등과 주요(主要) 미기상(微氣象)을 1984년도(年度) 수원(水原) 축
        4,000원
        155.
        198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시설(施設)하우스내(內)에서 피해(被害)가 큰 토양전염성병원균(土壤傳染性病原菌) Fusarium oxysporum f. sp. lycopersici, Fusarium oxysporum f. sp. niveum, Rhizoctonia solani, Sclerotinia sclerotiorum, Sclerotium rolfsii, Pythium-debaryanum 6종(種)에 대(對)한 살균(殺菌)에 요(要)하는 처리시간(處理時間)은 에서 일간(日間), 에서는 4일이내(日以內)이었고 이 중 가장 내성(耐性)이 강한 것은 Fusarium균(菌)과 Pythium균(菌)이었다. 2. 7월(月) 28일(日)8월(月) 18일(日)까지 21일간(日間) house내(內) 일중(日中) 온도변화(溫度變化)는 5cm, 15cm 깊이에서 각각 최고(最高) 최저(最低) 이었고 15cm 깊이에서의 이상(以上) 지속기간은 12시간정도(時間程度)였다. 3. 턴널은 하우스보다 축열효과(蓄熱效果)가 더 좋았으며 멀칭은 멀칭하지 않은 것보다 정도(程度)의 승온효과(昇溫效果)가 있었고 단열구(斷熱區)가 무단열구(無斷熱區)보다 정도(程度) 승온효과(昇溫效果)가 좋았다. 4. 약(約) 60%정도(程度)의 관수(灌水)를 하여준 구(區)에서는 정도(程度)가 높았다. 5. 매몰병원균(埋沒病原菌)의 살균효과(殺菌效果)는 하우스-턴널-단열구(斷熱區)에서 15cm 깊이까지는 처리(處理) 7일간(日間)에 사멸(死滅)했고 20cm 깊이에서는 Pythium균(菌)과 Fusarium균(菌)을 제외(除外)하고 모두 14일간(日間)에 사멸(死滅)하였다. 6. 최고(最高)에 달(達)했다가 최저(最低)에 이르는 온도(溫度)의 반복적(反復的)인 파동(波動)이 있는 것에서 없는 것보다 단시간(短時間)에 사멸(死滅)하였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에서 볼 때 하기고온기(夏期高溫期)의 재배(栽培) 휴한기(休閑期)에 PVC film을 사용(使用)하여 하우스를 밀폐(密閉)하거나 턴널을 만들어서 태양열(太陽熱)을 이용(利用)한 토양소독(土壤消毒)의 가능성(可能性)이 충분(充分)히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56.
        202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토양과 지하수에서 미세플라스틱과 나노플라스틱이 검출되면서 자연환경에서의 플라스틱 입자에 대 한 거동 연구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자연환경에서 풍화과정을 통해 생성되는 2차 나노플라스틱은 그 양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토양과 지하수 내 나노플라스틱에 대한 연구는 분석 기술의 제약으로 인해 플라스틱 거 동 연구가 부족한 상태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수 ng/cm2 수준의 흡착량을 측정할 수 있는 수정진동자미세저울 (quartz crystal microbalance, QCM)의 광물표면-나노플라스틱 상호작용 규명연구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일반 컬럼실험에서는 SiO2 표면과 폴리스티렌(polystyrene) 나노플라스틱의 흡착을 관찰하기 위해 담수나 지 하수의 이온세기 수준을 넘거나 높은 농도의 나노플라스틱을 주입하는데, 이번 QCM 실험에서는 컬럼실험에 서 측정이 불가능한 낮은 이온세기와 플라스틱 농도에서 나노플라스틱의 흡착량을 측정할 수 있었다. 광물표 면과 나노플라스틱의 상호작용 나아가 토양과 지하수 자연환경에서 나노플라스틱 거동을 이해하는 데 QCM 연구가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157.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문화재의 보존⋅관리 및 활용은 원형유지를 기본원칙으로 하므로 비파괴적인 분석법을 통한 무기질 문화재 및 그 원료물질의 광물조성을 연구하는 것은 중요한 분야이다. 본 연구는 비파괴 표면 X-선 회절분석법(ND-XRD)을 석재, 채색된 안료, 토제, 금속 등 유형별 무기질 문화재 및 시편들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문화재의 비파괴 분석법 중 하나로써 활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기기 내에 거치가 가능하며, 구성입자의 크기나 배열 및 굴곡 등 분석대상면의 특성이 스캔에 적합한 시료일 경우 모든 유형에서 광물조성 해석에 활용 가능한 회절패턴이 획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료의 기질부에 비하여 표면의 회절정보가 우세하게 획득되므로 수평적 또는 수직적으로 다른 물질로 구성된 대상에 적용할 경우 각 부위별 광물조성정보와 함께 이들의 선후관계 파악을 통한 제작기법 및 변질양상 등의 해석에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시료채취 및 분말화 과정을 생략한채 문화 재시료 자체를 스캔하는 분석방법의 특성으로 인하여 특정 결정면의 정보가 강하게 중첩되는 경우가 일부 발생되었다. 이와 같은 회절패턴은 점토광물의 편향성효과와 같이 광물동정에 유리하게 활용되는 경우도 있으며, 단결정에 가까운 크기와 배열을 갖는 입자로 인하여 불규칙한 회절강도 비가 획득 되어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한 광물동정이 어려운 경우가 있으므로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
        158.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Durometer A타입으로 응결시간에 확실하게 차이를 나타낼 수 있는 플라이애시(이하 FA) 치환 콘크리트에서 프록터 관입저항 시험치와 경도치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로 프록터 관입저항 시험치와 Durometer A타입의 경도치는 곡선의 형태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표면 마감작업에 대하여 Durometer A타입의 경도치로 약 25 HD는 초결, 약 35 HD는 종결로 관리한다면 표면 마감작업시간 판정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159.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레이노 현상 의심 환자의 정량적 판독 보조 지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레이노 현상 의심 환자 99명에서 가능성 낮음 48명, 중간 16명, 높음 3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는 15.2± 0.8°C 얼음물에 10분 간 양 손을 한랭 부하 후 99mTc 370 MBq(10 mCi)를 정맥 주사하였다. 이 후 5분, 10분, 20분 양측 열 손가락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였고, 핵의학 판독의의 판독 결과와 온도 변화를 비교하였다. 판독 결과 레이노 현상의 가능성이 낮은 군은 손가락 온도가 32.6±4.9°C로 높게 측정되었고, 가능성이 높은 군은 22.7±6.0°C로 낮게 측정되었다(p<0.05). 결론적으로 레이노 현상 의심 증상에 따라 손가락 온도의 차이가 났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손가락 온도의 측정이 레이노 진단의 정량적 보조 지표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160.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possibility of cracks in fast hardening track has been analyzed with consideration of shrinkage of fast hardening concrete. To evaluate tensile stress on fast hardening track, the analysis considers restrain effects by frictions due to subgrade and rail fastener.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maximum tensile stress in fast hardening track increased as the continuous casting length of fast hardening concrete increased. To prevent cracks due to shrinkage,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continuous casting length be less than 66.9 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