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89

        161.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이자 천연기념물(453호)인 한국산 남생이 Mauremys reevesii가 집단으로 발견된 경북 경주시 내 저수지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서식지 내에서 남생이의 생존에 직⋅간접으로 위협이 되는 생물 및 비생물적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남생이가 집단으로 발견된 지역은 농업용으로 관리 중인 저수지이다. 서식지 주변에는 수몰나 무 지대, 석축, 산림, 갈대밭, 농경지(논)가 형성되어 있었다. 저수지 내 모든 남생이들은 저수지 북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몰나무 지에서만 발견되었다. 2018년 5월 10일과 8월 9일에 걸친 현지 조사에서 발견된 남생이의 수는 각각 28 개체와 21 개체였다. 남생이에게 위협이 되는 붉은귀거북과 황소개구리가 서식지 주변에서 다수 발견되었다. 문화재 발굴 작업, 화학 비료 그리고 생활 쓰레기가 저수지 곳곳에서 발견되었으며, 이는 남생이에게 큰 위협요인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당해 연도 태어난 개체들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아성체들이 다수 발견된 것을 고려하면 자연 번식이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경쟁종인 붉은귀거북의 아성체 역시 발견되었기 때문에 남생이에게는 지속적인 문제가 될 수 있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국내 최대 규모의 남생이 개체군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서식지 내 보전 방법이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62.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aladenoma papilliferum (SP) is a rare tumor that develops from salivary glands. First described by Abrams and Finck, the tumor shows a papillary form. The most frequent location of this tumor is the palate. In this case, we report a 63 year old man with a lesion located at the right retromolar of the mandible which might have caused bone resorption. Among with this case report, this paper discuss the feature of this rare tumor. The cases were searched from the pubmed website (https://www.ncbi.nlm.nih.gov/pubmed/) using the keyword ‘sialadenoma papilliferum’. Out of total 65 cases 41 patients were male and 19 patients were female. 4 patients were under the age of 20, 4 patients were between 21 and 40, 25 patients were between 41 and 60, 23 patients were between 61 and 80 and 4 patients were over 81 years old. The number of patients with the size of the lesion less than 1cm were 23, 16 patients had the size of 1cm to 2cm and 8 patients lesion were larger than 2cm. 22 lesions were located at the hard palate, 2 were at the soft palate, 6 were at the junction of hard and soft palate, 8 were at the buccal mucosa, 1 was at the upper lip mucosa, 3 were at the retromolar pad, 2 were at the tongue, 4 were at the parotid gland, 2 were at the floor of mouth, 1 was at the faucial pillar, 3 were at the bronchus, 1 was at the esophagus, 2 were at the nasopharynx, 1 was at the nasal septum, 1 was at the lung, 1was at the nasal cavity. In this case the lesion was found at an unusual location and although SP is known to be a benign tumor it may present bone resorption and have malignant characteristics.
        4,000원
        163.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매년 해양활동이 증가하며 해양사고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해양안전을 위한 각종 연구 활동과 정책이 실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매년 해양사고가 증가하고 있어 이들의 실효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문헌연구 결과에 따르면, 통계연보를 활용한 선행연구는 통계제공항목 간 비교를 통해 두드러지는 항목에 대한 예방책을 제시하고 있다. 2000년대 이후에는 대형 해양사고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면서 '사고대응'에 대한 사례연구(case study)가 진행되고 있다. 국내 해양안전을 위한 정책수립 연구과정에서 통계연보나 사고사례를 주 자료로 활용하고 있으나 현재 자료는 사후결과 요약정도의 수준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양 사고 사례분석 및 개선방안 관련 문헌연구를 통해 현행 해양관련 연구와 정책의 한계를 탐색하였다. 또한 자료 활용 한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선박사고 상황보고서 속성분석,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해양사고 정보 분류체계인 온톨로지(ontology)를 수정 보완하였다. 해당 항목은 ‘신고자, 신고수단, 구조세력, 대응 조치사항, 대응취약성, 적재물, 유류유출경위, 피해유형, 사고처리결과’이며, 이 항목 들은 분류체계 표준용어를 활용해 향후 지속적으로 수집 활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온톨로지를 실질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 및 품질확보 방안을 제시했다. 결과적으로 현재 해양안전이 직면한 문제를 명확히 파악하고 ‘품질이 확보된 충분한 정보’를 활용한다면 보다 다양한 연구와 실효성 있는 정책 실현이 가능할 것이다.
        4,000원
        164.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OLAS에서는 국제 항해에 종사하는 총톤수 500톤 이상의 선박에 대하여 2018년 7월 1일 이후 도래하는 최초 검사까지 ECDIS 를 설치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새로운 주요 항해 장비로 ECDIS가 탑재되면서 ECDIS 사용에 관련한 다양한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MAIB, BSU, BEAmer, DMAIB, DSB에서 발행한 12가지의 사고보고서에는 항해사의 운용 미숙과 ECDS 시스템의 사고 원인으로 분석하였고, 사고 원인과 관련된 단어들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R-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텍스트를 분석하였다. 도출 빈도에 따른 단어의 중요도를 나타내기 위해 텍스트 마이닝 기법인 단어 구름, 단어 연관성, 단어 가중치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단어 구름은 사용된 단어들의 빈도 수를 구름 형태로 나타내는 방법으로써 N-gram 모델을 적용하였다. N-gram 모델 중 Uni-gram 분석 결과 ECDIS 단어, Bi-gram 분석 결과는 Safety Contour 단어의 사용 빈도가 가장 많았다. Bi-gram 분석을 기반으로 사고 원인 단어를 항해사와 ECDIS 시스템으로 구분하고, 연관된 단어들을 단어 연관성으로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항해사와 ECDIS 시스템에 연관된 단어들을 단어 말뭉치로 구성한 후 단어 가중치를 적용하여 연도별 말뭉치 빈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추세선 그래프로 말뭉치 변화 경향을 분석한 결과, 항해사 말뭉치는 최근으로 올수록 감소하였으며 반대로 ECDIS 시스템 말뭉치는 점점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4,000원
        165.
        2019.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167.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갈색어깨무늬뾰족반날개[Bolitobius princeps (Sharp)]를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외형사진과 식별형질의 그림을 제시한다.
        3,000원
        169.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group mating of Asian Keelback snake, Hebius vibakari, in South Korea. On May 20, 2009, the group mating of H. vibakari was observed in the Maeng-gol do, Jindo-gun, Jeollanam-do, in the rocky area (107 m above sea level) on the ridge of the island. Six female and five male snakes made a form of mating behavior called “mating ball”. Two couples showed “tail-wrestling” which is the copulation behavior in snake species. During the mat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25.7°C and 59%, respectively.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e first case report of the group mating in H. vibakari, a rare reptile.
        4,000원
        170.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d-eared slider (Trachemys scripta elegans) is the one of the most popular pets, and the most commonly traded species in the world. It is designated as an ecosystem disturbance species that has been managed in South Korea. To date, no reports of natural or anthropogenic migration and spreading of T. s. elegans in South Korea are available. In the present study, we estimated the expected route and the movable path of one female T. s. elegans found in Namsan-myun, Gyeongsan-si, Gyeongsangbuk-do. Based on the movable path, the potential destination of the female turtle was estimated to be about 282 m and 468 m away. Therefore, the moving distance of the red-eared slider to the nearest water system will be at least 606 m and at most 792 m. Our results provide the first evidence about the natural migration and spreading of exotic turtles. This study can serve as a basis for the management and countermeasures against the introduced of T. s. elegans and other exotic species in South Korea.
        3,000원
        171.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short thumb opponens splint 착용이 분만성 상완 신경총 손상 아동의 상지 기능과 손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 : 분만성 상완 신경총 손상으로 진단 받은 11세 남성 아동 1명을 대상으로, 증례 보고 방법 중 (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총 20회기로 매주 1회기씩 20주간 진행하였다. 기초선 5회기는 중재 없이 평가하였고 중재기 10회기는 하루 6시간 short thumb opponens splint를 착용 하는 중재를 실시한 후 평가하였다. 추적기 5회기는 중재 없이 평가하였다. 평가는 손기능 평가를 위한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Box and Block Test; BBT), 상지 기민성 검사(nine-hole pegboard test)와 분만성 상완 신경총 손상 환자의 상지 기능 평가를 위한 Mallet scale, active movement scale 검사를 통해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과 : short thumb opponens splint 중재 결과, 상지 기능(Mallet scale, active movement scale)과 손기능(BBT, nine-hole pegboard test)은 중재 전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 short thumb opponens splint 착용이 분만성 상완 신경총 손상 아동의 상지 기능과 손기능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향후 분만성 상완 신경총 손상 환자의 임상적 중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500원
        172.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신종인 울릉이리응애(Euseius ulleungensis) (신칭)를 기재한다. 이 신종은 울릉도 섬쑥부쟁이에서 채집되었다.
        3,000원
        173.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제비나방과 쌍꼬리나방아과의 3미기록종인Europlema nubifasciaria (Leech), Dysaethria meridiana (Inoue), Phazaca theclata (Guenée)을 보고한다. Europlema leleji는 Epiplema nubifasciaria의 동종이명으로 판명되었고, 후자는 Europlema속으로 새롭게 편입된다. Europlema nubifasciaria의 암컷생식기를 처음으로 기재한다. 채집된 종의 성충과 생식기의 사진을 제공한다.
        4,000원
        174.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풍뎅이붙이과에 속하는 2종의 미기록종인 Niponius impressicollis Lewis, 1885 큰두뿔풍뎅이붙이(신칭)와 Gnathoncus nannetensis (Marseul, 1862) 애둥근풍뎅이붙이(신칭)가 한국에서 처음 확인되었다. 각 종들에 대한 형태적 기재와 사진이 제시되었다.
        4,000원
        175.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치벌과에 속하는 Helconinae아과의 Schizoprymnus terebralis (Snoflák, 1953)을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본 종의 재기재, 진단, 숙주 정보 그리고 삽화를 제공한다.
        3,000원
        176.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기문응애목에 속하는 기생응애과(Parasitidae) 응애는 몸집이 크고 활동력이 왕성한 중요 토양 포식자이다. 토양응애 다양성 연구 중 국내 미기록종 기생응애과를 발견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이 논문에서는 온판기생응애속(genus Cycetogamasus) 2종, 한국온판기생응애(Cycetogamasus coreanus), 주름온판기생응애(C. corculatus), 두판기생응애속(genus Neogamasus) 5종, 두판기생응애(Neogamasus eogenualis), 티코미로비두판기 생응애(N. tikhomirovi), 이쁜두판기생응애(N. laciniatus), 경기두판기생응애(Neogamasus kengicus), 마훈카두판기생응애(Neogamasus mahunkai) 를 한국의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4,200원
        177.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통해 잔디주머니나방속이 국내에서 처음 발견되어 보고한다. 잔디주머니나방속내 잔디주머니나방에 대한 성충, 유충, 번데기 등 형태학적 특징을 재기재하였다. 또한 신속한 종 동정을 위한 DNA바코드 정보를 제공하였다.
        4,000원
        178.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고령운전자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자가보고식 운전능력 및 상관성을 파악하고 시각, 청각, 인지, 운동, 심리요인을 바탕으로 설정한 가설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여 지역사회 고령운전자의 자가보고식 운전능력에 대한 경로모형을 제시하고자 함이었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만 65세 이상 지역사회 거주 고령운전자의 122명이었다. 대상자들의 시각과 청력, 운동기능, 인지기능, 우울 및 자가보고식 운전능력을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고 가설모형의 검증을 위해 AMOS 22.0을 사용하여 경로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연구결과 남성의 경우 여성보다 자가보고식 운전능력 점수가 높았으며 주간 운전일수 6~7일인 경우는 주 3일 이하에 비해 점수가 높았다. 면허취득 기간과 운전경력은 자가보고식 운전능력과 정적 상관성을 보였다. 경로모형의 적합성 결과 최종모형은 p값(.911)이 .05를 초과하며, TLI(1.202), NFI(.949), CFI(1.000)가 모두 .90이상이고 RMSEA(.000)는 0.1이하로 가설모형이 측정 자료에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첫째, 우울, 청력감퇴, 악력은 고령운전자의 자가보고식 운전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나이는 우울, 악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우울과 악력을 매개하여 자가보고식 운전능력에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었다. 셋째, 우울은 인지처리지연과 악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고령운전자의 자가보고식 운전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직·간접적인 관계를 파악하고 자가보고식 운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의 다차원적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었다.
        4,900원
        180.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에서 Macropogon sibiricus Motschulsky 옛방아벌레(신칭)를 근거로 하여 옛방아벌레과(Artematopodidae) (신칭)가 분포함을 보고 한다. 이 과 및 속, 종에 대한 진단형질과 사진을 포함하여 분류학적 정보를 제공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