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92

        161.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ε-poly-L-lysine mixture (EPM) on cheon-ggukjang and to determine the optimal mixing ratio in cheonggukjang. Increasing the EPM up to 2% decreased via-ble cell counts at both 15oC and 30oC storage. The pH of cheonggukjang without EPM increased slowly over thestorage periods, but cheonggukjang with EPM showed a slight increasing tendency, with the highest pH at 2% EPM.The sensory scores, such as texture and flavor, were highest in samples containing 2% EPM; however, overall pref-erenc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For the optimum cheonggukjang processingconditions, 13 experimental points were selected. Soybean and EPM were chosen as independent variables. Viablecell count, pH,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were measured. The optimum formulation of cheonggukjang usingthe numerical analysis was found to be 98.52% soybean and 1.48% EPM, resulting in a 0.722 desirability value.
        4,000원
        162.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optimum conditions for coagulation of konjac jelly as well as antimicrobial activity by concentration of Ca(OH)2.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of konjac jelly increased according to concentration of konjac powder, the key material of konjac jelly. The highest sensory evaluation score was acquired with konjac jelly made with 3% konjac powder. A Ca(OH)2 concentration of 0.4-0.6% as a coagulation agent was optimum for coagulation of konjac jelly. Further, sensory score was highest at a Ca(OH)2 concentration of 0.6%. All populations of bacteria, yeast, and mold in konjac jelly were restrained by Ca(OH)2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Furthermore, all tested microorganisms were strictly restrained at 1.0×10−2 N of Ca(OH)2.
        4,000원
        163.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iological properties of antimicrobial peptides (AMPs) of hemimetabolous insect are poorly characterized in innate immunity field. To investigate the biochemical properties of hemimetabolous insect’s AMPs, we purified the pyrrhocoricin-like AMP from the hemolymph of Riptortus pedestris and then named as riptocin. We successfully determined the primary protein structure and its cDNA sequence. Interestingly, the determined cDNA revealed that riptocin precursor is composed of 12 repeating units of active riptocins, which implied that riptocin precursor might require to be processed to generate active riptocins by several unidentified processing enzymes.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bio-processing mechanisms of riptocin precursor, we generated the antibody against active riptocin. Using quantitative PCR and Western blot analyses, we showed that gene of riptocin was started to express from the fatbody after three hours post bacterial infection. To address our hypothesis that active riptocin is generated from riptocin precursor by several processing enzymes, we need to obtain the riptocin precursor. Currently, we are expressing the recombinant riptocin precursor using in vitro translation system. Meanwhile, we investigated whether naive hemolymph (naive HL), which may contain precursor riptocin, can generate active riptocin when riptocin precursor was co-incubation with bacteria-challenged hemolymph (active HL), which may contain all processing enzymes. Actually, when naive HL was incubated with active HL, antimicrobial activity was dramatically increased, suggesting that processing enzymes in active HL may induce processing of riptocin precursor to generate active riptocins.
        164.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antimicrobial resistance in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pigs and their farmhouse environment in Korea. A total of 585 E. coli were isolated in this study during 2006 2007: 426 isolates from 492 pigs and 159 isolates from 312 farmhouse environment samples from 16 different pig farms.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resistance in pig fecal samples was antimicrobials such as tetracycline, streptomycin, and ampicillin. However, resistance to cephalosproins, β-lactam / β-lactam inhibitor combination, and colistin was low. We found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prevalence of resistant E. coli and animal age. Resistance rate and multi-drug resistance (MDR) was greater in young pigs (piglet and nursery) than for those from adult pigs (grower-finish and sow). Resistance of E. coli from farm environment such as floor, Iron partition, and ventilation was similar with those from pig fecal samples. Farm environment contaminated with MDR bacteria might be a possible source of infections to pigs. Thus, to control and reduce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in pigs, we must also pay attention to the environment.
        4,000원
        165.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에서는 조리과정(non-blanched, blanched, seasoned) 중 시래기의 항산화 관련 물질 함량과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의 변화를 측정하여 한식 고유의 조리법인 나물의 우수성을 알리고자 하였다. 80% ethanol에 추출한 시래기의 수율은 무친 후가 7.55%로 가장 높았으며, 데치기 전이 4.91%를 나타내었고, 데친 후가 0.33%로 가장 낮은 수율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3.57~129.85 mg GAE/100 g FW 범위로 무친 후 시래기가 129.85±0.62 mg GAE/100 g FW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도 무친 후가 35.56±1.19 mg CHE/100 g FW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4가지의 항산화 실험(DPPH assay, ABTS assay, FRAP assay, Reducing power) 결과, 무친 후 > 데치기 전 > 데친 후 순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항균 활성 측정 결과, 데치기 전 시래기에서만 활성이 나타났는데, B. cereus와 E. cloacae 두 균에 대해서 농도 의존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냈고, E. coli와 P. aeruginosa 두 균에 대해서는 10 mg/disc의 농도에서만 각각 9.25 mm, 9 mm의 clear zone을 생성하였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할수록 radical 소거 활성 및 환원력의 활성이 증가하여 시래기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항산화 활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항균 활성 측면에서는 시래기를 조리하지 않고 섭취하는 것이 좋으나, 건조 나물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특성상 반드시 불린 후 조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무치거나 조리하는 과정에서 갖은 양념이 첨가되어 항산화 효능이 증가하므로 시래기를 섭취할 경우, 가능하면 장시간 물에 삶는 조리법은 피하고, 무치는 조리법을 사용하는 것이 건강에 이로울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66.
        201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microbial effect of oleanolic acid (OA), ursolic acid (UA), and sophoraflavanone G against Enterococcus faecalis and Propionibacterium acnes, which are the major causative bacteria of endodontic infections.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evaluated by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The data showed that the OA, UA, and sophoraflavanone G had antimicrobial effect on all the strains use in the study with 16-64 µg/ml, 8-64 µg/ml, and 1-8 µg/ml of MIC values,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A, UA, and sophoraflavanone G could be useful in the development of antiseptic solution for washing the root canal in endodontic treatments.
        4,000원
        167.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리방법(non-blanched, blanched, seasoned)에 따른 고사리의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활성과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80% ethanol에서 추출한 고사리의 추출수율은 볶은 후가 4.29%로 가장 높았으며, 그 뒤를 이어 데치기전이 2.69%로 높았고, 데친 후가 0.30%로 가장 낮은 수율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볶은 후가 96.11±0.34 mg GAE/100 g RW로 가장 높았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경우에도 볶은 후가 20.90±0.28 mg CE/100 g RW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3가지 항산화 실험(DPPH assay, ABTS assay, reducing power) 결과, 볶은 후 > 데치기 전 > 데친 후 순으로 볶은 후 고사리가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냈다. 항균활성 측정 결과, 데치기 전 고사리는 S. aureus를 제외한 모든 균에서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P. aeruginosa균에 대해서 우수한 항균활성을 보였는데, 5 mg/disc의 농도에서 10±0.71 mm, 10 mg/disc의 농도에서 10.25±0.35 mm의 생육 저해 환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데친 후와 볶은 후의 고사리는 어떠한 균에서도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항균활성 측면에서 고사리는 조리과정을 거치지 않고 섭취하는 것이 이로우나, 건조나물의 특성상 섭취하기 위해서는 물에 불리고 데치는 과정을 거쳐야한다. 또한 고사리는 발암성분인 청산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반드시 데치는 조리과정을 거친 후 섭취해야 한다. 데치는 과정을 거치면서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가 손실되지만, 이는 조리하는 과정에서 갖은 양념이 첨가됨으로써 데치기전보다 생리활성 물질 및 항산화활성이 증가하므로 고사리는 데치거나 볶는 과정을 거쳐 섭취하는 것이 건강적인 측면에서 이로울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69.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양념 닭 가슴살의 양념 액에 귤 껍질 추출물(CPE, 2%), 양파 껍질 추출물(OPE, 2%), calcium lactate(2%), 난황 유래 phosvitin(0.1%)과 CPE, OPE 및 calcium lactate 복합처리를 첨가하였을 때 서로 다른 저장온도와 저장기간에 따른 항균 효과 및 품질 변화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모든 저장온도와 저장기간에서 CPE, OPE 및 복합 처리군의 총 호기성 세균 수는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확인되었으며, 가장 높은 미생물 생장 억제 효과가 있었던 처리군은 CPE 처리군이었다. 하지만, calcium lactate와 phosvitin 처리군의 미생물의 성장 억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pH의 경우, calcium lactate와 OPE 처리군은 모든 저장온도의 저장 0일차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OPE 처리군은 모든 저장온도와 저장기간에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적색도를 나타내었고, CPE와 함께 저장온도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하지만 이러한 OPE 처리군은 풍미, 맛 및 종합적 기호도에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으며, calcium lactate와 phosvitin 처리군의 종합적 기호도는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양념 닭가슴살의 CPE, OPE 및 복합처리군에서 저장온도를 달리한 저장기간에 따른 미생물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관능적 특성을 개선하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4,200원
        170.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적리를 동반하는 돼지 분변에서 용혈성 균주를 분리 동정한 후, 장 독소 생성 유 무 및 항생제 감수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분리된 용혈성 균주 B. cereus BY06의 gyrB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B. cereus와 99%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PCR법에 의한 장 독소 유전자 검출 시험에서 B. cereus BY06는 장 독소 분비 양성으로 판정됨에 따라 설사형 식중독 균임이 확인되었다. B. cereus BY06를 이용한 항균제의 감수성 시험 결과, penicillin G에는 내성을 나타낸 반면 cephalothin, vancomycin, clindamycin, fusidic acid, gentamicin, ciprofloxacin, tetracycline 및 rifampin에 대하여 감수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돼지 분변에서 분리된 B. cereus 균주는 설사를 유발하는 장 독소를 분비하며, penicillin G에 대한 내성을 확인하였다.
        4,000원
        171.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금치의 조리 과정(non-blanched, blanched, seasoned) 중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과 항균 활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80% 에탄올에 추출한 시금치의 수율은 데치기 전 1.64%, 데친 후 1.49%, 무친 후 6.01%로 무친 후 > 데치기 전 > 데친 후 순으로 높은 수율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무친 후가 124.31±1.37 ㎎ GAE/100 g FW로 가장 높았고, 데치기 전 51.24±0.27 ㎎ GAE/100 g FW, 데친 후 42.48±0.53 ㎎ GAE/100 g FW로 데친 후가 가장 낮은 총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도 무친 후가 15.60±0.20 ㎎ CHE/100 g FW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무친 후의 시금치는 4가지의 항산화 실험(DPPH assay, ABTS assay, FRAP assay, Reducing power)에서도 데치기 전이나 데친 후의 시금치보다 우수한 활성을 보였다. 항균 활성 측정 결과, 데치기 전 시금치는 S. enterica와 P. aeruginosa 두 개의균에 대해서 5 ㎎/disc와 10 ㎎/disc의 두 농도에서 항균 활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데친 후 시금치는 항균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무친 후 시금치는 P. aeruginosa에 대해서만 10 ㎎/disc의 농도에서 8.15 ㎜의 clear zone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항균 활성 측면에서는 시금치를 생으로 섭취하는 것이 이로우나, 시금치를 생으로 과다 섭취할 경우, 체내에 결석이 생길 수 있으므로 끓는 물에 시금치를 데쳐 어느정도의 수산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되며, 시금치를 무치는 과정에서 갖은 양념을 첨가함으로써 데치기 전보다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므로, 가능한 무친 후의 시금치를 섭취하는 것이 건강적인 측면에서 이로울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72.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peptide has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everal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bacteria. BmCecB1 is antimicrobial peptides from Bombyx mori and belongs to cecropin family. Antimicrobial peptides are important components of the innate immune systems in all living organism. To produce the BmCecB1 antimicrobial peptide, we constructed transgenic silkworm that expressed BmCecB1 gene under the control BmA3 promoter using piggyBac vector. The use of the 3xP3-driven EGFP cDNA as a marker allowed us to rapidly distinguish transgenic silkworm. Mixtures of the donor vector and helper vector were micro-injected into 600 eggs of bivoltin silkworms, Baegokjam. In total, 49 larvae (G0) were hatched and allowed to develop into moths. The resulting G1 generation consisted of 22 broods, and we selected 2 broods containing at least 1 EGFP-positive embryo. The rate of successful transgenesis for the G1 broods was 11%. We identified 9 EGFP-positive G1 moths and these were backcrossed with wild-type moths. With the aim of identifying a BmCecB1 as antimicrobial peptide, we investigated the Radical diffusion Assay (RDA) and then demonstrated that BmCecB1 possesses high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Gram-negative bacteria.
        173.
        2014.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곳감 생산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식초, 자몽추출물 등 총 6종의 추출물에 대한 배합비를 설정하였고, 그 결과 우수한 활성을 가지는 천연 복합 활성제의 최종적인 혼합비는 정향 18.18%, 계피 9.90%, 감초 9.09%, 천궁 4.55%, 자몽종자출물 4.55% 및 사과 식초 54.54%임을 확인하였다. 대조구 및 처리구의 수분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항갈변 실험과 항진균 실험, 항갈변/항진균 실험 모두에서 전체적으로 1주차에 비해 6주차에서 수분의 함량이 증가 하였으며 측정 주차 별로 control이 처리구에 비해 수분 함량이상대적으로 낮았다. 당도 변화에서는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전반적 곶감의 당도는 증가하였다. 항갈변/항진균 실험에서 30∼39 °brix로 높은 당함량을 보였다. 경도를 측정한 결과에서는 control과 처리구는 거의 비슷하였으며 6주 뒤 평균적으로 0.5∼0.8정도 줄어들었다. 색도변화에서는 △값의 변화는 건조 기간 중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천연 추출물은 곶감의 건조기간 중에 나타나는 품질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유해성 논란이 되고 있는 유황훈증법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74.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와 바쁜 현대인들을 위하여 헹굼이 필요없는 에탄올베이스 드라이샴푸를 제조했다. 물로 헹구지 않는 드라이샴푸에는 저자극 세정원료의 적용이 필요하다. 이 실험에서 세정원료는 저자극 세정원료를 첨가하고 세정원료의 세포독성실험과 드라이샴푸의 피부자극, 항균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펜틸렌글리콜을 적용하여 제조한 에탄올베이스 드라이샴푸가 항균력을 갖고 피부에 가장 안전함을 확인 하였다. 또한 미용목적뿐만 아니라 위생적인 모발관리를 가능하게 하여 젖은 샴푸를 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청결과 위생, 안전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75.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timicrobial peptides (AMPs) are an important component of innate defense mechanisms with broad-spectrum activities against various pathogenic microorganisms, including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bacteria, fungi, and viruses. Antibiotic resistance has become a pervasive and global health burden, resulting in the immediate need to develop a new class of antibiotic substances. We screened a 16-mer random peptide library using the yeast two-hybrid system with Beclin 1 as bait and found that two 16-mer peptides (named P4 and P30) appeared to interact with Beclin1 in the β-gal assay. The two candidate cDNAs were introduced into the yeast secretory system of Pichia pastoris and their expression induced in the presence of methanol. Spectrophotometric analysis and Disc clear zone assay using the supernatant of the yeast growth media showed that both of the two peptides had strong activities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MRSA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MRSA2242, and MRSA-2250, but no effect on commensal Lactobacillus strains. PCR analysis of the genomic DNA of transformed Pichia pastoris using AOX1 primers revealed that the two cDNAs were integrated into the genome at the AOX1 locus. Our result suggests that these peptides could be developed as a useful alternative to classic chemical antibiotics.
        4,000원
        176.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general, oleanolic acid (OA) and ursolic acid (UA) have antimicrobial effect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but not Gram-negative bacteria whereas sophoraflavanone G has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oth bacterial types. However,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OA, UA, and sophoraflavanone G against periodontopathogens have not been studied to any great exten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microbial effect of OA, UA, and sophoraflavanone G against 15 strains (5 species) of oral Gram-negative bacteria, which are the major causative bacteria of periodontal disease.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evaluated by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and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 determinations. OA and UA showed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all of the Porphyromonas gingivalis strains tested and also Prevotella intermedia ATCC 25611T. Interestingly, P. intermedia ATCC 49046 showed greater resistance to OA and UA than P. intermedia ATCC 25611T. In contrast, sophoraflavanone G ha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all strains, with MIC and MBC values below 32 μg/ml, except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ophoraflavanone G may have potential for use in future oral hygiene products such as dentifrices and gargling solution to prevent periodontitis.
        4,000원
        177.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has been established that berberine has strong antimicrobial effects. Little is known however regarding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berberine against endodontic pathogenic bacteria or its cytotoxicity in human oral tissue cells. The antibacterial properties of berberine were tested against 5 strains of Enterococcus faecalis and type strains of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Prevotella nigrescens, Prevotella intermedia, and Tannerella forsythia, which are involved in endodontic infections. Antimicrobial activity was evaluated through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and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 measurements. The viability of normal human gingival fibroblast (NHGF) cells after exposure to berberine was measured using a methyl thiazolyl tetrazolium (MTT) assay. The data showed that berberine has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A. actinomycetemcomitans with an MIC and MBC of 12.5 μg/ml and 25 μg/ml, respectively. In the cytotoxicity studies, cell viability was maintained at 66.1% following exposure to 31.3 μg/ml berberine. Overal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erberine has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he tested bacteria. Nevertheless, lower concentrations in combination with other reagents will need to be tested before these in vitro results can be translated to clinical use.
        4,000원
        179.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판 목초액과 죽초액의 품질특성,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목초액과 죽초액의 pH, 가용성 고형분 및 총산도는 각각 3.02와 2.45, 5.61과 5.98 Brix, 3.12와 3.24%였으며, L, a 및 b값은 각각 43.00, 51.02, 73.59와 58.32, 37.02, 75.98이었다. 목초액과 죽초액에 함유되어 있는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13.67과 13.86 mg/mL로 목초액보다 죽초액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목초액과 죽초액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환원력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인 활성을 보였다. 또한 tyrosinase 저해활성은 목초액과 죽초액의 농도 10 μL 첨가시료에서 각각 99.27와 99.22%로 두 시료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목초액과 죽초액은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20 μL의 농도에서 E. coli O157:H7균에서 각각 15.6과 14.8 mm로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목초액과 죽초액은 천연 항산화제 및 항균제와 같은 식품첨가물로 이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80.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antibiotic peptide PAJE (RWKIFKKPFKISIHL-NH2), designed incorporating the N-terminal α-helical segments of papiliocin and jelleine, is a 15-residue hybrid peptide that has a broad spectrum of activity against Gram-negative, positive bacteria and fungi. In this study, we successfully expressed bioactive PAJE in Escherichia coli cells that are highly sensitive to this peptide. For the efficient production of peptide, we synthesized gene encoding PAJE, and fused the sequence in-frame to ketosteroid isomerase (KSI) gene to construct an expression vector pET29b-PAJE-KSI, which was then used to transform E. coli BL21 (DE3). The fusion protein PAJE-KSI was expressed as inclusion body at high level (more than 30% of the total proteins). Recombinant PAJE was easily released by cleavage of the fusion protein with cyanogen bromide (CNBr). Subsequently, we purified the recombinant PAJE by FPLC chromatography. The purified PAJE displayed considerably antibacterial activity identical to that previously reported for chemically synthesized PAJE. The results indicated that successful expression of PAJE in E. coli cells and efficient procedure for purification may lead to a cost-effective platform for the mass production of PAJ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