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0

        1.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50년 교육법 개정에 따라 ‘고등학교’가 다수 신설된 지 벌써 72년이 지났다. 그럼에도 고등학교 명칭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는 아직까지 수행된 바가 없었다. 그래서 충북 중학교에 이어 충북 고등학교 명칭 특성을 분석하였다. 2022.04.01. 기준 82개 고등학교 명칭에 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명의 어종은 한자어가 90.2%로 압도적이었고, 평균 음절수는 3.7음절로 중학교 명칭보다 길었다. 생성 유형은 결합지명이 50.6%로 가장 많았고, 행정지명이 30.1%, 인문지명이 19.5%였다. 행정구역 관련 학교명은 80.5%였는데, 시・군・구 관련 학교명(50.0%)이 가장 많았으며, 중학교보다 상위 행정구역과 관련된 명칭의 비중이 높았다. 개명 사례는 총 82건으로 중학교에 비해 훨씬 빈번하고 복잡하였다. 폐지 사례는 13건이었는데, 대부분 읍・면부 소재 일반계 공립 고교들이었다.
        11,400원
        2.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search on the birth (起源) and names (語源) of foods such as kimchi is important to understand traditional food culture. kimchi, an ‘add flavored, fermented, pickled, vegetable food’ was initially prepared with the simple purpose of increasing storage capabilities, but later, through a complex process of change, morphological diversification occurred. In addition to the basic name of ‘kimchi’, each variety has its unique name and history.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using various research methods, such as oral records and interviews, as well as investigation of data from literature, including ancient literature, modern cookbooks, newspapers, magazines, papers, and videos. The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context and the meaning of the name Chonggak kimchi. In addition, it is a compilation of how the name spread through the ages and evolved to its current name. The name Chonggak kimchi did not exist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Japanese occupation and first appeared in the records in the late 1950s. Nevertheless, the original name of ‘Altarimu kimchi’ evolved and finally became a part of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標準語) in 1988. In the process of the name spreading and becoming popular, the movie “Chonggak kimchi (1964),” starring Shin, S.I., and Eom, A.R. played a significant role.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is was a meaningful and valuable case of contentization of traditional food culture, regardless of the intention behind the same.
        4,200원
        5.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총설에서는 해양 연체동물 내 독소 분석을 하는 연구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국내에서 생산되거나 유통 되는 수산물 중 해양 생물독소에 오염될 수 있는 이매패류와 복족류 종들의 공식 명칭과 생태학적 특성을 소개하 였다. 또한 대표적인 생물군의 해부도를 통한 각 기관들의 위치와 공식적인 명칭을 알리고자 하였다. 향후 해양 생물독소 분석 관련 식품공전, 학술논문 및 보고서에 실험생물의 정확한 종명과 분석 기관의 명칭에 대한 통일 및 규격화가 필요하다.
        5,400원
        6.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10년의 충북 중등교육의 역사에도 불구하고, 충북 교육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 그래서 충북 중학교의 특성에 대한 분석을 시작하였다. 2021. 04. 01. 기준 128개 중학교의 명칭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명의 어종은 한자어가 98.4%로 압도적이었고, 평균 음절수는 2.63음절로 상당히 짧았다. 명명 유연성은 행정구역명 관련 학교명이 67.2%로 가장 많았고, 인문지명이 18.0%로 다음을 차지하였다. 면명에서 연유한 다수의 중학교가 폐지되면서 행정지명의 비중이 상당히 감소하였다. 1970년 25.6%를 차지하였던 사립중학교는 현재 14.8%로 감소하였다. 1981년 20.6%를 차지하였던 여자중학교는 현재 13.3%로 감소하였다. 1952년 이후 개명 사례는 15건이 있었는데, 사립중학교와 여자중학교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1952년 이후 실제 폐지된 중학교는 19개교인데, 대부분 농촌 지역의 공립중학교였다.
        11,900원
        7.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는 54년 전부터 고속국도를 건설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고속국도의 주요 시설물들 자체에 대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그래서 분기점과 휴게소에 이어 나들목의 명칭 특성을 분석하였다. 2020년 말 현재 500개 나들목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나들목 명칭의 어종은 95.8%가 한자어였고, 평균 음절수는 2.60음절로 상당히 짧았으며, 대체로 지수분포를 보였다. 명명 유연성 측면에서는 행정구역명 관련 나들목 명칭이 65.0%로 가장 많았고, 결합지명이 28.2%로 다음을 차지하였다. 이들 명칭이 다수를 차지한 것은 한국도로공사의 「시설물 명칭 부여 기준」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4,600원
        8.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studied the origin of Myeongnyundang(明倫堂), the common name of the main lecture halls at confucian schools in ancient China. Through an extensive investigation of local chronicles, biographies, decrees and construction essays, it found the first Myeongnyundang were titled on the main hall of a local school in the early Southern Song(南宋) period, and it might become the most popular name due to Zhuxi (朱熹), a famous confucian scholar in the Southern Song dynasty. In Yuan(元) period, it almost become the fixed name for the main lecture hall at local confucian schools, and even the official government documents began to use it as a common noun since the beginning of Ming(明) dynasty.
        4,300원
        9.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의 고속국도 역사는 50년 전부터 시작되었다. 그러나 고속국도의 주요 시설물들 자체에 대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그래서 분기점에 이어 휴게소의 분포 및 명칭 특성을 분석하였다. 231개 휴게소의 분포 특성을 분석한 결과, 노선별 단순 총수 및 단위 거리 당 휴게소 수는 모두 주요 간선 노선들에 많았다. 지역별로는 대도시 및 인근 지역보다 도 지역에 더 많았고, 분기점과 달리 산포하는 특성을 보였다. 면적 대비 휴게소 수는 경부축선 상에 많고, 인구 대비 휴게소 수는 도 지역에 많았다. 136개 휴게소의 명칭 특성을 분석한 결과, 어종은 89.7%가 한자어였으며, 평균 음절수는 2.75음절로 상당히 짧고, 지수분포 를 보였다. 명명 유연성 측면에서는 행정구역명 관련 분기점 명칭이 66.7%로 가장 많았고, 결합지명이 19.3%로 다음을 차지하였다. 최근 제정되었거나 변경된 휴게소 명칭의 다수가 결합지명인데, 이용객들의 불편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5,700원
        10.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의 고속국도 건설 역사는 이미 50년이 넘었다. 그러나 고속국도의 주요 시설물들 자체에 대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주요 시설물 중 운전자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분기점의 분포 및 명칭 특성을 분석하였다. 2020년 6월 현재 108개 분기점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선별 단순 총수는 주요 간선 노선들에 많지만, 단위 거리 당 분기점 수는 단거리 노선에 훨씬 더 많았다. 지역별로는 경기, 경남 등 대도시 주변에 집중되어 있었는데, 면적과는 달리 인구 대비 분기점 수는 오히려 더 적었다. 분기점 명칭의 어종은 99.1%가 한자어였으며, 평균 음절수는 2.17음절로 매우 짧고, 지수분포를 보였다. 명명 유연성 측면에서는 행정구역명 관련 분기점 명칭이 87.0%로 압도적이었으며, 그 중에서도 읍・면・동 관련 명칭과 시・군・구 관련 명칭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어종, 음절 및 명명 유연성 특성은 행정구역명을 우선적으로 따르는 「시설물 명칭 부여 기준」의 영향이 크다.
        4,200원
        11.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aming script has its rationale, and thus the script name with symmetry reflects some differences and connections among its function, evolution, and propagation. Some scripts reflecting the divergence in its function mirror users’ gender differences, different use areas, the discrepancy between the folk script and formal one, and whether it is official or not. Others reflecting its evolution show that the new script has improved on the basis of the old one. Others again reflecting its propagation give an expression to the connection of character sources, object writing, and character morphology.
        4,900원
        13.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a nomenclature and a code number for fruit commodities from the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Codex) corresponding with a commodity name used in South Korea. In addition, nomenclature or classification for commodity that needs an alteration or detailed examination domestically was determined. In this study, ‘Food Code (Korean and English version)’ and ‘Pesticide MRLs in Food’ from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nd ‘Codex Classification of Foods and Animal Feeds’ were used. As results, regarding a nomenclature or classification used in South Korea, it appeared that alteration or further examination was needed for the following (English name of commodity, coming from an English version of Food Code). First, reconsiderations for classification of Chinese matrimony vine, fig, five-flavor magnolia vine, and pomegranate are needed as they are classified differently between Korea and Codex. Second, in any case of Korean or English language, nomenclature of commodity is different even within Korea or when it is compared with Codex. Such commodities are: Asian citron, Chinese bush cherry, Chinese matrimony vine, coconut, crimson glory vine, date palm, five-flavor magnolia vine, five-leaf chocolate vine, Japanese apricot, Japanese cornelian cherry, jujube, kiwifruit (golden kiwi), Korean black berry, Korean raspberry, kumquat, lychee, mandarin, persimmon, plum, quince, raspberry, and trifoliate orange. Third, reconsiderations for peach and raspberry nomenclatures are needed as it is currently unclear whether ‘peach’ includes nectarine and an English nomenclature, ‘raspberry’, is used in Korea for both various varieties (red, black) and one specific variety.
        4,000원
        14.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etailed names and meanings of Korean stone pagodas have not yet been properly studied or clearly defined. Therefore, an aim of this report is to compare the detailed name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stone pagodas by focusing on content used previously by Ko and his students and content that is currently in use (i.e., since the Japanese colonial era). Additional objectives are to assess the significance of these names and propose an appropriate detailed draft regarding names of stone pagodas. The discussion will proceed by dividing the stone pagoda into three parts: the podium, main structure, and finial. First, the content in Luo Zhewen(羅哲文)’s “Ancient pagodas in China(中國古塔)” (1985) is considered; then, “朝鮮の石塔” (1943)—published b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is explored. The thesis written by Yu-Seop Ko regarding Korea’s first stone pagoda and the content in “A Study of Korean Pagodas(朝鮮塔婆의 硏究)” (1948), which contains Yu-Seop Ko’s posthumous works published in book form by his student Su-Yeong Hwang, Heu-Kyoung Kim are examined. to pagodas that are used today, are compared and reviewed. Since Korea, China, and Japan influence each other, pagoda-related terms are shared to some extent. In this study, these were applied to stone pagodas, and names used thus far that have not drawn criticism were studied and proposed as suitable alternatives.
        4,600원
        15.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곤충 머리에 있는 subgena (아랫뺨)와 clypeus (두순)는 연속된 피부판으로 통칭하여 peristome (입둘레판)으로 일컫는다. 따라서 subgenal sulcus (아랫뺨선)는 peristomal sulcus (입둘레홈) 또는 cranial-stomal sulcus (두개-입선)로 개정한다. 집파리류 성충 머리에 있는 ptilinal suture (이마주머니선)는 ptilinal fissure (얼굴주름)로 개정한다. 가슴에 있는 wing process (날개돌기)는 등판에 있는 것은 notal process (등판돌 기), 옆판에 있는 것은 pleural process (옆판돌기)로 각각 개정한다. 곤충 몸 아래쪽을 지칭하는 영역을 복부는 ventum (배판), 가슴은 sternum (가 슴판)으로 각각 지칭한다.
        16.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한제국 칙령 제41호에 명시된 석도(石島) 명칭과 독도(獨島)와의 관련성을 밝히기 위한 연구는 상당한 진척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측 연구자들은 여전히 칙령 속 석도 명칭이 독도라고 보기는 어렵다는 주장을 되풀이하고 있다. ‘석도=독도’에 대한 선행연구는 주로 순한국말과 한자 표기와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독섬(돌섬)이 석도나 독도와 같이 표기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렇지만, 한국어 활용에 익숙하지 않은 외국인들이 한국어와 한자표기와의 관계를 이해하기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제3자의 눈에 비친 조선후기 독도 명칭의 용례를 밝히고, 이러한 사실이 오늘날의 독도영유권 논거에 주는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즉, 독일인 지도학자 시볼트의 「한국전도」에 표기된 독도(Tok to) 명칭을 조선후기 고지도 및 현대 북한지도 속 석도 명칭과 비교함으로써 석도 명칭과 독도와의 상호 관련성을 좀 더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측면에서 다루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조선후기에 한국에서는 독도라 부르던 섬을 지도와 문서에는 석도로 표기했던 사실이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는 칙령 속 석도 명칭이 독도를 지칭하였다는 역사적 사실을 더욱 확고하게 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4,000원
        17.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강희안의 <고사관수도(高士觀水圖)>는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 되어 있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조선 초기 안견파(安堅派) 화풍이 풍미하 고 있던 당시와는 달리 색다른 경향의 화풍을 보이고 있다. 이런 화풍을 선도하는 강희안은 이 작품에서 활달하고 세련된 필치(筆致)로 문인사대 부의 기품을 함축적으로 표현하는 새로움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사관수도(高士觀水圖)>에서 나타나는 수석(壽石) 소재의 관점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 그림은 너무나 유명한 그림으로 전해오기에 후대에 그림 제목, 즉 명칭을 제명(題名)할 당시에 무엇보다 그동안‘물을 바라보는 있는 고사(高士)’라는 해석이 일반적으로 되어있 었던 그 시대 상황과, 이와 비슷한 유형의 동시대 풍속화 등의 제목을 참 고하여 이 그림에 대한 명칭을 제명(題名)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불리어져 온 명칭을 수용하면서, 그림에 등장하 는 수석 소재의 인식을 중점으로 새로운 작품 명칭을 제언하고자 한다. 이 그림에서 고사가 바라보는 것은‘물(水)’만이 아니고, 물 위에 드러나 있는‘괴석(怪石)’으로 표현된 수석(壽石)을 바라보고 있다는 것이 본 연 구의 논지이다. 여기에서는 옛 그림 한 점을 놓고 작가는 어떤 사람이었 는지, 그림이 그려 질 당시에 작가의 시대적 상황은 어떠했는지, 또한 작 가가 그림을 통해 무엇을 표현하고자 했는지를 미학적 방법으로 접근한 다. 특히 조선시대 문인사대부들의 애석(愛石) 취미생활 등의 환경적 요 소와, <고사관수도(高士觀水圖)>작품에 나타난 구도상의 조형성 등을 고려하여 본 연구자가 여러 정황을 내놓음으로써 이 작품 명칭을 새롭게 제시하고자 한다.
        5,500원
        18.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can learn about and sum up the spread history of Chinese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in East Asian countries according to the literature of other ancient books. But as a dictionary in ancient Korea, Zilei zhushi (《字類註釋》) completely recorded historical information of material and spiritual culture depending on its selectivity, model, practicability, learning, accuracy and objectivity characteristics at that time. Names of the instruments it recorded not only reflect the historical introduction process of the Chinese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in South Korea, but also represent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Chinese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in the ancient Korean. By using the Chinese Dictionary in Ancient Korean and referring to Chinese classics literature dictionaries, this paper attempts to focus on examining collection, classification and characters of the musical instrument names and further discussing the spread track of Chinese traditional music culture and Chinese character culture in East Asia.
        6,300원
        19.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司饔院의 分院官窯는 조선 도자기 역사의 연구에서 가장 핵심적이 고도 근원적인 연구 주제이다. 분원 관요를 준거로 하여 시기구분을 비 롯한 도자 양식 연구 및 官職연구, 관요의 명칭 문제 등 여러 세부 주제를 이끌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조선 왕실의 정책의 단면을 파악하고 문화와 생활 등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선 분원 관요의 연구가 필수적이다. 주지하듯이 분원 관요는 朝鮮前期에 京畿道廣州일대에 설치되어 조선 말 민영화되기까지 조선 왕실과 궁궐 및 관청에 도자기를 납품한 막중한 임무를 수행했다. 따라서 국가의 정책이 곧 관요의 도자기 제작 과 양식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는 구조였다. 관요를 중 심으로 왕실 및 궁궐자기가 대량생산되었고, 관요 백자 양식이 탄생했 으며, 도자기 제작 판도에도 변화가 일어 분청사기가 쇠퇴하고 백자가 성행했다. 그러므로 이 글의 목적은 분원의 개념과 명칭 및 설치시기에 대한 학 계의 공통된 견해를 수렴하여 통합된 학설을 세우려는 것이다. 따라서 196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의 분원 관요에 대한 학술적 성과, 즉 官窯 址의 발굴과 지표조사, 특별전, 학술대회 등의 주요 성과를 연대별로 정 리했다. 아울러 전문 연구자들의 논저를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검토한 시대는 조선 초부터 분원 관요가 설치되고 조선 말 민영화되기 전까지 다. 학술적 성과는 국립중앙박물관, 국립문화재연구소, 경기도박물관과 경기도자박물관(구 조선관요박물관),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해강도자 미술관을 주축으로 한 국공사립기관의 참여와 활약으로 축적되었다. 학 술 활동이 가장 왕성했던 시기는 1990년대와 2000년대였고 2010년대는 2015년 현재까지 다소 저조한 편이다. 광주 관요 출토의 중요한 도편은, ‘內用’명 백자편, ‘見樣’명 백자편, 기린문 청화백자편, 운룡문 청화백자편, ‘좌’ 또는 ‘우’명 백자, 각종 干支 및 숫자가 기명된 백자편, 중국 연호명 백자편, 각종 点刻銘백자편 등 이며, 이를 근거로 편년이나 도자 양식의 규명이 가능했다. 분원 관요의 개념과 명칭에 대해 학계의 주요 논저에서는, ‘司饔院이 세운 沙器製造場으로서 조선 전기부터 존재한 조선을 대표하는 최대의 관청수공업장’이라고 정의했다. 즉 분원은 사옹원이라는 관청이 세운 가 마이며, 이를 압축하면, 본원인 사옹원의 분원이다. 아울러 ‘광주 분원’, ‘광주 분원 관요’, ‘광주 沙器所’, ‘광주 燔造所’, ‘광주 磁器所’, ‘분원 번 조소’ 등이 조선시대의 명칭을 계승한 것이다. 조선시대의 관찬기록에 의하면, 번조소와 자기소는 주로 광주 분원 관요에 한하여 지칭한 명칭 이었다. 이에 반해 사기소는 전국적으로 분포한 가마를 지칭할 때 두루 사용된 명칭이었다. 또한 분원의 설치시기에 대해서는 필자가 1467년 4~12월이라는 연대를 발표하였다(본문 각주 16).
        9,5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