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th a view towards reducing traffic accidents on roadways, various methods have been considered to predict accidents. In this study, we analyze traffic accident frequency models that employ fixed- and random-parameter negative binomial approaches. Random parameters enable the inclusion of unobserved heterogeneity in traffic accident data, which current popular methods with fixed parameters such as Poisson or negative binomial models cannot consider in terms of time variation or segment-specific effects. A continuous, unbalanced panel of accident histories for 208 four-way signalized intersections on national highways in Seoul was used to estimate a traffic accident occurrence model that considered traffic volumes and various geometric characteristics at intersection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left-turn exclusive lanes and traffic volumes on minor roads had random parameters that affected the likelihood of accident frequencies differently; the other variables were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traffic safety at the intersections on the national highways as fixed parameters.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ame traffic safety facilities have different effects on traffic accidents on major and minor roads. The insights from this study suggest the need for a broader analysis of integrated guidelines for facilities that impact intersection accident propensiti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atterns of vocabulary composition changes by conducting a quantitativ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vocabulary included in Sejong Korean (2011-2013) and Sejong Korean (2022), a standard textbook serie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d a comprehensive survey of index vocabulary from both textbook versions, followed by systematic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vocabulary volume, part-of-speech distribution, vocabulary type composition, and grade-level consistenc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revised edition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otal vocabulary. The proportion of Sino-Korean words decreased while native Korean words and loanwords increased. Content-wise, traditional culture-related vocabulary decreased while modern leisure activity-related vocabulary increased, with a notable shift from vocabulary focused on foreign culture to vocabulary related to tourist attractions in Seoul. These changes are analyzed as results of Sejong Institute’s curriculum diversification, its pursuit of universal Korean language education goals, and reflection of contemporary demands. This research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fu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vocabulary selection and textbook development direction.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 독거노인의 여가활동과 가족관계에 나타나는 문화적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독거노 인의 삶의 질과 정신건강을 이해하는 데 있어 여가와 가족관계 가 갖는 역할을 포스트모더니즘 교육철학과 노년학 이론의 틀 속에서 해석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비교사례분 석을 병행하였으며, 한국은 통계청과 KCI 등재 학술지 자료를, 일본 은 JAGES 프로젝트와 국제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 집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은 여가활동이 개인적 정서 치유와 소 일거리에 치중하며 가족관계의 약화가 사회적 고립으로 이어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면 일본은 제도적으로 뒷받침된 지역 커뮤니 티 참여가 활성화되어 독거노인의 정신건강 증진과 고독사 예방 에 기여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은 독거노인의 여가활동을 개인 중심에서 공동체 중심으로 확장하고, 가족관계 약화를 보완하는 지역사회 기반 지원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독거 노인의 삶을 문화적 차원에서 조망하여 학문적 기여를 하였으며, 초고령사회에서 정책적·실천적 대안을 제시하는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compare with seismic fragility assessments for a low-rise RC piloti structure using the Capacity Spectrum Method (CSM) and the Incremental Dynamic Analysis (IDA). Distribution-parameters were estimated using the Method of Moments (MoM) and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LE). For given limit states defined by FEMA 356, two seismic fragility assessments yielded different medians and dispersions: the CSM produced steeper in the slopes of fragility curves with smaller dispersions, whereas the IDA captured wider response scatters and broader dispersions. When fitting the fragility curves, the MLE scheme provided to well match with the empirical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CDF) than the MoM scheme, which understated dispersion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gap between statutory calculation standards and actual field conditions in estimating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Expenses (OSHME) for large-scale construction projects. The current fixed-rate method, based on construction type and cost, fails to account for on-site factors such as project complexity, duration, and workforce structure, often leading to discrepancies between estimated and actual costs. To address this, data from 21 completed projects over KRW 5 billion were analyz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variables including material and labor costs, project duration, floor area, number of floors, and the number of safety personnel.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calculated and actual OSHME, and the proposed model explained 95.3% of the variance (R2 = 0.953). Variable selection techniques were applied to improve prediction accuracy by addressing multicollinearity. The model offers practical value for early budgeting and supports policy improvements that align safety expenses with real on-site needs,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This study compares four major Korean hate speech corpora to analyze differences in target group categorization and the impact of construction methods.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rtions of key target groups— gender, origin, physical traits, and ideology—vary greatly depending on how the corpus was compiled. In particular, keyword-based data sets revealed a notably higher focus on gender, with the influence of data collectors’ subjectivity and contemporary social issues clearly reflected. Furthermore, by analyzing the intersectionality and exclusivity of hate speech, we identified complex interconnections among target groups and challenges in classification arising from contextual usage. The study recommends the development of theme-specific and context-aware corpora to accurately capture these features.
산림지역에서 강우는 수관층을 통과하면서 입자의 크기와 낙하 속도가 변화하게 되며, 이로 인해 수관통과우는 임외우와는 다른 물리적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특성은 산림 내 토양침식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수관통과우 의 특성에 대해 명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광학우적계의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임외우와 수관통과우의 강우입자 크기 분포 및 운동에너지를 비교ㆍ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 내 잣나무림, 참나무림 및 공개지에 각각 1대씩 총 3대의 광학우적계를 설치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중앙부피직경(D50, 평균±표 준편차)은 착엽기의 참나무림(4.20±0.61mm), 잣나무림(3.68±1.04mm) 및 낙엽기의 참나무림(2.32±0.45mm)의 수관통 과우의 순으로, 모두 임외우(1.98±0.76mm)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강우입자의 직경별 부피비는 모든 임분의 수관통 과우가 약 3.0~3.5mm 이상의 직경에서 임외우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강우운동에너지는 강우입자의 크기 분포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며, 동일한 강우강도 대비 착엽기의 참나무림, 잣나무림, 낙엽기의 참나무림 및 임외우의 순서로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수관통과우가 잎과 가지에서의 비산과 집적으로 인해 임외우와는 다른 강우입자 크기 분포를 보이며, 임지에 더 강한 운동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산림에서 발생하는 토양침식의 예측 정확도의 제고를 위해 산림의 임분구조에 따른 수관통과우의 입자 분포 특성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지리적으로 가깝고 문화적 영향을 공유하는 국가인 한국과 일본은 식품 매개 질병 발생에 기여하는 상호 연결 된 식문화와 소비 패턴을 보인다. 이 연구는 위해 요인, 원인 시설, 원인 식품 및 계절적 변화에 초점을 맞춰 2014 년부터 2023년까지 한국과 일본에서 보고된 식품 매개 질 병 발생을 비교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일본은 2022년에 식 품 매개 질병 발생률이 0.005%로 상당히 감소한 후 2023 년에 0.009%로 약간 증가했다. 반면 한국은 2018년에 0.022%로 초기에 급증한 후 2020년에 0.005%로 감소한 후 2023년에 0.017%로 증가했다. 위해 요인의 경우 한국 에서는 박테리아 물질이 우세하여 발생의 37.0%, 질병의 69.4%를 차지했으며 발생률은 여름철에 최고치를 달성하 였다. 일본은 바이러스 비율이 더 높아 질병의 50.7%를 차지했고, 기생충은 덜 흔하지만 발병의 31.7%를 차지했 다. 원인 장소는 주로 레스토랑과 관련이 있었으며, 한국 의 경우 사례의 59.5%, 일본의 경우 53.1%를 차지했다. 계절적 추세는 박테리아 감염이 여름에 현저하게 급증하 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일본에서는 생선, 조개류, 복합 식품이 식중독 발병에 주요 원인 식품으로 나타났다. 이 러한 결과는 한국과 일본 간의 식품 매개 질병에 대한 공 통점과 뚜렷한 추세를 모두 보여주며, 두 나라의 식품 안 전 정책을 강화하는 데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s of factors related to physical fashion brands’ sales promotions on consumers’ reactions and purchase intentions, while also determining the differences in these effects according to the consumers’ generations and genders.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study used SPSS and AMOS 25.0, with frequency analysis, EFA, reliability analysis, CFA, SEM analysis, and multiple-group comparison analyses also performed. The results of multiple-group comparison analyses of the generation groups showed that the effects of consumers’ affective reactions on their purchase intentions differed between the MZ generation(a generational group comprising the millennial generation and Gen Z) and active seniors, with the influence on the active seniors group greater than on the MZ generation group. The effects of cognitive reaction on purchase intention also differed between the two groups, with the influences on the active seniors group again greater than on the MZ generation, moreover the result was significant only for the active seniors group. The influence of affective reactions on purchase intention also differed in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of gender groups, with the impact greater for male consumers than for female consumers. Finally, the effect of cognitive reactions on purchase intention was greater for female consumers than male consumers, with the result significant only for female consumer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recommends adopting different sales promotion strategies for each consumer group to induce positive purchasing behavior.
본 연구는 외부 환경이 부모코칭 프로그램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사회 적 위기 상황인 코로나19 팬데믹(COVID-19 pandemic) 전후의 변화 양상을 통 해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생태학적 체계 이론과 사회적지지 이론, 행동 변화 이론을 분석 틀로 사용하여 2015년부터 2025년 2월까지 출판된 74편의 논문을 분석하였고, 부모코칭 프로그램에서 설정된 주요 목적과 핵심 주 제, 부모코칭 프로그램에 적용된 운영 방식과 구성 형태, 부모코칭 프로그램에 서 활용된 코칭 요소 및 적용 방식의 변화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팬데믹 이 후 부모코칭 프로그램은 팬데믹이라는 거시체계의 변화에 부응하는 다각적 주 제가 대두되었고, 비대면·맞춤형 운영 방식이 등장 및 확장하였으며, 실제적인 코칭 요소의 적용이 프로그램에 반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팬데믹이라는 외부 거시체계의 영향으로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설 계와 방향성이 재구성되는 과정을 실증적 자료를 통해 규명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나아가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부모코칭 프로그램의 설계에 이론적 기반 및 실용적 방향성을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는 중앙아시아의 난민 보호를 (1) 수용 역량, (2) 국제 기준과 의 법·정책적 정합성, (3) 재정적·제도적 기여라는 세 가지 차원으로 구 성된 부담 및 책임 분담 프레임워크를 통해 분석한다. 카자흐스탄, 키르 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5개국을 비교한 결과, 국가별 난민 보호에 대한 관여 수준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타 지키스탄은 가장 많은 공식 등록 난민을 수용하고 있으며, 카자흐스탄은 난민 유사 상황에 처한 인구가 가장 많다. 1951년 난민협약과의 법적 정 합성은 국가별로 상이하며, 재정적 기여는 제한적으로, 카자흐스탄과 키 르기스스탄만이 UNHCR에 재정 지원을 하고 있다. 그러나 다섯 국가 모 두 난민에 관한 글로벌 콤팩트(Global Compact on Refugees)에 참여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앙아시아 국가들이 역량과 정치적 의지 면에서 차이를 보이지만, 난민 책임 분담 접근 방식은 점진적으로 진화하고 있 음을 보여준다.
중국의 공회와 북한 직업동맹이 걷고 있는 길, 혹은 장래 전망은 각각 의 나라들이 처해 있는 국가-노동관계와 사회경제적 환경에 영향을 받는 다. 개혁개방 이래 중국 공회는 노동자 권리대변조직으로서의 역할을 해 야 한다는 대중의 압력에 놓여 있다. 공회 조직과 중국공산당은 공산당 영향 아래 관리가능한 국가-노동관계의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이에 반 해 북한의 직업동맹은 큰 변화 없이 조선노동당의 동원조직, 사상교양단 체로서의 역할에 매몰되어 있다. 직업동맹의 변화 가능성은 없는 것인가. 있다면 그 동인은 무엇인가. 시장화가 확산되는 조건, 평균주의에 대한 비판과 물질적 유인요인의 강화, 경제경영관리 정책 등 환경 변화는 직 업동맹 변화의 가능성을 높인다. 그러나 비일관적인 개혁노선, 수령 중심 의 경직된 정치체제, 노동자 대중 저항의 미약함, 국제노동권 규범을 받 아들이게 하는 관여 및 압박 수단의 부재는 직업동맹 변화를 어렵게 한 다.
중국어에서 “你什么时候来了?”와 같은 ‘의문사+VP+了’ 형식의 표현은 ‘是……的’ 구문의 오류 유형 가운데 하나로 다루어지는데, 사용 맥락과 화자의 의도에 따라서 자연스러운 표현이 되기도 한다. 의문사와 ‘了’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문장은 ‘是…… 的’ 구문과 비교해 볼 때, 초점 범위와 담화 전제에 차이를 보이며 본질적으로 상이 한 화용적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了’는 의문사 구문의 초점 구조를 재 편성하며, 주로 ‘의외성’과 ‘반문’의 의미를 함축한 간접화행으로 실현된다. 화용적 측 면의 역할에 맞춰 ‘是……的’ 구문과 ‘의문사+VP+了’ 구문을 이해하자면, 전자는 정 보의 전달에 초점이 있고, 후자는 감정과 태도의 전달에 초점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각각 담화적 필요에 의한 사용이라는 점을 강조한 이러한 분석은 학습자에게 서 자주 보이는 ‘了’의 대치로 인한 오류를 줄이고 차별적 활용 원리를 제시할 수 있 으며, 문법 현상을 파악하는 데에 화용적 맥락의 인식에 대한 교육의 중요성을 시사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differences in Chinese receptive vocabulary size and perceived lexical difficulty among three group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Chinese majors, liberal arts students studying Chinese, and students with no formal exposure to Chinese. A total of 156 participants completed a 47-item Vocabulary Level Test (VLT) based on HSK levels 1–5.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and Item Response Theory (IRT).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Chinese majors demonstrated the highest lexical competence, followed by liberal arts students and then non-learners. Notably, non-learners achieved a mean accuracy rate of 38.30%, likely due to the influence of Sino-Korean cognates. IRT analysis further indicated that Chinese majors perceived the items as relatively “easy,” liberal arts students as “difficult,” and non-learners as “very difficult.”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critical role of linguistic and cultural familiarity—particularly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s—in facilitating vocabulary comprehension. The study advocates for differentiated instructional strategies tailored to learners’ backgrounds and calls for future research involving students from non-Sinographic language backgrounds to enhance the generalizability of the findings.
Volatile fatty acids (VFAs) are designated as offensive odor substances, and they are known for their strong polarity and adsorptive properties, which can lead to significant losses during sample collection and analysis. This study evaluates two analytical methods currently outlined in the odor process test standards, alongside an analytical system utilizing adsorption tubes and another system that uses ion chromatography (IC). Furthermore, suitable analytical methods were proposed for analyzing concentrations below the odor threshold and emission limits. When assessing SPME-GC/FID, SPME-GC/MSD, TD-GC/MSD, and IC based on the internal quality control standards specified in the process test standards, all methods were found to have met these criteria. The absolute injection amounts (1 atm, 25oC) satisfying the emission limits ranged from 3 to 95 ng, while those that met the odor thresholds ranged from 0.2 to 6.5 ng. Based on these criteria, analytical systems suitable for the specified concentration range and odor thresholds were identifi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nalytical systems confirmed to be suitable for quantifying limits were TD-GC/ MS and IC. 2. In terms of recovery and precision, both TD-GC/MSD and IC were found to be suitable. 3. Regarding detection limits, both previously mentioned systems were satisfactory. 4. Finally, concerning quantitation limits, both systems were adequate; however, TD-GC/MSD slightly exceeded the odor threshold analysis range for propionic acid by approximately 1.5 ng. The odor thresholds for the four VFAs were converted to absolute quantities (1 atm, 25oC), confirming that the IC system met the following criteria: (1) calibration range and curve, (2) accuracy and precision, and (3) instrumental detection and quantitation limits.
Before the fire brigade arrives at the scene, the fastest way for occupants to suppress a fire is by discharging water through indoor hydrant outlets equipped with electronically controlled valves or motorized valves, as these systems are designed to open automatically.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as follows: (1) Regard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valve operation times, system A had the shortest activation time of 6.74 seconds after the fire signal, while system J recorded the longest time at 13.4 seconds. (2) For angle valves (older model), system A had the shortest operation time of 10.2 seconds, whereas system I recorded the longest at 17.8 seconds. (3) For angle valves (newer model), system A again had the shortest activation time of 10.2 seconds, while system I recorded the longest at 17.8 seconds. (4) For motorized valve operation times, system A had the shortest activation time of 3.81 seconds, and system I the longest at 6.55 seconds. The observed differences in operation times ar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angle valves require manual operation by occupants, causing delays and slower valve opening, which increases activation times. In contrast, electronically controlled valves and motorized valves operate automatically, resulting in significantly shorter activation times.
본 논문에서는 동아시아 전통의 입지이론인 풍수 이론과 서구의 정원 도시 이론의 유사점을 비교 분석하고, 풍수가 지속 가능한 도시 계획에 있어 기여할 수 있을지를 살 펴보고자 한다. 풍수는 현대 도시 개발에 있어서 크게 활용되지 못하였는데, 풍수의 모 호한 주관성과 1900년대 이전까지 역사적으로 풍수가 묘지 선정에 집중적으로 활용되 어 미신으로까지 취급된 바 있다. 그러나 최근 학계에서는 풍수를 주거 공간과 도시 계 획에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한편, 산업 혁명으로 인한 도 시와 환경 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에벤에저 하워드가 고안한 정원 도시 모델은 그 핵 심 원칙에 있어서 풍수와 유사점을 보인다. 이러한 공통 원칙에는 도시와 농촌 공간 간 의 균형, 도시 중심지에 중요한 시설 배치, 자연 경계를 활용한 도시 팽창 억제, 환경친 화적인 교통 네트워크 등이 포함된다. 두 이론 모두 사람과 환경 간의 조화로운 관계를 추구한다는 점에서도 공통점이 있다. 현대 도시 개발 이론과의 이러한 공통점으로부터 풍수가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에 있어 활용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환경 요인을 바탕으로 절화용 국화 생장 예측을 위한 최적의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13개의 모델(Linear Regression, Lasso Regression, Ridge Regression, ElasticNet Regression, K-Nearest Neighbors (KNN), Support Vector Regression (SVR), Neural Network, Decision Tree, Random Forest, XGBoost, AdaBoost, CatBoost, Stacking)의 성능을 R2, MAE, RMSE를 평가 지표 로 비교하였다. 단일 모델 중에서는 Decision Tree가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R2값은 0.90에서 0.91 사이였다. 앙 상블 모델 중에서는 CatBoost가 가장 높은 성능을 보였으며 (R2=0.90~0.92) Random Forest와 XGBoost 또한 유사한 성 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트리 기반 앙상블 모델이 국화 생장 예측에 적합한 모델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