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 develop mushroom varieties for cultivating at low temperature on oak logs, a strain with a low fruiting body generation temperature was crossed with Di-mon to select for a line with excellent properties. Selection was followed by cultivation testing. From these studies, Heunghwa 1ho was identified. The optimum temperature for cultivating Heunghwa 1ho, was 13.3oC. The fruiting temperature range was 6.4~20.2oC, identical to that of the parent strain. Growth at 25oC for 7 days achieved optimal mycelial growth of 61.9±2.10 mm, superior to growth of the parent strain at this temperature. The cap shape of Heunghwa 1ho was convex, cap diameter was 57.8±8.31 mm, and cap color was brown. Heunghwa 1ho showed similar genetic traits to those of the parental strain. However, dry weight (20.1 kg/m3) and cap diameter and color are superior to those of the parent strain. The 3 year fresh oak mushroom yield was 113.8 kg/m3, superior to the respective yields of the parent strains JMI 10047 and JMI 90021 (92.5 kg/m3 and 66.4 kg/m3).
We developed a log-burying cultivation technique for Grifola frondosa using oak logs and surveyed its annual yield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G. frondosa log cultivation, the harvesting period of the ‘Yipsae1ho’ cultivar was delayed by approximately 10-15 days compared to that of the Dabak cultivar, and the fruit color of the ‘Yipsae1ho’ cultivar was dark brown, while that of the ‘Dabak’ cultivar was grayish brown. Yield of the ‘Yipsae1ho’ cultivar was 16.0 kg/㎡ in the first year, 15.4 kg/㎡ in the second year, 9.5 kg/㎡ in the third year, 4.6 kg/㎡ in the fourth year, and 4.6 kg/㎡ in the fifth year, while yield of the ‘Dabak’ cultivar was 12.3 kg/㎡ in the first year, 11.5 kg/㎡ in the second year, 12.7 kg/㎡ in the third year, 6.2 kg/㎡ in the fourth year, and 8.2 kg/㎡ in the fifth year. Total yield of the ‘Yipsae1ho’ cultivar (50.0 kg/㎡)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the ‘Dabak’ cultivar (50.8 kg/㎡). The optimum period for log-burying cultivation of Grifola frondosa is estimated to be 3 years.
표고 원목재배에 사용되는 자목은 벌채에서 재배임가 입고에 이르기까지 상하차, 적재 등의 작업과정에 서 수피손상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러한 손상이 표고재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표고균 접 종배양목의 수피손상부위를 조사한 결과, 수피손상부위는 해균이 오염되어 표고균이 생장하지 않았으며, 접종배양목 내부를 살펴본 결과 표피 손상부위내부에서 나무결을 따라 오염이 확산되었다. 벌채목의 수 피손상부위는 해균오염이 발생되고 이 부위로 인해 주변으로 해균의 확산이 발생되고 있었다. 입고된 참 나무 원목 294본에 대하여 수피손상을 조사한 결과, 본당 수피손상수 1~5개가 전체 본수의 10.2~23.8%였 으며, 본당 3개 수피손상이 23.8%로 가장 많았고 본당 6~9개까지 수피손상수가 많은 원목이 9.4%였다. 본당 수피손상율은 참나무 원목 294본에서 표면적의 손상율 5%미만의 원목이 83.3%로 가장 많았고, 손 상율 5~10%가 14.3%, 10~15%가 2.4%였다. 본당의 표피손상율은 적게는 5% 미만이나 많게는 15%까지 발생하고 있었다.
Five empirical farmhouses were selected to reduce the high temperature damage in oak mushroom cultivation using bed-logs. The cultivation facilities were categorized as follows: those having two blackout curtains or one blackout curtain and outdoor oak mushroom cultivation. The inequality of the indoor condition, oak mushroom hyphae rampant ratio, and fruit body production in each test condition was evaluated. 3oC was lower in indoor temperature of cultivation facility having two blackout curtains than one blackout curtain. Specifically, the indoor air humidity average of cultivation facilities having one or two blackout curtains was 10% lower than that of outdoor oak mushroom cultivation. This condition is not ideal for oak mushroom cultivation as continuous indoor humidity control is essential for producing good fruit bodies. The Inoculated bed-log surface and oak mushroom hyphae rampant ratio of bed-logs cultivated with two blackout curtains was superior to other tested conditions. The mushroom production ratio observed in facilities with two blackout curtains was 117-204% higher than those cultivated in facilities with only one blackout curtain. Furthermore, the mushroom production ratio increased in based on these findings, we recommended five cultivation facility models to reduce high temperature damage in oak mushroom cultivation using bed-log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echniques for thelog cultivation of Pleurotus pulmonarius. Soil landfill cultivation of the in plastic container boxes containing yield per log than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yield from both spawn Hyangsan” variety. In the caseof soil landfill cultivation in a shaded vinyl house, an Ailanthus tree gave a higher yield than that usingpoplar tree, and the yield of the Hosan” variety washigher than that of the Hyangsan” variety. With regard to proper tree species selection, willow and cherry trees were good for both the Hosan” and “Hyangsan” variet.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of physiological activites between Grifola frondosa of logcultivation(LC) and Grifola frondosa of bottle cultivation(BC). Total flavonoids content, total phenolics content, electron donatingability(EDA), nitrite-scavenging ability(NSA), SOD-like activity and inhibitory effect of Xanthine oxidase were examined. Thehighest value of total flavonoid content is 5.96±0.81 mg/g in water extract from Grifola frondosa of log cultivation at 40oC (LC-W40) but, one of total phenolics compound is 44.53±0.89 mg/g in water extract from Grifola frondosa of bottle cultivation at40°… (BC-W40). The EDA using DPPH of BC-W40 extract showed the highest value of 97.14±0.71%. Nitrite-scavenging abilitywas 62.55°æ0.36% in extract from Grifola frondosa of BC-W40 at pH 1.2. The value was SOD-like activity showed the highestvalue of 18.95°æ1.39% in extract from LC-W40.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was the highest value of 54.31±0.40% inextract from Grifola frondosa BC-W40, and dependent on concentrations. These results showed that a the antioxidant effects ofGrifola frondosa is excellent. However,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rifola frondosa were not depend on caltivation method regulary,and were different according to kind of solvents, concentraitions and physialogical factors examined such as EDA, SOD-likeactivity and NSA.
표고는 고가의 버섯으로 한국 시장에서 중요한 식용버섯 중 하나이다. 항암성분인 lentinan이 들어있기 때문에 약용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표고는 전통적으로 원목에 종균을 접종하여 배양하는 방식으로 재배가 되어왔다. 지금까지 표고에 관한 연구는 육종과 자실체 함유성분에 대하여 주로 이루어져왔다. 배지나 자실체 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재배환경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조사에서는 전남 진도에 소재한 원목표고 재배농가의 재배사 환경중 공기 중에 어떠한 진균이 존재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샘플링 당시 재배사내 온도는 약 28.0°C이고 습도는 78.1%였다. 공기중에 존재하는 진균은 Ascomycota 8종, Basidiomycota 2종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scomycota에 속하는 균은 Cochliobolus kusanoi, Ascochyta hordei, Penicillium viticola, Trichoderma harzianum, Discosia artocreas, Penicillium paxilli, Cladosporium cladosporioides, Bionectria ochroleuca로 분류가 되었다. Penicillium spp.는 표고재배에 있어서 오염균 내지는 경합균으로, Trichoderma spp.는 표고 재배에 있어서 강력한 사멸균으로 보고가 되어있다. 본 조사에서 분리된 Trichoderma harzianum은 표고와 대치배양에서 표고의 생육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asidiomycota에 속하는 균은 Trametes versicolor와 Perenniporia medulla-panis voucher로 동정되었다. 이 균들은 부후균으로서 접종목의 부후를 유발하여 표고 생육을 저해할 수 있다. 본 조사를 통해서 여러 진균류가 재배사 공기중에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지속적인 재배사내 공기질 모니터링과 관리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산느타리버섯(Pleurotus pulmonarius (Fr.) Quelet)은 담자균문, 주름버섯목, 느타리버섯과, 느타리버섯속에 속하고 갓은 미색 또는 약한 황갈색을 띄며 일반 느타리버섯에 비해 작고 폐모양이며 자실체는 여름∼초가을 사이에 활엽수의 죽은 부위에서 발생한다. 맛과 향이 좋고, 씹는 질감이 뛰어나며, 항염증, 항콜레스테롤 및 항고지혈증의 개선효과가 보고되어 있다. 현재까지 국내 육성품종으로 ‘호산’, ‘강산’, ‘향산’ 등 3종이 등록되어 있으며 병재배 위주의 품종개발 및 재배기술 연구가 주로 이루어져 왔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고품질 산느타리버섯 생산을 위한 원목재배에 대한 기술개발을 검토하였다. 원목은 가중나무와 미루나무 직경 15cm 내외의 길이 20cm 단목을 이용하였고, 품종은 ‘호산’과 ‘향산’을 이용하였으며, 재배방법에서는 콘테이너 상자(길이 50cm, 폭 35cm, 높이 30cm)내에 토양을 채워넣어 매립한 것과 비가림하우스내 토양에 직접 매립한 것으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콘테이너 상자 매립의 경우 ‘향산’은 원목당 수량이 340g 정도로 톱밥종균 접종처리와 액체종균 접종처리 사이에 수량의 차이가 없었으나 ‘호산’에서는 톱밥종균 접종 처리에서는 450g으로 수량이 높았으나 액체종균 접종 처리는 259g으로 낮게 나타났다. 원목을 비가림하우스내 토양에 직접 매립하였을 경우 미루나무 원목에서는 원목당 수량이 ‘호산’ 542g, ‘향산’ 401g인데 비해 가중나무 원목에서는 호산 1,052g, 향산 687g으로 미루나무에 비해 가중나무의 수량성이 우수하였다. 품종간 수량성은 미루나무와 가중나무 모두 ‘향산’보다 ‘호산’의 수량성이 각각 35% 및 65% 높게 나타났다.
잎새버섯 원목재배로서 비닐하우스 토양에 매립하여 재배한 결과 수확일은 다박 품종이 9월 13일에서9월 23일 사이로 잎새1호 품종에 비하여 15일 정도 빠르고 색택은 잎새1호가 더 진한 갈색이었다. 수량에서는 다박품종이 평방미터당 2012년 매립 시 11kg,2013년 매립 시 13.6kg이었으며, 잎새1호품종은 2012년 매립 시 15.3kg, 2013년 매립 시 16.6kg으로 잎새1호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컨테이너상자내 토양에매립하여 원목재배한 결과 수확일은 비닐하우스에서토양에 매립하여 재배한 결과와 같이 다박품종이 잎새1호 품종에 비하여 5일 정도 수확이 빨랐으며 자실체의 색택 또한 잎새1호 품종이 더 진한 갈색으로나타났다. 수량특성에서는 다박품종과 잎새1호 품종모두 상자당 수량이 1.2~1.4kg 사이로 큰 차이가 없었다.
표고 원목재배용 FM0726 균주는 2007년 모균주인 산조302호(중온성 품종)와 산조502호(저온성 품종)의 일핵균사를 선발하여 교잡육종법으로 육성된 교배균주로 균사생장 특성은 PDA배지에서 2 5℃가 최적 균사생장 온도이며, 균사생장 속도는 62.4mm/7일이다. 균사의 피막형성과 균총 색깔이 갈색으로 변하는 일반적인 특징을 지녔다. 표고버섯 특성조사(TG)에 의한 FM0726호의 자실체 특성으로 갓과 대의 위치는 중심생으로 측면 에서 갓 모양은 평반구형, 직경은 51.2㎜로 중소형이며, 색깔은 갈색을 띠었다. 갓 주름은 잘 발달되어 있고, 주름살의 측면 모양은 평활형이며, 버섯의 대는 기둥형으로 길이는 보통(41.6㎜)이고 대 굵 기는 13㎜로 조사되었다. FM0726 균주에 대한 균일성과 안정성 및 지역적응성 검증을 위해 3년간 중고온성∼중온성 주생 산지인 충남 아산, 충북 영동, 전북 완주 지역의 3개소에서 실증시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대조구 에 비하여 갓 색택이 짙은 단점은 있었으나 갓이 단단하여 저장성이 좋고, 발생량이 많아 생산 1∼ 2년차에 집중생산가능이 가능한 중고온성 품종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자실체는 중소형으로 형태와 크기가 균일하여 선별작업이 간편하였고, 직거래 및 소포장출하에 유리하다는 평이 일반적이었다.
잎새버섯(Grifola frondosa)은 분류학적으로 민주름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잎새버섯속에 해당하 고, 사물기생균으로 물참나무, 밤나무, 너도밤나무 등 활엽수의 고사목, 그루터기에서 늦여름부터 가 을에 걸쳐 자연 발생하는 버섯이다. 잎새버섯은 식용이면서 약리작용이 뛰어난 기능성 버섯으로 인 체의 면역세포를 조절하여 면역력을 증가시켜 암을 억제하며 AIDS 원인균의 HIV에 대한 억제작 용, 혈당강하작용, 혈압강하작용, 콜레스테롤 억제작용, 항산화작용 등의 기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 져 있다. 일본에서는 네 번째로 많이 재배되는 버섯으로서 참나무 단목을 이용한 원목재배나 참나 무 톱밥을 주재료로 봉지재배가 일반적인 재배방법으로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서 는 봉지재배나 병재배애 대한 연구는 일부 수행되고 있지만 원목재배에 대해서는 전혀 없는 실정이 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잎새버섯 원목재배 기술로서 하우스 토양 매립재배 및 컨테이너 상자 (가로 50cm, 세로 35cm, 높이 30cm) 매립재배시 자실체의 발생 및 수량특성을 조사하였다. 하우스 토양매립재배 결과 수확일자는 다박 품종이 9월 13일에서 9월 23일 사이로서 잎새1호 품종에 비해 15일 정도 빠르고 색택은 잎새1호가 더 진한 갈색이었다. 수량에서는 다박의 경우 평방미터당 2012년 매립이 11kg, 2013년 매립은 13kg이었으며, 잎새1호는 2012년 매립 15kg, 2013년 매립 16kg 으로 잎새1호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컨테이너상자 토양매립재배 결과 수확일자는 하우스 토양매 립 재배와 같이 다박이 잎새1호에 비해 5일 정도 수확이 빨랐으며 자실체의 색택 또한 잎새1호가 더 진한 갈색으로 나타났다. 수량특성에서는 다박과 잎새1호 모두 상자당 수량이 1.2∼1.4kg 사이로 큰 차이가 없었다.
현재 우리나라의 표고 재배임가 대부분이 이상고온 등 재배환경 변화에 따른 피해로 표고균의 초기 활착불량과 버섯 생산성 및 품질 저하에 의한 큰 피해를 입고 있다. 시설재배사의 고온피해 경감을 위하여 대표적인 원목 1중(비닐․차광) 재배사 내부에 2중 차광망을 추가 설치하여 1중 재배사와 임내 재배장의 온습도, 균사활착 및 버섯생산성을 조사하였다. 고온성, 중온성 품종 재배시설(폭 7m, 동고 3.6m)의 '09. 8월중 최고온도를 비교한 결과 내부 지붕 2중 하우스가 27.2℃, 임내 재배장이 27.4℃로 1중 재배사보다 평균 약 3~4℃정도 낮았고, 저온성 품종 재배시설(폭 7.4m, 동고 3m)의 경우에는 평균 약 1~2℃정도 낮았다. 평균 습도는 최고온도와는 달리 임내재배장에 비하여 1중, 내부 지붕2중 차광 재배사 각각 79.5%, 80.6%로 임내 재배장(90%)보다 더 낮아 1중 재배시설이 고온 및 건조에 의한 피해가 매우 심각하였다. 버섯 생산성(저온성 품종)을 비교한 결과 내부 지붕 2중 차광 처리구의 본당 버섯 생산량이 866.3g으로 1중 재배시설 424g보다 2배 이상이었다.
두 종류의 목질진흙버섯인 P. linteus 와 P. baumii 균주를 가지고 뽕나무, 참나무, 느릅나무 등 3가지 재배원목을 이용하여 자실체를 발생시킨 후 무기물의 함유량을 ICP 법으로 정량하였다. Ca은 2종의 균주 모두 뽕나무에서 발생한 자실체의 함유량이 300 ㎎/100 g 이상으로 참나무나 느릅나무에서 발생한 자실체보다 2~4배 높았으며, K은 2종의 균주 모두 참나무에서 발생한 자실체의 함유량이 600 ㎎/100 g 이상으로 전체 무기물 중 가장 많은 함유량을 보이며 참나무 및 느릅나무에서 발생된 자실체보다 2배 이상 높았다. 특히 Na은 2종 균주 모두 참나무에서 발생된 자실체가 10배 수준 이상 월등히 높게 함유되어 있어서 Ca, K, Na의 함유량 분석이 재배 원목을 구분하는데 매우 유용한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P. linteus와 P. baumii의 구분에는 linteus는 Fe의 함유량이 참나무 재배 자실체에서 유의성게 높았으며, baumii는 P의 함유량이 참나무 재배 자실체에서 200 ㎎/㎏ 으로 2배 이상 높게 검출되어 Fe와 P의 분석만으로 균주를 구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은 2종의 균주, 3종의 재배 원목에서 모두 80 ㎎/㎏ 이상 함유되었으나 다른 버섯류의 무기성분 연구에서는 분석되지 않은 무기물로 목질진흙버섯에만 함유되어 있는지는 앞으로 더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그 밖의 Cr, Mn, Cu, Zn의 분석으로는 극미량이 함유되어 있어 이들 성분으로는 균주 및 재배원목의 구분이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ICP를 이용한 무기물 함유량 분석이 P. linteus와 P. baumii 2가지 균주를 가지고 발생된 뽕나무, 참나무 그리고 느릅나무 자실체의 사용균주와 재배원목을 구분하는데 매우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표고 원목재배용 FM0974 균주는 2002년 모균주인 산 조502호와 산림4호의 일핵균사를 선발하여 교잡육종법 으로 육성된 교배균주로서 PDA 평판배지에서 균사생장 (63.6mm/7일)이 대조균주 산림4호(57.8mm/7일)보다 우 수하였고, 균사의 피막형성과 균총색깔이 갈색으로 변하는 특징을 지녔으며, 해균의 피해가 적은 내병성, 고온성 품종으 로 추정되었다. FM0974의 균주에 대한 균일성과 안정성 및 지역적응성시험이 경기 화성, 충남 천안, 충북 청원지역의 3 개소에서 진행되었다. 한편, 표고버섯 특성조사요령(TG)에 의한 FM0974호의 자실체 특성으로 갓과 대의 위치는 중심 생이며 측면에서의 갓 모양은 평반구형, 직경은 68.6mm로 중대엽형이며, 색깔은 갈색을 띠었다. 갓 주름은 잘 발달되어 있고, 주름살의 측면 모양은 평활형이며, 버섯의 대는 기둥형 으로 길이는 56.0mm로 보통이고, 대 굵기는 15.8mm로 조 사되었다. 임가실증시험을 통해서 3년간 수확량은 원목 1본 당 2.5kg이상이었고, 버섯 개체당 생체중은 25g이상이었다. <본 연구는 산림청 지원 연구비로 수행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