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se studies were conducted to evaluate developmental competence of follicular oocyte collected from the ovaries of Hanwoo cows with the high offspring meat quality (1++ and 1+ grade). Cumulus oocyte complexes from individual cows were matured, fertilized and cultured using protocols of in-vitro maturation (IVM), in-vitro fertilization (IVF) and in-vitro culture (IVC). The rates of blastocyst development from Hanwoo cows with the offspring meat quality grades of 1++ and 1+ were 18.6 and 21.2%, respectively. The rates of blastocyst development were 26.3, 20.7, 20.7, 17.2 and 31.2% from Hanwoo cows with the meat quality grades of 1++, 1+, 1, 2 and 3, respectively. Fiftyseven transferable embryos were recovered from 11 Hanwoo donor cows (5.2/head) with the high offspring meat quality grades of 1++ and 1+ in vivo, and the pregnancy rate after embryo transfer was 61.1%.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vitro embryo production from the ovaries of cows with the high meat quality grades using individual culture system can be used an efficient method for livestock improvement. In addition, for the successful industrialization of embryo transfer, conception rate should be improved.
본 연구는 한우 번식우의 다양한 사료급여 방법에 의한 사양환경에서 체내 수정란의 회수율을 조사하고 혈중 주요 대사성분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자가 관리하고 있는 강원도 횡성에 위치한 4 농가(A~D)와 경기도 이천에 위치한 1 농가(E)를 대상으로 18 년 7 월~9 월간 실험이 이루어졌으며 5 농가에서의 사료 급여는 각 농후사료 2 kg + 건초 2 kg + 사일리지 1 kg(A 농가), 농후사료 3.5 kg + 볏짚 무제한(B 농가), 농후사료 3 kg + 건초 3 kg 2 회(C 농가), 농후사료 3.6 kg + 건초 4 kg(D 농가), TMR 5 kg(E 농가)의 방법에 따라 이루어졌다. 각 농가별 혈중 주요대사물질 분석을 위해 수정란 채란 당일 경정맥을 통해 혈액을 채취하였고 분리된 혈청은 -20℃에서 냉동보관 후 혈액분석기를 통해 NEFA, Glucose, BUN, Cholesterol, AST, GGT 항목을 일괄적으로 분석하였다. 공란우의 과배란 유도를 위하여 CIDR-plus(InterAg, Hamilton, New Zealand)를 질 내에 삽입 후 7 일째부터 FSH 제제인 Folltropin-V(Vetrepharm, Canada)를 투여하였고 총 FSH 200mg 을 40mg, 30mg, 20mg, 10mg 의 용량으로 오전, 오후 각 2 회씩 점감적으로 주사하여 총 8 회에 걸쳐 12 시간 간격으로 근육에 주사하였다. FSH 투여 3 일째에 PGF2a 제제인 Lutalyse(Zoetis, Belgium)를 25mg 1 회 투여하고 CIDR-plus 를 제거하였으며 FSH 투여 개시 후 5 일째, 오전에 GnRH 제제(Fertagyl; Intervet, USA)를 250ug 투여하고 12시간 간격으로 인공수정을 2 회 실시하였다. 수정란의 채란은 2 차 인공수정 7 일 후에 balloon catheter 를 자궁 내에 주입 및 장착하여 1-way 방법인 DEC(Direct Embryo Collection)에 의해 이루어졌다. 회수된 수정란은 회수된 총 수정란수, 이식가능한 수정란 수를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회수된 총 수정란수는 A 농가 16±2 개, B 농가 36±3 개, C 농가 18±1 개, D 농가 12±1 개, E 농가 14±4 개로 확인되었으며 이식가능한 수정란수는 각 농가별 14±3 개, 22±3 개, 11±1 개, 6±3 개, 2±2 개로 조사되었다. 총 회수 수정란 대비 이식가능한 수정란의 이용효율은 A 농가가 87.7±3 %로 가장 높게 관찰되었으며 E 농가가 14.5±2 %로 가장 낮게 확인되었다. 공란우의 MPT 분석 결과, NEFA 는 A 농가 125.15 uEq/L, B 농가 185.40 uEq/L, C 농가 177.91 uEq/L, D 농가 103.53 uEq/L, E 농가 232.56 uEq/L 로 조사되었다. Glucose 는 각 농가별 48.00 mg/dl, 66.15 mg/dl, 68.73 mg/dl, 61.42 mg/dl, 39.74 mg/dl 로 분석되었으며 BUN 은 각 13.73 mg/dl, 15.07 mg/dl, 9.01 mg/dl, 16.64 mg/dl, 19.37 mg/dl 로 확인되었다. Cholesterol 은 각 179.85 mg/dl, 162.20 mg/dl, 142.36 mg/dl, 132.68 mg/dl, 152.95 mg/dl 로 분석되었으며 AST & GGT 는 85.00 & 17.60 IU/L, 78.75 & 17.50 IU/L, 75.95 & 22.91 IU/L, 79.26 & 13.42 IU/L, 89.58 & 21.89 IU/L 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체내 수정란의 이용효율과 MPT 분석결과를 비교하면 Glucose, BUN, Cholesterol, AST, GGT 의 경우 상관관계를 조사할 수 없었으나, NEFA 의 경우 체내 수정란의 이용효율이 14.3 %로 가장 낮게 관찰된 E 농가의 혈중 NEFA 농도가 232.58 uEq/L 로 가장 높게 관찰된 것이 차이점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농촌진흥청 연구 사업(세부과제번호:PJ012695032018)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본 연구는 한우 체외 수정란의 동결보존에 hyaluronate(HA), ethylene glycol(EG), glycerol(G), sucrose(S)를 사용한 동결배양액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체외 수정란 생산을 위해 도축장에서 회수된 난소로부터 미성숙 난자를 채취하여 체외성숙, 수정, 발달 배양을 실시하였다. 성숙배양은 0.5 ug/ml FSH, 5 ug/ml LH, 0.125% BSA(v/v)가 첨가된 mTCM199 배양액에서 38.5 ℃, 5 % CO2 의 조건으로 22 h 동안 실시하였으며 체외수정은 mTALP 배양액에서 38.5 ℃, 5 % CO2 의 조건에서 22 h 동안 이루어졌고 발달배양은 mSOFaa 배양액을 사용하여 38.5 ℃, 5 % CO2, 5 % O2 의 조건에서 이루어졌다. 동결에 이용된 수정란은 수정배양 후 7 일차의 배반포를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동결배양액은 대조군으로써 vigro 의 1.8M EG 에 0.1 M S 가 첨가된 제품을 사용하였고 처리군으로써 1.8M EG 배양액, 1.8M EG 에 0.1M S 와 1.7M G 이 첨가된 배양액, 1.8M EG 에 0.1M S, 1.7M G 및 0.0007 g/ml HA 가 첨가된 배양액을 사용하였다. 모든 처리군은 0.01 g/ml Albumax 가 첨가된 CJ buffer 를 동결배양액의 base 로 사용하였다. 동결방법은 0.25 ml 스트로에 장착된 수정란을 CL-8800i(CryoLogic)에 의한 –0.3℃/min 의 완만동결로 –32℃까지 냉각시킨 후 액체질소에 침지하여 실시하였다. 동결과정 중, -6℃에서 스트로의 말단 부분에 식빙을 실시하였다. 동결융해 후 생존율 조사를 위해 동결보존 중인 스트로 32℃의 온수에서 25 초간 융해를 실시하여 발달배양액에서 48 시간 배양하여 총 동결융해 수정란에 대한 재확장율 및 부화율을 통해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동결융해 후 재확장율은 대조군(EG+S)과 EG, EG+S+G, EG+S+G+HA 에서 각 90.1±0.5, 76.0±1.0, ±85.4±2.1, 84.9±0.5 %로 관찰되었으며 부화율은 80.2±1.0, 70.8±4.2, 74.0±1.0, 82.8±1.6 %로 확인되었다. 재확장율은 대조군인 1.8M EG + 0.1M sucrose 배양액에서 90.1±0.5 %로 가장 유의적으로 높게 관찰되었으며 부화율은 대조군과 1.8M EG + 0.1M sucrose + 1.7M glycerol + 0.0007 g/ml HA 처리군에서 각 80.2±1.0 %와 82.8±1.6 %로 가장 유의적으로 높게 관찰되었다(p<0.05). 추가적으로 본 동결방법에 의해 생산된 동결수정란의 수정란이식을 실시하여 수태율을 조사하고 있지만 결과가 부족하여 본 연구결과에서 포함시키지 못하였다. 하지만 수정란 이식과정에서 EG+S+G 처리군의 경우 30 분이 경과된 시점부터 다른 처리군보다 수태율이 감소되는 경향이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반면, glycerol 과 HA 가 함께 첨가된 다른 동결배양액의 경우에는 이러한 경향이 관찰되지 않았다. 다른 체외수정란의 발달연구에서 HA 의 첨가는 부화율을 증가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있는데 이러한 연구결과와 일치된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결과는 농촌진흥청 연구사업(세부과제번호:PJ012695032018)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Commercial applications of OPU/IVP were to produce embryos and calves from high genetic cows.The aim of this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number of recovered oocytes and cultured in vitro produced embryos from Ovum Pick-up (OPU). OPU derived embryo production was carried out of oocytes by ultrasonographic guided follicular aspiration and then produced in vitro produced blastocysts by IVP culture system. In result, the rate of recovered oocytes was obtained 612 (57.2%) and 451(73.7) G1+G2 grade oocytes. No difference of recovered rate (51.1~62.1%) was seen in six donor. The rate of cleavage and blastocyst development were obtained 320 (70.9%) and 78 (24.4%) that was 3.3±0.4 cleaved embryo and 0.9±0.2 blastocysts per session. Cleavage rate of OPU oocytes in No. 6 donor was 90.6%,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at in the other donors, However, blastocysts was similar (25.8~30.0%). In conclusion, limited numbers of OPU oocytes had competent development when cultured in SOF culture medium
소의 수정란 생산과 이식에 대한 연구는 한우의 개량과 증식 그리고 한우 유전자원의 안정적인 관리로 산업적 활용성을 증대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우의 생체 에서 난포란을 채란에 따른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생체난포란 채란 을 위한 한우 공란우는 한우연구소에서 사육중인 한우에서 실시하였다. 생체 내 난포란의 관찰은 MyLabTM30VETGOLD(Esaote, Genova, ITALY) 및 탐촉자(EC123; Micro-Convex 9∼3 MHz, Esaote, Genova, ITALY)는 6.6 MHz convex scanner를 사용하였고, 난포란 채란에 사용된 주사침은 19G 주사침을 사용하였다. Monitor Image에 고정된 2 mm 이상 의 난포에서 난포의 수량을 확인하고 난포란을 흡인하였다. 흡입된 난포란은 2∼3회 washing으로 혈액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실체현미경 하에서 회수하였고, 난포란의 등 급분류는 세포질 균일도와 난구세포의 부착 정도에 따라 평가기준을 1등급에서 3등급까 지 분류하였다.
회수된 난포란의 체외성숙배양은 TCM 199 기본배양액에 소 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0.5%와 LH, FSH, FGF, EGF 첨가하여 22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체외수정은 IVF 100(IFP, Japan) 배양액 50μl 미소적에 성숙 난포란 20개씩 넣어서 체외수정을 실시 하였다. 체외수정을 위해서 KPN 동결정액을 사용하였고 수정을 위한 정자의 최종 농도 는 2x106/ml로 6시간 동안 체외수정을 유도하였다. 체외배양은 조건은 5% O2, 5% CO2, 그리고 90% N2 와 38.5°C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수정율은 체외수정 후 48시간째 확인하였고 배반포 수정란 발달율은 체외수정 후 192시간째 확인하였다. 농후사료 급여량 에 따른 난포란의 회수효율은 2.0kg/일 급여시 초음파상에서 채취가능 난포란은 9.6개, 3.0kg일 때는 8.8개로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2.0kg 급여시에 다소 높은 난포란을 확인하였다. 생체 채취된 난포란의 체외배양에 따른 수정란의 발달율은 IVD 배양액에서 15.6%, CR1aa 26.2%, SOF 37.1% 발달율로서 IVD 배양액보다 SOF 배양액에서 유의적 으로(P<0.05) 높은 발달율을 보였다. 배양액 종류에 따른 동결 융해후의 생존율은 66.7%, 64.7%, 70% 각각 나타내었다. 생체난포란을 활용한 수정란이식을 위해서 체외배양시스템 의 안정적인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며 생체채취 난포란의 회수를 위한 시술자의 기술적인 숙련도가 상승되었을 때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시료된다.
난자생검(Ovum pick up, 이하 OPU) 기법은 유효축군 조기확보 및 우수한우 유전자 원의 조기증식, 희소유전자원 다량확보를 위해 매우 중요한 기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러한 OPU기술에는 체외배양기술 외에도 현장의 환경과 시기에 따라 회수되는 난자의 수 역시 중요하다. 현재, 가축센터에서는 한우의 유전자 다양성 확보를 위한 일반 한우 외에 도 희소한우 증식을 위한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본 연구는 OPU기법을 활용하여 가축 유전자원센터에서 보유중인 한우 또는 칡소를 대상으로 계절별 및 모색별로 난포란의 개 수와 난자회수율의 차이를 비교 · 검토하고자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시기는 3월에서 5 월(봄), 6월에서 8월(여름), 9월부터 11월(가을)까지 구분하여 실시하였으며, 계절별 및 모 색별로 채취되는 난자의 개수와 회수율을 분석을 하였다. 봄에는 8.20±6.57, 여름에는 5.47±4.01, 가을에는 5.88±3.65개가 회수되었으며, 또한 계통별로는 가을에 실시한 결과 한 우는 6.40±6.15개, 칡소는 2.75±0.55개가 회수되었다. 그리고, 계통별로 수정란발달률은 한 우는 난할률이 25.0±44.4%, 배반포발달률이 6.3±50.0%, 칡소의 경우 난할률이 27.3±21.0%, 배반포발달률이 9.1±16.7%로 나타났다. 계절별로 OPU를 실시한 결과 여름, 가을경에 실 시하는 것에 비해서 봄에 실시를 하였을 경우 회수되는 난자의 수가 많은 것으로 확인을 하였다. 그리고, 현재 일반한우가 칡소에 비해서 회수되는 난자가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되 었다. 이에 반하여 난할률 및 배반포발달률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향후 실 험진행에 따라 정확한 결과를 도출할 것으로 사료된다.
Sexed semen is commonly used for the production of calves of the desired gender. Gender selection is important in animal production industries. For example, female cattle are required for the dairy industry while males are preferred in the beef cattle industry. The present study was to assess the in vivo embryo production efficiency using the semen separated according to sex during superovulation in Hanwoo. Seventy Hanwoo donor cows were flushed on day 7 of estrus cycle with same FSH and artificial insemination by the same technicians. Embryos were recovered on 7 days after the third insemination by flushing the uterus with embryo collection medium. KPN semen straws used artificial insemination contained 20 million sperm (total number 60 million per donor). Sex-sorted semen straws contained 4 million sperm (total number 12 million per donor).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efficiency of superovulation rates on KPN semen 87%, and sexed semen 100%, respectively. The mean numbers of total embryos are each 12.58±8.31 and 13.25±7.86. The mean numbers of transferable embryos, sexed seme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KPN semen (3.75±1.98 vs. 8.23±6.07, P<0.05). The rates of unfertilized embryos from superovulation using sexed seme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KPN semen (50% vs. 15%, P<0.05). The rate of degenerated 2-cell embryos from sexed and KPN semen was 60.87% and 11.11%, respectively (p<0.05).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uperovulation using sexed semen was useful, but efficient embryo production was important to reducing the damage caused by the Flowcytometer-based sperm sorting procedu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system of OPU derived embryo production, management of recipients as well as offspring production. OPU derived embryo production system was carried out of aspiration of immature oocytes 2 times per week, total 24 times for 3 months by an ultrasonographic guided follicular aspiration system and then produced in vitro-produced blastocysts by in vitro maturation, fertilization and culture system. This work was collected total 13,866 oocytes, average 8.2±4.5 oocytes per session and 8,170 G1 + G2 grade oocytes, average 4.8 oocytes per session by 1,692 times session of total 71 donors for 4 years from 2010 to 2013. The rate of cleavage and blastocyst developmental competence were obtained 11,825 (85.3%) and 5,032 (36.3%) that was 7.0±3.8 cleaved embryos and 3.0±2.5 blastocysts per session. OPU derived embryo transfer were taken place in 2, 4, 6 and 7 local governments at 2010, 2011, 2012 and 2013 for 4 years and pregnancy rate were obtained 41.2, 43.9, 46.5 and 49.7% in each years. It means that pregnancy rate was continuously improved according of every year for 4 years. Pregnancy rat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individual local government in which was 62.7% in B, but 24.2% in F at 2012. Paternity identification was carried out total 26 offspring in C local government of 2012 and then confirmed 100% agreement of its analysis. In conclusion, the results obtained the possibility of mass production of elite cow embryos as well as offspring by OPU derived embryo production system, of which could be decreased the required time of genetic improvement.
Oxygen consumption is a useful parameter for evaluating mammalian embryo quality, since individual bovine embryos was noninvasively quantified by scanning electrochemical microscopy (SECM). Recently, several approaches have been used to measure the oxygen consumption rates of individual embryos, but relationship between oxygen consumption and pregnancy rates of Hanwoo following embryo transfer has not yet been reported. In this study, we measur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oxygen consumption rate and pregnancy rates of Hanwoo embryo using a SECM. In addition to, the expression of pluripotent gene and anti-oxidant enzyme was determined using real-time PCR by extracting RNA according to the oxygen consumption of in vivo embryo. First, we found that the oxygen consumption significantly increased in blastocyst-stage embryos (blastocyst) compared to early blastocyst stage embryos, indicating that oxygen consumption reflects the embryo quality (Grade I). Oxygen consumption of blastocyst was measured using a SECM and total cell number of in vitro blastocyst was enumerated by counting cells stained by propidium iodide. The oxygen consumption or GI blastocys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II blastocysts (10.2 × 1015/mols—1 versus 6.4 × 1015/mols—1, p<0.05). Total cell numbers of in vitro blastocysts were 74.8, 90.7 and 110.2 in the oxygen consumption of below 10.0, 10.0∼12.0 and over 12.0∼1015/mols—1, respectively. Pregnant rate in recipient cow was 0, 60 and 80% in the transplantation of embryo with the oxygen consumption of below 10.0, 10.0∼12.0 and over 12.0 × 1015/mols—1, respectively. GPX1 and SOD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over —10.0 group than below 10.0 groups but in catalase gen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other hand, In OCT-4 and Sox2, pluripotent gen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between the below-10.0 (0.98 ± 0.1) and over 10.0 (1.79 ± 0.2).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asurement of oxygen consumption maybe help increase the pregnant rate of Hanwoo embryo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survival rate of thawed Hanwoo embryos frozen by the slow-rate freezing or the cryotop vitrification method. Hanwoo cumulus-oocyte complexes were recovered from ovaries at a slaughter house, matured for 20~22 hours, fertilized with Hanwoo semen for 5~6 hours, and cultured for 7~9 days in 38.5℃, 5% CO2 incubator. For freezing, Day 7∼9 blastocysts were collected. Embryos for the slow-rate freezing were equilibrated in 1.8 M ethylene glycol (EG) with Dulbecco's phosphate-buffered saline (D-PBS). Programmable cell freezer was precooled down to —7℃, and the straw was seeded during 8 minutes-holding time, and was cooled to —35℃ at the cooling rate of 0.3℃/min, and then was plunged and stored in liquid nitrogen. Embryos for the cryotop vitrification were treated in TCM199 with 0.5 M sucrose, 16% EG, 16% dimethylsulfoxide (DMSO). Embryos were then loaded individually onto cryotop and plunged directly into liquid nitrogen. The survival rates of embryos frozen by these two freezing methods were evaluated at 12 to 24h post-thawing. The survival rates of frozen/thawed Hanwoo embryos by the cryotop vitrification method (56.86 ± 26.53%)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by the slow-rate freezing method (55.07 ± 26.43%)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Using the cryotop vitrification and the slow-rate freezing of Hanwoo blastocysts on Day 7 following in-vitro fertilization (IVF) treatment, the survival rates of frozen/thawed Hanwoo embryos were 72.65 ± 18.3% and 79.06 ± 17.8%, respectively. The survival rates by the cryotop vitrification were higher than those by the slow-rate freezing on both Day 8 and 9 with significantly higher survival rate on Day 9 (p<0.05). Using the cryotop vitrification and the slow-rate freezing of Hanwoo embryos to compare between three different blastocyst stages, the survival rates of the blastocyst stage embryos were 66.22 ± 18.8% and 45.76 ± 12.8%, respectively with higher survival rate by the vitrification method (p<0.05). And the survival rate of expanded blastocysts was higher than those of early blastocysts and blastocysts in two freezing methods with significantly higher
survival rate by the slow-rate freezing method (p<0.05).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parison of pregnancy rate and transferable embryos produced by genetically superior Korean cows (Hanwoo) of livestock farms. Eighteen Hanwoo donors were superovulated with gonadotropin for 4 days combined with Progesterone Releasing Intravaginal. Embryos were recovered 7 days after the second insemination by flushing the uterus with embryo collection medium.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efficiency of rate of superovulation in groups A (low nutrition) and B (highnutrition) it was observed to be 100.0% and 87.5%, respectively. The mean numbers of total embryos were 10.8±3.4 and 8.9±2.5, and transferable embryos were 7.5±3.3 and 4.0±1.5 in groups A and B, respectively. The pregnancy rates after embryo transfer were 23.5%, 20.0%, C 80.0% and 55.6% in farm A, B, C, and D, respectively. In conclusion, results suggest that superovulation could be used quite effectively to raise superior Hanwooembryos. However, physical and biological condition of recipients greatly affects the rate of pregnanc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parison of transferable embryos and pregnancy rate between Hanwoo and Chickso.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efficiency of superovulation rates on Hanwoo 78%, and Chickso 85%, respectively. The mean number of total embryos are each 14.76± 2.16 and 6.23±1.07. So the mean number of transferable embryos are each 10.94±1.91 and 4.58±1.05. In addition, the mean number of total Hanwoo embryo from <10 and 10≤ of corpora luteum was 0.50±0.50, 11.56±1.92, respectively. In case of Chickso, The mean number of transferable embryo from <10 and 10≤ of CL was 2.75±1.39, 6.00±1.00, respectively. The pregnancy rates were Hanwoo 40%, and Chickso 37% following transfer of fresh embryos produced in vivo. Also, the pregnancy rates of Chickso 60% were significantly greater (p<0.05) than the Hanwoo 42.48% following transfer of following transfer of frozen embryos,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ickso may be effectively used for transferable embryos production in Hanwoo. Although the transferable embryos number was not enough, it seems the Chickso greatly affect pregnancy rat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ossibility of transferable embryos from Chickso for embryo transfer could be confirm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present findings, it was suggested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evaluate in vivo embryo production and pregnancy rate of embryo transfer following superovulation for effective Hanwoo and Chickso production.
발정주기와 상관없이 CIDR을 삽입하는 날에 50 mg progesterone, 2.5 mg estradiol benzoate를 근육주사하였다. CIDR 삽입 후 4, 5일에 28 AU FSH (Antorin R10)을 4일 동안 감량법으로 주사하였다. 6, 7회 FSH 주사 후 25 mg, 15 mg 를 각각 주사한 다음, CIDR는 7회 FSH 주사 후 제거하였다. 1회째 주사 후 48시간에 GnRH를 주사하였다. 공란우는 발정확인 후 12시간 간격
소의 수정란 이식기술은 우수한 유전 형질을 가진 개체를 효과적으로 증식 시킬 수 있고, 형질이 동일한 다수의 자축을 단시간 내에 생산이 가능하므로 가축의 능력개량에 매우 유 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최근, 일시적인 저영양 처리가 호르몬제 투여에 의한 과배란 유도 에 앞서, 한우 공란우 체내수정란 생산효율을 향상시킨다는 보고가 있다. 본 연구는 국립축 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 시험장에서 사양.관리 중인 한우를 공시동물(53두)를 이용했다. 총 16번의 과배란유도 처리를 시행하였고, CIDR삽입 1주전부터 채란 및 이식까지 23일간 번 식우 사양프로그램에 기준해 대조구(19두)는 배합사료 1 kg, 고영양구(13두)는 2.5 kg 그리 고 저영양구(21두)는 0 kg으로 일시적인 제한급여를 실시하고, 조사료는 자유채식을 하였 다. 과배란유도 처리는 공란우의 발정주기에 관계없이 CIDR삽입 0일을 기준으로 7일 전부 터 영양처리에 제한을 주고, 4일째부터 4일간 FSH를 근육주사 하였다. 그리고 투여 6일째 CIDR제거와 동시에 PGF2α를 오전 5 mL, 오후 3 mL를 근육주사 하여 과배란을 유도하였 다. 한편, 공란우의 인공수정(AI)은 8~9일째 12시간 간격으로 정액 2straw당 각각 2회 AI 를 실시하였으며, 16일째 비 외과적 방법(자궁관류법)으로 채란하였다. IETS 수정란 등급판 정 기준에 따라 CODE 1, CODE 2를 이식가능 수정란으로 판정하였다. 공란우 53두를 과 배란 처리 하여 Estrogen과 Progesterone의 농도를 분석한 결과, Estrogen의 경우 고영양 에 비해 저영양에서의 호르몬수준이 CIDR삽입 일에 30 IU 정도 더 높았다. 이 결과로부터 일시적인 저영양이 발육중인 난포수의 증가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Progesterone 분비량은 두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수정 후 Progesterone의 농도 의 증가로부터 정상적으로 황체호르몬이 분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일시적인 영양처리에 따른 체내수정란 회수난 수와 이식가능 수정란 수(%)는 각각 대조구에서 8.56±2.11, 4.63± 0.98(%), 고영양에서 10.67±2.00, 7.33±2.18(68.69%) 그리고 저영양에서 14.76±2.11, 10.94 ±1.91(74.11%)로 저영양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들로부터 일시적인 영양수준 조절을 이용해 체내수정란 생산 극대화 기술을 확립할 수 있고, 이러한 기술개발을 이용하 여 고능력 한우의 조기번식, 한우개량 및 농가소득증대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수정란 이식기술은 가축의 효율적인 증대와 조기번식에 유용한 기술로 알려져 있으며, 단 기간에 다량의 수정란을 확보할 수 있다. 수정란 이식기술은 한우의 개량 및 육종과 희소한 우의 조기증식 및 유전자 다양성 확보, 유전자 보존 등의 목적에 접근하는 데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반한우와 희소한우간의 비외과적 채란 성적과 이식 가 능 수정란의 비율을 비교 검토하였다. 본 실험은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시험장에서 보유중인 일반한우 13두, 희소한우 11두를 공시하였다. 발정주기에 관계없이 CIDR를 질 내에 삽입하고, 4일 후부터 4일간 FSH (Antorin) 28AU를 12시간 간격으로 점감 주사하였다. FSH(Antorin) 투여 3일째 CIDR를 제 거하고, PGF2α(Lutalyse) 3 ml을 근육 주사하여 과배란을 유기하였다. 인공수정은 PGF2α (Lutalyse) 주사 후 발정을 확인하고 12시간 간격으로 3회 실시하였으며, 1차 인공수정 전 GnRH 1.0 ml을 주사하였다. 수정란 회수는 1차 인공수정 후 8일째에 3-Way Catheter를 이용 비외과적 방법으로 채란하였다. 일반한우와 희소한우에서 회수 된 수정란 총 개수는 각각 87개, 77개로 그 중 이식 가능 한 수정란 수는 51개, 53개였다. 평균 회수란 수는 각각 6.69±1.54개, 7.00±1.13개로 차이 가 없었으며, 평균 이식가능 수정란 수는 각각 3.92±1.11개, 4.82±1.09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 같다. 이 같은 결과들로부터, 일반한우와 희소한우 간 수정란 회수율과 이식가능 수정란 간의 비율의 차이는 소의 종 특이적인 차이보다 같은 종 내의 개체 차이로 인식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