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

        1.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상토에 기비로 혼합된 질소 시비수준 차이가 ‘녹광’ 고추의 플러그 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코이어더스트, 피트모스 그리고 펄라이트를 용적기준 35, 35 및 30%로 혼합한 상토를 조제할 때 질소를 0, 100, 250, 500, 750, 1,000 및 1,500mg·L-1로 농도를 조절하여 첨가하였고, 질소를 제외한 필수원소는 모든 처리에서 동일한 농도로 조절하였다. 비료를 포함한 상토를 50-cell 트레이에 충진한 후 종자 를 파종하였다. 파종 후 매주 pH와 EC 측정, 파종 0, 3 및 7 주 후 상토의 다량원소 농도 분석, 그리고 파종 7 주 후에 지상부 생장 조사와 식물체 무기원소 함량을 분석하였다. 파종 전 상토의 pH는 질소수준별 차이가 크지 않았지만 육묘기간이 길어질수록 처리간 차이가 커지는 경향이었다. 상토의 EC는 파종 전 질소 시비수준 별 뚜렷한 차이를 보였지만, 파종 4주 이후부터 처리간 차이가 적어졌고, 7주 후에는 모든 처리에서 유사한 수 준으로 측정되었다. 상토 추출용액의 NH4-N 및 NO3-N 농도는 EC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며 낮아졌고, 다량원소 농도 역시 파종 3주 이후에 감소폭이 더 커졌다. 파종 후 7주 후 조사한 고추 유묘의 지상부 생장은 500 및 750mg·L-1 처리구에서 우수하였으며, 1,000mg·L-1 이상의 처리구에서는 질소 무시비구와 비슷한 수준으로 생장이 저조하였다. 파종 7주 후 분석한 식물체내 N 함량은 질소 시비수준이 높아질수록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지상부 생장이 우수하였던 500 및 750mg·L-1 시비구가 각 각 5.13 및 5.31%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하 였을 때 고추의 유묘 생장을 위해서는 기비로서의 질소 시비수준을 500 또는 750mg·L-1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건물중에 기초한 N 함량이 5.1~5.3% 수준으 로 시비농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하였다.
        4,000원
        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스테아르산과 인지질혼합물의 농도변화에 띠르는 유기초박막에 대한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스 테아르산과 인지질 혼합물 유기초박막은 ITO glass에 LB법을 사용하여 제막하였다. 전기화학적 특성은 NaClO4 용액에서 3 전극 시스템으로 순환전압전류법을 사용하여 초기 1650 mV에서 최종 퍼텐셜 -1350 mV 까지 측정하였다. 그 결과 스테아르산과 인지질의 혼합물 유기초막은 순환전압전류도표로부 터 산화전류로 인한 비가역공정으로 나타났다. 스테아르산과 인지질혼합물 LB막(몰비 1:1, 1:2, 1:3)에 서 확산계수(D)는 0.01 N NaClO4에서 각각 1.4x10-3, 1.7x10-3 및 1.6x10-3 (cm2/s)로 산출되었다.
        4,000원
        3.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혼합 비료를 유도용액으로 하는 정삼투식 해수담수화에서 담수화 성능에 대한 유도용액 농도의 영향을 조사하였 다. 혼합비료용액(DS)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투과선속은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하였으나, PR (performance ratio)은 감소 하였다. 또한 혼합비료용액의 농도가 600 g/L일 때, 해수 및 탈이온수를 각각 공급용액으로 하였을 경우 각각의 PR은 5.39 및 6.50이었다. 혼합비료용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N, P 및 K의 역용질선속은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비역용질선 속은 감소하였다. 역용질선속과 비역용질선속은 모두 질소(N) > 칼륨(K) > 인(P)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4,000원
        4.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곤충병원성곰팡이를 이용한 해충방제는 환경 친화적인 방제수단으로 농생태계 에 지속적으로 해충밀도 억제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외국에서는 범국가적 차원 에서 많은 연구가 수행 중에 있다. 국내 친환경 유기농자재 목록공시에 등재되어 있는 244 종의 작물충해관리용 자재 중 미생물로 등록되어 있는 자재는 51종으로 약 21%, 식물성 추출물이 원료 로 등록되어 있는 자재는 141종으로 약 57 %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과 식물추출물이 가지는 각각의 효과를 상호 보완하여 곤 충병원성곰팡이와 식물추출물 합제의 제형화 연구와 더불어 혼합농도 구배에 따 른 살충 효과를 검정한 결과, 산업화 적용 시 경제성을 검토하였을 경우 곤충병원성 곰팡이 1x107 cfu/ml , 고삼추출물 1,000 ppm의 혼합농도에서 각각의 단독 처리구 보다 높은 살충률을 보였으며 경시변화에 따른 약효 저하현상 없이 지속됨을 알 수 있었다. 곤충병원성곰팡이와 식물추출물 합제의 제형화는 장기간 미생물 밀도 안정성 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식물추출물에 곤충병원성 곰팡이가 생산하는 2차 대사산물을 합제하는 제형화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5.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diet with Cucurbita moschata (CM), adlay seed (AS), and Cudrania tricuspidata leaf (CTL) mixed-powder on the visceral fat, fecal amount, and serum lipid profiles in rats fed a high-fat diet (HFD). The mixed ratio of CM, AS, and CTL as a functional food ingredient was 1:1:1 on a weight basis.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fed a high-fat diet (D12492; 45 kcal fat) for 5 weeks during the first phase. In the second phase, which lasted 5 weeks, the rats were divided into six experimental groups. The groups were: a high-fat diet group as a control during the 10 weeks of experimental period; and a high-fat diet with 5, 10, 15, 20, and 30% mixed powder supplement group. The adipose tissue (RFP, EFP) weigh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20% and 30% mixed powder supplement groups than in the HFD group (p<0.05). The fecal weight produced by the 15%, 20%, and 30% mixed powder supplement group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second phase compared to the first phase (p<0.05). In terms of serum lipids, TG (triglyceride) content was decreased in the 10% and 15% mixed-powder supplement groups. The blood glucose leve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experimental diet supplement groups than in the HFD group (p<0.05). The findings show that the high supplement groups could improve the visceral fat accumulation, fecal amount, and blood glucose content compared to the HFD group.
        4,000원
        6.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농도의 SF6를 포함하고 있는 기체 혼합물(10% SF6/70% N2/19% O2/1% CF4)로부터 SF6를 분리 및 회수하기 위한 PSF막과 PC막의 성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회수된 기체 내의 SF6의 농도와 회수율 그리고 혼합기체(N2/SF6, O2/SF6, CF4/SF6)의 선택도는 배출 유량과 온도의 함수로 측정하였다. PSF막과 PC막 모두 회수된 기체 내의 SF6 농도는 배출 유량이 증가하면서 감소하였으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동일한 실험조건에서는 PSF막에서 회수된 기체 내의 SF6의 농도가 PC막에서보다 높게 나타났다. 최대회수율은 298.15 K과 배출유량 150cc/min에서 PSF막의 경우 95.9%이고 PC막의 경우 67.8%를 나타냈다. CF4/SF6를 제외한 N2/SF6와 O2/SF6의 실제 선택도는 PSF막이 PC막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4,000원
        7.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lution‐to‐threshold (D/T) ratio derived by air dilution sensory (ADS) test and the concentration levels of both individual odorant (using H₂S and acetaldehyde (AA)) and their mixture. For the purpose of our comparative study, we prepared both standard gases of two individual compounds and their mixture at 9 concentration levels. Each of all these samples were analyzed by ADS test,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their odor intensity. The results of individual odorant samples showed the two contrasting characteristics of each individual compound. H2S generally showed sensitive detection at low concentration but less sensitive detection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In contrast, AA showed fairly contrasting trend with slow increasing sensitivity. When the D/T ratios estimated from individual samples were used to predict those of mixed samples, the results were reflecting the mixed effects of the basic characteristics owned by each individual compound. As the lower and upper odor intensities of mixed samples were best reflected by AA and H2S, respectively, the D/T ratio of mixed samples complied with the larger D/T values of each compound at a given odor intensity.
        4,000원
        8.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olyols and NaCl on the rheological behaviours of surfactant mixtures. Sodium lauryl ether sulfate (SLES), cocamidopropyl betaine (CAPB), disodium cocoamphodiacetate (DSCA), cocamide DEA (CDEA) and lauroyl/myristoyl DEA (LMDE) were used as surfactants. The polyols added into the surfactant mixture were 1,3-but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glycerin, sorbitol, dipropylene glycol, PEG 1500 and PEG 400. The addition of amphoteric surfactant to SLES aqueous solution lead to increase the height of foam and the viscosity of the system. The addition of nonionic surfactant, LMDE or CDEA to the SLES aqueous solution increased the viscosity and the effect of LMDE was better than that of CDEA. The effect of adding polyols and NaCl into the surfactant mixture aqueous solution lea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viscosity of the systems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NaCl and the kinds of polyols. These results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salting in or salting out of surfactant of the systems.
        4,000원
        9.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절화 장미 'Vital'을 코코피트와 펄라이트(3 : 1, v/v) 혼합배지에서 2006년 4월 20일부터 이듬 해 10월 15일까지 용기재배를 하였다. 사용한 양액은 애지현(愛知懸) 장미 표준액으로 고온기와 저온기에 양액의 조성을 달리하였으며, 계절별로 양액농도를 표준액의 0.7배, 1.0배, 그리고 1.3배액으로 처리하였는데 표준액의 계절별 급액농도는 4~6월은 1.4dS·m-1, 7~8월은 1.0dS·m-1, 9~10월은 1.4dS·m-1, 11~3월은 1.6dS·m-1였다. 급액량은 FDR 수분센서를 이용하여 -5kPa에서 급액하여 주당 120mL씩 공급하였다. 수확은 7회 하였는데 수량은 3차까지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지만, 4차 수확부터는 1.3배구의 수량이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적었다. 절화장미의 가장 중요한 상품요소인 절화장을 재배시기별로 조사하였을 때 0.7배구는 표준액구와 비교 하여 총수량은 적은 경향이었으나 70cm 이하의 하품 생산량이 적고, 91cm 이상 상품성이 우수한 절화의 생산량이 많았다. 그 외에도 0.7배 처리구는 절화중, 화경경, 화중 등 상품성이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유기물인 코코피트를 주재료로 하여 펄라이트와 혼합한 배지를 이용하여 절화장미 수경재배 시에는 재배기간이 길어질수록 배지내에 무기성분이 집적되기 때문에 기존의 무기물 배지를 이용할 때 보다 표준액의 0.7배액 정도로 낮은 농도로 급액하면 상품성이 우수한 절화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0.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침엽수종인 소나무(Pinus densiflora)와 비자나무(Torreya nucifera), 활엽수종인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na)와 들메나무(Fraxinus mandshurica)를 대상으로 수경 재배를 이용한 우량 용기묘 생산 시 'Sonneveld' 배양액의 적정 농도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배양액의 공급 농도에 따른 소나무(0-0)의 생체중, 수고 및 원줄기 직경은 모두 높은 농도일수록 높은 경향을 나타내며 3.0배액에서 가장 높았다. 비자나무(1-1)의 생체중은 1.5배액과 3.배액에서 많이 증가하였고 수고와 원줄기 직경은 1.5 배액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상수리나무(0-0)의 생체중은 2.0배액에서 가장 무거웠고 1.0배액에서 가장 가벼웠다. 수고와 건물중은 모두 2.0배액과 3.0배액에서 좋았고, 원줄기 직경과 엽록소 함량은 2.0배액에서 좋았다. 또한 광합성은 1.5배액과 2.0배액에서 활발하였다. 들메나무(1-1)의 생체중, 수고 및 원줄기 직경은 0.5배액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엽록소 함량과 광합성은 0.5배액과 2.0배액에서 좋았다. 그리고 대부분의 생육 특성은 3.0배액에서 저조하였다.
        4,000원
        13.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피트모스를 기본으로 한 3종의 혼합 고형배지의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과 3종의 배지 및 양액농도(EC 0.5~1.5dS·m-1가 토마토(일광 토마토 ) 플러그묘의 초기생장(파종 후 31일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혼합배지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피트모스의 혼입비율이 많아질수록 보수력이 증가하였고, 공극율은 모든 혼합 배지 처리에서 80% 이상이었다. pH와 EC피트모스의 혼입비율이 많을수록 pH는 낮아졌고, EC는 전반적으로 3.6~4.8dS·m-1 정도의 범위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양질의 토마토 플러그묘 생산에 가장 좋았던 혼합배지는 피트모스:왕겨:훈탄:부숙톱밥:펄라이트=25:10:25:20:20(v/v)였다. 관비 양액농도(EC)는 대조구(수돗물, EC 1dS·m-1)에 비해 관비 양액농도(EC 0.5, 1.0, 1.5dS·m-1)가 높아질수록 초장, 엽면적 및 총건물 생산량 등이 현저히 높아졌다.
        4,000원
        15.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실리콘(PDM)막을 통한 휘발성유기화합물(VOCs)과 질소 혼합물의 증기투과시 공급부 경계층에서 발생하는 VOCs의 농도분극 현상을 정량적인 평가를 위하여 저항직렬연결의 개념을 바탕으로 한 수학적인 모델식을 확립하였다. feed속도를 변화시키면서 여러 VOCs 혼합물에 대한 증기투과를 시행하였는데 본 연구에 사용한 VOCs는 염소화 탄화수소계 중에서 응축도가 다른 methylene chloride, chloroform, 1,2-dichloroethane, 1,1,2-trichloroethane 등을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확립한 모델식에 각 혼합물의 투과 실험치들의 frtting 및 regression을 통하여 각 모델 파라메타들을 구하고 물질전달계수 및 농도분극탄성률 등을 결정하였다. 결정한 모델 파라메타를 분석한 결과 VOCs의 응축도가 클수록 경계층 저항이 현저함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또한 모델링을 통해서 고 투과성 고 선택성막을 통한 증기투과에서 경계층저항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16.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증기투과를 이용한 휘발성유기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N2 혼합물의 분리에서 농도분극현상이 투과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막 재료는 VOCs와 친화력이 큰 poly(dimethylsiloxane)(PDMS) 막을 사용하였으며, VOCs는 염소화탄화수소류 중에 탄소수와 치환된 염소수를 고려하여 CH2Cl2, CHCl3, C2H4Cl2, C2H3Cl3 를 사용하였다. Feed의 유속, 투과온도, VOCs의 농도 등의 변화에 따른 투과거동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유속이 감소함에 따라 막의 투과분리성능의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응축성이 큰 VOCs일수록, VOCs의 농도가 높을수록 또는 투과 온도가 낮을수록 감소 폭이 큰 경향을 보였다. 이와 같은 투과거동의 변화는 농도분극현상에 의한 것으로, 유속이 감소함에 따라 경계층 내의 물질전달계수가 감소하여 농도분극현상이 증가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투과거동의 변화로 해석하였다. 결과적으로 VOCs/기체 혼합물의 증기투과를 통한 분리 시 농도분극현상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일반적인 생각과는 달리 고무상 막을 통한 증기투과에서는 농도분극현상에 의한 막 성능의 감소가 크게 나타났다.
        4,000원
        17.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icrostructure evolution during sintering of a compact being composed of three layers of (WC-15%Co)/Fe powder mixture with different Fe contents has been observed. The Fe contents in the respective (WC-15%Co)/Fe layers were varied by 20%. 50%, and 90% in sequence by volume from a top layer to a bot- tom layer. The sintering temperatures and times were varied from 110 to 125 and from 1 h to 4 h, The compact layer was not densified below 120 in 4 h. Appropriate sintering temperature and time conditions for making a multi-layered hard metal compact were determined as 125 and 3 h, respectively.
        4,000원
        18.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통사고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도로 포장의 목적이 안전하고 쾌적한 이동이며, 차량의 주행속도가 높을수록 안전한 도로포장의 중요성이 커진다. 아스팔트 포장의 내구성을 향상하기 위한 기술 중 기존 화학 첨가제의 단순 혼합에 의한 개질 아스팔트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반응형 아스팔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중 대표적인 것인 에폭시 아스팔트 포장이다. 에폭시 아스팔트 혼합물은 아스팔트 바인더에 혼합된 에폭시 수지의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경화가 진행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정확한 예측을 통해 공사계획의 수립과 교통개방 가능시점의 결정이 가능하다. 에폭시 아스팔트 포장은 매우 뛰어난 내구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다양한 포장이 가능하며 특히 고가의 에폭시 아스팔트 포장의 적용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에폭시 함량의 조절을 통해 필요한 성능의 확보와 경제성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에폭시 수지 농도 변화에 따른 에폭시 아스팔트 혼합물의 경화속도 예측식을 제시하였다. 실외 양생 실험과 예측식과의 비교 결과 상관계수가 0.971 이상으로 나타나 예측식이 에폭시 함량 변화에도 에폭시 아스팔트 혼합물의 경화 정도를 예측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vertical structure of atmosphere was observed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surface ozone concentration by vertical downward mixing of residual ozone in the atmospheric boundary layer at the Busan coastal area. Airsonde and pilot balloon measurements were made at Gamcheondong and the Kimhae airport for April 26∼27, 1996. The vertical profile of potential temperature showed a residual layer between 510m and 1800m from 2100LST April 26 to 0900LST April 27. The downward mixing of ozone in the residual layer of the atmospheric boundary layer was confirmed from vertical profile of mixing ratio near 600m in the morning. The thickness of the sea breeze layer was 900m at 1500LST April 26. Thereafter, it become to be lowered with time. A low level jet was measured near 900m at 0300LST on April 27 from a pibal measurement. Early morning sharp increase of surface ozone concentration at the Busan coastal area was caused by vertical downward mixing of ozone concentration rather than by photochemical reaction in the atmospheric boundary layer.
        20.
        199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iological treatment capability of MMCMAS(Movinig Media Complete Mixing Activated Sludge) reactor for high strength organic wastewater (Average BOD=800㎎/ℓ). And this experimental results were compared previous study for low strength organic wastewater (Average BOD=150㎎/ℓ) by the same reactor. In this study, we abtained following conclusions ; (1) The laboratory MMCMAS reactor demonstrated that SBOD removal efficiencies of more than 90% can be achieved at organic loading rates of 30.9 gBOD/㎡/d for high strength organic wastewater and 39.4 gBOD/㎡/d for low strength organic wastewater, respectively. (2) The nitrification rates of MMCMAS reactor was found same results of similiar organic loading rates. (3) The ratio of attached biomass to total biomass on the moving media varied in the range of 40 to 63% and 32 to 94% for high and low strength organic wastewater, respetively. And it was varied at the various concentration of influents for the similiar organic loading rates. The sludge production rates was found approximately 0.37 gVSS/gBODrem. in MMCMAS rea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