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5

        46.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구는 도시농업 활동을 자활에 활용한 사례를 분석하여 도 시취약계층의 자활능력 증진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주거공 간에 적용할 수 있는 도시농업 활동 유형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도시농업은 최근 전 세계적으로 도시빈민을 위한 안전한 먹거리 공급과 소득창출의 수단으로 활용되는 사례가 많다. 도시농업 활동 은 장소와 종류, 대상자에 대한 범위도 초기와 달리 많이 확장되었 으며, 다원적 기능을 적극 활용하여 다양한 효과를 보고 있다. 특히 도시취약계층의 자활을 위해 기술교육뿐만 아니라 사회적 응을 위한 일상적인 생활 기술까지도 교육하고 있다. 또한 지속적 인 자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에서 여러 경로로 지원하고 있다. 도시농업 활동의 국외 사례를 자활개념에 기초하여 분석한 결 과, 자활능력 증진을 위한 도시농업 활동은 일자리를 고려하고 대 상자의 자활정도에 따라 도시농업 활동에 흥미를 갖고 활동에 참여 하도록 심신의 회복을 돕는 치유형, 개인의 건강한 식생활과 식비 지출 절약에 도움이 되는 자가소비형, 함께 도시농업 활동을 하면 서 지역사회와 교류하게 되는 사회관계형, 생산활동을 통해 수입과 일자리를 갖게 되는 일자리형으로 구분하였다. 도시농업 활동을 자활능력 증진을 위해 실제 적용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자활정도에 따라 적절한 활동과 지원을 적용하는 것이 필 요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분된 도시농업의 유형이 자활능력 증 진을 위한 사업에 적용한다면 효과적인 사업을 수행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47.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a rise in national income has resulted in the growth in tourism demand, many studies on developing and managing tourism resources were publicized. In this contex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emand and willingness to pay(WTP)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for agricultural experience of Daegu Urban Agriculture Park and to suggest a proper participation fee. The survey targeting Daegu citizens was performed, and we obtained 346 valid samples. We carried out the logistic analysis and figured out that sex, age, education and alienation area for urban agriculture affected to probability of agricultural experience participation. As the result of estimating willingness to pay(WTP), the measured range with this samples was from 6,052 to 16,436won. Finally, we also attained 25,000won as the proper participation fee which enables maximum revenue by conducting the scenario analysis. These findings are important in setting up the construction plan and pricing the appropriate participation fee for Daegu Urban Agriculture Park.
        49.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성북구에서 추진한 상자텃밭사업과 도시농부 학교운영과정에서의 설문조사 결과를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자텃밭은 도시민들이 주거지 내에 상자텃밭을 설치하여 비교적 손쉽게 경작할 수 있는 방식이기 때문에 경작 경험이 전혀 없는 도시민들도 비교적 쉽게 접근하는 도시농업의 방식이다(Kang et al., 2007). 상자텃밭 재배교육은 이들에게 가장 필요한 경작 기초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강좌로 삭막한 도시생활 속에서 농업실천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며, 향후 도시텃밭재배과정에서의 궁금증과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도록 상시 기술지도 및 모니터링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도시농부학교는 텃밭 재배 이론 및 실습 교육을 동시에 실시하여 체계적으로 텃밭 농법을 습득함은 물론 도시농업의 발생 배경부터 현대 농업의 흐름까지도 이해할 수 있는 교양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야 한다(Jang et al., 2010). 그에 따라 도시농업이 단순히 재배법 교육에 그치는 것이 아닌 도시농업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돕는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좋은 교육효과를 내고 있으며 이러한 효과로 미루어 보아 지속적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현재 도시민들 중에서 농촌 경험이 있는 연령대는 40대 이후의 연령층이다. 이는 점차 농촌경험이 없는 도시민들이 증가하고, 이들에게는 도시농업 실천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경작 지식은 교육프로그램에 의해서 충족될 수밖에 없다. 아직 도시농업 교육 프로그램은 도시농부학교라는 한정적인 형태로 진행되고 있으므로 점차적으로 다양한 도시농업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13세 미만 아동을 대상 으로 한 도시농업 교육의 경우 농촌체험 혹은 텃밭과 관련한 경험이 무관한 세대이다. 이들에게 가장 필요한 도시농업 교육은 우선 텃밭 작물의 성장을 관찰하거나 나아가 직접 재배를 배우고 이를 통해 농업의 기본과 작물 성장에 대한 이해를 경험으로써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성북구에서는 도시농업 체험로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지리적으로 가까운 곳에서 도시농업을 관찰·체험하고 농업이 도시와 분리되는 것이 아님을 시사할 수 있다. 또한 미술 교육과 병행한 도시 꼬마농부의 그림일기 교육을 통해 더욱 자연스러운 접근과 창의적인 인성 발달의 방법으로써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자연과 꽃을 사랑하는 마음을 심어주는 계기가 되었다.본 연구에서는 도시농업에 참여하고 있는 도시농업인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두 집단의 인식차이 비교를 통해 향후 도시 농업의 추진방향과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향후 도시농업 실천이 단순히 도시에서 텃밭을 가꾸는 행위에 그치지 않고 농업, 환경, 생태계, 공동체 등 다양한 합의에 대한 논의를 통해 도시가 생명력을 갖고 지역구성원들의 소통의 공간이 되는 도시농업의 정책적 방안 등의 후속연구도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했으나 도시농업이 도시 생활 속에서 생산적 여가활동으로 인간과 자연이 상호 교감하는 체험의 장으로서의 역할과 도시민의 정서 순화 및 공동체 의식 함양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나아가 공공복지와 연계하여 노인인구의 급증에 따라 도시농업이 독거노인들의 정서적ㆍ경제적 안정과 더불어 젊은 세대와의 소통의 장을 마련할 수 있도록 후속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51.
        2013.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쟁지상주의와 개인주의의 확산으로 도시민의 정서와 심리적 불안이 사회적 문제로 확대되는 현대사회에서, 일반가정 대상으로 정서적 안정 및 친밀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도시농업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을 갖는 과정 속에서 도시농업 원예활동이 가족의 정서적 안정 및 친밀도 형성 모두에서 긍정적인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2.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presents the methods to improve the urban farming in Korea by analysing the current circumstances of urban farming in Korea. Specifically, the legal system in association with urban farming, current status of the act on the urban farming,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Korean urban farming, and the comprehensive plans for urban farming have been analysed in order to grasp the present situations and seek for solutions. Based on these, the research provides effective supporting methods for sustainable urban farming in Korea. As a result, the essentials to improved urban farming can be summarized with two factors; securing more space for urban farming and improving the supporting system for the urban farmers. Enthusiastic attitudes of local governments, security of budget, and cooperation with the citizens are vital to expand the urban farming in addition to the institutional and systematic urban farming improving methods mentioned above.
        53.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서울 소재의 도심공원을 대상으로 이용자들의 일반적인 이용행태와 도시농업 관련 체험에 대한 선호 및 요구를 분석하여 도심공원에 적용 가능한 도시농업 체험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수립하고자 수행하였다. 이용자들의 도심공원 이용 목적은 산책, 동반자는 가족이나 친지, 공원을 이용하는 계절은 가을, 이용시간은 오후 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도심공원 내 도시농업 관련 체험프로그램의 도입과 관련한 내용에서 도시농업 체험 활동별 필요성에서는 채소수확이 가장 유의하게 높았고, 그 필요성이 가장 낮게 응답한 항목은 화학비료 이용하기였다. 체험활동 유형에 대한 선호도 조사에서는 감성체험이 관계체험과 비교하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체험 내에서는 재미있고, 마음이 편안해지는 체험을 프로그램의 차별성을 느끼는 것보다 유의하게 높게 요구하였다. 인지체험 내에서는 전문지식 및 기술을 습득하는 것보다 식물에 대한 관찰력 및 주의력이 증진되는 체험을 유의하게 높게 원하였다. 도시농업 체험프로그램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연령층은 ‘만 13세 미만의 어린이’,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 적정 운영 계절은 ‘봄’, 요일은 ‘주말’, 운영시간은 ‘오후’가 유의하게 높았다. 도시농업 프로그램을 운영할 주체로 ‘전문가’가 필요하며, 도시농업 체험프로그램을 통하여 예상하는 효과로는 ‘정서 및 교육적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54.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급격한 도시화는 토지이용 증가, 도시환경 파괴, 도시녹지부족 등 도시환경 파괴에 영향을 끼쳤고, 이에 따라 도시 내 환경개선 방안책의 하나로 도시농업이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도시민들의 도시농업에 대한 욕구 증대로 인하여 지자체에서는 도시농업과 관련된 조례 제정과 함께 도시농업 지원 및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향후 타 지자체의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서울시와 경기도를 중심으로 도시농업에 대한 정책과 사례 등을 조사하였다. 서울시는 지속가능하고 환경친화적인 농업육성을 목적으로 2007년「서울시 친환경농업 및 주말・체험영농 육성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였고, 2009년에는 「서울특별시 보조금관리 조례」를 제정하여 텃밭농원에 대한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25개의 자치구 중 13개의 자치구에서 관련 조례를 제정하여 시행중이며, 학교텃밭, 시민농장, 옥상텃밭, 주말농장, 주머니텃밭, 시민교육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경기도는 2011년「경기도 도시농업활성화 지원 조례」시행하였고, 현재 31개 시․군 중 12개의 시․군이 도시농업관련 조례를 제정 및 시행하고 있으며, 학교텃밭, 시민농장, 옥상텃밭, 주말농장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도시텃밭 등의 이용자 편의를 도모하고 지역주민의 참여를 높이기 위하여 경기도 도시농업지원센터를 설치·운영 할 예정이다. 서울시와 경기도는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하여 매년 도시농업과 관련된 사업을 유치하고 있으며, 도시농업과 관련된 교육을 실시하여 정보 제공 및 시민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서울시와 경기도의 적극적인 도시농업 활성화 방안에도 불구하고 시민들의 관심 부족으로 인하여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향후 시민들의 관심 증대를 위하여 도시농업의 홍보방안, 자발적 시민참여 유도방안 등의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라 판단되며,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하여 지자체, 시민, 시민단체 등 민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정보교류 및 제공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판단된다.
        55.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s consumers’ willingness to pay for Urban Agriculture Park attributes. we analysis the marginal WTP by choice experiment method. Choice experiment (CE) is designed to elicit the marginal WTP differences among urban agriculture park attributes (garden scales, learning and experience area, leisure and relaxation area and fund). The results of multinomial logit model are meaningful, the total marginal WTP on the urban agriculture park attributes is 18,852 won. gardens scales is 2,949 won, learning and experience area is 11,284 won, leisure and relaxation area is 4,619 won. In the current laws, the facilities related to urban agriculture park is not. Taking advantage of the new urban agriculture park, Amendments of the law is required.
        57.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식물원 및 수목원을 대상으로 이용자들의 일반적인 이용행태와 도시농업 관련 체험에 대한 이용자와 운영자의 도시농업 관련활동 선호 및 요구도를 분석하여 식물원 및 수목원에 적용 될 도시농업 체험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수립하고자 수행하였다. 이용자의 행태분석에서 이용자의 방문 목적은 휴식 및 산책이었고, 주변 사람들의 소개로 방문하게 되었다는 답변이 많았다. 식물원 및 수목원을 주로 이용하는 계절은 가을이 가장 많았고, 식물원, 수목원을 이용하는 횟수로는 ‘연간 1회 이하’ 가장 많았다. 주로 이용하는 요일은 토요일이, 동반자로는 가족 및 친지와 함께 방문하였다. 식물원에 머무르는 시간은 ‘1~3시간’이었고 주로 이용하는 교통수단은 ‘자가용’이었다. 식물원 및 수목원 내 도시농업 관련 체험 프로그램의 활용 의향에 대하여 이용자는 82.9%의 도시농업과 관련된 교육, 체험 프로그램이 개발되면 활용할 의향이 있다고 대답했고, 운영자는 식물원 및 수목원 내 도시농업 관련 체험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 76.5%가 필요하다고 답하였다. 식물원에 도입되기 바라는 도시농업 활동으로 이용자는 수확물 이용하기’, ‘채소 수확’, ‘꽃 수확’ 순으로 답했고, 운영자는 ‘분갈이’, ‘씨뿌리기’, ‘옮겨심기’, ‘전정’, ‘물주기’, ‘잡초 제거’ 순으로 대답했다. 체험활동 유형에 대한 선호도 조사에서 이용자는 감성, 감각, 행동, 인지, 관계 체험 순서로 응답하였다. 운영자와 이용자 모두 ‘감성체험’과 ‘감각체험’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이용자는 도시농업 관련 활동을 통한 기대감으로 ‘정서적 효과’가 가장 높았다.
        58.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regard, urban agriculture is developing into a variety of shapes. Urban agriculture includes various types, such as industrial agriculture, experience agriculture, educational agriculture, exchange agriculture and cyclic agriculture. The result of evaluation on citizens’ values about multi-functions provided by urban agriculture can be used for policy making to overcome crisis of urban agriculture due to urban development and industrialization and to vitalize urban agriculture. The willingness-to-pay for the maintenance fund was categorized into vegetable garden users, general consumers, and all respondents, for analysis. The estimation results for the valuation of multi-functionality were KRW 20,367 per household for general consumers; KRW 22,174 for urban agriculture users; and KRW 21,467 for all respondents.
        60.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Urban parks are progressing but are in chaos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nsider critically and classify the new paradigm of urban parks. Urban parks are one of the space products, and progressing aspects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supply, demand and market aspects. In the abstract, urban parks' progress represents process, openness or voidness, general and cultural ecology, productivity, experience program, identity or sense of place, carriers of urban regeneration, urban infrastructure, community space, multi-layered activity, active space, communication with urban space, tool of low carbon strategy and consilience. But urban parks have come under increased criticism about the long period development on trees growth, covering open space, limitation of general and cultural ecology, production, activity programs, identity and community space, visible urban regeneration, economic validity, urban sprawl, not using as the low carbon strategy, and finally negative consilience with contiguous fields. We collected these critical consideration about progressing urban parks, and proposed urban agricultural park as one of the alternative urban parks. This is closely connected with sustainable region development, low-carbon society, local food, well-being, Lohas paradigm and amenity of urban life.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