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0

        21.
        2017.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aesthetic preferences for beauty types in women’s appearance among the East Asian cultures of Korea, China, and Japan through two-mode semantic network analysis with a cross-cultural viewpoint.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appearance management industries and global consumer goods companies.
        4,000원
        22.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growing emphasis has been placed on the installation of rain gardens. However, previous rain garden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physicochemical effects such as rainfall runoff management and water quality improvem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general perceptions of rain gardens and landscape aesthetics among rain garden visitors. To achieve this goal, a survey of 100 rain garden visitors was conducted, gathering information about their general perceptions of rain gardens and landscape aesthetics at three pre-selected rain garden locations. Results showed that rain garden recognition was limited to 34% of the respondents, indicating that most people were not aware of rain gardens and were unable to notice differences between rain gardens and traditional gardens. However, stronger support for rain gardens was observed among those who were aware of the concept, those who recognized that rain garden planting types are differentiated from traditional gardens, and those who rated positively the landscape aesthetic value of rain gardens. The main findings are expected to encourage further studies of quantitative indicators by conducting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esthetics and functionality of rain gardens.
        4,200원
        23.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hen digital media and images are combined, their significant sociocultural impacts can be exercise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digital images shown in such trends of digital media compared to the digital fashion from an aesthetic perspective. Research and empirical studies are focused upon to analyz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digital fashion. Digital Fashion comprehensively refers to fashion design using computers and software, and is considered as “Fashion Design utilizing Digital Technologies” including computer software and hardware perspectives, so that it may be renamed “Digital Fashion.” The esthetic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Digital Fashion defined above are analyzed according to how media philosophers conceptualize the digital image.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creation, Digital Fashion Images are technical images produced by computers. Uncanny characteristics expressed through virtual images look more realistic than the actual ones used in experimental works of fashion designers. Such virtuality dynamically expresses various colors and fabric patterns through lights using digital technologies that do not yet exist in cloth form, rather in a non-material form of dynamic virtual imagery. Digital fashion images on monitors express digital fashion designs by shaping virtual images through 3D printing. Second, Digital Fashion Images from the perspective of acceptance are created through deconstruction, while fashion has only been previous viewed visually, Digital Fashion delivers immersions of visual touches as if directly experienced for accepters. Digital Fashion will continuously develop and become more influential as it converges with digital media.
        4,900원
        24.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ne of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Lewis Mumford’s architectural criticism is the coherent emphasis on symbolism. Such emphasis stems from his understanding of city and humanity in the context of civilization: first, that the architecture symbolizes institutions of urban civilization; second, that the technical aspect of human nature should be balanced with its artistic aspects. Mumford believed that each architectural type requires an appropriate symbolic expression corresponding to its purpose and that a new symbolic expression, in a new cultural context, should replace the conventional expression. He took symbolism for an intuitional expression, and read multi-layered meanings of architecture: ‘practical function’ by way of rational reason and ‘symbolic function’ by way of intuition. He pursued a balance between practicality and beauty to rectify the situation of modern civilization, in which symbolism, the expression of its intuitional aspect, is in crisis. Ultimately, for Mumford, the essential task of architectural critic is of the interpretation of symbolism, aiming at the correspondence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architect(artist)’s intuition and critic(interpreter)’s via the media of symbol. The critic can play some privileged role of interpreting even symbols unintended by the architect. The ideal architectural critic, after all, would be the one who is able to understand the city, technology and human beings in the perspective of civilization and to interpret the architect’s artistic expression in its highest form through intuition. Mumford established himself as such a critic and evaluated the status of aesthetic accomplishment of his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technological civilization, giving emphasis on the artistic practice in architecture as a solution.
        4,000원
        25.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identify key factors that determine the spatial and physical appearance of urban agriculture, and to discuss ways to encourage its acceptance in public open spaces and the wider context of urban landscape. Because perceptions of urban agriculture are historically related to poverty and wartime, agricultural initiatives in the public realm are often considered visually disturbing, unkempt, and inconvenient. Depending on the context, typology, and scale, several obstacles to successful urban agriculture can be addressed; these include resource pollution, the lack of community involvement, and access to land. In an urban context, agricultural projects are often criticized for their lack of appropriate aesthetic values. By exploring theoretical assumptions through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visual landscape quality assessment, this study analyzes three international cases of urban agriculture in different physical and social contexts. After analyzing the relevant theories and cases, we have identified general principles that lead to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urban agriculture. We conclude that aesthetic values can be most successfully expressed in urban agriculture by identifying and efficiently implementing an approach that combines context, design, materiality, plant selection, and functionality. This study will help to promote resilient and sustainable urban landscapes that help to meet the demand for fresh food and healthy lifestyles, while making a positive contribution in the areas of environmental pollution, energy consumption, waste management, labor shortage, social exclusion, community participation, and rapidly expanding urbanization.
        4,000원
        26.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had two aims. First, the study intended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product benefits and product identification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Second, it wanted to assess the moderating effects of consumers' aesthetic seeking tendency on their decision-making process. Based on the stimulus-organism-response (S-O-R) paradigm and the product personality-brand identification-purchase intention model, this study proposed a research model, the benefits-product identification-purchase intention model. To test the model, a survey was conducted of female college students; a total of 298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stimulus used was a popular model of Nike running footwear: the Luna Eclipse+2.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research model. The results indicate : (1) The aesthetic benefit influenced product identification positively. The aesthetic benefit, functional benefit and product identification were all positively related to purchase intention. (2) The aesthetic seeking tendency mediated the influences of product benefits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 consumers in the ‘high’ level group of aesthetic seeking tendency, aesthetic benefit and social benefit affected purchase intention and for consumers in the ‘low’ level group of aesthetic seeking tendency, the functional benefit only affected purchase intention. Based on this study, we find evidence that product benefits and aesthetic seeking tendency play important roles in consumers' decision-making process in product purchase.
        4,600원
        27.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오늘날 ‘단색화’로 명명되는 한국 추상화의 한 경향에 대한 세 개의 반성적 질문을 던 지고, 그에 대한 답을 모색하고자 한다. 첫째 질문은 단색화를 진정 독자적인 유파로서, 긴밀한 이념과 그 실천의 집약체로서 형성된 한국적 미술운동 또는 유파로 볼 수 있는가이다. 둘째 질문은 오늘날까지 관례적 정설로 자리 잡아 온 견해로서 ‘단색화는 진정 한국성 또는 한 국적 미의 반영인가’이다. 셋째 질문은 단색화의 거의 공식화된 영문표기인 ‘Dansaekhwa’와 그것을 정당화하는 담론 은 타당한가이다.
        6,100원
        28.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인성교육에 관한 문제점을 미학적 차원에서 성찰하고 이상적인 목 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고대 서양철학자들, 즉 소크라테스, 플 라톤의 예술철학을 소개하고, 이를 계승한 일련의 서양철학자들, 즉 화이트헤 드, 야스퍼스, 로너간 등에서 제시된 인성교육과 미학의 연계성을 탐구한다. 그 리고 이어서 칸트의 숭고미학과 쉴러의 예술철학을 통해 인성교육에 끼치는 예 술의 역할을 제시한다. 더 나아가서 예술이 종교적 기능, 즉 치유와 자유와 구 원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지에 관해서 질문한다. 이를 위해서 동양철학/종교 를 소개, 대비하면서 주체와 타자와의 합일에 관한 깨달음이 구원에 이르는 길 을 제시한다는 것을 말한다. 도덕과 예술과 영성의 불가분의 연계성의 맥락 속 에서 진리와 선의 본질에 관한 ‘미적 직관’이 인간의 존엄성을 확인하고 자유로 운 존재로서의 인간의 가치와 의미를 창조하고 실현하는 인성교육의 근본임을 말한다.
        6,600원
        29.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가상대사 길장의 중도론이 지닌 미학적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종교철학과 미학의 만남이 매우 생소하고 이 색적이지만 접점이 가능할 수 있다는 전제 아래 접근한다. 따 라서 중도의 개념이 무엇인가를 먼저 고찰하지 않을 수 없다. 길장이 말하는 중도는 사고의 적중성을 체험하기 위한 논리 체계이다. 그런 점에서 중도란 단어에서 중이란 가운데란 의미 가 아니라 가장 적절한, 내지는 가장 적합함을 의미하는 적중 의 의미를 지닌다. 또한 가장 적중한 개념을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 중도를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시한다. 길장은 중도에 4종이 있다고 전제한다. 그것을 일중, 이중, 삼중, 사중이라 말한다. 이때 일중은 본체적 의미를 의미한다 면, 나머지 세 가지의 중도는 작용적 의미를 지닌다고 본다. 따 라서 일중을 일승이나 불성으로 간주하고, 나머지 중도는 일중 을 인식 내지 體達하기 위한 수단적 의미의 중도이다. 결국 길 장이 보는 중도는 본질과 작용 두 가지에 다 적용이 되며, 그 런 점에서 중도란 개념 역시 수단적 의미가 강하게 된다. 즉 진제와 속제의 2중, 이중과 그것을 부정하는 비진비속의 3중, 현실의 긍정과 집착에 대한 철저한 부정을 의미하는 4중이 그 것이다. 또한 중도를 이해하는 4가지의 방법을 제시한다. 依名釋, 理 敎釋, 互相釋, 無方釋이 그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방법을 구체 적으로 인식하기 위한 논리로 4중중도론을 제시한다. 4중중도 론을 길장 특유의 변증논리로서 부정의 부정을 통한 열반의 획 득을 목표로 한다. 부정을 위한 부정이 아니라 정신적인 안녕 과 평화를 획득하기 위한 부정의 논리이다. 이 논리에 의해 중 도실상의 세계에 들어갈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런데 길장의 이러한 중도론은 매우 독창적이면서도 심오 한 미학적 세계를 개척할 수 있다고 본다. 첫째는 창의적 미학 의 세계를 제시한다. 무집착의 적정성을 추구하는 중도론은 독 자적이면서도 독창성을 중시하는 미학과 상통한다는 점이다. 둘째는 중도실상의 세계는 無相이지만 언어나 논리에 의지한다 는 점이다. 즉 백지상태의 화선지나 사고의 기반 위에 독자적 인 채색이나 시적 언어를 통해 표현하는 회화나 시문학이 추구 하는 미학의 세계와 유사하다는 점이다. 셋째 중도론이 해탈과 열반을 목표로 한다면 미학은 지조지순의 미적세계를 추구한다 는 점이다. 그런데 그 도달의 방법은 기존의 관념과 관행을 부 정하지 않으면 도달할 수 없다는 점에서 길장의 중도론과 동일 한 논리선상에 있다. 길장의 중도론과 미학의 세계는 추구하는 목표가 외형적으 로는 분명히 다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접점을 찾을 수 있다. 그것은 미학이 추구하는 세계에 보다 효과적으로 도달할 수 있 는 논리를 길장의 중도론에서 찾을 수 있다는 점이다. 물론 그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는 점을 전제한다고 하더라도 길장의 중도론은 미학적 지평을 확장시켜줄 수 있는 논리체계 를 지니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7,800원
        30.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니멀리즘은 단순성, 명료성, 반복성, 배제성을 특징으로 장식을 배제한 절제의 미학을 의미하고, 스큐어모피즘은 복고와 기능, 그리고 감성을 특징으로 어떤 대상물을 이해하기 쉽도록 유사한 형태로 디자인한 미학적 관점을 의미한다. 모바일 플랫폼의 인터페이스는 이러한 두개의 미학적 특징을 바탕으로 개발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미학적 특징을 갖는 대표 사례로써 애플의 모바일 운영체제인 iOS6과 iOS7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진행했다. 통해 이 용자는 어떻게 경험하는지를 평가한 결과, iOS6을 스큐어모피즘으로, iOS7을 미니멀리즘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터페이스 구성 요소를 변인으로 살펴보았을 때, 타이포그래피와 정체성 변인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하위변인에서는 타이포그래피 변인에서는 심미성 변인만이 그리고 아이콘 디자인 변인에서는 이해가능성을 제 외한 정확성, 심미성 그리고 일관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iOS6는 정확성에서는 더 뛰어났지만, iOS7은 나머지 차원에서 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어 연구참여자들은 iOS7에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1.
        201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aesthetic values between emotion of human and expression of technology in contemporary fashion as it analyzes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related cases in fashion based on principles of 3D Printing technology and the viewpoint of mechanic aesthetic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3D Printing fashion is not only expressed diverse variations by its principles of formative methods, materials and properties, but also changes of silhouette by applying system of designers. Seco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3D Printing fashion is represented by various applications in SLS system, and it can be specifically explained application to a portion of clothing, decorative roles of clothing, complicated pattern making through crossing fabrics using 3D scanner and displaying a certain object changing fashion styles, and so forth. Thir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3D Printing fashion from the perspective of mechanic aesthetics is as follows. It can be analyzed as the integration of metaphysical values through compared symbolization of natural feature and technical evolution, partial dynamics and interactive velocity-based, formative combinations for abstract expression using architectural components, cosmos images and substantialized structures through images of organic space interacted human shapes. As the mention above, 3D Printing technology can creative a diverse area of fashion, and express images of new technological fashion through various works with continuous development of techniques.
        4,900원
        3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부정감정인 좌절에 주목하고, 좌절감정을 유발시키는 원인을 탐색하였으며, 좌절한 소비자가 좌절 을 극복하는 과정을 식별하고, 또 제품을 선택하는 경우에 디자인의 심미성 선호도의 제품선택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좌절은, 실패의 원인이 소비자가 통제할 수 있을 때 느껴지는 분노와 다르게, 목적달성의 실패가 확실하 고 실패의 원인이 소비자가 통제할 수 없는 환경요인에 있을 때 느끼는 것으로 탐색되었다. 둘째, 좌절을 느낀 소비자는, 재도전을 통해 실패상황을 적극적으로 극복하기 보다는, 자신의 실패상황에 대한 감정적 지지와 위로를 가까운 지인으로부터 받아서 실패상황을 감정적으로 극복하려 한다. 셋째, 좌절을 느낀 소비자는 제품의 선택 에서 제품의 디자인이 강조심미성 보다는 조화 심미성을 느끼게 할 때에 더 선호한다. 따라서 마케팅관리자가 좌절을 느낀 소비자에게 자신의 제품을 소구할 때에 제품 디자인에서 강조원리보다 조화의 원리에 의한 접근이 필요하다.
        4,600원
        33.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의 목적은 함허선사(1376~1433)의 사상을 살펴봄과 동시 에 수행과 깨달음에서 오는‘비움과 충만’의 시적 미학을 모색하는 데 있다. 함허는『현정론』을 통해 유자들의 불교비판의 부당성을 주 장하고‘유불융합’의 회통과 조화로운 관계 모색을 통해 불교의 정체 성을 지켜내려 했다. 그의 이러한 사유와 실천은 앞서간 선사들을 통 한 자기 확인, 점수(漸修)의 과정을 담은 관조의 시, 산사에서 느끼는 한가함과 탈속무애한 정서가 내재된 시편들을 통해 잘 드러난다. 함허의 이러한 시적 세계는 직관을 통한 교화사상과 자연과 조화를 이룬 시심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자연과 조화를 이룬 무 심의 세계는 그의 선적 직관과 시적 상상력이 조화를 이루어 빚어낸 물아일여의 깨달음의 세계이다. 여기에는 내려놓기와 걸림이 없고 무심한 삶의 관조의 세계가 선명하게 드러난다. 함허의 수행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 역시‘선다일여(禪茶一如)’의 수행이다. 그래서 함허는 깨달음을 얻어가는 수행 과정에서 차로 마 음을 맑히고 진여를 찾는다. 한 잔의 차를 마심으로써 집중과 통찰을 높이고 마음을 비우고 자신을 관조하며 깨달음에 이르렀던 것이다. 일체의 집착을 놓아버리고 무심의 상태에서 사물을 관조하는 무심합 도에서 배태된 함허의 맑고 투명한 언어의 시편들은 내려놓기와 비 움의 지혜를 준다. 또한 그의 이러한 시편들은 텅 빈 충만의 세계를 보듬게 함으로써 번다함과 집착으로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지친 심신 을 치유하는 한 줄기 바람으로 작용할 수 있는 메시지를 전해준다.
        7,800원
        34.
        201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현단계 미학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의 일환으로 쓰였다. 비 판적 검토의 이념적 토대는 독일 철학적 미학을 근대성의 핵심의제로 논 구한 하버마스의 사상이며, 비판의 주요 대상은 독일 미학자 발터 벤야민 의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을 다룬 국내 연구자들의 논문과 교양서이 다. 벤야민의 논문 자체도 비판적으로 고찰되었다. 정치와 미학과의 관계 에서 벤야민 텍스트 자체를 고찰했을 때 드러나는 논리적 부정합성을 지 적하는 한편, 그러한 부정합성을 우리가 현시점의 새로운 짜임관계에서 재사유해야 함을 논문의 결론으로 도출하고자 했다. 한국 연구자들의 연구에 대한 비판은 벤야민의 텍스트를 정치적 전망을 제외시키고 테크놀로 지의 선진성에만 주목한 점에 집중되었다. 한국의 연구들이 정치적 의제 들에 직면해서는 벤야민의 진술에 자구 그대로 의존함에 주목하여 이를 부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정치적 텍스트를 정치적 전망에서 갑론을박하지 않고 텍스트의 자구에 매몰되는 문헌학적 접근은 정치적 퇴행을 불러올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패착을 지양하고자하는 구체적 인 목적을 갖는다. 21세기에 고전 텍스트의 정치성을 논하는 연구가 텍스 트를 물신화하는 태도를 견지하면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 어렵다. 미학을 정치에 종속시키거나 정치적 태도를 미학적 성과와 병렬시키는 관점은 근 본적으로 재검토될 필요가 있다. 결론에서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지는 못하였지만, 현재 한국사회에서 벤야민의 텍스트가 매체미학의 원류로 받아들여지고 있음과 정치적 전망이 결여된 정치적 언어사용이 정치를 소비행위로 대체하게 됨을 지적함으로서 새로운 전망모색의 방향을 제 시하였다
        6,600원
        35.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의 목적은 추사의「세한도」에 나타난 예술세계를 불교적 사 유의 미학 관점에서 파악하고, 그것이 오늘날 우리에게 던져주는 메 시지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는 데 있다. 「세한도」는 추사가 제주 도 유배지에서 외로움과 고독, 절망의 끝에서 창작된 그의 예술세계 의 절정을 보여주는 수묵화이다. 여기에는 이무 것도 그리지 않은 듯 한 그림 저편에 실로 형언할 없는 사건과 얼룩진 트라우마와 당대의 풍경이 존재하고 있다. 즉 제자 이상적의 변함없는 마음을 푸르름을 잃지 않는 송백(松柏)에 비유하여 그린「세한도」에는 사제지간의 석 교(石交)의 깊은 정이 담겨 있다. 「세한도」에 내재된 중요한 코드 중의 하나는 불교적 사유의 미학이 라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추사와 이상적과의 깊은 우정을 담아낸 「세한도」는 단순한 그림이 아니라 텅 비어 고요하며 탈속과 성찰, 그 리고 비움의 정신을 바탕으로 한 불가의 선적 사유를 드러내 보인다. 이는 간결, 비움, 과감한 생략 등 선적 인식을 바탕으로 시·서·화 를 융합시켜 선과 각 예술의 이치가 다르지 않다는 점을 말해 준다. 간결하면서도 모든 것이 걸러지고 생략된 비움의 정신이 깃든「세한 도」는 구도에 가까운 염결성과 사제지간의 석교의 아름다움이 내재 되어 있다. 이처럼 추사가 문기의 경계를 넘어 선기가 충만한 선적 그림을 남긴 것은 그가 선의 세계에 깊이 침잠한 삶을 살았기에 가능 한 것이었다. 「세한도」의‘후조(後凋)’의 정신은 추사 한 사람만의 감 회가 아니라 조선의 모든 선비들의 정신이자 오늘날 우리가 본받아 야 할 정신이다.
        7,000원
        36.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nalyzes six different ways of articul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politics. It calls attention to the differences that lurk behind the seemingly simple phrase—everywhere in vogue today—the “politics of aesthetics.” Five of these models are drawn from contemporary discussions regarding the politics of art. The last model is the attempt to develop an account of the politics of aesthetics that is faithful to the diffcult and ambiguous dimensions of the aesthetic experience that were hinted at by the texts of classical philosophical aesthetics. Most notably,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idea that the aesthetic experience can be understood as a form of disinterested contemplation—one that is not reducible to cognitive or moral considerations—and with some of the consequences that this entails. It explores some of the political signifcance that can be attributed to this idea of disinterested contemplation, arguing that the aesthetic should be understood as a withdrawal from the world’s pre-established meanings. Unlike some of the other thinkers discussed in this paper, this author doubts that a single, uniform meaning can be ascribed to the aesthetic experience. I thus argue that we need to approach the aesthetic through the networks of textual signifcance that have been built up around it. Throughout this paper, I attempt to explain how the efforts to link art and aesthetics to politics simultaneously give rise to ideas about the nature of the human community. In looking at the sixth and fnal model, what I have called the “anarchical politics of aesthetic ambiguity,” I argue that the aesthetic tradition offers a rather unique way of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community. Here, we see that the aesthetic is prone to a number of paradoxes, central among them the one that makes art the bearer of a solipsistic pleasure in which we nevertheless discover our capacity for genuinely communicating with others, outside of clichés and banalities.
        4,900원
        37.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과정중심의 창의성 분석에서 벗어나 결과물 측면에서 창의성의 개념적 특성을 분 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총체적 관점에서 창의성과 무용교육 간의 미학적 관계성을 검토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창의성은 독창성과 가치성이라는 개념적 특성을 가지며, 독창성은 기존 의 규칙, 관례와의 갈등과정에서 변화 또는 초월하는 것을 통해, 그리고 가치성은 일정한 미적 가치판단기준에 의거해서 발생한다. 따라서 창의적 무용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기존의 규칙 및 관례, 즉 무용기법 및 테크닉에 대한 습득, 그리고 무용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받아들여지는 미적 판단기준에 대한 학습이 기본적 요건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실제 무용활동이 수행되는 과 정에서 창의적 무용표현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표현주제, 표현움직임, 표현의도 및 배경, 그리고 표현장애요인에 대한 주의 깊은 집중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한편 창의적 무용교육이 수행될 경 우, 특정한 미적 기준이 학생들에게 강요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미적 기준에 대한 학습은 무용표현활동과 구분되어 실시되기 보다는 실제 무용체험을 통해 습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4,800원
        38.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래학춤은 동래 지역 덧배기춤의 한 유형으로, 학의 거동과 동래 지역의 독특한 지형 등이 춤으로 반영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래학춤에 영향을 미친 덧배기춤과 한량춤의 몇몇 춤사위를 분석함으로써, 동래학춤의 춤사위에 담긴 미적 특징의 양상들을 분석해 보았다. 동래학춤을 춤의‘형성’과‘연희’의 측면으로 나누어 보면, 전자로부터는 동래 지역 덧배기춤의 동적이고 남성적인 성격이, 후자로부터는 한량춤으로 이어지는 풍류적이고 예술적인 성격이 드 러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론에서는 크게‘덧배기춤’과‘한량춤’의 두 가지 요소들을 통해 동래학춤을 분석하고, 각각의 미적 특징들을 도출해 보았다. 먼저 덧배기춤으로는‘즉흥춤’과‘배김사위’라는 두 가지 특징을 통해 동래학춤의 미적 특징을 분석해 보았고, 한량춤으로는 다시‘소매걷음사위’와‘소쿠리사위’라는 두 가지 특징을 통해 동 래학춤의 미적 특징을 제시해 보았다.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알 수 있 었다. 첫째, 덧배기춤의‘즉흥춤’적인 성격은 동래학춤에서‘자연미’라는 미적 특징으로 발전되었다. 둘째, 덧배기춤의‘배김사위’는 동래학춤에서‘흥취’라는 미적 특징을 만들어냈는데, 이때 동래 학춤의‘흥취’가 갖는 독특한 성격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셋째, 한량춤의‘소매 걷음사위’는 동래학춤의‘세련미’에 기여하였다. 넷째, 한량춤의‘소쿠리사위’는 동래학춤의 ‘격조미’를 진작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동래학춤을 덧배기춤과 한량춤의 요소로 구분하여 그 두 가지 대조적인 성 격이 동래학춤에 함께 반영되어 있음을 밝혔다. 다음으로는 덧배기춤과 한량춤의 요소들을 통해 동래학춤을 분석하여 첫째 자연미, 둘째 흥취, 셋째 세련미, 넷째 격조미라는 미적 특징을 분류 하고 각각의 양상들을 제시하였다.
        5,400원
        39.
        201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에서 다양하게 진행되어오고 있는 書法( 중국은 書法, 한국은 書藝, 일본은 書道)예술을 한문교육의 차원에서 재조명하여 그 심미 적 교육 방안을 모색해 본 것이다. 동아시아 한자는 황하문명의 긴 역사를 바탕으 로 다양한 상상력과 창의력이 동원된 문자였다. 우리 동아시아의 한자문화권에서 는 아주 오래전부터 서법의 예술이 다양하게 발달해 오고 있었다. 이 서법예술 속 에는 다양한 미적 상상력과 창의력이 함의되어 있다. 한자교육은 단순히 識字 교 육 범위를 넘어 동아시아 한자문화의 편린들을 심미적으로 이해하고 향유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교육할 필요가 있다. 우리 한자문화권의 서법의 역사 속에는 한문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 한 심미적 교육요소들이 무진장으로 함의 되어 있다. 고대 서법예술의 심미적 교 육은 학습자들의 인성을 순화하게하고, 창의력과 상상력을 제공하며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문화를 창도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는 중요한 영역임을 재확인 할 수 있었다. 서법예술의 심미적인 교육은 학생들의 심성을 순화시키고 다양한 상상력과 창의 력을 개발시킨다. 이 논문에서는 동아시아 한문교육의 일환으로 동양의 고대서법의 미학을 심미적으로 교육하기 위하여 이 서법의 미학을 어떻게 공부하게 하여 어떻게 심미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가에 대하여 그 목표와 내용, 그리고 그 방법과 평가로 나누어 모색해 보았다. 동아시아 고대서법의 심미적 교육을 통하여 동양의 고대문화 를 이해하고 심미적으로 향유하며 문자의 기원과 발달을 생생하게 체험하고 이를 바탕으로 창의성과 상상력을 마음껏 발휘 시키며 나아가서 서법의 수련을 통하여 심성수양과 인격의 완성까지 추구하게 할 수 있다. 고대서법에 대한 심미적 교육을 통하여 다양한 유형의 고대서법 자료를 심미적 으로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또한 고대서법에 담긴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여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고, 전통문화를 바르게 이해하 고 창조적으로 계승 발전시키며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고대서법의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문화의 이해와 소통에 기여하려는 선구자적인 태도를 지니게도 할 수 있다. 한문교육의 다양한 방법의 추구로 한문교과의 심미적 교육의 위상을 제고하는 새 지평이 열리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7,800원
        40.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무용공연에서 무용수의 창조적 영역이 존재함에 따라 무용작품이 지니고 있는 미적 특성과 가치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이해와 관련하여 무용공연에서 무용수가 수행하는 미적 기능이 무 엇이며, 무용수의 창의적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요인들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 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중요성에 따라 안무가-무용수-관객이라는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무용공연의 미적 의사전달체계와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무용공연에서 무용수가 수행하는 미적 기능을 분석하였다. 공연행위자로서 무용수를 통해 안무가의 안무메시 지가 메시지전달자로서 무용수를 통해 관객에게 전달되고 전달된 무용표현에 대해 관객이 미적 으로 반응하게 된다는 무용공연의 미적 전달체계는 비공연예술과는 달리 무용수라는 독특한 전 달매개체의 존재로 인해 전달과정에서 안무가-무용수 간의 비평적 이해, 그리고 무용수-관객 간 의 미적 상호작용이라는 두 가지 관계성이 발생된다. 이러한 미적 관계성에 따라 무용공연에서 무용수는 미적 가치의 전달, 미적 가치의 창조, 그리고 미적 표현의 구현이라는 상호 연계된 미 적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기능들이 어떻게 수행되는가에 따라 무용공연의 예술적 성공이 결 정된다. 무용공연에서 무용수가 수행하는 세 가지 기능은 무용수의 창조성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무용수의 창조적 역량 개발에 대한 교육적 중요성은 매우 크다. 무용수의 창조성 개발을 위해서 는 무용규칙 및 관례 등 무용테크닉 습득, 그리고 미적 소양 제고를 위한 교육이 중요하다. 특 히 미적 개념과 특성에 대한 이해가 이러한 개념과 특성을 무용연습을 통해 무용표현으로 구현 함으로써 개발되고 증진된다는 점에서 미적 소양을 강화시키는 차원에서 진행되는 무용미학 교육은 그 자체가 독립적 분리되어 실시되기보다는 미적 표현을 위한 무용연습과 상호 결합되 어 수행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4,8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