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3

        1.
        202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develop quality-improved bakery products, the influence of the partial replacement of wheat flour by Artemisia princeps leaf powder (APP)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including antioxidant activities, was investigated. Studie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ddition of different percentages of APP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by incorporating APP (1-4%) into wheat flour. The incorporation of APP significantly affected the cookies’ physicochemical parameters and sensory acceptance attributes. Such incorporation at different levels significantly reduced moisture content while increasing the cookie dough’s density (p<0.05). The spread ratio, loss rate, L*, and b* values of the cookies decreased, but their hardness and a* value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levels of APP substitution (p<0.05).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 6-sulph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with higher APP substitution and were well-correlated. Hedonic sensory results showed that cookies fortified with 2% APP generally received satisfactory and acceptable acceptance scores. Consumers seemed to prefer the cookie texture in terms of chewiness when the samples were softer and lighter but less reddish, whereas taste acceptance may be a dominant factor in overall acceptability.
        4,000원
        2.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개똥쑥(Artemisia annua L.)은 국화과 (Compositae)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으로 예로부터 진 통, 안면마비 등의 신경계 질환과 위염, 호흡기 등의 질병치료 목적으로 이용되는 식물로 알려져 있다. 개똥쑥을 열수 및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용매에 따른 추출물의 농도별로 항산화 활성 및 항염증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총 polyphenol의 함량은 개똥쑥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열수 추출물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총 flavonoid 함량은 개똥쑥 열수 추출물과 70% 에 탄올 추출물에서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DPPH radical 소거능력과 ABTS radical 소거능력은은 62.5∼500 μg/mL 농도에서는 비타민 C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70% 에탄올 추출물, 열수 추출물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125 ∼ 500 μg/mL에서 NO 생성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 과 열수 추출물에서는 500 μg/mL 농도에서 강한 NO 생성 억제를 보이며, 농도의존적으로 NO 생성 억제를 나타났다. 70%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NO 생성 억제 뿐 아니라 염증성 싸이토카인 발현을 현저 히 억제하는 결과를 보이며, 농도의존적인 억제 효과를 나타났다. 개똥쑥은 항산화효과 및 염증성 싸이 토카인의 발현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이므로 염증성 질환 치료 및 개선에 널리 사용될 수 있으 리라 사료된다.
        4,000원
        3.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섬애약쑥(Artemisia argyi H.)의 항가려움증 활성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로써 가려움증 관련인자 등을 측정하였다. 섬애약쑥은 열수로 추출(Artemisia argyi H. distilled water extract 이하, AAD)하여 MTT assay로 세포독성을 측정하였고 항가려움증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IL-4와 IL-31 관련 전사인자 발현 및 단백질 생성을 측정하였으며, 히스타민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25, 50, 100 ㎍/㎖의 농도에서는 유의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가려움증 연관 유전인자인 IL4의 경우 25 ㎍/㎖의 농도에서 약 12%, 50 ㎍/㎖의 농도에서 약 26%, 100 ㎍/㎖의 농도에서 약 61%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IL31의 경우 50 ㎍/㎖의 농도에서 약 33%, 100 ㎍/㎖의 농도에서 약 33% 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연관된 단백질 측정의 경우 각각 50 ㎍/㎖와 100 ㎍/㎖의 농도에서 IL-4는 약 34% 및 약 69%, IL-31은 약 36% 및 약 37%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 결과는 ADD가 항가려움증을 위한 소재로써 가능성을 보여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4.
        2020.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is emerging as the most common liver disease in industrialized countries. Recently, natural compounds that may be beneficial for improving NAFLD have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Artemisia annua L. is the source of antimalarial phytomolecule, artemisinin, which has been reported to prevent obesity. However, the effect of A. annua extract on hepatic lipid metabolism remains unclea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protective effect of Artemisia annua extract (AAE) on high-fat diet (HFD)-induced hepatic lipid accumulation, and elucidate the molecular mechanisms behind its effects in vivo and in vitro. We found that HFD-fed mice with AAE administration (50 mg/kg/day) for 8 weeks dramatically reduced hepatic lipid accumul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mice taken with HFD alone. The body and liver weights of AAE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HFD group, and oral administration of AAE remarkably suppressed the serum levels of triglyceride (TG), total cholesterol (TC), fasting glucose, alanine transaminase (ALT) and aspartate transaminase (AST) in HFD-fed mice. AA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hosphorylation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and acetyl-CoA carboxylase (ACC) in the liver of HFD-fed mice and HepG2 hepatocytes. Moreover, AAE downregulated the hepatic expression of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c (SREBP-1c) and fatty acid synthase (FAS) in HFD-fed mice and high glucose-treated HepG2 cells. In addition, the inhibitory effects of AAE on the overexpression of SREBP-1c and FAS were attenuated by compound C, which is the specific AMPK inhibitor, in high glucose-treated HepG2 cell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AE may represent a promising approach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besity-related NAFLD via the activation of AMPK and the regulation of AMPK-dependent lipogenic genes.
        4,500원
        5.
        2020.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evelopment of drugs from natural plant sources is at growing interest due to the limitations of chemical drugs in terms of side effects and cost-effective factors of natural medicines. Among the various components contained in natural plant materials, flavonoids are of increasing interest because of their extended biological benefits. Flavonoids ar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ir structure and possess different activities depending on the structure. In this study, the flavonoids contained in Artemisia, native to Korea were examined and reviewed. HPLC chromatograms of three Artemisia species (Artemisia annua L., Artemisia iwayomogi and Artemisia argyi H.) were examined from published sources and their component analysis by MS data were summarized. The various flavonoids of Artemisia were classified into 12 types according to the main structure, and 10 flavonoids based on various activities were examined. The 10 flavonoids were identified as quercetin, kaempferol, rhamnetin, diosmetin, luteolin, methoxyflavone, catechin, apigenin, malvidin and genkwanin with extensive reported studies till date. The ten flavonoids examined have been reported to be effective in preventing and treating various diseases and exhibit activities such as anti-cancer,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tiviral, anti-obesity, anti-diabetic and anti-Alzheimer. The collective results from the reported studies suggest that the three types of Korean native Artemisia, contains various flavonoids with beneficial activities and may have therapeutic effects against diseases.
        4,200원
        6.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에 자생하는 약용식물인 개똥쑥을 배지 재료로 활용하여 느타리 재배를 위한 적정 혼합비율을 설 정하였다. 개똥쑥의 첨가량에 따른 균사생육과 균사밀도를 조사한 결과 균사생육은 배양 23일 후 개똥쑥 5% 첨 가된 배지에서 12.7 cm였고, 대조구인 포플러톱밥+미강 (8:2)배지에서는 12.5 cm로 개똥쑥 첨가배지와 균사생육이 거의 비슷하였다. 그러나 개똥쑥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조구 보다 균사생육이 느렸으며, 개똥쑥 70%에서는 2.1 cm로 거의 생육하지 못하였다. 개똥쑥 첨가량에 따른 균사밀도는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이 높은 밀도를 보였다. 개똥쑥의 첨가량에 따른 느타리 자실체 특성을 조사한 결과 갓의 직경은 대조구보다 개똥쑥 첨가에서 높았지만, 갓의 두께는 대조구에서 조금 높았다. 대의 두께는 개똥쑥 15% 첨가에서 가장 높았고, 대의 길이는 개똥쑥 10%에서 가장 높았지만 대조구보다는 낮은 경향을 보였다. 수확기 자실체의 갓과 대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대의 L값은 개똥쑥 10%에서 가장 높았고, 갓의 L값은 개똥쑥 5%에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고, a, b값은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자실체 수량은 대조구가 119 g/850 ml였고, 개똥쑥 5%에서 122 g/850 ml으로 가장 높았고, 개똥쑥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량은 감소되었다.
        3,000원
        7.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섬애약쑥(Artemisia argyi H.)의 미백활성을 평가하였다. 섬애약쑥은 증류수와 70% 에탄올로 추출하였으며, 세포에서의 독성평가로 안전함을 확인하였다. 미백활성은 세포내 티로시나아제, 세포외 티로시나아제, 멜라닌 합성저해 및 미백관련 전사인자 감소로 평가하였다.그 결과 50, 100, 200 ㎍/ ㎖에서 유의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각 시료의 200 ㎍/㎖ 농도에서 세포 외 멜라닌 생성량의 경우 AAD 45.0%로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 AAE는 1.3%로 미미하게 감소되었으며, 세포 내 멜라닌 생성량의 경우 AAD 37.2%, AAE 24.6% 감소되었다. 세포 내 tyrosinase 활성의 경우 200 ㎍/㎖ 농도에서 AAD 49.2%, AAE는 35.6% 감소되었다. 또한 tyrosinase, TRP-1, TRP-2 전사인자 각각은 AAD 63.0%/AAE 58.0%, AAD 60.0%/AAE 56.0%, AAD 59.0%/AAE 53.0%로 감소되었다. 추출물 모두 미백 활성에 효과가 있었으나 상대적으로 AAD가 AAE에 비하여 미백효능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 후 미백 기능성화장품의 원료로써 응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8.
        2020.03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rtemisia annua (AA) is a well-known as a source of antimalarial drug (artemisinin), which also has been traditionally used as an antipyretic and hemostatic agent in Korea and China. In preclinical effective study, a water extract of Artemisia annua (WEAA) ameliorated weight gain and hepatic lipid accumulation in high-fat diet-fed mice. The plasma levels of triglyceride, AST, and ALT were reduced in the WEAA-treated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the safety of WEAA as a functional ingredient for liver health was evaluated in this repeated dose oral toxicity study before the clinical trial. Sprague- Dawley (SD) rats were treated by gavage with 20 times (1,000 mg/kg) more than the effective dose for 13 weeks. All rats had survived at the end of the study, and there were no changes indicating obviously abnormal clinical sign and behavior. The treatment of WEAA were also observed no obvious toxicities in the body weights, urine, hematological, serum biochemical, ophthalmic and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OAEL (no-observed-adverse-effect level) of WEAA in SD rats was estimated to be 1,000 mg/kg. In conclusion, WEAA could be used as a safe functional ingredient for the improvement of liver health in individuals with hepatic diseases including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4,000원
        9.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소득이 증가하고 건강에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단순한 미용 화장품보다 여러 가지 기능성을 가진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각종 천연물에 대하여 항산화, 항염 및 미백 등의 활성을 검증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도 천연물의 활성과 더불어 다양한 약리작용이 있는 영지버섯 균사체와의 발효에 의한 시너지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인진쑥 영지균사발효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영지버섯 균사추출물과 유사하게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저농도의 인진쑥 추출물 보다는 다소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인진쑥 영지균사발효 추출물의 RAW 264.7 세포의 NO 생성 억제활성을 통한 항염활성 평가에 앞서 세포 생존율을 평가한 결과, 흥미롭게도 인진쑥 추출물은 150 μg/mL의 농도부터 RAW 264.7 세포에 대한 생존율을 유의적으로 크게 감소시켰으나, 영지 균사 발효 시 세포 생존율이 크게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영지 균사 발효 시 인진쑥의 독성이 크게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인진쑥 추출물 25 μg/mL의 처리는 동일 농도의 인진쑥 영지버섯 균사발효 추출보다 오히려 유의적인 수준에서 RAW 264.7 세포의 NO생성을 억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인진쑥 영지버섯 균사발효는 인진쑥 추출물 자체의 RAW 264.7 세포에 대한 독성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어 이로 인해 더욱 높은 농도의 영지버섯 균사발효 추출물 처리를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지 균사 발효에 의한 미백 기능성 소재 발굴이라는 본 연구의 취지에 부합하는 결과가 인진쑥 영지균사발효 추출물 처리구에서 확인되었으며, 200 μg/mL 농도에서는 양성 대조군인 arbutin 보다 약 3.66배의 활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인진쑥 영지균사발효 추출물이 tyrosinase활성을 억제하는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4,000원
        11.
        2018.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쑥은 세포 손상과 위염 회복에 효능이 있는 유파틸 린을 가지고 있는 약용작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강 화쑥의 온실에서의 주년 생육 특성을 분석하고, 환경 스트레스를 처리하여 유파틸린의 함량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유리 온실에서 강화쑥을 육묘 6주, 정식 후 8 주간 재배하여 생육 특성과 유파틸린 함량을 비교하였 다. 광합성은 상대적으로 고광도인 1,200μmol·m-2·s-1에 서도 포화되지 않았다. 생육속도는 정식 후 2주후에 최고에 도달하였고 정식 후 8주부터 감소하기 시작하 였다. 강화쑥은 다년생 숙근초로 계절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봄 여름의 영양 생장기에는 높은 생육과 성 분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가을과 겨울에는 개화 및 월 동으로 인하여 생육 및 유파틸린 성분 함량이 크게 감 소하였다. 따라서 강화쑥의 주년 재배를 위하여는 이를 억제하기 위한 야파 처리의 적용이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2종류의 스트레스와 1종류의 eliciter를 처 리하였다. 건조 스트레스는 수확 전 5, 6, 7, 8 일간 관수을 중단하였고, 염류 스트레스는 수확 3일전 양액 에 염화나트륨 추가하여 2, 4, 6, 8dS·m-1 농도로 하였 고, 메틸자스모네이트는 수확 3일전 12.5, 25, 50, 100μM 농도로 엽면 시비하였다. 건조 스트레스 처리 구 중 7일 및 8일간 관수를 중단한 경우와 메틸자스모 네이트를 25μM 엽면 시비한 경우 유파틸린 함량이 증 가하였다. 염류 스트레스 처리구에서는 유파틸린 함량 증대가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환경 처리를 통해 유용 성분의 증대가 가능하고 의약 원료로써 강 화쑥의 생산성과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증 명하였다.
        4,000원
        12.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age quality and dry matter (DM) yields of mugwort (Artemisia princeps Pamp.) collected different region at Seongju in Kyeongbuk from 2014 to 2015. The experiment was arranged in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Mugwort was planted on 17th March, 2014 and harvested on 13th September, 2014 and on 25th May and 9th September, 2015. DM yields of Dalsung(1), Seongju B.(1), Dalsung(2) and Sajuarissuk were 17.3, 16.8, 16.7 and 16.7(MT ha⁻¹), respectively and the DM yields of those were higher (P<0.05) than the other mugworts in 2014. In 2015, DM yields of Dalsung(1), Dalsung(2), Seongju B.(1), and Sajuarissuk were 19.5, 19.3, 18.4 and 18.4(MT ha⁻¹), respectively and DM yields of those were higher (P<0.05) than the others. DDM(digestable dry matter) content of mugworts was a range of 56.4 to 60.8% and that of Sajabalssuk, 60.8% was the highest. Seongju B.(1) 58.8% was higher than Seongju B.(2) 56.4% but there were no difference among the Dalsung(1) 58.4%, Dalsung(2) 58.1%, Sajuarissuk 57.7% and Yeongcheon.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Dalsung(1), Dalsung(2), Sajuarissuk and Seongju B.(1) would be recommendable for forage production.
        4,000원
        13.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초음파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공동현상을 이용하여 다양한 유용성분과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 녹차와 애엽을 혼합하여 새로운 식품소재를 개발하기 위해서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추출특성을 모니터링 하여 최적 추출조건을 예측하였다. 초음파를 지속적으로 가하는 조건에서 Box-Behnken design에 의해 녹차와 애엽의 혼합비, 용매와 용질의 비, 추출시간을 독립변수로 하여 15구간의 추출조건을 설정하고 추출수율(Y)을 종속변수로 하여 모니터링 하였다. 반응표면분석결과 녹차 및 애엽 혼합 추출물은 녹차의 함량과 추출용매의 양이 증가 할수록 추출 수율이 증가 하였으며, 추출시간은 결과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수율을 최대로 얻을 수 있는 녹차 및 애엽 혼합물의 최적 추출조건은 녹차와 애엽의 혼합비 85.86%, 용매와 용질의 비 92.73 mL/g, 추출시간 56.52분으로 확인되었으며, 추출수율의 최대값은 30.03% 로 예측되었다.
        4,000원
        16.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α-glucosidase 저해활성이 우수한 천연 자원을 개발하기 위하여 개똥쑥으로부터 천연 물질을 분리·동정하고 분리된 물질에 대하여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개똥쑥 잎과 줄 기의 chloroform층과 ethyl acetate층으로부터 각각 6개와 5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화합물 중 chloroform층으로부터 분리된 ArteCA(M.W. 316g/mol, C16H12O7)는 isorhamnetin, ArteCB(M.W. 360g/mol, C18H16O8)는 chrysosplenol D, ArteCC(M.W. 316 g/mol, C16H12O7)는 rhamnetin, ArteCD (M.W. 374g/mol, C18H16O8)는 chrysosplenetin, ArteCE(M.W. 284g/mol, C21H20O12)는 acacetin 그리 고 ArteCF(M.W. 270g/mol, C16H14O4)는 imperatorin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EtOAc층으로부터 분리된 ArteEAA(M.W. 178g/mol, C9H6O4)는 6,7-dihydroxy coumarin, ArteEAB (M.W. 192g/mol, C10H8O4) 는 scopoletin, ArteEAC (M.W. 448g/mol, C21H20O11)는 kaempferol-3-O-b-D-glucoside, ArteEAD (M.W. 464 g/mol, C21H20O12)는 quercetin-3-O-b-D-glucoside 및 ArteEAE(M.W. 318g/mol, C15H10O8)는 myricetin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에서 ArteEAE(myricetin)는 α-glucosidase에 대하여 97.3%의 높은 저해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혈당조절용 건강식품 또는 치료제 개발을 위한 물질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4,500원
        17.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ssential oil (EO) from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on quality of tomato during storage. EO was extracted by steam distillation and diluted by 1 and 2%. Total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O were analyzed. Tomato was packaged corrugated box covered with polypropylene (PP) film containing EO (1 and 2%) and then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10 days. During storage, appearance, weight loss rate, soluble solid contents, pH and a (redness) value were measured for tomato. Total phenolic contents of EO increased in a dose-dependence.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lso showed a concentration-dependent increase. The weight loss rate was lowest using the film packaged in 1% EO. During the storage period, soluble solid contents and pH increased in all treatments. The a value increased regardless of EO concentration in films. Especially, tomato packaged with EO film showed a lower a value than non EO-packaged ones. This result suggests that application of EO to film is effective for tomato quality preservation.
        4,000원
        19.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dition of Artemisia annua L. powder in jeonbyeong. Contents of crude ash increased as the amount of Artemisia annua L. powder increased, whereas crude fat contents de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contents of Artemisia annua L. powder, total amino acid contents significantly increased. Hunter’s L value increased as contents of Artemisia annua L. powder increased, whereas total free sugar contents decreased. Addition of Artemisia annua L. powder to jeonbyeong increased dietary fiber contents. The sensory score of jeonbyeong containing 100 g of Artemisia annua L. powder was the highest of all jeonbyeong tested. According to the results, addition of Artemisia annua L. powder could improve the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jeonbyeong.
        4,000원
        20.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Pampan) Hara (ssuk in Korea) essential oil and the quantitative changes of major terpene compounds according to the time of harvest. The essential oils obtained by hydrodistillation extraction from the aerial parts of ssuk were analyzed by GC and GC-MS. The essential oil composition of ssuk was characterized by higher contents of mono- and sesqui- terpene compounds. Ninety-nine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the essential oil from ssuk harvested in 2010, with camphor (11.9%), β-caryophyllene (9.11%), dehydrocarveol (8.51%), and borneol (7.72%) being the most abundant compounds. Eighty-three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the essential oil from the plant harvested in 2011, with borneol (12.36%), caryophyllene oxide (12.29%), β -caryophyllene (10.24%), camphor (9.13%), and thujone (8.4%) being the most abundant compounds. Eighty-four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the essential oil from the plant harvested in 2012, with β-caryophyllene (20.25%), caryophyllene oxide (14.63%), and thujone (11.55%) being the major compounds. Eighty-nine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the essential oil from the plant harvested in 2013, with thujone (23.11%), alloaromadendrene oxide (12.3%), and β-caryophyllene (11.48%) being the most abundant compounds. Thujone and aromadendrene oxide content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2010 to 2013, while camphor and dehydrocarveol contents de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ose 4 years. The quantitative changes in these 4 compounds according to the time of harvest can served as a quality index for ssuk essential oil. The ecological responses to recent climate changes may be reflected in the chemical components of natural plant essential oils.
        4,2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