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5

        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fish welfare and develop guidelines for its implementation in South Korean aquaculture. As global awareness of animal welfare grows, scientific evidence shows that fish are sentient beings capable of experiencing pain and that stress has led to increased demand for welfare standards in aquacultur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like WOAH and the EU have set welfare standards for farmed fish, emphasizing their importance for health, productivity, and food safety. However, in South Korea, fish welfare is still an emerging concept with limited research. This study systematically defines fish welfare, assesses its feasibility in domestic aquaculture, and proposes guidelines tailored to local conditions. Th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gradual implementation, considering the unique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fish farming.
        5,200원
        2.
        202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습자들의 지질학적 시간 개념 인식에 따라 퇴적암 형성 과정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의 실행은 B 광역시에 위치한 U 초등학교 4학년 학생 57명을 최종 분석의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데이터의 수집은 Jolley et al. (2012)이 개발한 LIFT (The Landscape Identification and Formation Test) 검사 도구를 수정 및 번안하여 객관식 문항을 구성하고, Charles and McConnell (2018)이 활용한 지질학적 경관 형성에 대한 인터뷰의 구조를 서술식 문항으로 제작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서술형 문항 응답 결과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학생들의 지질학적 시간 개념 표출 유형을 기준으로 세 군집으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군집은 각각 구체적 시간 개념 군집(Specific time concept cluster), 막연한 시간 개념 군집(Vague time concept cluster), 시간 개념 미표현 군집(No time concept cluster)으로 명명되었으며, 각 군집별로 퇴적암 형성 과정에 대한 단답형 문항의 점수를 활용하여 통계적 검증을 수행하 였으며, “구체적 시간 개념” 군집은 “시간 개념 미표현” 군집에 비해 퇴적암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가 통계적으로 유의 미하게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그 구체적 사례에서 Ault (1982)가 언급한 지질학적 연대에 대한 과소 추정과 과대 추정의 사례를 발견하였다. 또한 각 군집별로 수집된 서술형 문항(퇴적암 형성 과정에 대한 서술)을 바탕으로 언어 네트 워크를 형성하고, 중심도 분석을 실시하여 시각화한 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구체적 시간 개념 군집은 퇴적암 형성의 모든 과정에 대해 비교적 잘 인식하고 있으며, 지질학적 시간 개념이 현상과 잘 연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막연한 시간 개념 군집은 퇴적암 형성 과정에서 퇴적, 압축, 교결, 암석화, 노출의 과정이 비교적 잘 연결되어 있지 않지 만, 지질학적 시간 개념은 비교적 잘 인식하고 있었으며, 시간 개념 미표현 군집은 퇴적암 형성 과정에서 퇴적, 압축, 교 결 작용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지질학적 시간 개념의 인식 또한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 다. 추가로, 각 군집별 시간 노드의 커뮤니티가 가지는 중심도를 활용해 커뮤니티 분석을 실시간 결과, “시간 개념 미표 현” 군집은 퇴적암의 형성 과정을 시간 개념과 연관시키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 것을 확인하였다.
        4,200원
        3.
        2024.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Korea, two types of spent nuclear fuels (SNFs) are generated, pressurized light water reactor type (PWR) and pressurized heavy water reactor type (PHWR; CANDU), that differ greatly in size, decay heat, and radioactive characteristics. Technology development for the disposal of SNFs has mainly focused on PWR SNFs that are large in size and have extremely high decay heat and radioactivity. However, CANDU SNFs should be considered differently from PWR SNFs in deep geological disposal systems because their characteristics significantly differ from those of PWR SNFs in terms of their dimensions, number of SNF bundles, and handling systems in nuclear power plant sites. In this paper, after reviewing the status of the CANDU SNF disposal concept by Canada and Korea, concepts related to the direct geological disposal of CANDU SNFs were described, and two concepts were propo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evelopment. The engineered barrier systems developed using these two concept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in terms of disposal safety, disposal efficiency, and technical matur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es, a vertical-type emplacement disposal concept was determined as a reference concept for the deep geological disposal of CANDU SNFs.
        4,900원
        4.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문법 이론의 변천에 따른 공시성・통시성의 개념 규정의 변 화를 살펴보고 그 이론 내적 정합성을 따져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 쉬르(Saussure)(1916)의 구조주의 언어학은 언어 변화가 없는 일정한 시간 폭을 ‘공시태’라 하였고 언어 체계의 변화 과정을 ‘통시태’라 하였 다. 이후, 유추에 기반한 한국어 단어 형성론 연구에서 소쉬르 (Saussure)(1916)의 공시・통시 개념에 대한 시각의 변화를 시도하였 고 이를 오독한 결과 소쉬르(Saussure)(1916)의 ‘랑그’에서 벗어난 개 인어를 연구 대상으로 상정하는 연구들도 나타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소쉬르(Saussure)(1916), 촘스키(Chomsky)(1965, 1986) 등에 제시된 공시・통시 개념을 정밀하게 살펴보고 이후의 연구들이 잘못 이해한 부분을 짚어내었다. 또한 공시・통시의 개념을 수정한 연구들의 이론 내적 정합성을 따져보아 오류로 보이는 부분들을 지적하였다. 그 결과 소쉬르(Saussure)(1916)에 제시된 공시・통시 개념이 수정될 만한 언 어 현상이나 이론적 근거 등이 아직까지는 발견되지 않았음을 논증하 였다.
        6,100원
        5.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지구과학 교육 연구 논문들을 대상으로 질적 메타 분석을 통해 집단적 PCK (cPCK) 중 ‘특정 과 학 주제(온실 효과, 지구 온난화, 기후변화)에 대한 학생 이해 지식’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실 효과, 지구 온난화, 기후변화에 대한 학생 대체 개념(오개념)과 관련된 지구과학 교육 연구 논문 22편을 선정하여 각각의 정의, 원 인(매커니즘), 그리고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기 위해 언어 네트워크 분석, 정신모형틀을 적용하 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온실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이해를 메타 분석한 결과, 온실 효과와 지구 온난 화를 같은 의미로 사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온실 기체의 종류를 제한적으로 알고 있고, 온실 기체의 역할을 이해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실 효과의 발생을 환경오염이나 오존층의 변화와 관련지어 생각하고, 지표-대기의 열수지 평형과 온실 효과를 관련짓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 지구 온난화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이해를 메타 분석한 결과, 지구 온난화를 해수면 상승과 같은 의미로 사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지구 온난화의 발생을 환경오 염, 오존층의 변화, 빙하의 융해와 관련지어 생각하고, 지표-대기의 열수지 평형이 깨져 지구 온난화가 나타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또한 지구 온난화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잘못 알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 기후변화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이해를 메타 분석한 결과, 기후변화를 지구 온난화, 기상 변화, 기상 이변과 같은 의미로 사용하는 것으 로 분석되었으며, 기후변화의 발생을 대기오염, 오존층의 파괴와 관련지어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후변화 가 우리 생활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잘못 알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대한 분석 결과를 언어 네트워크 분석 을 통해 종합한 결과, 집단적 PCK로서 3가지 정신모형(범주적 오해, 기제적 오해, 위계적 오해)을 표현할 수 있었다. 이 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구과학 교사 PCK 개발을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5,700원
        6.
        2023.11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한국에서 여가의 본질과 변화를 분석하여 세대의 다양성과 사회성에 대한 이해를 높 이는 목적을 가지고 연구되었다 연구방법은 일반적으로 . 기성세대와 젊은 세대를 구분하는 이분 법적 시각이 아닌 베이비붐 세대, X세대, 밀레니얼 세대(M세대), Z세대의 4가지 관점을 가지고 여가에 대한 다양한 개념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여가 활동은 경제, 기술, 정치적 맥락 등의 영 향을 받고 있으며 시대별로 사회적 현상이 다른 환경에 따라 인식과 접근 방법이 변화하는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주제인 여가의 개념은 다소 복잡하고 여러 환경에 따라 변화하는 특성이 있어 연구결과를 지나치게 일반화 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이 연구결과를 통해 여가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분석하고 이해를 높인다면 세대 간의 갈등을 해소하고 이해하는데 기 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제언을 하였다.
        4,300원
        7.
        2023.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t is expected that around 576,000 bundles of CANDU spent nuclear fuels (SNF) will be generated from the four CANDU reactors located at the Wolsong site. The authors designed and proposed a reference disposal concept based on the KBS-3 type and KURT geological data in 2022. In addition, we have reviewed the literatures and selected four alternative disposal methods to develop the higherefficiency disposal concept than the reference concept since 2021. As known well, the most important safety functions of the geological disposal are containment and isolation, and the secondary function is retardation. A disposal canister covers the former, and buffer may do the latter. In this study, we design the engineered barrier systems for the four alternative concepts: (1) mined deep borehole matrix, (2) sub-seabed disposal, (3) deep borehole disposal, and (4) multi-level dispoal. Assuming total 10,000 tU of CANDU SNF, four different kinds of unit disposal module consisting of disposal canisters and compacted bentonite buffers are designed based on the technique currently available. Two alternative concepts, sub-seabed disposal and multi-level disposal, share the same unit module design with the reference concept in 2022. For all the alternative concepts, we assume that the density of the compacted buffer is 1.6 g/cm3. For the mined deep borehole matrix disposal, we introduce a disposal canister slightly modified from the Canadian NWMO canister with a capacity of 48 bundles. The thickness of a copper layer is changed to be 10 mm considering the long-term corrosion resistance. The buffer thickness around a disposal canister is 20 cm, and the diameter of a borehole is 100 cm. Two different kinds of buffer blocks are proposed for the easy handling of them. For the deep borehole disposal, a SiC-stainless steel canister is designed, and 63 bundles of CANDU SNF is emplaced in the canister. We expect that the SiC ceramic canister shows very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has a high thermal conductivity under the geological conditions. The deep borehole will be plugged with four layered sealing materials consisting of granite blocks, compacted bentonite, SiC ceramic, and concrete plugs.
        8.
        202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최근 세계 주요국(미국, 중국, 독일, 일본, 대만)의 산업혁신정책의 목표를 3대 분야 6개 세부목표로 분류하여 평가한다. 3대 분야의 첫째는 ‘기존산업과 미래성장’ 이라는 전통적 산업정책 목표인데 이는 다시 ‘기존산업 경쟁력 강화’와 ‘미래 성장산업의 육성’ 이라는 두 세부 목표로 나뉜다. 둘째는 ‘환경과 삶의 질’ 분야인데 이는 ‘국민의 삶의 질 개선’과 ‘환경과 지속가능성’으로 구분된다. 셋째는 ‘공급망과 경제안보’인데, 이는 ‘공급망 안정성 확보’와 ‘경제안보’로 세분된다. 미국은 미·중 패권경쟁 상황 속에서 상대적으로 공급망과 경제안보를 중시하는 반면, 중국은 전통적 산업정책을 추구하여 왔으나 최근 공급망과 경제안보도 고려하기 시작했다. 독일과 일본은 전통적 산업정책과 함께 환경과 삶의 질뿐만 아니라 기술주권 및 공급망 안정도 중시함에 따라 산업정책의 3대 분야를 골고루 중시한다고 볼 수 있다. 대만도 비슷하다고 볼 수 있으나, 최근 중국의 위협에 따라 경제안보를 중시하기 시작했다. 한국의 경우, 경제패권국인 미·중과 달리 ‘경제안보’가 최우선 순위가 아닐 수 있다. 오히려 독일과 같이 국가 간 연대와 협력에 기반한 ‘공급망 안정성’, ‘기술주권’ 확보가 더 적절하여 보인다. 즉, 미국이나 독일 및 일본과의 기술격차를 줄이고 넘어서기 위한 ‘미래 성장산업과 기술의 육성’이 여전히 중요하다. 결론적으로 한국은 3대 분야에 대해서 비슷한 수준으로 가중치를 두어 기존산업과 미래산업을 중시하는 ‘전통적 산업정책’을 지속하면서, 일단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공급망 안정성 확보’에 단기적으로 가중치를 둘 필요가 있다. 한국적 상황에서 안보란 방위산업 육성이나 식량안보가 더 적절하다.
        6,600원
        9.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처음 도입된 핵심 개념이 추상적인 담론으로 그치지 않고 학교 현장에서 구 체적인 교수학습 방안으로 구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플랫폼, 숙의, 설계의 순환적 과정에 따라 백워드 설계 모 형을 활용하여 핵심 개념 이해를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에 참여한 8명의 중등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핵심 개 념에 대한 인식 및 관점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핵심 개념에 대해 궁극적 원리에 해당하는 빅 아이디어, 일상생활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과학 개념, 기본적이고 주요한 핵심적 과학 개념 등 핵심 개념의 의미에 대해 동일 교과 인 과학과 안에서도 공유되지 않은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교수학습 지향점에도 영향을 주어, 핵심 개념을 전이 와 확장 가능한 빅 아이디어로서 이해하고 있는 경우는 개념 간의 관계에 주목하며 분명한 방향성을 갖고 프로젝트 학 습을 설계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한편, 핵심 개념을 삶의 맥락에서 떠올릴 수 있는 과학 소양 수준의 최소한의 과학 개 념으로 인식하는 경우, 학생들의 삶에 의미 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지향하며 일상에 적용 가능한 사례 중심으로 검색 및 조사 활동을 강조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핵심 개념을 기본 개념이나 주요 개념 등 핵심적인 과학 내용 요소로 인식하는 경우, 오개념 교정을 통한 개념 변화를 강조하며 정확한 과학 지식을 학습하고 지필 평가 및 수 행 평가를 통한 문제 해결 문항을 개발하는 것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마무리 되고 2022 개정 교육과정이 확정·고시될 예정인 현 상황에서, 핵심 개념을 핵심 아이디어로 명명하여 빅 아이디어의 취지를 재차 강조 하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4,800원
        10.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article define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vegetarianism by tracing the changes in the core motives revealed i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vegetarian movement that started in the West. We further explore and compare the limitations of the vegetarian movement conceived in the West with the essential values, ‘How can Korean vegetarian culture gain the upper hand?’.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sequential changes of the motives inherent to the flow of the modern vegetarian movement were <religious-philosophy>, <political-society>, and <healthy-nutrition>. This settled the transition from ‘vegetarianism as an ideological form’ to ‘vegetarianism as a lifestyle’, making it a more becoming way of life. However, along with the spread of ‘vegetarian lifestyle as a form of life’, commercial vegetarianism, which overshadows the essential value of vegetarianism, continued to flourish due to the modern capitalist industrial system. To curb commercialization, the necessity arose to establish a new vegetarian diet with a propensity towards an ‘ecological-environmental point of view’. Thus, in order to establish the term and concept of a vegetarian diet for Korean vegetarian characteristics, we propose the formation of a vegetarian term and concept suitable for the Korean vegetarian culture.
        4,000원
        11.
        202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t is expected that around 576,000 bundles of CANDU spent nuclear fuels (SNF) will be generated from the four CANDU reactors located at the Wolsong site, according to the 2nd National Plan for the management of High-Level radioactive Waste (HLW). The CANDU SNFs are currently stored at the dry storage facilities at the Wolsong site. The authors proposed KRS+ geological disposal system consisting of two different concepts, Swedish KBS-3V type and Canadian NWMO type, for the final management of CANDU SNF. Both the concepts were designed based on the geological data obtained from the KURT (KAERI Underground Research Tunnel). The NWMO type is an in-room horizontal placement method. In this study, we try to determine the reference concept among the two proposed concepts at 500 meters below the ground surface. Assuming 10,000 tU of CANDU SNF and the KURT site, we design two engineered barrier systems, that is disposal canisters and buffers. The copper disposal canister is designed with a copper thickness of 10 mm based on a cold spray coating technique for both the disposal concepts. The domestic Ca-bentonite is used for the compact bentonite buffer with dry density of 1.6 g/cm3. Two concepts are compared in terms of safety, economics of the engineered barriers, and environment-friendliness. Because the same amounts of CANDU SNF are disposed of at the same depth, the differences in the disposal area are neglected. For the comparison in terms of safety, the corrosion lifetimes of the disposal canisters of two disposal systems are quantitatively calculated, and the capacities for retarding radionuclide releases of the compacted bentonite buffers are assessed. A computer tool developed by the authors is used in order to assess the lifetime of a disposal canister. In this study, the case that corrosion of a copper canister by sulfide from groundwater through intact buffer is analyzed. The sulfide concentration in groundwater is assumed to be 3 ppm. The most important safety function of buffer is to retard the radionuclide release. Twelve long-lived radionuclides are selected to compare the capacities for retarding the radionuclide transport through the buffer using an analytical solution. The retention time by an engineered barrier consisting of a disposal canister and a buffer is compared with twenty times the half-life of each radionuclide for both the disposal systems. The selected reference concept will be compared with the alternative geological concepts through a further study.
        12.
        202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research for the safe management of high-level waste in Korea has been conducted by th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since 1997, and the results have formed the basis of the national basic plan for the high-level waste management and the revised national basic plan. In the future, it is evolving and developing R&D focusing on securing technologies for demonstration of the disposal technologies and R&D to develop disposal concepts that increase safety and improve efficiency. Efficient management of heat generated from high-level radioactive waste, including spent nuclear fuel, is an important factor in establishing the disposal concepts because it must be in harmony with key factors such as repository layout, waste disposal container specifications, and design and operation for the barriers of the disposal system. For safe and complete isolation of highlevel radioactive waste in the deep geology, the disposal systems that meet the thermal requirements for the disposal system design have been developed by harmonizing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engineered and natural barriers in Korea. These disposal systems were based on low burn-up spent nuclear fuel characteristics generated in the early stages of nuclear power generation, and next, based on the high-level wastes from recycling process of the high burn-up spent nuclear fuels, and were the direct disposal systems for the high burn-up spent nuclear fuels. So, it is necessary to track and analyze the change process in the decay heat characteristics of the high-level waste to be disposed of in order to improve the disposal concept, which enhances the safety of disposal and the utilization of the national land. Therefore, in this paper, the process of change in decay heat of reference spent nuclear fuels for disposal applied to the disposal concepts from the initial stage of development of high-level waste disposal technology to the present in Korea is analyzed.
        13.
        202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round 40 years ago, in the mid-1980s, Swedish government approved the KBS-3 method for the direct disposal of spent nuclear fuels (SNF) in Sweden. Since then, this method has become a reference for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Republic of. The main ideas of the KBS-3 method are to locate SNF at 500 m below the ground surface using a copper disposal canister and a bentonite buffer. In 2016, our government announced the National Plan (NP 2016) regarding the final management of high-level waste (HLW) in Korea. In 2019, new committee were organized to review the NP 2016, and they submitted the final recommendations to the government in 2021. Finally, the government announced the 2nd National Plan in December, 2021. So far, KAERI has developed the technologies related to the final management of SNF in two directions. One follows ‘direct disposal’ based on the KBS-3 concept, and the other ‘recycling’ based on ‘pyroprocessing-and-SFR’ (PYRO-SFR). Even though Posiva and SKB obtained the construction permits with the KBS-3 method in Finland and Sweden, respectively, there are still several technical obstacles to applying directly to our situations. Some examples are as follows: high burnup, huge amounts of SNF, and high geothermal gradient in Korean peninsula. In this work, we try to illustrate some limits of the KBS-3 method. Within our country, currently, the most probable disposal option is the KBS-3 type geological disposal, but no one knows what the best option will be in 20 or 30 years if those kinds of drawbacks are considered. That is, we compare the effects of the drawbacks using our geological data and characteristics of spent fuels. Last year, we reviewed alternative disposal concepts focusing on the direct disposal of SNF and compared the pros and cons of them in order to enhance the disposal efficiency. We selected four candidate concepts. They were multi-level disposal, deep borehole disposal, sub-seabed disposal and mined deep borehole matrix. As mentioned before, KAERI has developed a pyroprocessing technology based on the SFR to reuse fissile radionuclides in SNF. Even though we can consume some fissile nuclides such as 239Pu and 241Pu using PYRO-SFR cycle, there still remain many long-lived radionuclides such as 129I and 135Cs waiting for the final disposal. The authors review and propose several concepts for the future final management of the long-lived radionuclides.
        14.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 비전이 추구하는 개념과 기업의 재무적 성과 간 관계를 디지털 전환을 중심으로 고찰하 기 위한 것이다. 경영학의 선행연구는 비전의 중요성을 기업가정신이나 경영전략 측면에서 강조하고 기업성과에 대한 비전의 영향력을 강조함으로써 경영학의 발전에 일조하였다. 그런데 본 연구는 비전과 기업의 재무적 성과 간 관련성을 규명함으로써 선행연구와 차별화하였으며, 비전이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검증하 는 데 의의를 두었다. 연구 방법은 우리나라 KOSPI에 등록된 331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재무적 성과를 정량적으로 파악하여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각 기업의 비전과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상기한 연구 목적에 따라 분석한 결과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디지털 전환(디지털, 혁신, ICT, Innovator, 신 비즈니스) 관련 변수는 양(+)의 상관관계를 확 인했으며, 구체적인 목표(Special Target) 관련 변수도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경영상의 함의를 도출할 수 있다. 디지털 기술 자체가 기업 경쟁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 고 이를 활용하는 것이 기업 성장의 원동력이므로 조직의 문제나 고객의 문제해결에 디지털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긍정적인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성장․미래․가치와 같은 추상적이고 분명하지 않은 비전 내용은 기업의 경영성과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비전 속성 을 정할 때 구체적인 목표치를 제시해야 경영성과에 긍정적 효과를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6,400원
        16.
        2021.0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관암은 병변의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간내 담관암과 간외 담관암으로 분류하며 간외 담관암은 다시 간문주변부 담관암과 원위부 담관암으로 분류한다. 간외 담관암의 발병률은 수십 년 동안 정체되어 있으나 간내 담관암은 전 세계적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예후가 극히 나빠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간내 담관암은 고식적인 해부학적 위치에 따른 분류뿐 아니라 성장 패턴, 조직 학적 소견, 종양 유래 세포에 기반한 다양한 분류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으나 아직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완전한 종양 절제술이 유일한 치료법이다. 그러나 수술 후 5년 동안의 전체 생존율은 15-40%이며 수술 후 재발하는 환자는 2/3에 달한다. 따라서 수술 전 올바른 병기 결정 및 다학제적 접근을 통한 적절한 치료 방법의 선택은 환자의 예후를 결정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다양한 전신 요법은 수술이 불가능한 국소 진행성 담도암 또는 전이성 담도암에 사용될 수 있으나 전통적인 항암 화학 요법제의 효과는 다소 비관적이다. 최근 분자 생물학적 특성을 이용한 치료가 시도되고 있으나 그 효과는 아직 입증되지 않아 조기 진단을 통해 절제 가능한 사례의 수를 늘리는 방법을 찾는 것이 주요 과제 중 하나로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향후 담관암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 및 돌연변이에 대한 고도의 연구 결과로 새로운 치료 표적 및 치료제가 선정되어 예후가 개선되기를 기대한다.
        4,000원
        17.
        2020.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propose a link between L2 rhetorical concepts and ELF as a way of the analysis of the development of a single concept, of an EFL college student’s rhetorical knowledge. Using Vygotskian sociocultural theory as analytical lenses, we examine whether L2 rhetoric can be mastered and internalized as a culturally neutral concept, i.e., the formulaic knowledge of L2 writing the student has learned from the NEST through instruction; and how the student’s L1 rhetorical concept and ELF performance together mediate his L2 concept development in his academic writing. The data consist of a student’s personal narratives, text-based interviews and academic writings. Rather than the mastery of a single variety of English, he produced texts that reflect the flexibility and variability inherent in written ELF. From ELF perspectives, this study offers an opportunity of establishing a new normal, in which rhetorical conventions of texts should be viewed as constructs that are dynamic, emergent, and therefore negotiable and adaptable.
        6,000원
        19.
        201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룻은 남편과 아들에게 의존된 고대 여성들의 일반적인 존재방식을 쫓지 않고 나오미에 대한 책임과 섬김의 삶을 선택한다. 룻은 고엘과 시형제 결혼을 자신의 상황에서 창조적으로 해석함으로 자신과 나오미 에 대한 삶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극복해 나간다. 이런 과정 속에서 룻과 보아스, 그리고 베들레헴 공동체는 상호적인 헤세드를 행하므로 포로기 이후 새롭게 성립되는 이스라엘 공동체의 성격을 하나님을 경외함으로 타자에게 열려있고 헤세드를 행하는 선교적 공동체로 제시 한다. 이와 같이 헤세드는 사람들 사이의 모든 다름과 차이를 넘어서 서로 조화되고 화해할 수 있도록 한다. 상호적 헤세드를 통해 이주여성 들은 이주국 공동체와 관계를 형성하고 소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헤세드는 공동체의 타자들과 이주국 사람들을 연결시키며, 그로 인해 타자들이 차별받지 않는 공동체의 구성원이 될 수 있는 정의로운 사회의 토대를 마련한다. 그러므로 타인에 대한 나의 책임, 즉 헤세드를 타자에게 행하여야 함을 인식하고 나의 것을 나누고 환대하는 태도야말로 다문화사회의 분열을 봉합하는 중요한 요건이 될 것이다.
        7,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