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1

        1.
        2023.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ditions under which consumer participatory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campaigns could be effective and focused on power as the key variable. Specifically, based on motivational intensity theory,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participation effort and power was examined on CSR attitude and participation intention. In addition, this study tested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power through self-efficacy in order to examine the mechanism behind the interaction effect. Results of two experimental studies (Study 1 and Study 2) showed a significant the interaction effect of participation effort and power on participation intention. When the consumer's power was low, participation intention was lower for those in the high effort condition compared to those in the low effort condition. On the other hand, when power was hi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participation inten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participation effor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reaffirms and furthermore expands the existing academic results and presents practical implications.
        3.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냉전기 1959년부터 재일조선인 북한송환 후의 인권 문제와 관련하여 비정부 행위자에 초점을 맞추어 NGO ‘모두 모이자’의 설립자인 가와사키 대표의 활동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모두 모이자’ 설립 후 2015년부터 현재까지의 가와사키 대표의 활동을 신문 기사 등의 1차 자 료를 통해 냉전기 재일조선인 북한송환 이후의 인권 문제에 대한 구체적 인 분석을 하여 기존연구의 공백을 보완하였다. 본 논문은 다음의 두 가 지 점을 제시한다. 첫째, 1959년에 시작되었던 재일조선인 북송문제는 끝난 것이 아니며, 여전히 우리가 계속 풀어야만 하는 역사적 문제이다. 둘째, 재일조선인 북송사업 이후 관련자들의 인권 증진을 위하여 ‘모두 모이자’는 국가 행위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부분에서 큰 활약을 했으며 계속하여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특히 ‘모두 모이자’의 가와사키 대표 의 재일조선인 북한송환 피해자들의 인권 증진을 위한 여러 활동은 한국 과 일본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재일조선인 북한송환의 피해를 알리는 계 기가 되었다.
        4,900원
        4.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전의 스트레스 및 대처 문헌은 효과적인 스트레스 대처 전략이 개인의 복지에 대한 스트레스의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대처가 조직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노력-보상 불균형이 직원의 잡 크래프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 관계에서 직원의 지각이 고용가능성과 조직몰입이 조절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노력-보상 불균형과 반생산적 과업행동 간 관계를 잡 크래프팅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였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한국에 종사하는 203명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귀분석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력-보상 불균형이 높을수록 잡 크래프팅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력-보상 불균형과 구조적 직무자원을 증가시키는 행동, 사회적 직무자원을 증가시키는 행동, 그리고 도전적인 직무요구를 증가시키는 행동에 정 (+)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런데, 노력-보상 불균형과 방해되는 직무요구를 감소시키는 행동에 관계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과도위임과 사회적 직무자원을 증가시키는 행동, 도전적인 직무요구를 증가시키는 행동에 정 (+)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노력-보상 불균형과 잡 크래프팅 간의 정적 관계는 지각이 고용가능성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더 강하게 나타났다. 셋째, 노력-보상 불균형과 잡 크래프팅 간의 정적 관계는 조직몰입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더 강하게 나타났다. 넷째, 잡 크래프팅은 노력-보상 불균형과 반생산적 과업행동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해당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들을 토대로 연구의 의의 및 한계 점,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통합적으로 논의하였다.
        5,200원
        5.
        2020.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arkets are complex ecosystems consisting of various interconnected actors, in which resources are integrated to co-create value. Said value co-creation within markets can be enhanced by creating higher resource density, hence shaping the market. However, market shaping research predominantly focuses on the activities of market shapers, rather than the equally important roles of other market actors within the ecosystem. While market shapers are instrumental in the process of shaping, this narrow focus fails to consider how all market actors inevitably are influenced or influence the market ecosystem. All market actors exert effort in the value co-creation process, including the process of market shaping. This study therefore explores effort in a market shaping context and examines the effects of effort reduction as a mechanism to facilitate market shaping as it leads to enhanced value creation. This is a conceptual study that uses theory adaptation approach to link the concept of value co-creation, market shaping, and effort. This study offers a conceptual framework and five propositions outlining the role of effort reduction in the value co-creation process with flow on effects to market shaping. The developed conceptual framework indicates how market shapers can enhance resource density and increase value creation by reducing the effort required of other market actors in the value co-creation process. This research offers effort reduction in the value co-creation process as a viable market shaping tactic and extends the focus beyond the focal market shaper to consider the broader context with numerous market actors within it.
        6.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인적자원관리 제도의 다수준성에 의거하여 조직 내 근로자 간 경험과 반응의 차이가 있음을 전제하고, 고몰입 인적자원관리의 인식, 조직몰입, 그리고 업무노력 간 관계를 고찰하고 검증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조직몰입은 개념적으로 정서몰입, 지속몰입, 그리고 규범몰입으로 구분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지금까지의 실증연구에서는 정서몰입만을 조명해온 것을 지적하며 지속몰입과 규범몰입의 역할을 함께 살펴보았다. 가설검증을 위해 국내 22개 기업의 809명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수집하였고, 구조방 정식모형을 통해 전체적인 변수 간 관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고몰입 인적자원관리 중 임파워먼트형은 정서몰입과 규범몰입에, 고성과유도형은 정서몰입, 지속몰입, 규범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성과유도형은 업무노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였으나, 임파워먼트형은 업무노력에 직접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츠스트래핑(bootstrapping) 분석을 통해 조직몰입의 간접효과를 살펴보았는데, 정서몰입과 지속몰입 모두 유의한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금까지 조명받지 못하였던 규범몰입의 새로운 역할을 발견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고몰입 인적자원관리의 인식의 중요성과 조직몰입의 새로운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와 관련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5,800원
        7.
        201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manage and rebuild fishery resources, the fishing effort should be controlled effectively. Especially in the setting up of the proper level of fishing efforts, economic standards as well as biological standards must be carefully considered to promote the sustainable and economically viable development of fisheries. This study is aimed to estimate optimal fishing effort of giant octopus by combo fishing which uses longline in Gangwon with statistical data. The result showed that current fishing effort is 28% higher than EMEY. Unit fishing cost for each voyage will be 27% lower and unit fishing profit will be 17% higher than the current situation when the fishing effort meets EMEY. Although current fishing effort is similar to the EMSY, current catching is 16% higher than MSY and 22% higher than MEY.
        4,000원
        8.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e past, scholars and policy makers have tried to educate as well as incentivize practices like recycling to avoid reduce landfill stocks and create new objects from past used materials. Such products have been commercialized more and more by big brands (i.e. Adidas and Levi’s) and by famous fashion designers (i.e. Stella McCartney). While more academic literature has focused on drivers for consumers’ motivations to engage in recycling activities,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investigating consumers’ underlying psychological factors to favour recycled products over standard ones. In this study we address this issue by experimentally testing consumer evaluation and intention to adopt recycled products through an implicit theory – or mind-sets-framework on. In a set of three studies we demonstrate how consumers holding and incremental mind-set – who believe that trait like intelligence, morality or personality are malleable and transformable over time – are more keen top adopt products made of recycled materials. In contrasts, individuals with an entity mind-set – who instead believe human traits are fixed and non-mutable- are more sceptical to embrace such products. In Experiment 1 we demonstrated that the chronic incremental mind set of individuals influences their intention to acquire a recycled – over a non-recycled – coffee mug. In Experiment 2, we demonstrate through a laboratory experiment that this preference for products made out of recycled materials is stable in individual with an incremental min-set – over their entity min-set counterpart – even below the liminal attention threshold. Finally, in Experiment 3 we demonstrate that by attributing the merit of the transformation in a different object to qualities that are embedded in the materials used (rather than to the process to transform them) can make recycled products more appealing also to individuals with an entity mind-set.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on implicit theory by investigating another area in consumer psychology (intention to adopt recycled products) so far unexplored. On a managerial point of view, this study suggests how highlighting the effort spent by a company in creating the product can attract consumer (especially incremental theorists) to intend to buy the product, while highlighting the qualities of the material used can attract more entity theorists.
        9.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강의개선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교수자의 교육효과성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관계성을 가질 것 인가를 분석하고 교육의 질을 관리하기 위한 대학의 노력이 향후 어떠한 방향성을 가져야 할 것인가에 관한 제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한 강의개선 노력에 따라 강의평점이 어떻게 달라지는가에 관한 차이의 분석과 그 영향력의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의개선 노력 중 교수법 특강의 참여빈도가 높을수록 교수자의 강의평점이 높게 나타났으며, 수업컨 설팅은 그 차이값이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강의개선 프로그램인 교수법 특강, 수업컨설팅, 교과목 CQI보 고서에 참여한 강의평점 상위30%집단과 하위30%집단의 강의평점 변화양상을 살펴본 결과 2015학년도에 비해 2016학년도에 강의평점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하위30%집단의 교원들은 더욱 큰 폭의 강의평점 향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강의개선에 있어 의무적 참여제도 교육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교수자들이 의무적 참여와 자율적 참여를 고루 수행할 수 있도록 대학의 지원이 필요하며, 교수자들의 요구와 조직문화에 관한 세밀한 분석을 통해 모든 대학이 실시하는 강의개선 프로그 램이 아닌 대학의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형태의 강의개선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시의 노력이 이루어져야 함 을 제언하였다.
        5,400원
        10.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analyzes the new structure and mechanism of organ type accel pedal to have a double curve to obtain a low effort force has been devised an electronic accel pedal consisting of two springs.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effort force on variation of spring constants for two springs, dynamic analyzes were performed by using the ADAMS software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imulation analysis, new mechanism of organ type accel pedal has an inflection point of the curve of pedal effort force on variation of spring constants, k, in various range of pedal angle.
        4,000원
        11.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5th grade elementary school girls’ effort to recognize and use nutritional labels on processed foods and restaurant meals to encourage dietary behavior. The subjects (n=976)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effort group, n=711; normal group, n=193; and no-effort group, n=72) depending on level of effort for the healthy dietary behavior such as eating balanced meals, eating three meals regularly, and eating meals slowly. In the effort group, the frequency of food intake for breads, ramen, noodles and fast foods was significantly lower, while frequency of food intake for fruits and vegetables and sala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other two groups. In the effort group, the ratio of the respondents that perception of nutrition labeling on processed foods and restaurant meals was 80.5% and 31.4% and the ratio of girls who checked the nutrition labeling at their point of purchase was 71.1% and 24.7%, respectively. Reasons given for not reading nutrition labeling for restaurant meals were ‘not interested’ for 34.6% of the effort group, and 52.2% of the no-effort group.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ducational program on healthy dietary behavior, including how to read nutrition labeling and establishment of proper body image perception for elementary school girls.
        4,000원
        12.
        2014.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authors of this article compare American and Korean reactions to the persuasiveness of environmental advertising campaigns that include pledges. Findings indicate that environmental advertising effectiveness depends on how much effort recipients put into making environmental pledges prior to viewing the advertisements. Study 1 demonstrates that when environmental pledges requesting more effort precede ad messages, Americans are more persuaded but Koreans are less persuaded. Study 2 extends the findings and rules out an alternative explanation—mere-effort effect—by showing that the results are replicated only with an issue-relevant pledge, but not with an issue-irrelevant pledge.
        1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결과에 대한 원인을 추론하는 인지적 정보처리과정에 대한 연구에는 많은 성과가 있었다. 그러나 서로 다른 원인의 무의식적 점화가 과제 결과의 만족도와 과제 재수행에 관한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암묵적 귀인점화 절차를 사용하여 과제의 결과를 우연 또는 개인적인 노력에 귀인시키는 것이 과제에 대한 만족도와 과제 재수행 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지시문을 사용하여 우연과 노력 조건별로 실험참가자들을 점화한 후, O/X 퀴즈 과제 (실험 1) 또는 5지선다형 문제 (실험 2)를 풀게 하였다. 그리고 실제 과제수행 결과와 관계없이 ‘좋음’ 또는 ‘나쁨’의 피드백을 주고 과제 만족도와 과제의 재수행 의도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과제 만족도는 주로 피드백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과제 재수행 의도는 피드백과 점화 유형에 따라 상호작용이 있음이 관찰되었다. 즉, ‘좋음’ 의 피드백 을 받은 조건의 경우, 우연 점화 참가자들보다 노력 점화 참가자들에게서 재수행의도가 높게 나타났고, ‘나쁨’ 의 피드백을 받은 조건에서는 우연 점화 참가자들이 노력 점화 참가자들보다 재수행의도가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귀인과 의사결정 관련 연구뿐만 아니라 중독 관련 상담심리연구에도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4,000원
        14.
        2013.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늘날 기술의 발전으로 시스템들은 점차 대형화 복잡화 되어가고 있다. 이처럼 점차 대형화 복잡화 되어가고 있는 시스템들은 더욱 커진 사고 및 고장에 대한 위험을 내재하게 된다. 또한 대형 복합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사고 및 고장은 바로 큰 재산피해나 인명피해와 직결 될 수 있다. 따라서 체계적인 안전관리의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1]. 이에 대응하여 철도, 항공, 해양 등의 산업에서는 각 산업에 적합한 안전관리체계를 수립하려 노력하고 있으며, 표준 및 매뉴얼을 제정하여 보급에 앞장서고 있다. 국내 철도산업에서도 철도안전법의 재정을 기점을 철도 산업전반에 걸쳐 많은 환경변화가 이뤄지고 있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철도 안전시스템을 바탕으로 한 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하였다. 한편 다양한 운영체계를 갖고 있는 철도시설 및 운영기관이 존재하는 국가 철도 안전관리체계의 안전규제를 체계화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요구사항의 분석에 따른 시스템 아키텍처의 설정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아키텍처의 설정은 현재에 대한 분석과 미래의 철도안전시스템의 특성을 구조화하여 향후 비전을 프레임워크로 표현함으로서 구현이 가능해진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안전관리체계의 도입 배경 및 도입 현황에 대해서 분석하고, 안전관리의 방식의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는 안전관리체계의 구축을 위해 안전관리체계에 대한 아키텍처를 구현하고자 하며 이때, 모델링을 바탕으로 한 접근을 제시한다.
        4,000원
        15.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본신체동작(BBA)을 바탕으로 한 한국무용, 현대무용, 발레의 순수무용에 무용/동 작심리치료를 접목한 Will Dance 프로그램이 고령자들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에서는 노인들이 기본신체동작들을 수행함으로써 관절운동 및 신 체활동을 재 활성화시켜 고령화로 인한 신체 경직이나 퇴화 현상을 완화시키는데 영향을 줄 뿐 만 아니라 자신감과 자아 존중감의 회복, 우울감을 회복하여 궁극적으로는 심신의 안정을 도모 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대전시 서구 도마동의 A경로당과 대전시 동구 판암동 B경로당 두 곳에서 진 행되었다. 집단의 대상자들은 65세 이상의 고령자 총 31명으로 2012년 4월 20일에 사전검사를 시작하여 2012년 7월 20일의 사후검사까지 Will Dance 프로그램을 주 2회 회기 당 60분씩 시행 하였다. 연구 자료의 수집은 프로그램 사전/사후에 대상자들의 자기보고식 설문지 작성으로 한 국형 노인 우울 검사(KGDS)를 활용하였다. 고령자를 대상으로 Will Dance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참여자들의 우울과 우울의 하위영역 들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는 인간의 기본신체동작을 바탕으로 한 순수무용에 무용/동작심리치료를 접목한 Will Dance 프로그램의 연구가 신체적 기능의 향상 뿐만 아니라 심 리 치유/힐링적 프로그램으로서도 효과가 있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고령자의 삶의 질 향상에 효과가 있음 시사하고 있다.
        5,500원
        16.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ost important concern in the internet service organizations in competitive market circumstances is to focus on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continuous relationship with custo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perception of the fairness - procedural fairness for recovery, interactional fairness, fairness for reward on customer's satisfaction and trust, behavior when the internet service company failed to service such as discl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This study aims to apply justice theories to service recovery. As a result, first, the customer's perceived justi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trust in service recovery. Second, the customer's satisfaction positive effect on trust. Third, customer's satisfaction formed by service recovery had a effect on the customer's behavior such as continuous usage inten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reveal how the extent of justice perception felt by customers in the service recovery process, causes positive causation relationship which affect customer behavior intention.
        4,000원
        18.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한국에 있어서 종업원의 재량적 노력(discretionary effort)과 은행지점의 재무적 성과와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한다. 재량적 노력은 조직 구성원의 공식적 역할기대를 넘어선 추가적인 직무수행노력과 구성원의 적극적 협력, 도움, 제안, 선의나 이타주의와 같은 자발적 행동으로서 여러 가지 방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은행과 같은 서비스 산업에 있어서, 구성원의 재량적 노력은 성과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재량적 노
        4,3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