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8

        41.
        199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건강식품 및 원료의 유효성분 및 위해요소 조사분석에 관한 연구의 기초조사로 건강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의식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차적으로 건강과 식습관에 관한 소비자 의식구조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지를 이용하여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방문 및 협조가 가능한 20세 이상의 일반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1995년 10월부터 96년 2월에 걸쳐 직접 방문하고 설문지를 배부하여 설명한 후 조사 대상자가 직접 기입하게 하는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882부를 회수(회수율 88%)하였으나 이중 불완전한 응답 23부를 제외한 859부(유효회수율 86%)를 SA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사회경제적 여건에 대하여는 단순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교차표를 이용하여 결혼 여부, 월수입, 교육정도 등의 사회경제적 여건과의 통계적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조사결과 건강유지를 위해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으로는 식습관(39.8%)이라고 답하였으며 93.9%가 식습관에 의해 질병에 걸릴 수 있다고, 97.1%가 식습관에 의해 질병이 치료될 수 있다고 믿고 있어 건강과 식습관이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있었다. 가장 염려되는 질병으로는 암(30.6%), 성인병(14.1%), 사고에 의한 질병(12.6%), 비만(10%) 순이였고 식습관에 의해 발병할 수 있다고 믿는 질병의 종류에는 당뇨병(35.6%), 비만증(22.4%), 고혈압(12.8%), 변비(12.7%), 암(7.9%) 순이였으며 식습관에 의해 치료할 수 있다고 믿는 질병의 종류에는 당뇨병(40.1%), 비만증(25.9%), 변비(16.5%), 고혈압(7.4%), 암(3.3%) 순으로 나타나 당뇨병과 비만증은 식습관과 매우 밀접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가장 염려되는 암에 대해서는 큰 기대를 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200원
        42.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food habits as well as preferences and health conditions of middle-aged people. 380 people living in Dae-gu, kimchon and kumrung gun in the 40's or 50's were selected for this research as subjects from July 1 to August 15, 1990. The data analysis was made by way of frequency, percentage, χ2-test and Pearson correlation using SAS package. The summarized results are as follows. 1. Among the total subjects of this research, 200 people (52.6%) were male and 180 people (47.4%) were female. The regional distribution was like this; 115 people (30.3%) lived in large city, 154 people (40.5%) in small and medium city and 111 people (29.2%) in rural region. 2. The survey on food life attitude on the subjects showed that they had a relatively good attitude, and there were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s (p〈.05) between men and women.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001) between rural region and city. 3. On the preferences for taste, food and cooked food the subjects showed the lowest preferences for processed milk-fat food and the highest for soybean and processed soybean food. 4. The research on health condition 1) 30.8% of the subjects were obesity. And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percentage of obesity was higher among men (33.5%) than women (27.8%), and higher in cities (40.4, 34.4%) than rural region (16.2%), (p〈.05, p〈.01). 2) 90.8% of the subjects showed negative according to Diabetes inspection. 3) 2.0% of the subjects were hypertensive, and the percentage was higher among women than men, and higher in rural region than cities. 4) 12.6% of the subjects were anemia, and the percentage was higher among women (17.8%) than men (8.0%), and higher in rural region (23.4%) than cities (7.0, 9.1%). 5) DMFT index and DMF rate of dental caries was higher among women (DMFT index; 10.6 DMF rate; 88.9) than men (DMFT index; 7.3 DMF rate; 81.5), and higher in rural region (DMFT index; 11.8 DMF rate; 90.1) than cities (DMFT index; 7.4, 7.9 DMF rate; 79.1, 85.7). 6) According to the survey on self-diagnosed health status of subjects, the percentages of articular·neuralgia (48.9%) was the highest. And that of stomach digestion troubles (31.1%), headache (22.4%), anxiety excitement (12.9%), spastic constipation (12.4%), insomnia (9.7%), melancholia (7.9%) and etc (1.6%) followed. 7) People had allergied food which contained animal protein such as pork, chicken, mackerel, siakworm pupa, clam and so on. 8) In female cases, 46.7% of women became already menopausal and 13.3% of them was under menopause. 5.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ood life attitude and health condition in obesity, anemia and dental caries but not in blood pressure. 6. And this research also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food preference and health condition in obesity, anemia and dental caries but not in blood pressure.
        5,100원
        43.
        199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 identify the changes in food patterns for last 20 years; (b)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changes in food patterns; (c) investigate the impact of changes in food patterns on nutritional composition of the diet and diet-related health problem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mailed to 30 country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for Home Economics(IFHE) regional representatives. The response rate was 60%; simple descriptive and content analyses indicated tha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food consumption pattern were existed between western and eastern countries. Traditional food consumption patterns were maintained even though each countries' food consumption patterns have been dramatically changed due to the development of food technology and industrialization. The factors most frequently affecting on the changes in food patterns were nutrition and heallth-related educations. The food pattern changes have considerable effect on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the diet among countries. The major diet-related health problems with nutrient deficiency were reported by underdeveloped countries such as India. In contrast to the above, in the developed countries, the adult disease related to the nutrition have been increased, while the developing countries such as Korea have the problems with nutrient deficiency and adult diseases simultaneously.
        4,800원
        44.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연구(硏究)는 Top교잡(交雜)에 의한 김의털의 포복습성(匍匐習性)을 관찰(觀察)하고, 단순상관계수(單純相關係數)에 의한 Top교잡(交雜)의 후대검정(後代檢定)을 통(通)하여 주요(主要) 특성(特性)들간의 관계(關係)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實施)되었다.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비포복형(非匍匐型)의 검정친(檢定親)과 교잡(交雜)된 포복형(匍匐型)들의 주복(株輻)이 가장 넓었으며, 다른 군(群)들과 유의차(有意差)가 있었다. 가장 주복(株輻)이 좁은 군(群)은 비포복형(非匍匐型) 검정친(檢定親)과 교잡(交雜)된 비포복형(非匍匐型)이었다. 초장(草長)과 종자수량(種子收量)은 포복형(匍匐型) 검정친(檢定親)과 교잡(交雜)된 비포복형(非匍匐型)과 비포복형(非匍匐型) 검정친(檢定親)과 교잡(交雜)된 포복형(匍匐型)이 포복형(匍匐型) 검정친(檢定親)과 교잡(交雜)된 포복형(匍匐型)이 더 길고 많았다. 그리고, 비포복형(非匍匐型) 검정친(檢定親)과 교잡(交雜)된 비포복형(非匍匐型)이 가장 짧고 적었다. 방임수분(放任受粉)과 같이 초장(草長)과 주복(株輻), 초장(草長)과 수량(收量), 주복(株輻)과 수량간(收量間)엔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으며, 유의차(有意差)를 나타내었다. 주복(株輻), 초장(草長), 종자수량(種子收量)(수량(收量))에 있어서, 비포복형(非匍匐型) 검정친(檢定親)과 교잡(交雜)된 포복형(匍匐型)과 비포복형간(非匍匐型間)에는 유의차(有意差)가 있었다. 그러므로 검정친(檢定親)으로는 포복형(匍匐型)보다 비포복형(非匍匐型)을 사용(使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思料)된다.
        4,000원
        45.
        198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장수자(長壽者)의 생활(生活) 및 의식조사(意識調査) 연구(硏究)의 일환(一環)으로, 우리나라 장수자(長壽者)의 과거(過去)의 사회생활(社會生活)과 일상생활습관(日常生活習慣)에 대해서 분석(分析) 비교(比較)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장수자(長壽者)의 40~60세경의 기상(起床) 및 취침시간(就寢時間)이 「대체로 일정했다」고 대답한 사람이 전체의 81.8% 및 63.1%였으며, 장수자의 59.4%가 6시전에 기상했으며, 또 61.3%가 오후 9시~11시 사이에 취침하고 있었다. 그러나 남녀별(男女別) 차이(差異)는 발견할 수 없었다. 2. 장수자(長壽者)의 최장직업(最長職業)중에서 농업(農業), 어업(漁業), 가사종사(家事從事) 등 자영업(自營業)이 전체의 86.3%로 가장 많았으나, 경영관리직(經營管理職)(0.8%), 소기업경영(小企業經營)(0.8%), 공무원(公務員) 및 회사원(會社員)(1.8%) 등은 아주 적었다. 따라서 장수자(長壽者)의 노동정도(勞動程度)도 육체적(肉體的) 노동(勞動)이 95.7%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반면 정신적(精神的) 노동(勞動)은 2.8%에 지나지 않았다. 이러한 사실은 이들 장수자(長壽者)의 교육정도(敎育程度)와 밀접한 관계(關係)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3. 장수자(長壽者)가 직장(職場)이나 가사(家事)에서 은퇴한 년령(年齡)은 전체의 58.3%가 70세 이상이었으며, 그들 중의 24.3%는 80세 이상에서 은퇴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장수자(長壽者)의 57.2%가 직장(職場)이나 가사(家事)에서 은퇴한 후 가정에서 어떤 역할(役割)을 분담하고 있었던 반면, 그들 중의 35.9%는 아무 일도 하지 않고 있었다. 또 가정에서 역할(役割)을 분담하지 않은 경우 소일(消日)하는 방법은 「집에 그냥 있었다」(50%)가 가장 많고, 그 다음은 「노인정(老人亭)에 갔다」(30.9%) 「침대에 누워 있었다」(10.3%), 「양로원(養老院)에 갔다」(8.8%)의 순이었다. 5. 장수자(長壽者)가 직장(職場)이나 가사(家事)에서 은퇴하기 전의 교제상태(交際狀態)를 비교하여 보면 교제(交際)가 「빈번했다」가 38.5%, 「보통이다」가 38.0%, 「거의 없었다」가 19.0%로 나타났으며, 또 직장(職場)이나 가사(家事)에서 은퇴한 후에도 계속 교제상태(交際狀態)를 유지한 경우도 56.5%나 차지하고 있었다. 6. 장수자(長壽者)가 직장(職場)이나 가사(家事)에서 은퇴한 후 취미(趣味)나 오락생활(娛樂生活)을 한 사람은 38.5%로 낮은 반면 취미(趣味)나 오락(娛樂)을 갖고 있지 않은 사람은 53.0%나 되었다. 이들 장수자(長壽者)의 은퇴 후 취미(趣味) 및 오락활동(娛樂活動)의 내용(內容)을 보면 TV 시청(視聽)(79.2%), 손자(孫子)와의 대화(對話)(54.2%), 집안에서 잔손질(35.4%), 신앙생활(信仰生活)(25.0%)의 순이다.
        4,600원
        46.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선시대 관인의 생활은 격무에 시달리는 스트레스의 연속이었다. 관인들은 바쁜 일상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탈속의지를 항상 표출하였다. 모든 것을 털어버리고 귀거래하지 못하는 처지를 하소연하기도 했고, 여가에 가까운 산수를 찾아 잠시나마 탈속의 기분을 즐기며 돌아왔다. 관인들이 탈속을 즐기기 위해 가장 많이 선호한 공간은 산수였고, 유람을 통해서였다. 연속적인 스트레스에 골몰했던 관인들은 산수벽을 관념처럼 지니고 살았다. 번다한 일상에서 벗어나 자연에 귀의하여 자적하는 安分의 삶을 이상으로 여겼다. 관인들의 산수유람 열망은 매우 컸다. 잠시라도 기회가 생기면 산수를 유람하며 탈속의 기분을 즐겼고, 그 기분을 잊지 못하여 또 다시 유람하고자 하는 유람벽으로 이어졌다. 관인들의 유람벽을 더욱 깊게 만들었던 산 중의 하나는 신선세계로 유명했던 지리산이었다. 관인들이 탈속의 기분을 즐기기에 지리산만한 곳도 없었다. 그러나 공무에 바쁜 관인들에게 지리산은 쉽게 유람할 수 있는 산이 아니었다. 그러므로 지리산과 접해있는 군현의 수령으로 부임하거나 공무 차 지날 기회에 짧게나마 유람하고, 평생의 숙원처럼 여기며 갈망했던 지리산 유람의 積翠를 풀었다. 하지만 지리산은 몇 일만에 모두 볼 수 있는 곳이 아니었다. 관인들의 지리산 유람은 늘 아쉬운 소회로 남았고, 언젠가 또 찾아야겠다는 유람벽을 다시 불러일으켰다.
        47.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정원 디자인 시 국내에서 이용 가능한 다년초 선정을 위한 목록을 만들고자 국내 화훼종묘회사와 생산농원 그리고 상업적 정원, 식물원, 수목원 홈페이지 160여 개를 검색하여, 보유 또는 생산하는 다년초의 사진, 학명, 일반명, 화색, 초장, 개화기의 6개 항목을 게시한 ㈜대한종묘조경, 우리꽃, 한택식물원을 대상으로 게시된 다년초를 정리하였다. 전체 다년초에서 생육 특성이 다른 구근류, 암석원식물, 그래스류, 고사리류, 수생식물을 분리하여 이들을 제외한 나머지를 다년초라 하여 전체 다년초를 6개 식물군으로 나누었다. 6개 생육 특성별 식물을 각각 파랑(blue), 녹색(green), 주황(orange), 분홍(pink), 보라(purple), 빨강(red), 은색(silver), 흰색(white), 노랑(yellow)의 9가지 화색으로 나누고 같은 화색 내에서 초장을 고(120cm 이상), 중(60-120cm), 저(60cm 이하)의 세 단계로 나누어 해당하는 식물을 학명의 알파벳순으로 배치하여 1월부터 12월까지 개화 월을 표시하는 정원용 다년초의 목록을 만들었다. 조사한 자료에서 중부지방에서 정원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전체 다년초는 1,091종류이며 다년초 839종류, 구근류 58종류, 암석원식물 46종류, 그래스류 70종류, 고사리류 46종류, 수생식물 32종류로 나눌 수 있었다. 전체 다년초는 화색별로 파랑 7.2%, 녹색 7.5%, 주황 2.8%, 분홍 17.0%, 보라 15.9%, 빨강 4.2%, 은색 0.5%, 흰색 24.7%, 노랑 20.0%로 나눌 수 있었는데 흰색과 노랑, 분홍, 보라의 화색을 가진 종류가 가장 많고 엽색이 포함된 은색과 초록을 제외하면 정원의 화려함을 더해주는 주황과 빨강, 파랑의 화색이 부족하였다. 전체 다년초의 6.0%만이 120cm 이상의 높은 초장이었고, 60-120cm 사이의 중간 초장은 24.9%, 60cm 이하의 초장은 69.1%였다. 1월부터 12월까지 월별로 전체 다년초의 0.0, 0.2, 1.1, 5.9, 11,5, 22.8, 22.3, 20.7, 10.1, 5.1, 0.3, 0.1%가 개화했는데 5, 6, 7, 8월에 77.3%가 개화하였다.
        48.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프리티유' 품종은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 2008년도에 육성한 절화용 장미 신품종이다. 이 품종은 2005년도에 화색이 적색이며 꽃잎수가 많은 스탠다드 장미 'Red Sandra'를 모본으로하고 분홍색 스탠다드 장미 'Mira Bai'를 부본으로 교배하여 2006년도에 실생을 양성하였다. 화색과 화형이 우수한 27계통을 예비선발 하였으며 2006~2008년에 1, 2, 3차 특성검정과 품평회 결과 절화특성이 우수한 KR05-2-1계통(Gyeonggi R1-
        50.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irect-seeding method on dry paddy soil could make rice farming large-scale cultivation and cost-saving, but it has still some problems on poor seedling establishment caused by low temperature and varying sowing depth.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dentify weedy rice genetic resources that may help to poor seedling establishment in direct-seeded rice on dry paddy soil in temperate region. The genetic resources screened in this study were 128 accessions that consist of 92 japonica weedy rices, 24 indica weedy rices, and 12 Korean bred cultivars.The weedy rices on average have very superior abilities to emerge form depth than cultivated rice. The germplasm showed that the coleoptile or/and mesocotyl length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ergence rate to a high degree. Among the germplasm, WD-3, a japonica weedy rice, evidenced the highest level of emergence with the longest coleoptile and mesocotyl elongation. The emergence ability of WD-3 depending on the burial depth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 was confirmed in both the phytotron and the field conditions. WD-3 showed 100% of emergence rate until a burial deptho f 7 cm in the dry soil in the phytotron, and 76.2 % of very high emergence rate in the total layer of paddy field where the seeds were sown from the surface to 10 cm depth. In the emerged plants in the field, the mesocotyl elongat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burial depth in a logarithmic fashion, and the coleoptile extension increased exponentially. The total elongation lengths of the mesocotyl and coleoptile were similar with a plant burial depth, which indicated that they could induce the safe emergence of the main leaf of the seedling from the soil to thesurface. Conclusively, the elongation habit of mesocotyl and coleoptile of WD-3 could be one of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to develop direct-seeding cultivars.
        51.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러빙유" 품종은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 2007년도에 육성한 절화용 장미 신품종이다. 이 품종은 1999년도에 화색이 적색이며 향기가 있는 스탠다드 장미 "Neon"을 모본으로 하고 주황색과 살구색으로 복색이며 화형이 우수한 스탠다드 장미 "Hello"를 부본으로 1999년도에 교배하였다. 2000년에 실생을 양성하여 화색과 화형이 우수한 55계통을 예비선발 하였으며 2005~2007년에 1, 2, 3차 특성검정과 품평회 결과 절화특성이 우수한 KR99-
        53.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깨는 무한화서의 특성을 지니고 있어 생육후기까지도 생식생장이 지속되어 한국의 기후상황에서는 필연적으로 미등숙 종실의 발생과 탈립으로 인한 수량 손실 등 재배상 여러 가지 문제점을 수반하게 된다. 현재 개발되고 있는 내탈립성 참깨들에 의해 이러한 문제점은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새로 개발된 내탈립성 참깨와 기존의 탈립성 참깨들 간의 이면교잡을 통하여 내탈립성 및 기타 양적형질들의 유전분석을 실시하여 보다 개량된 내탈립성 참깨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전분석 결과 조사된 6개 양적형질 모두 비대립 유전자의 상호작용이 존재하지 않음이 인정되었다. 2. 경장, 착삭부위장, 주당수량 및 탈립율은 상가적 효과가 큰 부분우성으로, 분지수는 완전우성에 가깝게, 주당삭수는 초우성에 의해 지배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3. 탈립율의 우성방향은 탈립율이 큰쪽이었으며, 내탈립성 참깨 수원195호는 탈립을 적게 하는 열성유전자를 많이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4. 모든 형질에서 광의의 유전력은 0.8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분지수, 주당삭수, 주당수량 및 탈립율의 협의의 유전력은 0.447~0.628 로 낮았으며, 경장과 착삭부위장은 협의의 유전력도 0.8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54.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rticultural activities on the sociability and eating habit for children seven years old in kindergarten. The two groups of preschool children 7 years, in 'M' kindergarten and in 'N' kindergarten, were objects of this research. The number of children were 22 and 7, respectively.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program were applied for 12 sessions in one time a week to 'M' kindergarten and for 15 sessions in one time a week to 'N' kindergarten. The results showed horticultural activities significantly improved sociability and eating habit. Especially the inclination for violence, injuring or beating, was reduced remarkably. Horticultural activities seem to be effective for understanding on natural phenomenon, involve the characteristics of a plant and an animal, and also for recognizing signification of nature life while children did horticultural activities. It was seem those positive effects lead improve sociability in their group. Horticultural activities had an effect on eating habit for children. Especially, It was seem that this effect, improving an unbalanced diet habit, arise from getting familar with vegetables while children cultured and cared themselves.
        55.
        200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understand the heading habit of recently developed 20 Korean rice cultivars, rice plants in a phytotron were exposed to different temperature: 22.5~circC(day~;27~circC/night~;18~circC),~;27.5~circC(day~;32~circC/night~;23~circC) , and day-length conditions: 10, 12, 13, 14, 15 hours. Four rice cultivars (Sobibyeo, Juanbyeo, Ilpumbyeo and Shindongjinbyeo) showed relatively short Basic Vegetative Phase (BVP) of 17 to 18 days, while Dasanbyeo showed the longest (35 days) BVP, compared to other remaining 15 tested cultivars which exhibited 24 to 31 days of BVP. In this experiment, it was tried out to separate the eliminable vegetative phase into photosensitivity and thermo-sensitivity with two different pathways. Many tested cultivars, however, exhibited quite different responses under low temperature and / or long day-length conditions. Especially, Surabyeo and Juanbyeo were the most difficult cultivars to separate into photo- or thermo-sensitivity in that the eliminable vegetative phase of these two cultivars increased greatly only under low temperature (22.5~circC) and long day-length (15 hr.) conditions. Regarding the heading response to temperatures, tested cultivars could be categorized into 2 groups. In 1st group of rice cultivars, the eliminable vegetative phase decreased almost equally as the temperature changed from 20.0~circC~rightarrow22.5~circC~rightarrow25.0~circC~rightarrow27.5~circC . In contrast, the 2nd group of rice cultivars exhibited eliminable vegetative phase slowly decreasing when the temperature changed from 22.5~circC~rightarrow25.0~circC~rightarrow27.5~circC , but rapidly decreasing when the mean temperature changed from 20.0~circC~;to~;22.5~circC . All the cultivars belonged to 2nd group, the heading date would be very delayed if cool summer comes.
        56.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 및 조경용 식물로 최근 들어 관심을 받고 있는 옥잠화에 대한 개화습성, 수분 양식 및 결실특성에 대한 기초정보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옥잠화는 주로 야간에 백색꽃이 개화하는 식물로 개화초기와 개화성기에는 대부분 풍매에 의해 수정되었고, 개화후기로 갈수록 착화 간격이 줄어들고 옥잠화 특유의 향기가 감소하여 풍매에 의한 착협율과 충매에 의한 수정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착협율과 결실율은 방임구 각각에서 33.3%와 24.3%로 나타났으며, 이에 비해 인공교배는 각각 65.0%와 40.9%로 나타나 인공교배가 착협율과 결실율에서 높게 나타났다. 개화기간에 있어서 하루 중 수정율은 개화성기인 19 : 00~20 : 00시에서 높았으며, 이때의 최적온도는 25~28℃ 이었다.
        58.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evaluate growth habits, fresh pod yield potential, and possibility of early and late seeding, seeding dates were extended from March 21 to June 20 by PE mulching and non-mulching. Soil temperature, under 5cm from surface, above 15~circC at 10 a.m. in early seeding reached about March 25 in mulching and April 5 to April 12 in non-mulching. Days to emergence and first flowering were accelerated owing to increasing temperature, as seeding was delayed. Days to emergence according to seeding dates reduced 21 to 8 day in mulching and 33 to 10 day in non-mulching. Days to flowering were ranged from 51 to 26 day in mulching and from 69 to 32 day in non-mulching and differences between mulching and non-mulching on each seeding date had 18 to 4 days. Early seedings till April 21 had 160-170 flowers per plant for 8 weeks, while late seedings from May 21 increased more speedily with 200 flower for 6 weeks. Harvesting of fresh peanut, at 80 days after first flowering, was possible from Aug. 1 to Oct. 7 (133-108 days to harvest) by mulching and from Aug. 19 to Oct. 12 (151 to 114 days) by non-mulching. Yields between mulching and non-mulching in early seeding until April 21 had more difference, but in late seeding after May 21 was higher and showed insignificance. Pod setting periods by early and late seeding were about 3 weeks equally. In late seeding pod setting were almost concentrated for front 15 days. In spite of difference of fresh pod weight between two seeding times, the distributions of average of seed weight showed nearly same tendency.
        59.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참당귀의 개화습성과 수정양상을 조사하고 5개 지방종에 대하여 교잡에 의한 계통간 화합성 및 결실율을 검토함으로서 우량계통육성을 위한 교잡육종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1. 정식 2년차에 있었서 5개 지방종의 출아기는 3월 14일이었고 추대기는 5월 12~13일이었으며 개화기는 ‘봉화종’이 8월 2일로서 다른 계통보다 3~5일 빨랐고, 개화지속기간은 각각 41~43일로 비슷하였다. 2. 5개 지방종의 개화특성을 보면 주경에서 1차 지경, 1차 지경에서 2차 지경까지의 개화기간은 9~13일이 소요되었고, 웅예와 자예의 출현기 간은 각각 3~5일이었으나 동일화서 내에서 최종웅예와 최초자예의 간격은 1~4일이었으며 동일화에서는 웅예가 자예보다 4~8일정 도 선숙이었다. 3. 참당귀의 개화 시기별 밀봉에 따른 결실율은 개화 5일전, 개화 1~2일전, 개화기가 1.0, 0.9, 0.4%였으나 개화후 3일이 2.4%로 약간 높았고, 봉지를씌우지 않은 처리구는 52%였다. 지방종간 수분형태에 따른 결실율은 자가수분이 26.3%였고 타가수분은 36.3%로 타가수분이 높았으며 모본에 따른 결실율은 ‘봉화종’, ‘무주종’을 모본으로 하였을 때 각각 44.9, 42.6%로 높았다. 4. 각 계통별 정역교잡에 따른 인공수분에서는 자가수분 타가수분 모두 친화성이 있었으며 자가수분에서는 ‘무주’× ‘무주’조합이 40.8%로 가장 높았고 타가수분에서는 ‘평창’× ‘인제’조합에서 67%로 가장 높았다.
        60.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황기의 개화, 결실 및 수분양식을 구명하여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기별 개화.결실 특성 및 수분방법별 결실율에 대한 시험을 수행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황기의 개화는 원줄기의 20-22절위에서 첫 꽃이 피기 시작하여 분지 발생순으로 개화되며 7월 중.하순경에 개화하기 시작하적 10월 중.하순까지 계속 관화되는 무한화서이다. 2. 개화시기별로는 9월 상순에 개화한 화경수가 가장 많아 꼬투리 및 종실 수도 9월 상순에 개화한 화경에서 가장 많은 경향이었다. 3. 소화가 착생되는 부위의 길이는 6.6-7.3cm, 소화수는 화경당 13-17화, 착협률은 30-45%, 협당 종실수는 4.8-5.3위 정도였다. 4. 꼬투리는 수분 후 30일 경에 길이가 3.8cm로 최대에 달하며, 폭은 8mm정도이고 종실수는 7.3개정도 형성되었다. 5. 황기 꽃의 수분양식은 봉지 씌우기로 자가 수정시키는 경우 거의 결실되지 않았고, 인공수분에 의한 결실율은 7월 하순부터 8월 하순까지는 5%이하였으나 9월 상순 이후부터는 13%이상으로 높아지는 경향이며 타가수분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