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 mi” is a type of fragrant tree. Also known as honey fragrance, wood fragrance and other names in ancient books. And there are four major regions in the growth area of “Mu mi”. It often used in conjunction with “sandalwood”, and has significant importance in Buddhist activities. However, upon examination of Chinese Buddhist scriptures, it was found that the writing of “mi (櫁)” has various forms of variant script. This article integrates relevant variant texts in Buddhist scriptures, examining the use of characters in Buddhist scriptures from three perspectives: diachronic, synchronic, and edition. It explores the use of characters for the name of the “mu mi” tree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variant texts.
본 연구는 아일랜드 시인 W.B. 예이츠와 폴란드 시인 체스와프 미워시 가 역사적 대재앙을 아포칼립틱한 상상력으로 다룬 시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 다. 두 시인은 아일랜드와 폴란드에서 각각 1차 세계대전과 2차 세계대전을 경험하면 서 유럽 문명이 붕괴되는 역사적 대격변을 목도하였고, 그 시기에 각각 아일랜드독립 전쟁과 내전 그리고 나치의 유태인 게토 파괴와 바르샤바 봉기 등을 겪으면서 그들이 목격하고 경험한 역사적 현실을 아포칼립틱한 상상력으로 표현하였다는 점에서 공통점 이 있다. 대재앙주의나 종말론은 현재의 문명이 다른 적대적인 가치를 내세우는 문명 으로 대체되는 위기에 처해있다는 생각이다. 예이츠의 경우에 반그리스도교적이고 자 본주의적이고 기계적인 사고에 기반한 문명으로 대체되는데 대한 우려이고, 미워시의 경우에는 종족 말살의 폭력을 서슴지 않는 나치와 전체주의적인 소비에트의 위협이라 할 수 있다. 유럽과 자국의 문명이 붕괴되는 위기 앞에서 두 시인의 시에서는 불가항 력적인 폭력 앞에서 인간의 자유의지에 대한 회의와 무력감, 불확실하고 비관적인 미 래의 전망 그리고 폭력의 영속성에 대한 명상과 자신에 대한 자조적인 태도와 죄의식 및 고통 등의 다양한 반응이 초현실적인 상상력과 독특한 재현 방식으로 드러나 있다.
조영석(趙榮祏, 1686-1761)은 정선(鄭敾, 1676-1759)이 산수화에서 이룩한 예 술적 혁신을 ‘개벽(開闢)’이라고 평가하였다. 정선 이전에 우리나라 산수화의 주류는 중국의 화풍을 수용・변형시킨 것이었다. 정선 이전에도 실경산수화는 그려졌다. 그 러나 이 그림들은 실경감(實景感)이 부족했다. 1711년, 조선시대 회화에 일대 분수령 을 이룬 사건이 일어났는데 이것이 바로 정선의 금강산 여행이다. 그는 이 여행을 마 친 후 <<신묘년풍악도첩(辛卯年楓岳圖帖)>>을 그렸다. 정선이 그의 진경산수화를 통 해 이룩한 거대한 혁신은 무엇이었을까? 정선이 조선시대 산수화에 혁명적인 변화를 이룩할 수 있었던 것은 그가 창의적으로 미점(米點)을 금강산 그림 등 그의 진경산수 화 제작에 활용하였기 때문이다. 미점은 북송시대의 화가인 미불(米芾, 1051-1107) 과 그의 아들인 미우인(米友仁, 1086-1165)이 창안한 회화 기법이다. 미점이 사용된 산수화를 미법(米法)산수화라고 한다. 미점은 구름이 끼고 안개가 자욱한 자연의 습 윤한 모습을 묘사하는데 주로 쓰였다. 그런데 미법산수화는 실경산수화가 아니다. 상 상 속의 구름 낀 산을 그린 것이 미법산수화이다. 정선은 중국의 화가들과 달리 미점 을 실재하는 경치를 그리는데 사용하였다. 즉 그는 미점을 구름과 안개가 낀 산의 습 윤한 모습을 표현하는 데 쓰지 않고 실제 경치를 묘사하는데 사용함으로써 미법산수 화의 성격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 <<신묘년풍악도첩>> 속 <단발령망금강산>을 보면 단발령을 묘사하는데 많은 미점이 사용되었다. 같은 화첩 속 <장안사>에는 옆으로 긴 점이 나무를 표현하는데 사용되었는데 이 점은 미점의 변형이다. 정선은 미점으로 조선의 산천을 그렸다. 결국 정선의 진경산수화는 ‘미점으로 그려낸 실경산수화’라고 할 수 있다. 조영석이 언급한 ‘개벽’은 정선이 그린 진경산수화의 가장 중요한 특징인 미점의 적극적이고 창의적인 사용에서 비롯되었다. <<신묘년풍악도첩>>은 1711년에 정선이 이룩한 회화 혁명이 무엇인지를 알려주고 있다.
본 논고는 주역(周易)의 ‘화수미제(水火未濟)’와 사공도의 『이십사시품』중 ‘유동(流動)’을 중심으로, 동양 철학의 변화와 조화라는 핵심 개념이 문인화를 비롯한 문화예술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해석될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주역은 자연과 인간, 그리고 우주 원리를 상징적 언어로 설명하며, 괘(卦)와 효(爻) 의 구조를 통해 변화의 철학을 전개한다. 특히, ‘화수미제’는 불 (火)과 물(水)이라는 대립적 요소가 조화를 이루지 못한 상태를 상징하며, 미완성과 긴장 속에서 창조적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십사시품』의 마지막 품격인 ‘유동’은 물의 흐름을 통해 지 속적 순환과 조화를 강조하며, 동양 철학이 문화예술 전반에서 미학적 가치를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 본 연구는 주역의 상(象), 괘(卦), 효(爻)의 해석 방법론을 기 반으로, ‘화수미제’와 '유동'의 철학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문인화를 포함한 동양 문화예술에서 변 화와 조화가 창작 과정과 미학적 해석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고 찰하였다. 이와 함께, 본 논문은 동기창의 ‘산수도’와 김정희의 ‘세한도’를 분석하고 윤선도의 시 ‘오우가’를 결합하여 동양 철 학의 변화와 조화의 원리가 문인화 창작 과정에서 구현되는 의 미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주역의 철학적 원리와 『이십사시품』의 미학적 가치를 문인화 및 동양 문화예술의 창작에 재해석하여, 현대 문화예술 창작에서 새로운 창조적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 다. 향후 연구는 동양 철학적 원리가 문인화를 포함한 문화예 술 전반에 어떻게 확장 적용될 수 있는지 탐구하여, 보다 폭넓 은 학문적 성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2021년 우리나라 성범죄 발생은 6,321건, 범죄률 13.5%로 교정시설에서는 성범죄 예방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지만, 여전히 성범죄의 재범률은 증가하 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변증법적 행동 치료이론을 기반으로 성범죄자의 재범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프로그램의 개발은 선행연구와 요구조사를 바탕으 로 하였다. 프로그램은 변증법적 행동치료(DBT)의 4가지 핵심기술인 마음 챙김, 정서 조절훈련, 고통 감내, 대인 관계 증진 기술로 구성하였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 군 사전-사후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로 혼 합연구 방법(Mixed Methods Design)으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 자는 G*Power 3.1 program의 표본 크기에 맞게 G시 교정시설에 수감 된 남성 성범 죄자 중에서 총 28명 선정하고, 무작위 할당 표집으로 실험집단 14명과 대조집단 14 명으로 배정하였다. 하지만 이감과 중도 연구 참여 거부로 인한 탈락자를 뺀 실험집단 13명과 대조 집단 12명의 자료를 최종분석하였다. 양적 분석은 SPSS 27.0 프로그램 독립표본 검증(Independent t-test)으로 동질성을 확보를 확인하고, 집단 간 변화를 이원 혼합설계 반복측정 변량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으로 살펴보았다. 질적 자료는 Braun과 Clark(2006)가 제시한 주제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 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증법적 행동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대조집단 보다 대인 간의 공감 반응과 성인 애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변화의 효과 는 추후검사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유지되었다. 둘째, 프로그램 참여 경험을 분석한 결과 36개의 하위 주제, 몇10개의 상위 주제가 나타났다. 이를 분석영역인 충 동성, 공격성, 자기통제력에 재배열하였다. 충동성에서는 이성에의 의지 폭력 행동의 자발적 제어, 예측 능력의 강화, 분노의 원인 탐색 주제가 돌출되었다. 공격성에서는 파괴 본능을 건강한 에너지로 전환, 타인에 대한 적대적 감정 없애기, 낮은 자리에 서 기라는 주제가 출연했다. 자기통제력에서는 유혹을 이길 수 있는 힘의 배양, 현재의 만족보다는 미래의 성공, 규범적인 행동 목표설정이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논의하였고, 교정기관 내에서 성범죄자들의 사회 재적응을 지지할 수 있는 실천적 접근을 제안함으로써 재범을 예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교정시설 에서 시도하지 않은 변증법적 행동 치료이론을 접목한 프로그램의 개발하였기에 성범 죄자 프로그램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들과 차이가 있다.
본고는 수사학 측면에서 李密의 「陳情表」를 분석하고자 한다. 李密의 「陳情表」는 왕에게 올리는 글인 ‘表’의 형식으로 쓰여져 그 내용은 진지하고 논리적이며 매우 설 득력이 있다. 李密의 「陳情表」가 갖는 설득 텍스트로서의 특징을 기초로 본고는 서 양의 수사학 체계를 적용하여 분석해 보고자 한다. 특히 李密의 「陳情表」가 문언인 점을 감안하여 논거를 찾는 과정인 착상 영역을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특히 착상 영역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논거 찾기와 논증전략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다. 李密은 자신의 생각이나 주장을 뒷받침할 만한 논거들을 다양한 말터에서 가져와 수 신자인 왕을 설득하고 있는데 이때 여러 논증 전략들을 사용하여 자신의 의견을 피 력하고 있다. 본고는 중국의 고전 문학 작품인 李密의 「陳情表」를 단순히 ‘조모에 대 한 지극한 효성’이 드러난 작품, 즉 문학의 내용적인 측면에서의 분석을 넘어서 ‘表’ 라는 텍스트가 가지는 설득의 목적에 초점을 두고 서양 수사학 체계에서 본 텍스트 를 분석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lains the han-ok. in Gae-sung, which was antique and traditional city. In view of the fact that these were located in Gae-sung in North Korea hence direct investigate is not possible. Since there was no comprehensive study of Gaeseong han-ok, we have no choice but to rely on fragmentary records and memory of Gaeseong people. In accordance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s surveys and sketches as well as how they were illustrated in the novel. Hark back to the peoples' thought of the han-ok years when they ran the survey in 1920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many houses so various classes in Mi-Mang. Jeon Cheo-man’s house w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rich family in Gae-sung, Jeon Je-seong(Jeon’s 2nd son)’s house was located in Si-jeon(government licensed-markets) near by the South gate. In particular, Jeon Yi-seong(Jeon’s 3rd son)’s house was in rural areas. He managed on immense ginseng field and worker’s houses. Hae-ju's house was a small house off the track. Second, the outer house is low and the main house is high and neat. Lastly, it was confirmed that it corresponded to sketches recorded by architects, such as neat housekeeping, long stones used for various purposes, invisible flat gates, the appearance of old and old houses and the composition of each room.
세친은 『유식삼십송』의 제1게송에서 가설의 ‘아(我)와 법(法)’은 식에 의존하여 전변한다고 선언한다. 제2게송에서 전변하는 식의 이름으로 이숙(異熟)과 사량(思量)과 요별경식(了別境識)을 거명하며 초전변식의 이름으로 아뢰야식, 이숙식, 일체종자식을 나열한다. 이숙은 초전변(初轉變)의 대표 이름으로 설정되며, 제19게송에서 이숙은 업과 2취(二取) 습기에 의해서 유전한다고 밝힌다. 제19게송은 세친이 『유가사지론』의 이숙의 유전설을 요약한 것으로 파악된다. 『유가사지론』은 이숙에 대하여 여러 교문에 의해서 설명한다. 먼저 구유의(俱有依), 등무간의(等無間依), 종자의(種子依)의 관계를 설정하여 5근과 의(意)와 이숙식의 연결을 시도한다. 또한 이숙이 생명을 받는 과정을 아애(我愛), 희론 종자, 업에 의해서 설명하는데, 이는 아집습기와 명언습기와 업습기를 의미한다. 아뢰야식은 초전변식의 자상(自相)에 해당하지만 이숙은 수없이 분별하여 만든 희론의 종자를 원인으로 품으며, 선악 등의 업 세력의 도움을 받으며 4생 6도와 같이 마음의 결과적 산물을 창출한다. 또한 이숙은 과보식의 명칭으로 중유(中有)에서 생유(生有)에 이르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숙식은 청정한 진여 본성을 지니며 무루업에 의해 전변한다.
이 논문은 정미경 소설에서 자본주의적 격률에 순응하는 윤리에 대한 죄책감이 발현되는 양상을 논구한다. 「무화과나무 아래」와 「성스러운 봄」에서 인물은 돈의 위력에 굴복한 자신에 대한 죄책감을 자학과 가학으 로 표출한다. 이때 작가는 이들의 죄를 인간의 한계에서 어쩔 수 없이 파생된 원죄로 자리매김한다. 「내 아들의 연인」에서 죄책감을 억압하던 인물은 억압했던 것의 회귀를 경험하며, 「엄마, 나는 바보예요」에서 인물은 죄책감을 성공적으로 억압하지만 끊임없이 불안을 느낀다. 죄책감을 억압하는 인물들의 죄는 자본 주의 사회에서 그 부도덕성이 인식되지도 않을 만큼 보편화된 상식에 해당한다. 정미경은 자본주의적 윤리에 대한 투항과 그에 따른 죄책감 사이에서 끊임없이 분열하는데, 이러한 분열은 그의 소설에 그림자 또는 분신 모티프가 자주 등장하는 까닭을 설명해준다.
동아시아 지역의 에어로졸 광학정보에 대하여 천리안 위성에 탑재된 GOCI, MI, 그리고 Himawari 8 위성에 탑재된 AHI 센서들의 측정자료를 연세 에어로졸 알고리즘(YAER)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각 센서에서 산출되는 에어로졸 광학두께(Aerosol optical depth, AOD)를 상호비교하고, 지상장비인 AERONET과의 검증결과도 보였다. 사용한 AOD 자료는 세 종류의 센서에서 최소반사도 방법(Minimum reflectance method, MRM)을 이용하여 산출된 AOD, 그리고 AHI에서는 단파적외선이용 지표면정보산출방법(Estimated surface reflectance from SWIR, ESR)을 이용한 방법의 AOD까지 총 네가지이다. 세 위성간의 산출결과에서 육지와 해양에서 일관된 결과를 보이고 있으나, MI와 GOCI에서는 구름제거에 한계가 존재하며 AOD의 과대 추정 문제가 보인다. 한편 지상장비인 AERONET과의 비교검증 결과는 MI, GOCI, 그리고 AHI 의 MRM 방법, ESR 방법 에서 기대오차 내에 들어오는 비율(% within Expected error, EE)이 36.3, 48.4, 56.6, 68.2%로 각각 나타났다. MI의 경우는 단일 채널을 이용하여 에어로졸광학정보를 산출하고 있고, 계절에 따른 에어로졸 유형을 고정하고 있어, 다양한 오차가 포함되어 낮은 EE를 보이고 있다. 5, 6월에는 ESR 방법의 결과물은 높은 EE 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GOCI, MI, MRM 방법 에서 사용하고 있는 최소반사도 방법보다 정확한 지면반사도를 산출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 결과는 AERONET 사이트 별로 RMSE 와 EE 로 설명하고 있으며, 검증한 총 22개 사이트 중 15개 사이트에서 ESR 방법이 가장 높은 EE 를 보이고 있고, RMSE는 13개 사이트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정지궤도 위성의 특징을 이용하여 시간대별 오차를 각 산출물 별로 보였다. 00~06 Universal Time Coordinated (UTC)에서 한 시간별로 최대로 나타나는 absolute median bias error 는 0.05, 0.09, 0.18, 0.18, 0.14, 0.09, 0.10 로 나타나며 00UTC에서는 GOCI 에서, 나머지 시간대에서는 MI에서 최대오차를 보였다.
최근에 이루어진 주대(周代)의 종묘(宗廟) 연구에서의 핵심 논의는 다음과 같다. 적어도 주나라 때에는, 현재 일반적으로 정의된 ‘종묘는 왕실 사당이다.’ 라는 개념이 형성되기 이전이었으며, 당시 그것은 통치자의 거소 기능을 하던 곳이었다. 따라서 『논어』와 같은 선진시대(先秦時代)에 성서(成書)된 고전을 해석하는데 있어서, 종묘가 언급되는 부분에서는 기존의 제사와 관련된 일방적인 해석에 대한 재고의 필요성을 역설(力說)하였다.
주대의 묘(廟)는 천자(天子)로부터 사(士) 계층까지, 통치자와 상·하급 관료 누구나 지닐 수 있었던, 정전과 편전 내지 사랑채 등의 기능을 하던 건축물이 었다. 당시 예(禮) 의식의 주체에서 배제된 서인(庶人) 이하의 계층에서는 고비용이 드는 묘를 굳이 소유할 필요가 없었다. 한편, 선진시대의 사 계층은 자신들의 묘에 ‘종(宗)’자를 부가하여 종묘라고 칭할 수 없었다. 그것은 작위와 영토를 상속받은 자의 묘일 경우에만 종묘라고 칭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여기서의 ‘종’이란, 봉지와 신분의 시작을 열었던 ‘조(祖)’의 상대어로서, 종은 바로 그 조의 대대손손 사자(嗣子)나 사손(嗣孫)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지금까지 사대부 가문의 사당으로 인식되어 온 ‘가묘(家廟)’는, 실상 당대(唐 代) 이후의 기록들에서 보이기 시작하는 것이다. 아울러 그것은 주나라 때의 가(家)라고 하는 영지 내에 있는 ‘대부(大夫)의 묘(廟)’의 의미로 쓰인 것은 물론 아니다.
주대의 묘와 종묘 안에는 주요 건축물인 당(堂)이 있다. 고대(高臺)의 건축물이라는 유사한 형태의 전(殿)과 당은, 그 주인 신분의 높고 낮음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해 왔지만, 전국시대 말 이전까지는 전의 존재가 보이지 않는다. 아울러 당시에는 천자 제후 대부 등 각각의 신분에 따른 건물명을 따로 구분 하여 쓰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전·충남 지역의 대표적인 무용가 이미라의 예술 활동을 종합적으로 연 구하는 데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인터뷰에 근거한 구술 조사와 책, 연구 논문, 신문 기사, 전 문 사전, 팸플릿 등 각종 참고 자료에 근거한 문헌학적 연구를 함께 사용하였다. 이미라는 자신 의 전공인 무용 분야에서 주로 역사적 위인을 소재한 삼은 무용극을 창작하여 공연하였다. 이러 한 무용극은 교훈적 요소의 용이한 전달, 빠른 내용 이해, 내용의 풍부한 구성, 흥미 요소의 가 미 등이 장점이다. 대표작으로 평가되는 <성웅 이순신>을 비롯한 여러 작품에서는 충효 사상이 주제로 부각되었다. 그녀의 무용극은 서사성이 강하고 연극적 요소가 두드러지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미라는 충청남도의 민속 예술을 재창조하는 데도 관심을 기울였는데, 그 작업은 원형의 발 굴과 예술성의 제고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은산 별신제>, <거북놀이>, <아산 줄다리기>, <횃 불쌈 놀이>, <등바루 놀이>, <산유화가> 등이 그녀가 재창조 작업에 참여한 충청남도 지역의 민 속 예술이다. 이 작품들은 대부분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상을 수상하였고, 일부는 국가와 지역의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그녀는 다음 세대에 우리 민족의 얼을 심어 주기 위한 교육 무용 활동도 활발하게 전개하였 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무용극 경연 대회와 강습회가 그 대표적 활동이다. 한편 이미 라는 예술 행정가로서도 탁월한 능력을 발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specifically focused on the lower garment sizing system of adolescent apparel, especially on trousers for adolescent boys.
Research Method was performed by using the physical measurements of adolescent boys (14~19 years old, n=1,344) based on the ‘he fifth Korean national physical standard reports’ surveyed by SIZEKOREA. The basic materials for this study are obtained from the observations of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of physical figur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from waist dow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analyses of physical changes, most items including height, circumference, length, breadth and depth were increased at the age of 14~18 and gradually reduced at the age of 19. 2) The factors which compose the lower body resulted were appeared that the first factor was vertical factor, the second factor was horizontal factor, the third factor was hip length, and the last factor was buttlock-popliteal length. 3) Formalization of physical figures for adolescent boy's lower body analyzed from factors grouped three types. 4) The basic parts that we used to propose the apparel sizing system distinguished by physical figures were Waist Circumference (Omphalion) (every 3cm regular gap) and Hip Circumference (irregular gap). Physical figures assigned 5 to Type T, and 4 to type M. The reference measurement items were divided into 7 items which are correlated with apparel manufacture.
In spite of the increasing significance on a scale of building measurement unit and its system having been used in many areas of architecture, only a few researchers carried out the studies on a specific period. It is even harder to find a research results dealt in view of architecture. This research gives a focus on different types of scales employed in the ancient buildings and their sit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unit scale or scales found in recent excavations. After the review of literature on the scales widely used in the ancient times and of the various types of scales excavated archeologically, a kind of scale unit system that had been widely and extensively employed throughout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could be revealed. The scale system is possibly able to be applied to estimate the exact scale of buildings and their sites as well in that era.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scale and its system employed in the East and West buildings and their sites of 'Kum-dang' in 'Mi-ruk Sa' temple are different from 'Kokuryo' scale that was believed in to be used in the temple. Contrary to the suggestion by excavation report on the type of scale employed in the buildings their sites, a scale of 29 centimeters, similar to that of Tang, was employed. It was also found that one module consists of three 'Chuk's of 88.8 centimeters. Based on this scale system, we could conclude that three modules of the buildings on the front and two and half modules of them on the sides were explained by this scale and its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I and web-based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English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paper first examined MI and instructional models of web-based learning, which was based on constructivism.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is experiment, we proposed a web-based English learning and teaching model and applied it to the 5th grade students in an elementary school. After the experiment, we analyzed the effects that MI affects students' English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ings. First, students' intrapersonal intelligence, linguistic intelligence, musical intelligence, and spatial intelligence had a positive effect to their English achievement. Second,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intelligence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English achievement. This study indicates that all kinds of multiple intelligences should be thoroughly considered when we design and practice web-based English learning and teaching models.
This study is on the changing pattern of fish-and-shellfish uses during the last two thirds of Chosun period on the premise that they are influenced by development of fishing technology. With a literary approach, this paper researches how fish-and-shellfish production and consumption pattern changed, especially in relation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fisheries. First, we examine into the changes of fishery production. And next, we analyze the kind and cooking method of fish-and-shellfish in [Eum-sik-di-mi-bang](1670) and [Gyu-hap-chong-seo](1815). The analysis of two book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sh-and-shellfish uses. Because the two books were written with a gap of 145 years and the development of fishing technology and remarkable changes of fishery production affected on the fish-and-shellfish uses. Due to primitive fishing tools and skills, fresh-water and reverse-river-fish and shellfish had been caught in substantial amount until the middle ages of Chosun period. As a result, the availability of seafood were limited extremely even in the upper classes. These situations are evidenced by the analysis of [Eum-sik-di-mi-bang]. Only 12 kinds of fish-and-shellfish are described in [Eum-sik-di-mi-bang]. Most of the sesfoods is mollusc which is easy to catch. As for the salt-water fish, dried cod and dried herring were mentioned. Mullet, the reverse-water-fish, is used most frequently. Only one kind of 'Hoe', which needs extreme freshness, is described. This means that the use of fresh fish-and-shellfish was very limited to some kinds which could be caught near the village. As the netting fishery began to be developed in the 18th century, the production of some salt-water fishes, such as anchovy, shrimp, yellow corvina, pollack, and herring, had increased remarkably to make marine resources more available. Small fish, such as anchovy and shrimp were preserved as 'Jeot-gal' and sold nationwide. Therefore, 'Jeot-gal' and seafood could be used in Kimchi around this time and had a deep influence on the change of Kimchi in taste and nutrition. In [Gyu-hap-chong-seo], 33 kinds of fish-and-shellfish are described. Including cod and herring, 17 kinds of sea water fish and mollusc are mentioned. Some of these are consumed in fresh state, neither as dried nor as salted. Because the merchants promoted the transport of seafoods to other regions according to the growth of commercial economy. As a result the diet of the people could be enriched by the various seafo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