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23

        1.
        202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valuated the growth characteristics, forage productivity, and feed value of three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cultivars ‘Earlybird’, ‘Green call’, and ‘Greenfarm2ho’ over two consecutive growing seasons. Growth traits such as cold tolerance, lodging resistance, disease resistance, and insect resistance were assessed, along with plant height. Forage yield was measured as both fresh and dry matter yields, and feed value was analyzed in terms of CP, NDF, ADF, DMI, DDM, RFV and CA content. Among the tested cultivars, ‘Earlybird’ demonstrated superior performance in several key traits. It showed the greatest lodging resistance and plant height, along with the highest fresh and dry matter yields, although differences in yield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feed quality, ‘Earlybird’ had the highest CP (10.8%), lowest NDF (54.7%), and highest RFV (109), indicating excellent palatability and digestibility. ‘Greenfarm2ho’ showed intermediate values across all parameters, suggesting balanced productivity and quality. In contrast, ‘Green call’ showed relatively lower lodging resistance and feed value. Overall, ‘Earlybird’ was identified as a promising cultivar for forage production in temperate climates, combining stable yield performance with high nutritional value. These findings offer valuable guidance for cultivar selection in livestock forage systems aiming to improve both productivity and feed efficiency.
        4,000원
        2.
        202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국내 인공지능(AI) 활용 연구의 동향 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 하였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활용하여 2001년부터 2025년까지 학위논문과 학술지를 대상으로 ‘장애’와 AI 관련 주요 키워드를 검색하 고, 선정 기준에 따라 최종 99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AI 기술은 주 로 보조기술·알고리즘·서비스 개발(56.6%)과 중재 프로그램 개발(20.2%) 에 활용되고 있었으며, 연구 방법으로는 개발연구(71.7%)가 가장 많았다. 연구 대상은 자폐성장애, 시각장애, 인지장애 순으로 많았고, 실험연구 16편에 대한 심층 분석 결과, 독립변인은 인공지능 기반 교육 프로그램, 수업 활용, 중재 전략, 교수 전략 등이었으며, 종속변인은 언어 및 의사 소통 능력, 사회·정서 및 학업 태도 등과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장애인 대상 AI 연구의 현황을 고찰하고 향후 장애인의 삶 이나 재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도구 및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안하고자 한다.
        6,400원
        3.
        202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영유아의 미디어 활용 시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살피기 위해 미디어와 인적 상호작용을 다룬 국내 연구들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3년부터 2024년까지 우리나라 학술지 60곳에 게재된 학술논 문 127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의 미디어와 인적 상호작용을 다룬 연구는 2015년부터 2020년까지 급증 하였다. 둘째, 어머니 대상 연구가 많았고, 양적 연구가 다수로 질문지법 을 활용한 상관연구가 주로 수행되었다. 셋째, 독립변인으로 ‘유아 미디 어 노출’, 종속변인으로 ‘아동 미디어 중독’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넷 째, 미디어와 영유아 발달, 유아 미디어 중독이 연구 주제로 빈번하게 다 루어졌다. 다섯째, 연구들의 주요 결과를 보면, 영유아에게는 성인과 함 께 대화와 상호작용의 맥락에서 미디어 함께하기가 중요하였고, 성인의 미디어 중재가 요구되었으며, 부모 자신의 미디어 사용 점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관리가 필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영유아의 미디어 활용 시 양육자와의 반응적인 인적 상호작용에 기반하는 연구 방향을 제안하 고자 한다.
        7,000원
        4.
        202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and increasingly frequent intercultural communication, L2 willingness to communicate (WTC) is a crucial factor influencing language acquisition, use, and teaching. Despite the growing body of L2 WTC research, there is a paucity of systematic reviews in this area. This study conducts a comprehensive review of 44 empirical articles (2019-2024) sourced from SSCI and KCI/KISS journals, focusing on WTC among Korean and English language learners. The analysis delves into research trends, participant demographics, methodologies, and thematic emphases. Notably, there has been a marked increase in publications since 2020. Korean WTC studies predominantly feature in education journals, concentrating o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KSL) contexts. Conversely, English WTC studies are more prevalent in psychology journals, focusing o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environments. The primary cohort of participants in these studies comprises university students. Methodologically, both fields heavily favor large-scale quantitative designs, although longitudinal approaches are more prevalent in English-focused studies. The majority of investigations center on the antecedents of WTC, with limited exploration of its impact on learning outcomes. The findings underscore substantial research gaps, particularly the necessity for diversified methodologies and in-depth examinations of Korean learners’ WTC.
        7,000원
        5.
        2025.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MTS가 피부개선에 미친 영향에 관한 기존 연구들을 분석하여, 근거 체계를 구축하고, 주요 키워드 간 관계와 역할 및 패턴 등을 구조적으로 분석하고자 텍스트마이닝과 토픽모델링 및 단어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관련 선행연구들은 MTS와 관련된 핵심 키워드와 연관 키워드를 혼합하여 전자도서관에서 검색하였으 며, 결론 부분의 Text를 수집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피부', '효과', '실험', '관리', '개선' 등의 어휘가 주요 개념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TF-IDF 분석에서 높은 가중치의 키워드들은 MTS의 피부 개선 효과에 관한 과학적 실험 기반 논의를 시사했다. 셋째, LDA 분석 결과, ‘과학적 검증 중심’과 ‘피부 개선 효과 중심’의 토픽2개로 나뉘었다. 넷째, 단어 네트워크에서 '피부'를 중심으로 '주름', '효과', '실험' 등이 강하게 연결되었고, '여성'과 '모공' 노드는 MTS가 여성 안면 부위 에 주로 적용됨을 나타냈다. 본 텍스트마이닝 기법은 유사 의료 미용 시술 분석에도 적용 가능하며, 향후 시계열 분석과 감성 분석을 통해 MTS 효과의 변화와 대상자 반응을 심층 탐색할 필요가 있다.
        6,100원
        6.
        202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국내 과학기술인력개발 연구의 시기별 연구동향, 주 요 키워드, 연구주제와 학문영역을 파악하며 향후 실무적 및 정책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논문 및 학위논문 총 182편의 초록을 대상으로 구글 코랩을 이용하여 키워드 빈도분석, 토픽모델링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1994년부터 과학기술 인재개발 분야 연구가 시작되어 2010년대 중반 이후 급격히 증가하다 2020년대 초반에 감소하는 추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과학기술인력개 발 연구의 주요 키워드는 ‘교육’, ‘혁신’, ‘직무’, ‘경력’, ‘몰입’ 등이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셋째, 토픽모델링 결과, 연구주제는 ① 대학에서의 학업 경험, ② 기업의 조직 특성과 개인 경력·역량 개발, ③ 대학의 글쓰기·교양 기반 기초 역량교육, ④ 과학기술인력의 직무 몰입과 경력 이동, ⑤ 리더십·신뢰 기반의 조직혁신 역량으로 다섯 가지로 구분되었다. 이 연구결과는 과학기술인력개발은 개인, 조직, 사회적 차원에서 상호 적으로 연결되어 발전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인력 대상 HRD 전 분야(ID, CD, OD)를 대상으로 한 종합적인 연구동향 분석이라 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정책·실무적으로 대학의 기초역량 교육 강화, 재직자의 직무전환 및 경력개발 프 로그램 확대, 조직의 직무몰입 및 조직문화 개선, 리더십 기반의 혁신역량 강화가 필요함을 시사하며, 학 문적으로는 텍스트마이닝 기법이 과학기술인력개발 분야 전반의 연구동향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5,100원
        7.
        2025.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반영구 화장은 미용 산업에서 독립적인 전문 분야로 성장해 앖으나, 기존 연구는 기술적 요소와 소비자 만족도에 치우쳐 제도·위생·교육 등 공공적 의제와 질적 접근 이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산업의 확대와 더불어 문신사 합법화 등 제도 환경 변화가 논의되는 현시점에서, 국내 연구 동향에 대한 체계적 검토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2005–2024년 국내 반영구 화장 관련 문헌을 대상으로 연구 주제와 방법론의 경향 을 파악하고, 학문적·산업적·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 학술 논문 및 학위논문 256편을 수집한 뒤 PRISMA 2020 지침을 준용하여 최종 152편 을 선정하였고, 질적 내용 분석을 통해 주제·방법·시기 분포를 범주화하고 교차 분석 하였다. 주제 분포는 소비자 인식·만족 31.58%, 시술 기법·기술적 특성 27.63%, 위 생·감염관리 14.47%, 정책·제도 13.16%, 교육·자격 13.16%로 나타났으며, 앞의 두 범주 합계는 59.21%였다. 특히 제도적 기반(위생·정책·교육) 묶음의 합계는 40.79% 로 확인되어, 기술·소비자 중심 연구와 더불어 구조·제도 축의 중요성도 뚜렷하게 드 러났다. 방법론 측면에서는 설문 중심의 정량 설계가 우세했으며, 질적 연구와 장기· 지역 다변화는 제한적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반영구 화장 연구가 기술 중심을 넘어 소비자 인식의 심화와 제도 기반(위생·정책·교육)의 강화를 축으로 한 혼합방법적 전 환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4,600원
        12.
        202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13.
        202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to science education by analyzing 106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papers published between 2020 and 2025. The analysis categorized the studies according to research stage, topic, methodology, educational subject, and keyword frequency. The results indicate that most research is conceptual and theoretical, focusing on understanding the role of AI and developing educational materials, with limited large-scale empirical or curriculum integration studies. Research is methodologically early stage, predominantly design-based, and exploratory, with a notable lack of studies addressing expanded applications and long-term impacts. Curriculum development is active but incomplete; while AI technology advances rapidly, it often outpaces pedagogical adaptation. Teachers and students’ readiness for AI integration has been identified as a critical gap in emerging training models. Additionally, research on Earth Science Education in the context of AI remains sparse.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more comprehensive, empirical, and application-focused research to effectively incorporate AI into science education across all disciplines.
        4,000원
        14.
        202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노인평생교육 연구가 국내의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본격적 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한 2000년도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관련 주요학 술지에 게재된 연구들의 전반적인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동향은 노인평생 교육 관련 주요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220편을 대상으로 11개 논문분석 준 거 틀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출처 및 연도별에서 노년학연구에 게재된 논문이 가장 많았고, 2016∼2020년에 가 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둘째, 학습자별에서 2016∼2020년에 가장 많았고, 셋째, 교육자별에서 2011∼2015년에 가장 많았으며, 넷째, 7진 분류체계 프로 그램별에서 인문교양교육 관련연구가 가장 많았다. 다섯째, 교육기관별은 공공 기관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여섯째, 제도·정책 및 시스템별에서 2016∼2020년에 가장 많았고, 일곱째, 국가별에서 국내와 국외 비교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여덟째, 패러다임·이념성별에서 2000∼2005년에 가장 많았고, 아홉째, 이론 및 개념별에서 2016∼2020년에 가장 많았으며, 열째, 철학 및 역 사별에서는 전체적으로 연구가 부족한 수준이었다. 열한째, 학문별에서는 2006 ∼2010년에 가장 많았고, 학문적 정체성 관련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8,300원
        15.
        202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ssive acoustic monitoring (PAM) has emerged as an effective tool for studying underwater soundscapes and monitoring marine organisms. In this study, the biological sounds of three fish species that mainly inhabit or occur in the Korean coastal oceans, brown croaker (Miichthys miiuy),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and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were recorded using the PAM method. The possibility of automatic classification was evaluated using a deep learning-bas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model based on the measured data. The biological fish sounds were recorded using hydrophones in the sea cage environments. The three fish species data were converted into spectrogram images and used as input for training and evaluating the CNN model. Gaussian noise was added to the test data to simulate low signal-to-noise ratio (SNR) environments. The model achieved high classification performance, with F1-score of about 96% on raw data and about 77% accuracy under signal-to-noise ratio condi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NN-based models be adequate for fish sound classification, even in acoustically complex underwater environments. Applying CNN models to classify and detect fish sounds can improve the automation and efficiency of PAM-based acoustic analysis, thereby improving the monitoring of fish populations, resource assessment, and ecological management in the future.
        4,000원
        16.
        202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가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R&D 사업인 소재부품 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산학연 공동연구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고, 각 참여 주체들의 역할과 관계를 규명하여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최근 5년간 (2020년~2024년) 수행된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의 공동연구 과제 565건을 대상으로 소셜 네트 워크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SNA)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의 공동연구 네트워크는 1,262개 기관과 2,048개 협력관계로 구성된 중심-주변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산학연 협력(49.4%)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전체 네트워크에서 일부 연구 기관이 지식 공급과 확산을, 기업은 주로 지식의 흡수와 통합 역할을 수행하는 구조를 보였다. 대학은 산업계와 연구계 사이에서 지식의 흐름을 중개하는 핵심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 유형별 분석 결과, 지식의 생산, 통합, 중개 역할을 담당하는 주체가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산학연 협력과 산연 협력에서는 공공 연구기관이 지식 생산 및 확산의 중심 주체로 기능하는 반면, 산학 협력에서는 대학과 대기업이 네트워크의 핵심 허브로 작용하고 있다. 산산 협력에서는 소수의 대기업 중심의 위계적 구조가 두드러졌다. 중개 역할 또한 협력 유형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 산학연과 산학 협력에서는 대학이, 산연 협력에서는 전문 연구 기관이, 산산 협력에서는 대기업이 지식 가교로서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술 분야별 분석 결과, 전기·전자(33.6%), 기계·소재(27.1%), 화학(20.9%) 분야가 주요 영역으로, 가장 활발한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통신 및 지식서비스 분야는 상대 적으로 작은 규모이지만 높은 네트워크 밀도를 보였다. 기술 분야별로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 유형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전통적 제조업 기반 분야(기계·소재, 화학, 전기·전자)에서는 공공 연구기관이, 융합연구 기반 분야(정보통신, 바이오·의료)에서는 기업이 지식 생산을 주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재부품 분야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종합 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분야별 맞춤형 협력 모델 개발, 핵심 연구기관 지원 강화, 중소기업의 네트워크 참여 활성화 등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9,300원
        17.
        202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수행된 보조기술 및 보조공학기기 관련 국내 학술연구의 구조적 특성과 연구 경향 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향후 연구 및 임상적 적용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2020년부터 2025년까지 KCI 등재 학술지에 수록된 장애아동 보조공학 관련 논문 135편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기법을 활용하였다. NetMiner 4.0 프로그램을 통해 주요 주제어 간의 연결 중심성과 응집 구조를 분석하였으 며, 중심 구조 분석에서는 연결 중심성 지수를, 응집 구조 분석에서는 커뮤니티 분석 및 Modularity 지수를 적용하였다. 결과 : 분석 결과, ‘보조기술’, ‘언어중재’, ‘연구방법’, ‘사법적 개입’, ‘지역사회’ 등의 주제어가 높은 연결 중심성을 보이며 전체 네트워크의 중심을 형성하였다. 응집 구조 분석을 통해 총 5개의 주요 주제어 군집이 도출되었으며, 각각은 통합교 육과 임상중재, 보조기기의 물리적 특성, 제도 및 환경적 요인, 가족 및 심리사회적 지원, 인지적 장애 대상자의 중재 등 다양한 실천 및 학문적 접근을 반영하고 있었다. 결론 : 국내 보조기술 관련 연구는 단순한 기기 중심의 논의에서 벗어나, 기능 회복, 사회참여, 제도적 지원, 가족 중심 접근 등으로 다층화되고 있으며, 이는 작업치료 및 재활 전문 영역에서 보조공학의 적용 가능성을 확장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향후 연구는 사용자 맞춤형 설계뿐 아니라, 환경 및 심리사회적 요소를 포함한 통합적 모델의 실증적 검증과 다학 제적 협력을 기반으로 한 정책적·임상적 연계 강화가 요구된다.
        5,100원
        18.
        202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지난 25년간 국내 경영학(국제경영, 인사조직) 분야의 주요 학술지에 게재된 국제인적자원관리 연구 를 분야와 종류, 연구 설계, 자료 수집 방법 등으로 분류하여 그동안의 연구 동향을 정리하고, 앞으로의 연구과제 를 제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4년 사이에 국내 국제경영 분야의 대표 학술지(국제경 영연구, 국제경영리뷰), 인사조직 분야의 대표 학술지(인사조직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그리고 경영학 분야 의 대표 학술지(경영학연구, 대한경영학회지)에 게재된 114편의 논문을 분석하여 그동안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 았다. 분석 결과, 국제인적자원관리 연구는 2014년 이전보다 2015년 이후에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인사관리 분야와 노사관계 분야와 비교해 조직행동 분야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념연구와 비교해 실증연구가 압도적으로 많았고, 대다수의 실증연구는 1차 자료와 횡단자료를 활용하여 개인 수준에서 다수 업종 다수기업을 대상으로 가설 검정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제인적자원 관리 연구의 향후 연구과제를 제언하였다.
        6,700원
        19.
        202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ook “Wenzi Mengqiu” (《文字蒙求》) was compiled by Wang Yun, a renowned scholar of the Qing Dynasty, to guide children in learning to recognize characters. It is a textbook for children’s Chinese character recognition with the nature of a dictionary. The main content of this book is to compile and explain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in “Shuowen Jiezi” (《説文解字》). This book not only plays a unique role in the enlightenment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 study of “Shuowen Jiezi” (《説文解字》), but also still holds significant values for our research on Chinese character teaching and application today. Based on a systematic review of the Chinese characters compilation styles of “Wenzi Mengqiu” (《文字蒙求》), this article conducts a relatively comprehensive and in-depth study on issues such as the number and types of characters compiled in this book, the coverage rate of the compiled characters in ordinary classical Chinese reading materials, 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compiled characters and the frequently used characters in modern Chinese.
        5,7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