췌담도 질환에서 내시경 초음파 유도하 경벽 배액술은 췌장주위 액체고임과 담낭, 담도, 췌관 등의 배액이 필요한 다양한 상황에서 기존의 침습적인 치료를 대체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로서 적응증을 넓혀가고 있다. 최근 내시경 초음파 유도하 경벽 배액술에 특화된 다양한 스텐트가 개발되면서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시술이 가능해졌다. 본고에서는 내시경 초음파 유도하 경벽 배액술을 위해 개발된 다양한 스텐트들의 특징과 치료 성적에 대해 고찰하였다.
초음파 내시경 검사는 내시경 선단에 달린 초음파 탐지자를 이용하여 위장관 내에서 초음파를 이용하여 주변 장기를 관찰하는 검사다. 초음파 내시경을 이용하면 췌장을 고해상도로 실시간 관찰하면서 병소에 대한 조직 검사가 가능하다. 초음파 내시경 유도하 조직 검사는 지난 20여 년간 초음파 내시경 및 세침의 발전과 해부학적 구조의 이해 및 내시경을 통한 조직 검사 술기 등의 발전으로 췌장 질환에 대한 기본적인 비수술적 조직 검사가 되었다. 본고에서는 최근에 발표된 유럽 및 국내 가이드라인에서 언급하고 있는 내시경 초음파 유도하 조직 검사의 췌장 병변에서의 활용 기준과 다양한 종류의 조직 세침의 특성에 따른 선택, rapid on site evaluation, stylet 및 음압의 사용, fanning technique 등 검사에서 고려할 사항 및 조직 검체 처리 방법, 합병증 및 교육에 대해서 간략히 기술하였다.
췌장고형종양의 초음파 내시경(endoscopic ultrasound, EUS) 유도하 조직 검사는 기술적 난이도가 높고 침습적이기 때문에 임상에서의 적절한 사용을 위해 엄격한 권고안을 필요로 한다. 이에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에서는 췌장고형종양의 초음파 내시경 유도하 조직 검사를 위한 임상진료지침을 개발하기 위해 진료지침 개발위원회를 발족하였다. 권고안의 등급과 개별 권고안의 근거 수준은 2014년 출판된 임상진료지침 개발을 위한 Minds Handbook에서 제시된 체계에 기반하여 평가하였다. 본 진료지침 개발위원회는 초음파 내시경 분야의 전문가 16인과 임상진료지침 개발방법론 전문가 1인으로 구성되었으며, 8개 분야에 걸쳐 총 12건의 근거 기반 권고안을 개발하여 췌장고형종양 진단 시 임상의들이 근거에 기반한 임상적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본 임상 진료지침은 췌장고형종양에서 초음파 내시경 유도하 조직 검사에 대해 다루고 있으며, 권고안에서는 해당 검사의 적응증, 진단 정확도를 최대화하기 위한 기술적 방법론(예: 바늘의 종류 및 직경의 적절한 선택, 충분한 바늘천자횟수, 조직 획득 기술적 방법론, 검체 처리 방법), 시술 관련 합병증, 그리고 숙련도와 교육에 관련된 문제들에 대해 다루고 있다. 본 진료지침은 외부 전문가의 검토를 거쳤으며, 원고작성 시점까지 보고된 가능한 모든 최신 근거들에 기반하여 최선의 진료 방법을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모든 임상 상황에 본 진료지침을 일괄적으로 적용할 수는 없으며, 기관의 법적/행정적 상황 및 환자의 개별 임상적 상황과 해당 자원의 가용성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추후 내시경적 기술의 발전과 이로 인한 변화, 임상에서의 최신 근거를 토대로 본 진료지침이 개정될 수 있다.
Prognosis of unresectable pancreatic cancer is poor with the rate of surviving more than 5 years is less than 10% despite multi-modalities treatment. The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suggested that all patients with metastatic pancreatic cancer should be offered information about clinical trials. Endoscopic ultrasound guided radio frequency ablation has been recently used in patients with advanced stage pancreatic cancer in a few studies. This article has reviewed information from published articles using endoscopic ultrasound guided radio frequency ablation for advanced pancreatic cancer.
부신에서 기원하는 종양 중 갈색세포종은 일반적으로 고형 병변으로 발현되지만, 드물게 낭성 병변으로 발견되는 경우도 있다 . 고혈압과 동반된 부신의 낭성병변에 대해서 갈색세포종을 감별 진단으로 포함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간과할 경우 다발성 장기 부전을 동반하는 고혈압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 수술 전후에 있어 적절한 조치가 고혈압성 위기를 예방하는 데 있어 중요하다. 저자들은 부신 낭성 부신 병변에 대한 초음파 내시경 유도하 조직 검사로 인하여 유발된 고혈압성 위기가 발생한 갈색세포종 증례를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내시경 초음파 유도 가는 바늘 생검은 췌담도 질환의 진단 영역에서 잘 알려진 안전한 시술이다. 심각한 천공, 췌장염, 출혈, 감염의 합병증은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시술 후에 발생한 지연성 출혈의 보고는 매우 드물고, 시술 후 가성 동맥류으로 인한 지연성 출혈의 보고는 저자가 알기로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저자는 췌장의 고형성 병변에 대한 내시경 초음파 가는 바늘 생검 후에 발생한 위십이지장 동맥 가성 동맥류로 인한 지연성 출혈을 보고한다. 68세 남자 환자가 췌장두부에 15 mm 가량의 종양으로 시술 10일 후에 흑색변을 주소로 재방문 하였다. 당시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였고, 2 cm 가량의 조영증강의 둥근 병변이 췌장의 두부에서 확인되었고, 조직 검사 결과는 악성을 시사하지 않았다. 환자에게 추가 검사를 위하여 입원을 권유하였으나 거부하였다. 12일 후에 환자는 반복되는 흑색변을 주소로 응급실에 재방문하였다. 혈관조 영술에서 위십이지장동맥 가성동맥류 소견 및 코일 색전술을 시행한 후 성공적으로 지혈하였다. 환자는 유문 보존 췌십이지장 절제술을 받았고, 병기는 IIB 췌장암으로 진단되었다.
배경/목적: 췌장 가성 낭종은 급성과 만성 췌장염의 흔한 합병증이다. 내시경 초음파를 통한 배액술은 여러단계와 여러장비들이 필요하다. 모든 병원에서 선형초음파내시경 기계 및 투시영상 검사실을 같이 갖추진 못하고 있다. 우리는 투시영상없이 초음파내시경을 통한 췌장가성낭종의 배액술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2009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초음파내시경을 통해서 가성낭종의 배액술을 시행한 10명의 환자를 분석하였다. 경위적 접근법을 통하여 시행하였으며, 1개 혹은 2개 의 7Fr 이중돼지꼬리 플라스틱 배액관을 사용하여 배액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기술적 성공률은 100% 이며, 임상적 성공률은 80% 였다. 2명의 환자에서는 내시경적 배액술로성공하지 못하여, 경피부배액술을 시행하였고, 수술적치료 없이 호전되었다. 3명의 환자에서는 합병증이 발생하였다(출혈, 감염, 스텐트 이탈). 평균 36.5개월을 추적관찰하였을때 가성낭종이 재발한 환자는 없었다. 결론: 투시영상없이 초음파내시경을 통한 췌장 가성낭종의 배액술은 췌장가성낭종의 치료에서 안전하고, 기술적으로 가능하며, 효과적인 방법이다.
수술 후 체액 저류는 췌십이지장절제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중요한 합병증 중 하나로 이로 인해 사망률과 재원 기간이 증가할 수도 있다. 초음파내시경 유도 하 배액은 췌장 가성낭종의 치료 방법 중 하나이며 최근에는 수술 후 발생한 체액 저류 치료에 있어서도 성공적인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다. 60세 여성이 한 달 동안 4 kg의 체중감소와 5일 전 부터 발생한 황달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복부 전산화단층 촬영 및 내시경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을 이용한 조직검사를 통하여 총담관암이 진단되어 췌십이지장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수술 2주째 발열, 복통, 백혈구 증가의 임상증상을 보였다. 진단을 위해 시행한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소낭의 위오목에 체액저류가 증가하여 내시경적 배액술을 시행하였고 이후 합병증 없이 증상이 호전되었다. 국내에서는 아직 췌십이지장절제술 후 발생한 체액 저류를 내시 경적 배액으로 치료한 증례가 보고된 바 없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췌장 가성 낭종의 종격동 침범은 매우 드문 췌장염의 합병증이다. 췌장염 환자가 비전형적인 흉통이나, 호흡곤란, 삼킴곤란 등을 호소하면 이 질환을 의심해 봐야 한다. 종격동 췌장 가성 낭종은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빠른 진단과 적절한 처치가 중요하다. 비록 현재까지 제한적으로 시행된 시술이지만, 종격동 가성 낭종에서 초음파 내시경 유도 배액술은 기술적으로도 가능하고 외과 수술보다 덜 침습 적이며 효과적인 배액술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종격동 침범 가성 낭종의 치료를 위한 다양한 내시경 배액법의 효과와 안전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고품질육의 DNA marker가 규떵된 한우로부터 초음파유노 난포란의 연속적 채취를 통하여 능력이 우수한 한우 수정란온 대량생산하는 방법의 확립과 이를 한우농가에 응용하고자 초음파 난자채취기를 이용하여 등지방층두께, 일당증체량, 근내지방도 및배최장근 단면적에 연관된 DNA marker를 보유하고 있는 한우 5두로부터 개체및 난포수, 채취방법, 회수한 난포란의 등급 등을 조사하였다. 한우 5두의 개체별 난포수는 6, 10, 5, 4 및 11회
유전적으로 우수한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나 정상적으로 번식이 불가능한 젖소 16두를 간이 난자 체취기를 이용하거나 장기공태 젖소 5두를 초음파 난자체취기를 이용하여 미성숙난자를 채취하므로서 체외수정란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채취기기의 효율성과 반복채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란우당 채취회수는 간이 난자 체취기 8.8회였고, 초음파기기는 8.8회였으며, 공란우당 평균 회수된 난포란은 각각 4.39개와 4.14개로 채취기기간에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duce calves by transfer of embryos derived from slaughter house(SHD) and ultrasound-guided ovum pick-up (OPU). At 60 hrs after injection of 400 mg FSH dissolved in 25% polyvinylpyrrolidone(PVP) by single dose, ultrasound-guided follicular oocyte aspiration was ferformed. Day-7 and day-8 blastocysts produced by in vitro maturation (IVM), fertilization (IVF) and culture(IVC) of the oocytes derived from SHD and OPU were nonsurgically transferred into recipient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The cleavage rate and the development rate to blastocysts were not significantly (P<0.05) different between the oocytes obtained by SHD (72.9% vs. 34.1%) and OPU (75.9% vs. 38.4%). The oocyte recovery rate from the number of follicles by ultrasound-guided aspiration were not significantly (P<0.05) different between Holstein (61.7%) and Hanwoo (60.1%), but the rate of oocytes useful for IVF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Hanwoo (69.3%) than Holstein (59.6%). The cleavage rate and the development rate to blastocysts was not significantly (P<0.05) different between Holstein (74.9% vs. 39.2%) and recipients on day 8 of estrus cycle resulted in 13 pregnancies (34.2%). One of them was sacrificed during gestation period due to mastitis and another was aborted spontaneous. The resulting 14 calves were morphologically normal at birth. Seventy eight fresh OPU-IVF embryos were transferred into 21 recipients on day 8 of estrus cycles, resulting in pregnancy of 12 recipients (41.4%). Two of them were sacrificed during gestation period due to mastitis and the other two were aborted. Nevertheless, the 11 OPU-calves have been born normally.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collection of bovine follicular oocytes by ultrasound-guided ovum pick-up(OPU) and slaughterhouse-derived (SHD) ovary aspiration and in vitro production of bovine embryos with the follicular oncytes in Korean native cows. Bovine follicular nocytes were observed with a 6.5 MHz convex-array ultrasound transducer designed for intravaginal use and the oocytes were collected with the aspiration equipment attached to the ultrasonograph. Bovine ovaries were collected and transported in phosphate buffered saline from the local slaughterhouse, the follicular oocytes were collected by the aspiration method. The collected follicular oocytes in good quality were matured, fertilized and cultured in the media. The total number of the visible follicles and the recovery rate of follicular oocytes were increased in ultrasonography following follicle stimulating hormone(FSH) treatment in Korean native cows. The mean recovery rate of oocytes was 66.2, 52.8 and 41.7% in the FSH-OPU, non-treatment-OPU and SHD ovaries, respectively. The mean number of recorved oocytes per cow were not significantly(P<0.05) different between the FSH-OPU(14.011.54) and SHD(17.1i6.21) groups, but the numbers in both groups were significantly(P<0.05) higher than the number in the non-treatment-OPU(3.71.57) group. The mean number of usable nocytes in Grade T /11 per ovary was 6.3, 4.8 and 1.3 in the cows of the SHD, FSH-OPU and non-treatment-OPU groups, respectively. The in vitro developmental rate to the blastocys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oocytes obtained via OPU(37.1%) and SHD(29.3%). Therefore, the ultrasound-guided OPU technique can be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excellent embryos from the high-quality cows, and for the large scale production of in vitro bovine oocytes and embryos, the SHD ovary aspiration method is valu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