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대한췌담도학회지 KCI 등재 SCOPUS Korean Journal of Pancreas and Biliary Tract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Vol.19 No.3 (2014년 9월) 8

1.
2014.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mpulla of Vater (AoV) is a small dilated duct less than 1.5 cm long, formed by the union of pancreatic duct and common bile duct. AoV has also anatomic layer of mucosa, sphincter of Oddi, perisphincteric or duodenal submucosa, and duodenal proper muscle, which corresponds to mucosa, muscularis mucosa, submucosa, and proper muscle layer of other gastrointestinal tract organs, respectively. Because of its small compact size and variation of anatomic structure, it is sometimes difficult to identify layering architecture of AoV. This anatomic difficulty may cause some problem in T classification of ampullary carcinoma (AC). The most confusing point in T classification is the vague definition of T2, “Tumor invades duodenal wall”. It seems that duodenal wall includes duodenal mucosa, submucosa, and proper muscle layer. However there is no precise description or definition about duodenal wall that might lead personal variation in T classification of AC staging. We found that clinical course of AC with perisphincteric and/or duodenal submucosal invasion is more close to AC with T2 than T1. Although it is described as T1b according to T classification scheme of ordinary gastrointestinal tract cancer, we thought AC with T1b may have more high-grade malignant potential than those of other gastrointestinal (GI) tract malignancy. AC showed various clinicopatholgic findings that represent heterogeneous tumor groups within category of AC. Recently site-specific classification of AC was introduced, and it showed relatively well-categorized clinical prognosis. It may be reasonable to understand site-specific tumorigenesis in AC. The standard gross protocol is needed to evaluate pathologic T classification of AC. In conclusion, ampullary neoplasm is composed of various subtypes, which require a separate approach according to anatomic epicenter of ampullary neoplasm. Although submucosal invasion in AC was classified into pT1b, its’ biologic behavior is more close to pT2.
3,000원
2.
2014.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umors of the major duodenal papilla, also known as ampullary tumor, are rare with an approximate 5% incidence of all gastrointestinal neoplasm. These tumors seem to be detected more frequently with increasing performance of upper endoscopic examination and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Adenoma, most common benign disease of ampullary tumor, is very important because of its potential to undergo malignant transformation to ampullary cancer. Especially, endoscopic ultrasound or transpapillary intraductal ultrasonography can provide more detailed and accurate information on the extent of ampullary tumors and proper treatment should be done after diagnosis. Considering peri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of surgical resection, endoscopic papillectomy is regarded as a curative treatment of ampullary adenoma. However, the indication of the procedure is very strict and there are various complications related to the procedur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ole of endoscopy in diagnosis and treatment of ampullary tumor. In this review, the diagnostic role of endoscopy for ampullary tumor and the treatment method of endoscopic papillectomy will be discussed.
4,000원
3.
2014.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mpulla is a common channel where biliary and pancreatic duct join. The reason why it is called ampulla is that this area is enlarged where it penetrates the duodenal wall. As it protrudes into the duodenal lumen, it is also called papilla. Ampulla is surrounded by sphincter muscles which control the secretion of bile and pancreatic juice. Ampullary tumor includes broad spectrum of benign and malignant tumors which need different treatment options - Endoscopic papillectomy (EP), surgical ampullectomy (SA), and pylorus-preserving pancreatoduodenectomy (PPPD). There is a consensus that benign tumors need EP and malignant tumors need PPPD. However, there are controversies regarding how to treat high-grade dysplasia (HGD), carcinoma in-situ, or T1 cancer. Surgical treatment includes SA and PPPD. The indication of SA is usually benign tumors which extend to bile duct or pancreatic duct or too big tumors to snare completely by endoscopy. Compared to EP, SA is less likely to leave remnant tumor which results in re-resection. In some limited cases of early carcinoma, SA can be attempted. Oncologically, however, SA is not recommended because there might be incomplete resection, lymph node metastasis, lymphovascular invasion, or perineural invasion. As PPPD still has high morbidity, prolonged length of stay, and relatively high post-op mortality, SA can be recommended in old patients with co-morbidity that can be exacerbated after surgery. Technically important points of SA are as follows; first, resecting the whole layer of duodenum, second, re-implanting the bile duct and pancreatic duct with duodenal mucosa to keep the mucosal continuity. PPPD is a standard operation of malignant tumor because it can completely remove the tumor as well as regional lymph nodes.
3,000원
4.
2014.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십이지장 벽내혈종은 70-75%는 복부 둔상에 의해 발생하며 그 외 항응고제 사용이나 혈액응고장애에 의한 자발적 출혈, 치료적 내시경 시술 후 합병증의 증례가 보고되었으나 췌장염에 의한 증례는 드물다. 75세 남자가 전복부통증, 오심, 구토로 내원하여 시행한 전산화 단층촬영과 상부 위장관 내시경에서 급성 알코올성 췌장염으로 인해 발생한 십이지장 벽내혈종이 관찰되었으며 내과적 보존 치료로 급성 췌장 염을 치료하여 벽내혈종까지 흡수되었다. 이는 급성 알코올 성 췌장염에서 십이지장 벽내혈종이 발생할 수 있으며 수술 적 치료를 시행하지 않고 내과적 보존적 치료를 초 치료로 시행해 볼 수 있는 임상경과를 보여주기에 저자들은 이를 보고한다.
4,000원
5.
2014.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췌장 가성 낭종의 종격동 침범은 매우 드문 췌장염의 합병증이다. 췌장염 환자가 비전형적인 흉통이나, 호흡곤란, 삼킴곤란 등을 호소하면 이 질환을 의심해 봐야 한다. 종격동 췌장 가성 낭종은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빠른 진단과 적절한 처치가 중요하다. 비록 현재까지 제한적으로 시행된 시술이지만, 종격동 가성 낭종에서 초음파 내시경 유도 배액술은 기술적으로도 가능하고 외과 수술보다 덜 침습 적이며 효과적인 배액술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종격동 침범 가성 낭종의 치료를 위한 다양한 내시경 배액법의 효과와 안전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4,000원
6.
2014.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췌장내 부비장에서 발생하는 유표피 낭종은 매우 드문 양성 질환으로 대부분 건강 검진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고, CEA 또는 CA 19-9 등의 혈청 종양 표지자의 상승을 동반하는 췌장의 낭성 종양과 감별이 어려운 질환이다. 저자들은 건강 검진에서 CA19-9의 상승으로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을 시행하고, 췌장 미부의 낭성 종양을 진단받은 환자에서 내시경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 및 낭종액 분석을 시행하고 점액성 낭성 종양 의심하에 수술을 시행하였으나, 최종적 으로 췌장내 부비장의 유표피 낭종으로 진단된 증례를 경험 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췌장내 부비장 유표피낭종은 다른 악성화가 가능한 췌장 낭성 종양과 감별이 어려운 질환이지만, 내시경 초음파 검사, 자기공명 영상 등의 추가 검사를 통해 췌장 미부의 부비장을 수술 전에 진단하면, 추후 불필요한 수술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7.
2014.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관 막양구조는 유병률, 병인에 대해 명확히 정립되지 않은 매우 드문 질환이다. 원인은 선천적으로 발생하기도 하며 담관결석과 동반하여 만성 염증에 의해 후천적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특징적인 임상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으나 일부 환자에서 폐쇄성 담관염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진단 또한 어려웠으나 최근 여러 담도계 검사법의 발달로 조기 발견 빈도가 높아지게 되었다. 저자들은 증상이 없이 우연히 담관 결석이 발견된 65세 남자 환자에서 역행성 담췌관조영술로 총담관 막양구조를 진단하고 풍선 확장술로 치료한 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4,000원
8.
2014.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육종은 중간엽세포에서 기원하는 드문 악성 종양이다. 중 간엽 세포는 연조직과 뼈로 분화가 가능하므로 육종은 신체 어느 부분에서든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담관 육종은 성 인에서 발생률이 극히 낮다. 폐쇄성 황달이 가장 흔한 증상 이지만 특징적인 증상이나 징후는 없다. 또한 영상학적 검사를 하여도 총담관낭이나 간농양 등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진단과 치료가 매우 어렵다. 우리는 70세 여자 환자에서 간내 담석에 동반된 간농양으로 오인하였으나 성장률이 매우 빠른 간내담관 육종으로 진단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