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1.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RGP 렌즈 착용 상태에서 렌즈후면과 각막전면에 존재하는 눈물층의 두께와 눈물의 굴절력을 측정하였다. 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명(평균연령 23.02±1.89세)이 참여하였다. 각 참여자는 각막곡률의 측정값에 따 라 피팅상태가 flat fit, alignment fit, steep fit이 되도록 3개의 다른 BC의 RGP를 피팅하였다. RGP렌즈를 착 용한 상태에서 OCT로 눈물층 두께 측정, 자동굴절계를 이용하여 눈물렌즈의 굴절력을 측정하였다. 결과 : 측정결과 베이스 커브에 따라 발생한 렌즈 후면과 각막 간의 눈물층 높이의 평균값은 플랫한 피팅 상태 에서는 6.20±1.06 μm, 정렬된 피팅상태에서는 9.10±1.55 μm, 스팁한 피팅상태에서는 12.5±1.50 μm으로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F(2, 57)=103.05, p<0.010). 피팅상태에 따라 생성된 눈물렌즈의 굴절력은 플 랫 피팅인 경우 –0.85±0.75 D, 정렬된 경우 –0.48±0.85 D, 스팁 피팅인 경우 +1.56±0.77 D로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F(2, 57)=53.71,p<0.010). 3가지 피팅에 따라서 RPG 렌즈 후면과 각막전면의 있는 눈 물 렌즈의 두께와 눈물 렌즈로 생성된 굴절력과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r=0.58로 다소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정렬된 피팅이 된 경우, 최소의 굴절력 조정이 요구되며, 반면 스팁한 피팅인 경우 더 많 은 조정이 필요하다.
        4,000원
        2.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Flat 각막에 다른 종류의 소프트렌즈를 피팅 시 덧댐굴절검사 값과 각막지형도기기 측정 시 변화 값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평균 각막 곡률은 평균 8.40±0.20 mm를 가진 20명(23.38±2.65세)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동일 도수의 렌즈(-3.00 D)를 가진 두 가지의 BC(8.5와 9.0 mm) 렌즈와 두 가지 재질(하이드로겔 렌즈 그리고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를 참여자들이 착용을 하였다. 렌즈 안정화 이후 자동굴절검사계(KR-8100)를 이용한 덧댐굴절검사 측정과 각막지형도(Oculus Keratograph 5M)의 측정을 하였으며, 변화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착용한 렌즈의 도수를 보정한 후 착용 전 굴절이상 값을 기준으로 변화량을 분석하였다. 결과 : 4종의 렌즈 간 착용 전⋅후의 자동굴절계 변화량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며(p=0.293), 각막 지형도 변화는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p<0.001). 베이스 커브와 재질별 분석에서, 자동굴절계 측정치의 차이값은 베이스 커브가 BC 9.0 mm인 0.16±0.04 D, 8.5 mm인 경우 0.19±0.04 D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며(p=0.420), 하이드로겔 재질은 0.12±0.04 D, 실리콘 하이드로겔 0.23±0.04 D의 변화를 보여서 또한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 다(p=0.064). 각막 지형도 변화 차이에서는 BC 9.0 mm은 0.36±0.01 D, BC 8.5 mm는 0.34±0.01 D로 BC 차 이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며(p=0.393), 하이드로겔 0.32±0.01 D, 실리콘 하이드로겔 0.39±0.01 D의 변화를 보여 재질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p<0.001). 결론 : Flat 각막일 때 소프트렌즈 착용 시 렌즈의 각막과 밀착 정도가 달라질 수 있어, 덧댐굴절검사 값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과도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사용된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소프트렌즈는 낮은 모듈러스로 flat 각막임에도 렌즈와 각막 간의 이격이 정상적인 형태를 보인다. 따라서 flat 각막으로 피팅 시 렌즈의 움직임으로 인한 불편함은 주의해야 할 것으로 보이나, 굴절이상 교정 효과는 정상적인 각막과 유사한 정도의 교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4,300원
        5.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1일 착용용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가파르게 처방된 정도에 따른 각막굴절력의 변화, 눈물막 파괴 시간의 변화, 안압의 변화와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대학생 24명(48안)을 대상으로 1일착용 렌즈를 8시간 착용시켜 8시간 경과 후 렌즈를 제거하고 각막굴절력, 눈물막 파괴시간 그리고 안압 측정을 시행하여 콘택트렌즈 착용전과 비교하였다. 결 과: 가파른 피팅을 함에 따라 각막굴절력은 +0.29±0.06 D 증가(t=-12.62, p<0.05)하였으며, 눈물 띠 파괴시간(TBUT)은 –1.26±2.02sec 감소(t=5.04, p<0.05)하였으며 안압은 –2.19±2.15mmHg 감소 (t=6.4, p<0.05)하였다. 가파른 피팅 정도에 따른 각막의 굴절력과의 상관관계(r=-0.98)는 강한 음의 상관 관계를 가졌으며. TBUT와의 상관관계(r=-0.26)는 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가졌으나 안압(r=-0.07)과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 결 론: 각막의 곡률반경에 비하여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곡률반경이 0.3mm 이상 가파른 피팅되어 8시 간 착용했을 때, 각막굴절력의 변화에 대한 강한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소프트 콘택트렌즈 처방 시 가파른 피 팅이 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4,000원
        6.
        201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garding therapies for treatment of corneal wounds, ex vivo corneal culture is the most effective for minimizing expensive animal studies. Eighteen porcine enucleated eyes were soaked in 0.2% povidone iodine solution for disinfection prior to cornea excision. Subsequently, corneas were excised from whole eyes and filled with an agar/medium mixture. Corneas were transferred into culture dishes, after which culture medium was added until the limbus was covered. Cultures were then placed onto a plate rocker to mimic blinking action, followed by incubation at 37°C and 5% CO2. Corneas were harvested on Days 0, 3, and 7 after incubation, a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was performed on Day 7. Two eyes from each group were fixed in 2% glutaraldehyde/4% paraformaldehyde for low-vacuu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LV-SEM), and four eyes from each group were fixed in 10% neutral-buffered formalin for histological analysis. OCT results showed that central corneal thickness significantly increased by Day 7 compared to Day 0 (P<0.05). Using LV-SEM, gaps between endothelial cells were detected on Day 7 of ex vivo culture. In the histological evaluation, four to five stratified squamous cell layers, wing cells, and basal cells in the epithelium as well as flat-shaped keratocytes in the stroma were found on Day 0. By Day 7, stratified squamous cells and basal cells had decreased in number, and slightly round-shaped keratocytes were observed; however, the number of keratocytes was similar to that on Day 0. In this short-term ex vivo culture, epithelium and endothelium were sensitive to culture, whereas stroma and keratocytes were well maintained. An additional deswelling method will be needed to obtain more successful results in porcine corneal ex vivo culture.
        4,000원
        7.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근시성 각막굴절교정 수술안에서 각막 중심부 및 주변부의 비구면도를 정시안과 비교하고 수술전 등가구면굴절력과의 상관성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 근시성 각막굴절교정수술을 받고 정시상태가 된 135안(평균 23.49±2.5세, 범위 20~29세)과 정시 안 40안(평균 22.50±1.7세, 범위 20~25세)을 대상으로 Pentacam (Oculus Inc., Germany) 각막형태 검사 기기를 사용하여 각막 6 mm, 7 mm, 8 mm, 9 mm, 10 mm 영역의 비구면계수 Q값을 측정하였고, 수술안은 수술 전 등가구면굴절력이 -6.00 D 미만은 수술안 그룹 1(평균 -4.41±1.09 D, 범위 -1.25~-5.58 D)과 -6.00 D 이상은 수술안 그룹 2(평균 -7.12±0.95 D, 범위 -6.00~-9.00 D)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정시안의 비구면계수 Q값은 모든 각막 영역에서 negative 값으로 영역에 따라 -0.34±0.12(6 mm 영역)에서 -0.52±0.09(10 mm 영역)로 주변부 영역으로 갈수록 negative 값은 더 커졌고, 수직경선이 수평 경선보다 더 큰 negative 값을 보였다. 그러나, 근시성 각막굴절교정 수술안의 비구면계수 Q값은 모든 각막 영역에서 positive 값으로 영역에 따라 0.84±0.43(6 mm 영역)에서 0.09±0.30(10 mm 영역)으로 주변부로 갈수록 positive 값이 감소하였으며, 각막의 8 mm 영역까지는 수직경선이 수평경선보다 positive 값이 더 컸지만, 9 mm와 10 mm 영역에서는 수평경선이 수직경선보다 positive 값이 더 크게 나타났다. 비구면계수 Q값은 각막의 6 mm, 7 mm, 8 mm 영역에서 수술 전 등가구면굴절력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각각, R=-0.725, R=-0.744, R=-0.713, p=0.000). 결 론: 근시성 굴절교정 수술안의 각막형상은 prolate 형태에서 oblate 형태로 변화되며 비구면계수 Q값 은 negative 값에서 positive 값으로 변하고, 각막의 경선에 따른 비구면 계수도 정시안과 다른 양상을 보였 다. 이와 같은 각막형상의 변화는 안광학적 시기능 변화의 예측과 근시성 각막굴절교정 수술안을 위한 시력 교정용 콘택트렌즈 설계 및 피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8.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20~71세 성인을 연령에 따라 5군으로 분류하여 연령에 따른 한국인의 고위수차 변화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 법: 본 연구의취지에 동의한 사람가운데 전신질환이나 안질환이 없으며, 굴절이상 수술을 포함하여 안과 관련 수술병력이 없는 성인 290안을 대상으로 Pentacam을 사용하여 동공직경 5mm 범위에서의 총고위수차(HOA), 총구면수차(TSA), 총코마수차(TCA), 총트레포일수차(TTA)를 측정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군의 전면 HOA의 Root-mean square(RMS)에 대한 평균값은 0.094±0.021㎛, 후면 HOA의 RMS에 대한 평균값은 0.022±0.004㎛ 이고, 전체 HOA의 RMS에 대한 평균값은 0.080±0.022㎛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HOA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면수차는 연령과 유의한 상관관계(r=0.335, p < 0.0001)를 보였지만, 후면과는 유의한 상관관계(r=0.096, p=0.102)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대상군의 전면 TSA의 RMS에 대한 평균값은 0.279±0.057㎛, 후면 TSA의 RMS에 대한 평균값은 0.057±0.017㎛ 이고, 전체 TSA의 RMS에 대한 평균값은 0.223±0.056㎛ 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TSA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면수차는 연령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0.240, p < 0.0001)를 보였지만, 후면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0.358, p < 0.0001)를 보였다. 전체 대상군의 전면 TCA의 RMS에 대한 평균값은 0.089±0.046㎛, 후면 TCA의 RMS에 대한 평균값은 0.024±0.012㎛ 이고, 전체 TCA의 RMS에 대한 평균값은 0.081±0.045㎛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TCA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면수차는 연령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0.118, p=0.04)를 보였고, 후면 또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0.311, p < 0.0001)가 나타났다. 전체 대상군의 전면 TTA의 RMS에 대한 평균값은 0.042±0.035㎛, 후면 TTA의RMS에 대한 평균값은0.012±0.008㎛ 이고, 전체TTA의RMS에 대한평균값은0.041±0.032㎛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TTA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면수차는 연령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0.250, p < 0.0001)를 보였고, 후면 또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0.149, p=0.011)가 나타났다. 결론: 한국인의 각막 고위수차 분석을 통하여 한국인 눈의 광학적 부분의 더 나은 이해를 제시하였으며, 현대인의 시력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9.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effect on corneal swelling and curvature changes in the region of center and peripheral under wearing of therapeutic lenses on a daily and extended wear basis is analyzed. Methods : Thirty three college students(22.4±1.92 years old. 12 males and 21 femaJes) who consent to this clinical triaJ and have no ocuJar surgicaJ history and contact Jens complications were participated in clinical trial. Six therapeutic Jenses which are being prescribed most commonly in the clinic were fitted on the r ight eye(wear group) and no Jens fitted on the Jeft eye(control group). Each eye was examined after 8hours and 24 hours to compare cornea thickness and curvature changes. ln order to fit another Jens in turn. 48 hours interval at the !east was required and no other lenses were not allowed during trial Jens wear. Results : Comeal swelling induced by therapeutic soft contact Jens wea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8 hours(F=33.00. p=O.OO) and in 24 hours(F=38.83. p=O.OO). The degree of swelling in 8 hours of Jens wear was : A Jens(HENIA+ NV. WC : 38%. Dk/t : 7.86) 3.57±2.22%. D Jens(HEMA, WC : 55%. Dkft: 15.68) 3.18±2.05%. F Jens(HEMA+NVP, WC: 55%, Dk/t: 15.92) 2.79±1.61%. C Jens(Vifilcon A. WC: 55%, Dk/t : 23.88) 1.54±1.66%. B Jens(Ocufilcon D. WC: 55%. Dk/t : 26.85) -0.59±2.13%, E Jens(Lotrafilcon A. WC : 24%, Dk/t : 160.92) -0.70±1.53% in that order. The degree of swelling in 24 hours was : A Jens 8.50±3.71. D Jens 8.16±3.58%. F Jens 6.68±3.66%, C Jens 4.31±2.11%. B Jens 2.86±2.84%. E lens -0.03±1.97% respectiveJy. The order in 8 hours was ass that in 24 hours. Conclusions : Therefore. B Jens, C lens, E Jens are found to be more suitabJe for therapeutic Jens in this study. In case of A Jens, D Jens, F Jens which caused significant swelling, in order to confirm if those lenses are suitable for therapeutic Jens, further study on deswelling during day time after extended Jens wear is needed.
        4,800원
        10.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각막 굴절교정수술 전후 각막미란 및 안구건조증에 대한 변화양상을 비교하기 위해 정량적 검사지표와 Diagnostic corneal surface digital photography를 이용한 Oxford corneal stain grading scheme을 사용하여 이들 검사지표의 변화와 유용성을 분석하고, LASIK 과 LASEK 시술군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굴절교정수술을 위해 내원한 환자 134명 (267안)을 대상으로 한 명의 술자가 LASIK(110안)과 LASEK(157안)을 시행하였고, 수술 방법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술 전과 술 후 7일, 1개월, 3개월 및 6개월에 각각 Tear break-up time(TBUT), Fluorescein stained corneal surface digital photography를 시행하였고, 또한 술 전과 술 후 1개월 3개월에 Schirmer test를 시행하여, 술 후 각막미란 및 안구건조증 검사지표의 변화양상을 관찰하였다. Digital photography 에서 Corneal staining은 Oxford scheme을 이용하여 하였다. 안구건조증에 대한 정량적 검사 지표는 두 군 모두 수술 초기에 건조증이 심하였다가 시간이 경과할수록 회복되는 양상을 보였다. TBUT와 Schirmer test는 추적 관찰기간 내내 술전 보다 낮았고(p
        5,500원
        11.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상 성인의 망막 신경섬유층을 측정하여 연령에 따른 망막 신경섬유층의 감소와 성별 망막 신경섬유층(Retina Nerve Fibre Layer) 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2004년 5월에서 10월까지 서울00 병원 외래 내원환자 중 136안을 대상으로 Optical Coherence Tomography(Stratus Model 3000, Carl Zeiss. Meditec inc. Dublin. CA U.S.A. Software Version 3.0) 와 Variable Cornea Compensation(Laser Diagnostic Technologies. inc, San Diego. CA. U.S,A. Software Verision 5.5.4)을 시 행하였다. ANOVA 분석을 통한 정상 성인의 연령에 따른 망막 신경섬유층의 변화는 VCC 측정 값에 서 TSNIT SD, Superior ratio, Superior씨asal , Maximum modulation, Ellip modulation, Ellip SD 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Superior, Inferior average는 연령 증가에 따라 RNFL 의 값이 1-2μm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성이 없었다 OCT 측정 값은 Superior Maximum/Nasal A verage, Maximum!Minímum, Superior Maxímum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Superior A verageQ} Inferior Average는 RNFL 의 값이 평균 3-4μm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유의성이 없었다. VCC와 OCT 측정값 모두 성별에 따른 RNFL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 VCC 와 OCT 측 정 값에 서 Superior A verage, Inferior A verage 빛 Thickness Average는 낮은 상관성을 보였다. VCC와 OCT로 측정한 정상 성인의 연령증가에 따른 RNFL 변화도 및 두 기기의 상관성을 명확하게 입증하기 위해서는 후속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4,200원
        12.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원추각막은 비염증성 질환으로 각막중심부가 앓아지고 앞으로 돌출하여 고도의 큰 사와 부정난시가 유발되는 질환이다. 원추각막 환자에게 콘택트렌즈를 피탱하는 것은 곤본적으로 RGP 콘택트렌즈를 피탱하는 것과 동일하며, 잘못된 렌즈 피탱으로 각막 상처가 유발되어 원추각막의 진행이 더 가속화되는 경우도 있게 되므로 좋은 착용감, 좋은 시력, 각막의 건강이 잘 유지되는 피팅법이 종요하다. 원추각막 환자의 각막형 상은 형태도 다양하며 병이 진행됨에 따라 각막형상을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전문 가들도 원추각막 환자의 콘택트렌즈 피탱을 어려워 하지만 이것은 도전해 볼반한 일 염에 틀림없고 콘택트렌즈 전문가의 궁극적인 목적이 될 것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원추각막의 진행정도가 다른 4명의 환자를 중심으로 유두형 원추 환자에는 4개의 커브를 갖는 three-point touch 디자인의 렌즈를, 난원형 원추환자에 는 비구면렌즈와 piggy-back design 의 렌즈를, 구형 원추환자에는 4개의 커브를 갖 는 apical clearance 디자인의 렌즈를 적용하여 성공적으로 콘택트렌즈를 피팅한 임상 증례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