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6

        1.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ashion stress is a pertinent aspect of modern consumer culture that has been underexplored in academic research. This study developed a conceptual framework of fashion stress and a multidimensional scale to measure consumers’ fashion stress. The qualitative study included literature reviews on consumption stress, shopping stress, and consumer behavior, as well as focus group interviews to gain insight into various dimensions of fashion stress. NVivo 12.0 was used to analyze the qualitative data and identify core categories follow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The quantitative study involved a preliminary and a primary surveys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fashion stress scale. A total of 22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fashion stress consists of eight factors: care, shopping, fit, brand, financial, closet, style, and disposal. Choice difficulty plays a significant role in all factors of fashion stress. Moreover, shopping stress had a negative impact on impulse buying, while other factors such as fit, brand, closet, and disposal stress had a positive impact on impulse buying. Thus, fashion stress is a potential antecedent of impulsive consumer behavior. The results also confirm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The fashion stress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offers researchers a valuable tool for assessing and understanding consumer experiences.
        5,200원
        2.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리더들이 효과적으로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리더십 코칭의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리더십코칭의 기본 개념과 척도의 구성요인 및 예비문항의 구성은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실시하였으며 KPC 이상의 인증자 격을 갖추고 활동하는 전문 코치와 리더 역할을 수행하는 22인을 대상으로 초점 집단면담(FGI)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구성된 예비문항으로 조직의 리더, 코 칭학과 교수, 코칭 전문가 5인에게 1차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여 6개 영역, 150문 항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2차 내용 타당도 검증을 통해 6개 구성요인 98개 최종 문항을 도출하였고, 리더 257명의 설문 자료를 활용하여 구성요인의 개념 타당 성을 검증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모형적합도 및 집중타당성과 판별 타당성이 확인되었고, 리더십코 칭 척도의 구성요인은 윤리실천(6문항), 성찰 마인드(5문항), 피드백(5문항), 관 계형성(6문항), 의사소통(4문항), 목표달성(7문항)으로 6개 구성요인과 33문항으 로 구성되었다. 이를 통해 리더십코칭 척도를 확정하였다.
        5,700원
        3.
        2023.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ncerning the apprehensions about naturally occurring radioactive materials (NORM) residues, the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IAEA) and its member nations have acknowledged the imperative to ensure the radiation safety of NORM industries. Residues with elevated radioactivity concentrations are predominantly produced during NORM processing, in the form of scale and sludge, referred to as technically enhanced NORM (TENORM). Substantial quantities of TENORM residues have been released externally due to the dismantling of NORM processing factories. These residues become concentrated and fixed in scale inside scrap pipes. To assess the radioactivity of scales in pipes of various shapes, a Monte Carlo simulation was employed to determine dose rates corresponding to the action level in TENORM regulations for different pipe diameters and thicknesses. Onsite gamma spectrometry was conducted on a scrap iron pipe from the titanium dioxide manufacturing factory. The measured dose rate on the pipe enabled the estimation of NORM concentration in the pipe scale onsite. The derived action level in dose rate can be applied in the NORM regulation procedure for on-site judgments.
        4,000원
        4.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a tidal power conversion system (PCS) using seawater level differences was presented.. To verify the presented PCS, an actual lab-scale tidal power generation system was constructed. The operation of the lab-scale PCS was first modeled mathematically and was analyzed through dynamic simulation and experimental tests.
        4,000원
        6.
        2023.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자녀와의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부모의 피드백 특성을 에니어그 램 성격유형에 기반하여 살펴보고, 부모 스스로 자신의 피드백 특성을 파악하 고, 바람직한 피드백을 실행할 수 있도록 돕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 및 워크숍을 실시하여 에니어그램 성격유형별 부모의 피 드백 특성을 추출하고, 전문가 내용타당도 및 문항 분석을 통해 최종 107문항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문항의 신뢰도는 문항 내적 합치도를 통해 산출하였으며, 전체 Cronbach ɑ 계수는 .93, 각 유형별 .56∼.84로 나타났다. 또한, 개발된 척도 의 타당화는 비전에니어그램 성인용 척도(VETI-A)와의 공인타당도를 실행하 였으며, 집단별 교차타당도를 실행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기반한 부모의 피드백 척도는 부 모와 자녀의 상호작용에 있어 부모 자신의 피드백 특성을 파악하고,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함으로써 긍정적이고 발전적인 피드백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실질적 인 도구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6,100원
        7.
        2023.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리더십코칭 척도 개발을 목적으로 유아교육 기관 원장의 리더십코칭 구성요인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척도문항을 개발 하는데 목적이 있다.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리더십코칭 척도의 구성요인과 예비문항을 구성하기 위 해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보육, 유아교육, 코칭 전문가를 초점 집단면담(FGI)을 진행하여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리더십코칭의 개념을 정의하 고 구성요인을 도출하여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예비문항으로 보육, 유아교육, 코칭 전문가 10인에게 1차 내용타당도 를 검증하여 7개 영역, 164문항을 구성한 후, 보육, 유아교육, 코칭 전문가 5인에 의한 2차 타당도 검증을 통해 최종 100문항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100문항의 척 도 요인 및 문항 구성을 확인하기 위해 서울, 경기, 충청, 경상, 전라 및 그 외 지역 유아교육기관 원장 202명의 자료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해 7개 요인의 46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문항으로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여 모형적합도를 살펴보았으며,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을 확보 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리더십코칭 척도의 구성요인은 마인드, 윤리 적 실천, 모델링, 방향제시, 관계, 계획과 실행, 피드백 7개요인, 46문항으로 유아 교육기관 원장의 리더십코칭 척도를 확정하였다.
        6,000원
        8.
        2023.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onsumers sometimes see brands as relationship partners and expect that they conform to certain expectations, or relational norms. However, there is no valid and universal operationalization of these norms for the specific context of consumer-brand relationships. We address this gap by developing and validating a new scale in four studies.
        9.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코치가 자기효능감을 보다 신뢰롭게 측정하여 자신의 자기효능감 을 객관적으로 인식하도록 돕고, 향후 자기효능감에 기반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 발 및 관련 연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코치의 자기효능감 척도를 개 발하였다. 이를 위해 첫 번째, 코치의 자기효능감 척도개발은 1차 예비문항 선정, 2차 척도 개발 과정, 3차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과정을 거쳐 진행하였으며, 정 서적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자기효능감,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의 3가지 구성요 인, 최종 25개 문항이 선별되었다. 두 번째, 코치의 자기효능감 척도의 Cronbach’s α 계수와 모형적합도 지수를 통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개발된 3가지 코치의 자기효능감 구성요인은 자기효능감과 코 칭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는 중요한 요인으로서, 코치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검증을 위한 자기평가 도구로서 코치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 는데 의의가 있다.
        6,000원
        10.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코칭을 성과 중심적 관점과 존재 중심적 관점으로 바라보는 두 입장을 통합하여 단일한 기준으로 코칭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첫 번째 연구는 코칭효과성 척도 개발 연구로 진행되었다. 코칭효과성 구성요인 및 예비문항 추출을 위해 문헌 검토와 코칭 전문가들의 개방형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113개의 코칭 효과 문항을 선별하였다. 그리고 토마스 레너드가 제시한 코칭 결과물 30가지를 7가지 요인으로 구분하여 4인의 전문가가 문항에 대한 적합성과 타당도를 확인하여 총 59개의 설문 문항을 선정하였다. 이를 전문코치 102명에게 설문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1, 2차에 걸쳐 실시한 결과, 성과향상 9문항, 자기통찰 9문항, 목적의식 6문항으로 구성된 24개 문항이 개발되었다. 두 번째 연구는 코칭효과성 척도의 타당화 연구로 진행되었다. 코칭을 받은 경험이 있는 고객 211명을 대상으로 24개 문항의 설문을 시행하고 이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CFI, TLI 그리고 RMSEA 지수를 통해 모형 적합성에 대한 타당도를 확인하였고, 판별타당도 검증을 위해 일반적 자기 효능감, 삶의 의미, 자아존중감 척도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개발된 코칭 효과성 척도는 다양한 코칭 분야에서 단일한 기준으로 코칭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유용한 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결론으로 본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5,800원
        11.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델파이 기법을 사용하여 지역사회 임상에서 치매환자의 중증도를 파악하기 위한 포괄적인 인지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항목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지역사회 치매환자의 중증도 파악을 위한 예비문항 구성과 치매 전문가 패널 21명을 대상으로 3회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문항 구성은 문헌고찰을 통한 항목을 수집하였다. 1차 조사에서는 수집된 항목에 대한 폐쇄형과 개방형 문항으로 전문가 패널들의 의견을 수집하였다. 2차, 3차 조사에서는 항목에 대한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Ratio; CVR)를 조사하고, 최종 항목은 CVR, 수렴 도, 합의도 기준을 모두 만족하는 항목을 선정하여 도출하였다. 결과 : 문헌고찰을 통해 지역사회 임상에서 치매환자의 임상적인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예비 평가항목의 하위영역 5개, 문항 59개를 도출하였다. 1차 델파이 결과에서 3개 항목 삭제, 16개 항목이 추가되어 68 개 항목이 선정되었다. 2차 델파이 결과에서는 내용타당도 비율 .42 미만인 항목 3개가 있었으나 문헌 고찰과 연구자 간의 합의를 통해 3차 델파이 조사에 포함시켰다. 3차 델파이 결과, 수렴도 .50 이상과 합의도 .75 미만인 항목 9개를 삭제하여 총 59개 항목을 선정하였다. 최종 델파이 결과, 각 항목에 대한 내용타당도는 .89, 안정도는 .12, 수렴도는 .43, 합의도는 .81로 높게 분석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작업치료사가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치매환자의 중증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임상적인 치매 기능평가를 할 수 있는 항목들을 개발하고 평가항목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지역 사회 작업치료 종사자가 치매환자의 치매 기능을 임상적으로 파악하고 중증도에 따라 적절한 중재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4,800원
        12.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초등교사가 스스로 자신의 코칭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인하고, 개발된 척도를 활용하여 교사 스스로자신이 갖춘 교사역량의 강점을 이해하고 개발해 나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된 연구이다. 초등교사의 코칭역량 척도 예비요인 및 예비문항을 추출하기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초등교육․코칭을 전공한 전문가 10인의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하여 초등교사의 코칭역량의 개념을 정의하고 구성요인을 도출하여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코치자격증을 가진 초등교사로 구성된 전문가의 내용타당도를 2회 실시하여 내용의 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133문항의 2차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예비문항으로 초등교사 245명의 예비설문 과정을 통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코칭마인드셋 역량, 자기이해 역량, 관계형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성장촉진 역량의 5가지 구성요인과 42개 문항을 추출하였으며, 초등교사 530명의 본조사 설문 과정을 통해 초등교사 코칭역량 42개 문항에 대한 요인분석과 신뢰도를 검증하여 타당성이 결여되는 문항 8개를 추가적으로 제거하고 최종 34개 문항을 확정하였다. 연구결과 추출된 최종 문항은 코칭마인드셋 역량 6문항, 자기이해 역량 7문항, 관계형성 역량 5문항, 의사소통 역량 7문항, 성장촉진 역량 9문항으로 총 5가지 역량과 34개 문항이다.
        6,900원
        14.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기 부모의 코칭역량 척도를 개발하고 개발된 척도를 바탕으로 타당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아동기 부모의 코칭역량 척도에 대한 구성요인과 예비문항을 구성하기 위해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초등학생을 자녀로 둔 학부모를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FGI)를 진행하여 아동기 부모의 코칭역량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였고, 이어 구성요인을 도출하여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예비문항으로 아동기 부모 5인, 아동기 자녀를 둔 코칭 전문가 5인에 게 1차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하여 7개 영역, 90문항을 구성한 후, 관련학과 교수 (코칭학과 교수 2인, 아동학과 교수 2인)와 부모교육전문가 1인을 포함한 총 5인에 의한 2차 타당도 검증으로 최종 88문항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예비척도 88문항의 척도 요인 및 문항 구성을 확인하기 위해 서울, 경기, 충청, 경상 및 전라 지역 291명의 자료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7개 요인의 35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모형 적합도를 살펴보았으며, 이어서 집중타당성 및 판별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연구결과 아동기 부모의 코칭역량 척도의 구성요인은 부모인식, 부모기술, 부모태도의 3개 영역과 자기이해역량, 자녀이해역량, 자기성장역량, 관계형성역량, 의사소통역량, 성장촉진역량, 목표수립 및 실행역량의 7개요인, 35문항으로 아동기 부모의 코칭역량 척도를 확정하였다.
        6,400원
        15.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업의 중간관리자의 코칭역량 척도 개발을 목적으로 중간관리자의 코칭역량 구성요인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척도문항을 개발하는데 목적 이 있다. 척도의 구성요인과 예비문항을 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코칭관련학과 교수 2인과 코칭전문가 3인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 (FGI)을 진행하여 중간관리자의 코칭역량의 개념 정의와 구성요인을 도출하여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예비문항으로 중간관리자 5인, 코칭 전문가 5인에게 1차 내용타당도를 검증 하여 9개 영역, 138문항을 구성한 후, 코칭 관련학과 교수 2인과 코칭전문가 3인 에 의한 2차 타당도 검증을 통해 최종 113문항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예비척도 113문항의 척도 요인 및 문항 구성을 확인하기 위해 서울을 비롯한 전국 7개 도시 300명의 자료로 요인분석 실시 후,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9개 요인의 40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문항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모형적합도를 살펴보았으며,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연구결과 중간관리자의 코칭역량 척도의 구성요인은 목표달성, 커뮤니케이션, 대인관계, 자기주도의 4개 영역과 목표정하기, 목표달성, 경청, 질문, 피드백, 상호존중 및 신뢰, 지지 및 지원, 자기 효능감 및 성장/미래지향성의 9개요인과 40문항으로 중간관리자의 코칭역량 척도를 확정하였다.
        6,100원
        16.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utomotive industry ha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metallic materials with high specific strength, which can meet both fuel economy and safety goals. Here, a new class of ultrafine-grained high-Mn steels containing nano-scale oxides is developed using powder metallurgy. First, high-energy mechanical milling is performed to dissolve alloying elements in Fe and reduce the grain size to the nanometer regime. Second, the ball-milled powder is consolidated using spark plasma sintering. During spark plasma sintering, nanoscale manganese oxides are generated in Fe-15Mn steels, while other nanoscale oxides (e.g., aluminum, silicon, titanium) are produced in Fe-15Mn-3Al-3Si and Fe-15Mn-3Ti steels. Finally, the phases and resulting hardness of a variety of high-Mn steels are compared. As a result, the sintered pallets exhibit superior hardness when elements with higher oxygen affinity are added; these elements attract oxygen from Mn and form nanoscale oxides that can greatly improve the strength of high-Mn steels.
        4,000원
        17.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아동의 코칭역량 척도 개발을 목적으로 아동의 코칭역량의 구성요인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척도문항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동의 코칭역량 척도의 구성요인과 예비문항을 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초등 4-6학년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FGI)을 진행하여 아동의 코칭역량의 개념을 정의하고 구성요인을 도출하여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예비문항으로 전문가의 2차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고, 전문가의 합의된 의견에 따라 구성요인의 개념을 수정하였 다. 델파이 조사를 통해 최종 정리된 예비척도 60문항의 척도 요인 및 문항 구성을 확인하기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 169명의 자료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 아동의 코칭역량 척도의 구성요인은 자기관리, 공감과 지지, 경청과 소통, 긍정적 관계, 4개요인 20문항으로 추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아동의 코칭역량 척도는 아동의 코칭교육 결과의 객관적 자료를 수집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아동의 코칭역량 연구와 아동의 코칭역량 척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5,400원
        18.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코칭역량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 정리, 분석하여 코칭역량 구성요인을 살펴 보고 이를 측정할 척도문항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코칭역량 선행연구 분석 및 초점집단면담(FGI)을 진행하여 코칭역량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105문항을 제작하였다. 코칭전문가에게 2차례에 걸친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예비문항 95문항을 도출하고 일반인 120명을 대상으로 예비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척도 정교화를 진행하여 최종 66개의 문항을 도출하였다. 최종 문항으로 일반인 207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고, 기술적 통계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7개의 하위요인에 34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문항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모형적합도를 살펴보았으며, 수렴 타당성과 판별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연구결과 자율성, 낙관주의, 희망, 관계성, 질문, 경청, 피드백 역량으로 명명한 최종 7개 요인 34개 문항의 코칭역량 척도를 확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코칭역량 척도는 전문 코치 양성이나 코칭프로그램의 효과성 측정에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6,000원
        19.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dentifying the selection criteria of wedding planners, who are the main human resource that contribute to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of a wedding’s preparation, can produce important data for the wedding industry as it faces a transition period. To develop a scale for wedding planner selection criteria, preliminary items were prepared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an experienced wedding planner group and a comprehensive review of previous studies, such as studies on selection criteria in the wedding industry and service work similar to wedding planners and wedding planner selection criteria. The preliminary items were tested for content validity using a focus group interview, comprising people in the wedding industry, and were refined accordingly. Then, the definitive quantitative questionnaire items were developed after conducting a preliminary survey. The main survey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responses of 295 consumers taking an Internet questionnai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adopted to develop the scale, which was tested for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This study is academically significant in that it developed a selection criteria scale tailored to wedding planners to address an area that has not been covered in previous studies. It is recommended that future studies conduct empirical analyses using the selection criteria developed in this study to compare influential variables that could affect behavior intention.
        4,500원
        20.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주역으로 삶을 살게 될 청소년의 코칭역량 척도개발을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역량, 청소년 역량, 코칭역량 관련 문헌 및 기존 코칭역량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고 초점집단면담(FGI)을 진행하여, 청소년의 코칭역량의 개념을 정의하여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예비문항 93문항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예비문항으로 코칭 전문가 10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여 도출된 79문항을 중,고 등학생 98명에게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71문항을 도출하였다. 최종 정리된 예비문항으로 경기도·강원도·경상도·충청도 지역의 중·고등학생 청소년 278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데이터로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계수를 구하여 청소년의 코칭역량 척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7개 요인의 33개 문항이 추출되었으며, 추출된 문항의 내적 합치도는 .934로 나타났다. 그 결과 청소년의 코칭역량 척도로 자기이해역량, 긍정정서역량, 경청역량, 강력질문역 량, 목표실행역량, 동기촉진역량으로 명명한 최종 7개요인 33개 문항을 확정하였다.
        5,5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