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

        1.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카메라 어레이와 사진측량(photogrammetry)을 이용한 3차원 스캐닝 기술은 인체 전신을 게임이나 시각효과 (VFX), 가상인간 등의 다양한 컴퓨터 그래픽스 응용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메타버스 분야에 대한 구축이 활발해 지고 있는 추세여서 실제 인물에 대한 전신 스캔을 보다 저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시 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가의 DSLR 카메라를 이용한 시스템보다 1/10정도의 가격으로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작하는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인체 전신에 대해 동시촬영의 오차가 적은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최근의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은 보다 사실적인 캐릭터를 보다 효 율적으로 생성하고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최근 다양한 연구와 개발 이 이루어지고 있는 메타버스의 캐릭터 구축이나 게임의 캐릭터의 모델링에 활용할 수 있는 장비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이러한 시스템을 좀 더 저비용으로 구축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이나 개발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최신의 실시간 렌더링 시스템의 추세와 삼각측량 관련 연구와 기술의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4,000원
        2.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복분자에서 분리된 Lactobacillus plantarum stain (GBL16 및 17)을 포함한 probiotic에 대해 수행되었으며, 장내 미생물 변화를 확인하였다. Balb/c 마우스모델에서 GBL 16, 17을 포함한 시제품인 PMC와 시판중인 유산균 과자 BFY를 8주간 경구 투여 하였다. PMC의 투여는 장내 미생물총의 균형을 향상시키고, 장내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맹장을 이용한 NGS 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 스트레스 후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는 균인 Lachnospiraceae균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Alistipes균의 증가는 염증성 장 질환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나, 추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3.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구조물의 상태를 조기에 파악하기 위한 구조물 건전도 모니터링 연구와 건물의 정보를 수집하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해 주는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모니터링 시스템 연구가 건설, 센싱, ICT 기술이 융합된 첨단 기술임에도 불구하고 고가의 센서와 전문적인 기술력이 요구되어 적용 범위가 제한된다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싱글보드컴퓨터 중 가장 널리 쓰이는 라즈베리파이와 저전력으로 장거리의 통신이 가능한 로라 모듈, 고성능의 보급형 가속도계를 활용하여 장기간으로 건물의 모니터링이 가능한 무선 엣지 컴퓨팅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또한 라즈베리파이에 분산처리 알고리즘을 탑재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취득되는 방대한 양의 가속도 데이터 중 의미있는 데이터만을 취득하였으며 와이파이 통신으로 취득한 전체의 로우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본 시스템으로부터 취득된 데이터의 정밀성을 검증하였다.
        4,000원
        4.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음료나 술의 원료로 이용한 뒤 버려지는 고창산 복분자 부산물을 활용한 흑돈(K-berkshire) 단미사료화 소재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복분자 부산물의 사료화를 위해 복분자 원물 및 부산물(즙박 및 주정박)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총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안토시아닌의 함량과 더불어 ABTS와 항균능을 확인하였다. 각 부산물에 대한 일반성분과 함께 섬유질 함량과 칼로리를 분석하였고, 또한 무기질 및 유해독소(mycotoxin)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부산물 추출물 내 아미노산 조성과 더불어 품질 표준화 를 위한 지표물질(ellagic acid), 수분활성도(aW)와 pH를 측정하였으며, 이후, 복분자즙 부산물을 총 6 주간 급이한 K-berkshire의 소장 내 미생물(총균, 대장균군, 대장균, 유산균)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복분자 원물과 비교했을 때 복분자 부산물에서 총폴리페놀을 포함하여 플라보노이드와 안토시아 닌의 함량이 높았으며, 항산화와 더불어 항균성에서도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복분자즙과 복분자주 부산물은 사료적 특성에서 큰 차이가 없었으며, 또한 aflatoxin과 ochratoxin 같은 곰팡이 독소는 허용 기준 이하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복분자즙 부산물의 경우에는 수분활성도(aW)와 pH 변화의 폭이 적었 다. 따라서, 복분자즙 부산물 0.5%를 사료에 첨가하여 K-berkshire에 급이 하였을 때 흑돈 소장 내 유 해균의 수는 감소하였고, 유익균의 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복분자 부산물은 원물과 비교했 을 때 다량의 항산화 성분을 비롯하여 미네랄과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어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로 인해 K-berkshire에 복분자 부산물을 사료 첨가제로 급이 했을 때 소장 내 유해 세균의 감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복분자 부산물은 K-berkshire에 영양학적으로도 가 치가 있으면서도 장내 미생물 군 조절에 탁월한 사료 첨가제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500원
        6.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lack raspberry (Rubus coreanus Miquel) contains anthocyanin, tannins, gallotannin, gallic acid, ferulic acid and phenolics. It brightens the eyes and protects the liver and kidneys. It was effective for anti-aging.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form the excellence of black raspberry and to screen antioxidant activity to ensure the possibility as a functional material. In this study, bioactive compounds in black raspberry were determined. Additionally, black raspberry was extracted by CM (chloroform:methanol, 2:1, v/v), 70% methanol and 70% ethanol, and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in vitro methods.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measured to compare each different solvents. In additio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reducing power were determined to measure the antioxidant activity. The results were the highest in 70% ethanol extracts, and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antioxidant capacity. When observ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y,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 raspberry was supposed to affect by the anthocyanin,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4,000원
        7.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d raspberry (Rubus crataegifolius) is a well-known fruit with excellent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bacterial and anti-cancer resources containing bioactive phenolic acids, terpenoids, glucosinolates, and glycosides. The aim of our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d raspberry cooki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Cookies were prepared add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red raspberry powder (0, 5, 10, 20, 30, and 50% to the flour weight). The bulk density, pH, spread ratio, loss rate, leavening rate, color, hardness of dough, and cookies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pH of the dough, leavening and loss rate, and L- and b-value of the cookies ar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levels of red raspberry powder (p < 0.05). On the other hand, spread ratio, a-value, and brix of the cookies a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levels of red raspberry powder (p < 0.05). Total phenol compounds and FRAP assay a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levels of red raspberry powder (p < 0.05). Based on the overall observation, red raspberry cookies with 10-20% Rubus crataegifolius powder is recommended to take advantage of its functional properties with consumer acceptability.
        4,000원
        9.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복분자를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로 개발하기 위하여 지표성분 표준화를 위한 ellagic acid의 분석법 설정과 분석법에 대한 검증(validation)을 실시하였다.그 결과 ellagic acid의 검량선은 R2=0.9999으로 좋은 선형성을 보였으며, 검출한계 0.6µg/mL, 정량한계는 1.9µg/mL였다. 회수율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89.0-100.0%로 나왔고, 상대표준편차(RSD)는 0.05-0.14%를 보였으며, 일내와일간 분석에서 RSD는 각각 0.28-1.96%와 0.69-2.49%로나왔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복분자 추출물의 지표물질인 ellagic acid의 분석법은 적합한 시험법임이 검증되었다.
        3,000원
        10.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 improvement the fruit quality of the korean raspberry fruit, 3 species of bee, Bombus terrestris, Apis mellifera and Osmia cornifrons were used for pollination in korean raspberry fruit field from Korea. This study was also conducted using 3 kinds of methods for pollination effect, natural condition, net-house and control method. Blooming time of korean raspberry fruit shows always in the middle of the May, foraging behavior of bees used in this examination showed different tendency each other. Especially pollinating time of B. terrestris was 2.73sec and transfer time between flower was 2.64sec. Rate of korean raspberry fruit setting pollinated with B. terrestris, A. mellifera, O. cornifrons were showed 83.1%, 80.5%, 77.5% respectively. And, rate of fruit setting of the untreated control and the control (natural condition pollination) were 36.2% and 76.0%. Therefore, korean raspberry fruit set in the case of B. terrestris compared control was superior to 230%, 109% in contrast to natural pollination showed, A. mellifera and O. cornifron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over natural pollination. The quality of the products of korean raspberry fruit pollinated with B. terrestris showed the highest quality as a result fruit diameter 19.5±0.85, fruit weight 2.7±0.32, sugar content 11.2±1.48 Brix%, seed no. of 86.8±10.15. The rate of productivity increase using the Bombus terrestris was 21% in contrast to natural pollination.
        11.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 improvement the fruit quality of the korean raspberry and the blueberry fruit, 3 bee species, Bombus terrestris, Apis mellifera, and Osmia cornifrons were used for pollination. The rates of korean raspberry fruit set in the case of pollination with B. terrestris, A. mellifera, and O. cornifrons were 83.1%, 80.5% and 77.5%,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rates of fruit set in the case of the untreated control and the control(pollination under natural conditions) were 36.2% and 76.0%, respectively. The products of korean raspberry fruit pollinated with B. terrestris had the highest quality, with a fruit diameter of 19.5±0.85mm; fruit weight, 2.7±0.32g; sugar content, 11.2±1.48 Brix%; seed no., 86.8±10.15. The rate of productivity increase obtained using the B. terrestris was 21% greater than that obtained using natural pollination. And, the rate of blueberry fruit setting pollinated with B. terrestris, A. mellifera, O. cornifrons were showed 87.7%, 89.6%, 66.5% respectively. And, rate of fruit setting of the untreated control and the control(natural condition pollination) were 15.4% and 80.3%. The rate of productivity increase obtained using the B. terrestris was 9%∼17% greater than that obtained using natural pollination.
        12.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2단계 발효를 통해 복분자 식초를 제조한 후 이에 대한 이화학적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복분자 식초의 알코올 발효 종료 후 알코올 함량은 11.78±0.03%이었고, 당도는 8.40±0.05 Brix이었으며, 초산발효 종료 후 알코올 함량은 0.16±0.03%이었고, 산도는 6.07±0.11%이었다. 복분자 식초의 주요 유기산은 acetic acid(4,641.59 mg%)와 citric acid(1,241.05 mg%)이었고, 복분자 식초의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38.01 mg/g, 17.91 mg/g이었다. 페놀화합물 중 ellagic acid 함량이 1,127.43 μg/g으로 가장 많았으며, gallic acid의 함량은 962.44 μg/g을 보였다. 복분자 식초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과 환원력은 500 μg/mL 농도에서 각각 60.3%, 0.50이었다.
        4,000원
        13.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복분자주스의 기능성 및 품질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오렌지주스, 포도주스와 발효음료를 비교실험을 하였다. 과즙을 함유하지 않은 음료에서 수분이 높에 측정되었고 조회분, 조단백, 조지방이 낮게 측정되었다. 이는 과일음료에서 과일 과즙의 첨가 여부에 따라 일반성분 분석에 차이가 있다고 판단된다. 복분자음료의 제조 공정 중 당도, 산도, pH, 색도를 다른 주스들과 비교한 결과 오렌지주스와 포도주스에 비해 복분자 음료의 당도는 낮은 값은 수치를 나타냈다. 아미노산 분석에서는 오렌지주스와 포도주스에서 다양한 종류에 아미노산이 측정되었다. 또한 복분자주스에서도 20%의 함량에 비하면 다수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다. 하지만 발효음료에서는 4가지의 아미노산 성분이 검출되었다. 이는 과즙을 함유한 음료와 그렇지 않은 발효음료의 차이라고 판단된다. 무기성분 분석에서 오렌지주스의 칼륨의 함량이 가장 많았고, 발효음료에서는 마그네슘의 함량이 다른 음료들에 비해 높은 수치임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복분자주스는 다른 음료들에 비해 낮은 Na함량을 보였고 상대적으로 높은 항산화활성을 지닌다. 이는 복분자 자체가 지니는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안토시아닌 등에서 나타나는 항암, 항바이러스, 항균작용 등으로 인한 작용으로 판단된다.
        4,000원
        14.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conomic injury levels (EILs) and economic control threshold (ET) were estimated for the Tea red spider mite, Tetranychus kanzawai Kishida(Acari, Tetranychidae) in Rubus coreanus Miquel. T. kanzawai density increased until the early-July and thereafter decreased in all plots except the non-innoculation plot where initial density of the mite were different each 0,5, 10, 20 and 40 adults per plant branch on May 7 in 2008. And the occurrence of the densities were increased higher innoculated density than different innoculation density. The yield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initial mite density and thereby the rates of yield loss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initial mite density. And T. kanzawai occurrence density, yields and the rates of yield loss, where initial density of the mite were different each 0,2, 5, 10 and 20 adults per plant branch on May 8 in 2009 were similar tendency to 2008 year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initial T. kanzawai densities and the yield losses was well described by a linear regression, Y = 0.6545X + 3.0425 (R<SUP>2</SUP> = 0.93) in 2008, Y = 0.9031X + 2.0899(R<SUP>2</SUP> = 0.96) in 2009. Based on the relationship, the number of adults per plant branch(EILs) which can cause 5% loss of yield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3.0 in 2008 and 3.2 in 2009. And the ET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2.4 in 2008 and 2.6 in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initial T. kanzawai densities and occurrence density of mid-May considering the best spray timing against T. kanzawai was well described by a linear regression, Y = 0.471X + 2.495(R<SUP>2</SUP> = 0.95) in 2008, Y = 0.9938X + 3.1858(R<SUP>2</SUP> 二 0.96) in 2009. Based on the relationship, the number of adults per Ieaf(ET) in mid-May which can cause 5% loss of yield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3.6 in 2008 and 5.8 in 2009.
        4,000원
        15.
        200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주요 복분자 산지인 고창, 정읍, 횡성, 순창산 복분자로 복분자주를 제조하여 제조 복분자주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과 기호도 조사를 통해 산지별 차이를 파악하였다. 복분자주의 주요 향기성분으로 phenylethyl alcohol, isoamyl alcohol, diethyl succinate, isobutyl alcohol, acetic acid, octanoic acid, benzoic acid, α-terpineol, myrtenol, pcymene-8-ol이 동정되었고 특히 적포도주에 비해 terpene류가 많이 검출되어 복분자주의 odor-active compounds를 분석하기 위해 gas-chromatography-olfactometry를 포함한 다양한 향기성분 분석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Ester류는 횡성산과 정읍산 복분자주에서 많이 검출되었고 alcohol과 acid류도 횡성산에서 가장 많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Terpene류는 정읍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차후 이들 시료에 대한 묘사분석을 통해 향기성분과의 상관관계 분석이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제조 복분자주에서 고창, 순창, 횡성, 정읍순으로 나타났고 특히 횡성과 정읍 시료의 경우 단맛은 약하고 신맛은 너무 강한 것으로 나타나 당산비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4,000원
        16.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monitoring system for a field magnetometer was configured with assistance of a Raspberry Pi as a data logger. The suggested geomagnetic system uses a semi-real-time data transmission module. The system consists of two parts: a field-observation part and a data-center part. The field-observation part comprises a Raspberry Pi, magnetometer, LTE router, and power source, while the data center part takes samples at the site. The collected magnetometer data are then sent to the data center through the LTE router. The newly designed monitoring system was deployed and checked in Jeju-do island, and found to operate stably. The suggested system is promising in that it is simple and cost saving, providing at least physical insight and knowledge on the complex natural phenomena.
        18.
        2015.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OVA 분석을 통해 건조온도와 건조시간이 열풍건조 와 냉풍건조의 중요변수임을 알 수 있었으며 복분자의 반건 조를 위해서는 열풍건조의 경우 65.8℃, 4.3시간이 적당하 였고 냉풍건조의 경우 비슷한 정도의 건조수분함량까지 28.2시간이 걸렸다. 그러나 건조온도가 높아지면 vitamin C와 ellagic acid의 함량이 줄어드는 등 품질적 열화가 심하 게 나타났다. 또한 생리활성물질들은 냉풍건조에서 전반적 으로 더 잘 보존 되었으며 총폴리페놀의 함량에서는 더욱 그러하였다. 따라서 냉풍건조방법은 고품질의 반건조 복분 자 제조에 적합한 건조방법이며 최적 건조조건은 21.3℃, 28.2시간으로 나타났다.
        20.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compared effects of fruit, leaf, and stem extracts from black raspberry on improvement of cholesterol and blood pressure in HepG2 and HUVEC cells, respectively. Cholesterol secretion was inhibited by water extracts of unripe fruit and stem, but not leaf of black raspberry in HepG2 cells. Also, water extracts of unripe fruit, leaf, and stem reduced HMG-CoA reductase activity. Furthermore, nitric oxide production and expression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protein were regulated by extracts of fruit, leaf, and stem of black raspberry in HUVEC cells. Overall, the rank order according to the improving level of cholesterol and hypertension is as follows: stem > fruit > leaf. In addition, various polyphenol compounds displayed inhibitory effects of HMG-CoA reductase activity and ACE expression. Thus, these data suggested that leaf and stem as wells as fruit of black raspberry can be used as useful food resources for reduction of cholesterol and blood pressure.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