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

        21.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의 입중에 따른 다수성 콩 품종육성의 엽형 모델을 찾고자 기존의 품종들을 대상으로 일의 형태 및 해부학적 특성과의 관계를 조사했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신의 두께는 소립형 품종보다는 대립형 품종이 두꺼웠으며, 단위엽의 엽면적에서도 대립형 품종들이 큰 경향이었다. 2. 엽육조직의 관찰결과 소립 장엽형 품종과 대립 환엽형품종의 책상세포 및 해면세포가 두껍고 치밀하게 배열되어 있었다. 3. 단위엽면적당 CO2 흡수량, 주당 CO2 흡수량, 엽신 및 책상세포의 두께는 종실수량과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으며, 단위엽의 엽면적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4. 따라서 품종간의 특성은 및 기능의 차이로서 인정할 수 있었으며 특히 CO2 동화량 및 엽육조직의 두께와 엽육세포의 치밀함 등은 품종간 특성차이를 나타내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22.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의 입중에 따른 이상초형(ideal type)의 개발을 위해 광합성호율이 높은 안전 다수성 콩 품종육성의 엽형 모델을 찾고자 엽형 및 입중에 따른 잎기능에 관련된 몇 가지 주요특성 및 CO2 이용효율과의 관계를 조사했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두 단엽의 CO2 동화량은 소립품종에서 장엽형 잎을 가진 품종이 19.66 umolm2s1로서 환엽형 잎을 가진 품종(18.29 umolm2s1)보다 높은 경향이었으며, 대립품종에서는 환엽형 잎을 가진 품종이 19.17 umolm2s1로서 장엽형품종(17.45 umolm2s1)보다 높았다. 2. 기공전도도가 0.12-0.13범위에서는 주로 대립, 장엽형 품종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CO2 동화량은 17-18 umolm2s1정도로 낮았고, 0.14-0.15범위에서는 소립, 장엽형 품종들이 분포하였는데 CO2 동화량은 19-20 umolm2s1로서 높았다. 3. CO2 동화량에 영향을 미치는 전자생성량은 대립, 환엽형 잎을 가진 품종들이 0.82-0.83으로 가장 적었으나 CO2 동화량은 18-20 umolm2s1로서 높았다. 4. 주당 CO2 흡수량은 나물콩에서는 장엽형 품종이 68.5ppm으로 환엽형(46.5 ppm)보다 크게 높았으며 장류콩에서는 환엽형이 70.1 ppm으로서 장엽형(63.1 ppm) 보다 약간 높았다.
        23.
        200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eaf area is critical for crop light interception, and thereby has a substantial influence on crop yield.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haracterize the development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 leaf area. Plastochron index and leaf relative growth rate of Jackson was contrasted with the PI416937, which also has demonstrated tolerance to drought. First, plastochron ratio (PR) and plastochron index (PI) were evaluated in greenhouse to compare the leaf growth rate between two genotypes under well-watered condition. There was reasonable constancy of PR between two genotypes. The PR means of Jackson and PI416937 were 0.41 and 0.44, respectively. A fairly smooth increase of PI during vegetative stage was observed. Second, the relative growth rates were graphed against leaf area, normalized with respect to final leaf area, under well-watered and water-deficit conditions. Leaf growth was sustained longer in well-watered condition than water-deficit condition and there was a sizable proportion of leaves which was ceased earlier their growth in water-deficit condition compared to well-watered condition. The leaf relative growth rate of Jackson until leaves had completed at 45% of their growth during water deficit period was higher than that of PI416937.
        24.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xcessive soil water at vegetative growth stages during the rainy season induces yield losses in soybeans. Our objectives were to obtain basic information about the cultivar differences and to understand the stress-tolerance process for due to excessive soil water. Previous experiments revealed soybean genotypic differences in tolerance to excessive soil water.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at the Research Farm of Korea University near Seoul on 21 May 1998. Soybean[Glycine max (L.) Merrill] cultivars, 'Hannamkong' (sensitive) and 'Taekwan-gkong'(tolerant) were planted in vinyl-lined plots(1.2 x 4.2 x 0.3 m deep) and control plots. Drip irrigation began at VI growth stage to submerge the soil surface. Three weeks of excessive soil water treatment reduced all growth parameters measured to soybean plants. Excessive soil water stress resulted in decreases of N, P, K, Ca, Mg and Cu, and increases of Fe and Mn contents in soybean leaves. The stress index of tolerant cultivars under excessive soil water showed no large difference in soybean growth characteristics measured at three growth stages. However, K, Ca, Mg, Fe and Mn contents in soybean leaves appeared to differ between sensitive and tolerant cultivars. From the above results, stress and tolerance indices are proposed for a method to test cultivar differences in plant responses within a species under adverse growth environments.
        25.
        199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lant water status during growth is directly and indirectly associated with seed yield.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genotypic differences in leaf water characteristics at an early growth stage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plants through the pressure-bomb technique. Measurements of water potential as well as relative water content (RWC) were made at the third leaf from the fully-expanded top leaf of eight different soybean genotypes grown for 31 to 35 days after field emergence. On the basis of the modified exponential model, pressure-volume (PV) curves were fitted well (R2 =0.92** to 0.99** for the curvi-linear region and R=0.67** to 0.96** for the linear region), indicating that a segmented model using PROC NLIN of SAS could be used effectively to estimate the leaf water characteristics. Th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pressure-volume (PV) curve revealed genotypic variation in the solute potential at saturation (Ψs,sat :-10.7 to -14.8 bar), solute potential at incipient plasmolysis (Ψs,ip : -14.3 to -18.3 bar), RWC at incipient plasmolysis (RW Cip : 83.3 to 91.7%), high integrated turgor pressure from saturation to plasmolysis ( 1 b : 0.39 to 0.81), and maximum volumetric modulus of elasticity (~varepsilon max : 150 to 445 bar).).
        26.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두 종자크기에 대한 간접적인 선발형질로써 잎크기에 대한 이용 가능성을 알기 위하여 종자크기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이는 12개의 line을 선발하여 2년간 포장시험을 실시하였다. 종자크기와 잎크기의 차이에 있어서 고도의 유의성을 나타내었고 개화전 종자크기에 대한 간접선발로써 잎크기의 이용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였다.
        27.
        199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품종 타치나가하(Tachinagaha)를 공시하여 토양수분조건에 따른 식물체내의 수분상태 즉 잎의 수분 potential, 광합성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광량자밀도가 1,000u mol m2 s1 이하로 낮아질 때 광합성 속도는 점차 저하하였고, 토양수분 조건에 따른 광합성 속도는 건조구와 과습구는 적습구보다 떨어졌다. 2. 생육시기에 관계없이 광합성 속도와 기공 conductance와는 정의 상관 관계가 인정되었다. 3. 광합성 속도와 기공 conductance는 토양수분 부족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4. 잎의 수분 potential은 적습구가 과습구 또는 건조구보다 높았으며, 광합성 속도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5. 잎의 신장은 토양수분에 민감한 반응을 보여 건조구에서 엽면적이 가장 낮았으나 엽록소 함량은 높았다. 6.식물체의 총 건물중은 적습구 > 과습구 > 건조구 순이었으나 건물중에 대한 뿌리의 비율은 건조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28.
        199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두(大豆) 수량(收量)이 우수한 은하(銀河), 방사(放射), 팔달(八達) 재배품종(栽培品種)을 광합성활성폭사선(光合成活性幅射線) ((PAR) 범위(範圍)에서 5본엽기(本葉期)(V5)에 엽온(葉溫)을 달리하여 광합성속도(光合成速度)와 호흡속도(呼吸速度)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품종별(品種別) 엽(葉)의 특성인 비엽중(比葉重)(SLW), 엽녹소함양(葉綠素含量)과 광합성(光合成)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25℃에서 순광합성속도(純光合成速度)(Net Photosynthesis)는 은하(銀河) 21.5mgdm-2h-1, 방사(放射) 20.2mgdm-2hh-1, 팔달(八達) 18.5mgdm-2h-1이었다. 2. 전품종(全品種) 모두 엽온(葉溫) 25℃에서 광합성속도(光合成速度)가 가장 높았고 은하(銀河) 품종(品種)이 우수(優秀)했으며, 엽형(葉型)은 은하(銀河) (Long) 〉 방사(放射)(Oval) 〉 팔달(八達)(Round) 순서였다. 3. 엽(葉)의 호흡연도(呼吸連度)는 은하(銀河), 방사(放射), 팔달(八達)에서 15˚ 0.56mgdm-2h-1, 20℃ 0.79mgdm-2h-1, 25˚ 1,15mgdm-2h-1, 30℃ 1.37mgdm-2h-1였다. 4. 비엽중(比葉重)은 방사(放射)가 3.1mg/cm2이었고, 은하(銀河)와 팔달(八達)은 3.5mg/cm2이었으며 비엽중(比葉重)과 광합성(光合成)과는 유의성(有意性)이 인정되지 않았다. 5. 엽녹소(葉綠素) 함량(含量)은 은하(銀河)가 2.48μg/gF.W.으로 가장 높았고, 방사(放射)가 2.19μg/gF.W.이었고 팔달(八達)이 1.67μg/gF.W.로 가장 낮았으며 엽록소(葉綠素) 함량(含量)과 광합성(光合成)과는 유의성(有意性)이 인정되었다. 6. 광보상점(光補償點)은 15℃에서는 10μEm-2s-1로 모두 같았으나, 20℃에서 은하(銀河)는 12μEm-2s-1이었고, 방사(放射)와 팔달(八達)은 13μEm-2s-1이었다. 25℃에서는 은하(銀河)와 방사(放射)가 16μEm-2s-1이었지만 팔달은 18μm-2s-1이었고, 30℃에서는 은하(銀河)와 방사(放射)가 22μEm-2s-1이었지만, 팔달은 23μEm-2s-1이었다.
        29.
        199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에 있어서 특정부위의 source제거가 어느 부위의 sink에 영향을 주는가와 주요 sink인 협을 특정 부위에서 제거할 때 다른 부위의 sink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등을 절위별 협 및 종실의 변화를 중심으로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제거 부위별 절위당 협수변화는 엽제거 부위에서 감소를 가져왔으며 그 영향은 상부엽 > 분기엽 > 하부위 제거구 순으로 적었다. 2. 협제거 부위별 타부위의 절위당 협수 변화는 상부협 제거부가 주경의 중위절과 상위분기에서 협구가 약간 증가되는 경향이었고, 분기협 제거구는 주경의 모든 절위에서 약간 증가시키는 경향이었으나 하부협 제거구는 상위분기에서만 약간 증가시키는 경향이었다. 3. 엽제거 부위별 절위당 협당입수 변화는 엽이 제거되지 않는 부위에서만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협제거 부위별 절위당 협당입수도 협을 제거하지 않는 부위에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4. 엽제거 부위별 입당 입중변화는 엽제거 및 비제거 부위 모두 감소하였으나 협제거 부위별은 비제거부위에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5. 절위별 종실중은 엽제거부위에서 모두 감소하였고 동일부위에서는 상부가 하부보다 감소폭과 부위별 협제거에서는 상부협과 분지협 제거구가 지부위의 종실을 증가시켰으나 하부협 제거구는 오히려 종실중이 감소하였다. 6. 종피 구렬입율은 엽제거처리는 모두 낮았으며, 그정도가 엽이 제거된 부위에서 컸었고, 협제거 처리는 다른 부위의 종피 구렬입의 증가를 가져 왔으며 상부협 제거구가 그 경향이컸다.
        30.
        199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에 있어서 source인 상부엽의 제거시기에 따라 sink인 협이나 종실에 얼마 만큼 영향을 미치는가 를 절위별 협 및 종실의 변화를 중심으로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제거에 의해 주경의 협수감소가 시작되는 절위는 엽제거 시기가 늦을수록 낮아졌고, 개화 후 25일 엽재거구가 15일구보다 엽제거 시기가 10일 늦은데도 6∼8절위에서 감소폭이 커 개화후 25일이 결협에 중요한 시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2. 주경의 상부엽 제거로 주걍하부엽과 분지엽의 수광량이 증가하였는데도 엽무제거구보다 이들 부의의 물질 집적량이 적어 이 부위의 동화물질이 다른 부위로 전류된 양상을 보였다. 3. 협당입수는 개화후 35일 엽제거구가 25일구보다 적어 개화후 35일이 입의 퇴화에 더 큰 영향을 준 시기였다. 4. 가장 주요한 sink인 종실의 종피 구열립은 주경의 정단에서 9절위까지 엽무제거구가 25∼35% 절위였으나 엽제거구는 대부분 10%이하였다.
        31.
        199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의 생식생장기인 착협시(R3)에 상부 50%와 하부 50%로 구분하여 엽제거 및 엽-협제거처리 하여 줄기, 엽 및 종실건물중과 가용성 당, 전분 및 단백질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0년과 1991년에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 덕소 농장에 팔달콩, 백운콩 및 단엽콩을 공시하여 실시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팔달콩, 백운콩 및 단엽콩 모두 건물축적과 가용성 당, 전분 및 단백질함량에 처리간 같은 경향을 보였다. 2. 평균 줄기건물중은 상엽-하협제거와 하엽-상협제거로 높았고 상엽제거와 하엽제거는 낮았다. 3. 엽건물중은 처리중에서 상부엽이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4. 종실수와 종실건물중은 엽 및 엽-협제거로 감소되었으나 하엽제거와 하엽-상협제거의 하부에서 높았다. 5. 가용성 당과 전분함량도 처리중에서 하부종실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6. 단백질함량은 상엽제거의 상부와 하엽제거의 하부에 감소되었으나 하엽제거의 상부종실에서 가장 높았다.
        32.
        199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의 생식생장기인 착협시(R3)에 상부40%와 하부 60%로 구분하여 엽제거와 협제거처리에 의한 엽과 종실의 건물중, 가용성 당, 전분, 단백질 및 기름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2년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 덕소농장에 황금콩을 공시하여 실시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상엽하협제거처리의 하부 엽 건물중이 가장 높았고 상부 종실 건물중은 가장 낮았다. 2. 가용성 당합량은 처리간 엽과 종실에서 차이가 없었다. 3. 전분함량은 상엽하협제거의 하부 여에서 가장 높았다. 4. 단백질함량은 하부 엽이 상부 엽보다 높았는데 종실에서는 하엽상협제거의 하부에서 가장 낮았다. 5. 기름합량은 하엽상협제거의 상부 엽과 하부 종실에서 가장 높았다. 6. 콩 생식생장기의 장거리 전류에 있어서 동화물질은 상부에서 하부로 이루어지며, 단백질원은 하부에서 상부로 일어나지만 엽에서의 재이동은 약했다.
        33.
        199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의 생식생장기인 착협시(R3)에 상부 40%와 하부 60%로 구분하여 엽제거와 협제거 처리에 의한 엽수와 엽건물중, 종실부와 종실건물중, 그리고 협과 경건물중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2년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적소실험농장에 황금콩을 공시하여 실시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상엽하협제거처리로 식물체 하부의 엽수와 엽건물중이 증가되었다. 2. 종실부와 종실건물중은 상엽하협제거로 감소되었다. 3. 상엽하협제거는 하부의 경건물중을 증가시켰으나 상부의 협건물종은 감소시켰다. 4. 상엽하협제거에서 엽/종실 비율은 3.53로 가장 높았고 수수지수는 27%로 가장 낮았다. 5. 하엽상협제거는 상엽하협제거보다 동화질의 전류량이 많았다.
        34.
        199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두에서 각각 50%의 협제거와 협제거 처리에 의해서 변화된 동화물질에 대한 sink demand가 엽의 광합성율과 각 부위별 단백질 함량 및 엽의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0년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식량자원학과 실험포장에서, pot에 팔달콩을 공 시하여 총건물중과 엽을 제외한 vegetative tissues의 건물중, 잎과 뿌리의 전분함량, 엽의 광합성율과 기공저항성, 각 부위별 단백질함량, 엽의 chlorophyll content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을 제외한 vegetative tissues의 건물중은 협제거 처리에 의해서 증가되었고, 따라서 협제거 처리에 의한 총건물중의 감소는 유의성이 없었다. 2. 종실의 100립종은 대조구와 비교할 때, 50% 협제거 처리에 의해 6.4% 증가하였으며, 50% 엽제거 처리에 의해서 3.0% 감소하였다. 3. 엽의 전분함량은 처리 후 22일부터 감소되었고 뿌리의 전분함량은 전 시기에 걸쳐 감소되었는데, 잎과 뿌리의 전분함량은 협제거 처리에 의해 높아지고 엽제거 처리에 의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4. Specific leaf weight는 협제거 처리에 의해 증가되었고 엽제거에 의해 감소 되었다. 5. 엽의 광합성율은 전 시기에 걸쳐서 높아졌으며, 협제거 처리에 의해 증가되었다. 7. 잎, 중기+엽병, 뿌리 등의 단백질함량은 점차로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며, 협제거 처리에 의해 높아졌고 엽제거에 의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8. 성숙기( R7)의 종실의 단백질함량은 협제거와 엽제거 처리에 의해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9. 엽의 chlorophyll content의 감소에 의한 엽의 외관상 노화는 협제거처리에 의해 지연되었고 엽제거에 의해 촉진되었다. 10. 광합성율의 감소에 의한 엽의 기능상 노화는 엽제거 처리에 의해 촉진되었다. di-glyceride 및 free fatty acid) 는 13.3~17.4%로 나타났다.로 빠른 시일에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다. 4. 저온저장(4℃ , RH 50%)한 벼는 2년반 저장한 벼도 밥맛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5. 1988년산 및 1989년산 일반계를 10분도와 12분도로 도정하였을 때 도정도에 따른 밥맛의 차이는 없었다.X>CoOx는 Co3O4 로 존재하고, 반응 전의 경우에는 이와는 다른 chemical state를 보여주었다. XRD 및 XPS 결과를 바탕으로, 촉매표면에 존재하는 Co3O4 의 외부표면이 Co2TiO4 와 CoTiO3 같은 CoTiOx 로 encapsulation되어 있는 모델구조를 제안할 수 있고, 이는 반응시간의 함수로 나타나는 촉매활성에 있어서 전이영역의 존재를 잘 설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XRD와 XPS에서 얻어진 촉매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다. 나타냈고, 골격근과 눈 조직에서 피루브산에 대한 LDH의 친화력이 상당히 크므로 LDH가 혐기적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5) and "Cleanliness of clothes & features" (p <0.05) of VIP war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 general ward.tive to apply.아울러 고려(考慮)해야 한다. 이것은 고무기술자(技術者)가 당면(當面)해야할 과제(課題)에 속(屬)하며 바람직 한것은 본장(本章)의 내용(內容)이 여러 상황하(狀況下)에서 당면(當面)한 문제(問題)에 대(對)해 어떻게 대처(對處)해 야 할지를 모르는 여러 기술자(技術者)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것이다. 얻
        35.
        199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토양수분 부족이 콩식물체의 엽운동, 광합성능, 증산량, 수량 및 관련 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단엽콩', '방사콩', '보광콩', '무한콩'을 비닐하우스 내에 폿트 재배에서 2주간 단수처리하여 실험을 하였다. 1. 광합성능은 광량(0.887** ), 기공전도율(0.788** ) 및 엽온(0.744**)과 고도의 유의적인 정 상관이 있었다. 2. 1일중 광량과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콩의 복엽중 중앙의 소엽은 측렬의 소엽에 비해 더 빨리 엽운동이 시작되고 광합성능이 높은 반면에 수광량, 엽온은 다소 낮았다. 3. 한발구에 비해 관수구의 광량은 358 umole m2 s1, 기공전도율은 0.2 mole m2 s1, 엽온은 9℃ , 증산량 3.7 mole m2 , 광합성능은 8.5 CO2 , u mole m2 s1이 각각 높았다. 4. 관수구에 비해 한발구의 수량 및 관련 형질이 다양하게 감소되었다 ; 개체당 건물중 8%, 개체당 근류중 7%, 근중 14%, 간장 3%, 분지수 7%, 경태 8%, 개체당 협수 17%, 개체당 립중 17%가 각각 감소되었다.
        36.
        198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두께가 서로 다른 C3 식물의 잎은 단위엽면적당 광합성 능력에 있어서도 차이가 나는 바 잎의 내부구조와 기체교환 사이의 관계를 바탕으로 그 원인을 구명하였다. 광합성의 2대 제한요인으로 기체확산과 생화학적 과정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결정하기 위해 중엽세포의 표면은 기체확산 저항의, 그리고 세포의 체적은 탄소고정 능력의 지표로 가정하였다. 즉 세포의 표면적이 증가하면 이산화탄소의 액상확산 저항이 감소하며 체적이 증대되면 carboxylation, oxygenation, 그리고 dark respiration 반응속도가 증가한다고 간주하였다. 이러한 개념을 함축하는 광합성 모형을 작성하고 이 가설의 검증을 위해 대두 품종 Amsoy잎을 이용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생장조절실내에서 200, 400, 600u mol photons m2 s1 PAR을 공급하여 서로 다른 두께의 잎을 준비하였으며 제3 및 4본엽에 대해 1,000 u mol photons m2 s1 PAR 및 28 기온 환경하에서 이산화탄소 흡수속도를 측정한 결과 세포의 체적과 표면적의 영향을 동시에 고려한 광합성 모형이 세포 표면적만을 고려한 경우 보다 실측치에 가까운 예측치를 산출하였다. 이로 미루어 세포의 표면적과 체적은 잎의 두께 및 그에 따른 광합성 능력의 예측에 적절한 변수로 간주된다.
        37.
        198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두의 엽형에 관한 유전연구의 일환으로 엽장이 친 품종, 엽폭이 긴 품종, 엽장과 엽폭이 짧은 7품종들을 문배친으로 하여 이들 품종간의 이면문잡에 의한 21개잡종 F2 세대와 교배친을 재료로 엽병장, 주소엽병장, 주소엽장, 주소업폭, 측소엽장, 측소엽폭 등의 엽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분포상태를 본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병장은 주소엽병장보다 길고 전체적으로 평균 5배정도였고, 주소엽장은 측소엽장보다 길며, 엽장은 엽폭보다 길었으나, 주소엽폭보다 측소엽폭이 도리어 긴 경향이었다. 2. 조사 측정된 6개형질 모두 부분우성으로 유전되고 회귀계수가 낮은 것으로 보아 비대립 유전자의 관여가 큰 것을 알 수 있였다. 3. 엽병장에는 A품종(선비잡이콩)과 B품종(동산6002)에, 엽장에는 A품종과 C품종(경남002), 엽폭에도 A품종과 B정종에 우성유전자가 많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고, G품종(D69-7816)과 F품종(D62-7816)에는 각 형질에 열성유전자가 많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38.
        197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부이남 각지역에서 수집한 727계통의 재래종에 대한 1엽당 엽면적을 측정하고, 이 형질과 이이외의 몇가지 형질들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1. 엽면적, 엽장, 엽폭 그리고 엽형지수이전계통에 대한 평균치는 각각 111.4cm2 , 12.2cm, 9.1cm, 그리고 1.35이였으며, 이들의 분포는 정규분포에 극히 유사하였다. 2. 엽면적과 엽장, 엽폭, 초장 그리고 종실의 크기와는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에 있고, 분지수와는 부의 상관이였고, 절수와 수량과의 상관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엽형지수와 엽면적, 엽장, 그리고 수량간에는 상관이 없었으나, 엽폭과는 고도의 상관관계에 있으므로 엽형은 엽장보다 엽폭변이에 의존하는 것 같다.3. 공시집단을 대엽군과 소엽군으로 분류하고 양군간에 종실수량, 초장 및 절수를 비교한즉 차이가 없었으나, 종실종, 분지수 그리고 엽형지수는 양군간에 유의한 차가 있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