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806

        4721.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수확 후 감귤의 부패과 발생 억제를 위하여 grapefruit seed extract과 oregano oil이 혼입된 carnauba 코팅 과 calcium oxide이 혼입된 chitosan 코팅을 감귤에 적용하여 Penicillium italicium 저해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carnauba 수용액(18%(w/w))에 grapefruit seed extract 또는 oregano oil을 단독으로 각각 0.3-1%(w/w) 첨가하였고, grapefruit seed extract과 oregano oil을 0.75:0.25, 0.5:0.5,그리고 0.25:0.75(w/w)의 비율로 혼합하여 첨가하였다. 또한 1% chitosan 수용 액의 경우 0.3-3%(w/w)의 calcium oxide을 첨가하여 코팅제를 개발하였다. 감귤 과피에 접종된 P. italicium에 대한 각 코팅제의 저해 효과는 부패과 발생률(%)로 표현하였다. carnauba wax 코팅의 경우, grapefruit seed extract을 단독으로 1% (w/w) 첨가, grapefruit seed extract과 oregano oil을 혼합하여 0.5:0.5%(w/w) 비율로 첨가하였을 때 부패과 발생률은 각각 23.6%와 25%로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고(P<0.05), calcium oxide을 첨가한 chitosan 코팅의 경우 calcium oxide의 농도와 관계없이 모든 조건에서 부패과 발생률이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따라서 grapefruit seed extract 과 oregano oil이 혼입된 carnauba wax 코팅은 감귤의 저장 중 부패에 관여하는 P. italicium를 저해하여 저장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4722.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Grains are nutritious foods that richly contain fiber, vitamins and minerals but it would be difficult to chew for some elderly people with weakened chewing ability. This study was aimed to find the appropriate conditions for reducing hardness of grains by enzyme treatment. To select appropriate enzyme, each grain (white rice, brown rice, barely, sorghum, and job’s tears) was soaked for one hour in enzyme solution at optimum activation temperature. Grains were soaked for one hour in selected enzyme solution at different concentration (0.1, 0.3, 0.5 and 0.7%) under warming condition of cooker at 70℃, steamed in electric rice pressure cooker, rapidly cooled at -18℃ for one hour, placed at 20℃ for another hour, and then hardness was measured by texture analyzer. The initial hardness of white rice, brown rice, barely, sorghum, and job’s tears were 6.5 × 104, 7.1 × 104, 7.0 × 104, 7.8 × 104 and 7.7 × 104 N/m 2 , respectively. The lowest hardness of grains, 4.0 × 104, 5.0 × 104, 4.6 × 104, 5.7 × 104 and 4.7 × 104 N/m 2 were obtained with 0.3% of enzyme D solution while the hardness was not changed significantly with higher concentr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me hard grains treated with enzyme would become softer than white rice, and thus these grains may be used to prepare a healthier meal for elderly people having mastication problem.
        4723.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ome bioactive peptides have been identified by activity-guided fraction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epare or synthesize enough amounts of active peptides for food ingredients and for animal or human trials.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prepare peptide fractions of sufficient amounts with high antioxidant activity which could be applied to the food and animal model. Oyster hydrolysate was fractionated the basis of the amphoteric nature of sample peptides by preparative isoelectric focusing (autofocusing). To monitor the fractionation of peptides by autofocusing, amino acid analysis of the autofocusing fractions was performed. Each autofocusing fraction was evaluated by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hydroxyl (O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and Fe 2+ chelatingassays. More than 40% of the peptides were distributed between Fr. 4 and 7 (pH<5.0). Approximately 16% of the peptides were recovered in basic fractions (pH>10.0; Fr. 9-10). 11 % of peptides were recovered in the neutral fraction (6.0<pH<7.0; Fr. 8). The peptides in the acidic and basic fractions are characterized by a higher content of acidic and basic amino acids, respectively. Acidic fraction showed higher ORAC values than crude oyster hydrolysate. Also, the acidic fraction showed high DPPH and O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n the other hand, basic fraction showed higher chelating ability than crude oyster hydrolysate. In the present study, oyster peptide fractions of large-scale with high antioxidant activity were successfully fractionated by autofocusing for food additives and animal trials.
        4724.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습식 제분 쌀가루를 사용하는 전통적인 떡 제조 방법은 시간, 공간 및 노동력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효율성이 낮 다. 그러나 건식 제분 쌀가루는 수분함량이 낮아 제조, 보관 및 유통이 용이하고 습식 제분 쌀가루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어 떡 산업에서 건식 제분 쌀가루를 이용한 떡 제조방법의 표준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쌀을 품종 별로 건식 제분하고 백설기를 제조 할 때, 품종 별 백설기의 품질 특성을 확인하여 건식 쌀가루를 이용한 백설기 제조 표준화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2014년에 재배된 삼광, 다산, 새고아미, 백진주, 설갱5품종을 사용하였고, air mill (AM, Nara machinery Co., LTD, Japan)을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Control은 삼광품종을 사용하였고 전통방식으로 수침, 건조 후 roll mill (KM-18, Kyungchang machine, Korea)을 통과시켜 습식 제분 한 후 전통적인 제조방법으로 백설기를 제조하였고, 건식 제분 쌀가루는 반죽 후 roll mill을 통과시켜 2℃에서 30분간 방치 후 제조한 것을 실험에 사용하였 다. 백설기의 수분함량, 부피, 색도, 기계적 텍스처와 강도와 기호도에 관한 관능평가를 측정하였다. 백설기의 수분함 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부피는 새고아미가 가장 컸고 백진주가 가장 작았다(p<0.05). L *값은 다산 과 새고아미가 유의적으로 밝았으나 control에 비해 낮았고, 백진주가 L *값이 가장 낮았다(p<0.05). b *값은 다산이 control 다음으로 가장 낮았고 백진주가 노란빛이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Texture analyzer를 이용해 측정 한 백설기의 경도는 설갱과 control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삼광이 가장 낮았으며, 부착성은 control이 가장 낮았고 새고 아미, 삼광, 다산, 설갱, 백진주 순으로 높았다(p<0.05). 관능평가 결과 강도 조사에서, 설갱이 경도가 가장 높았고, 부 착성은 백진주가 가장 높았다. 기호도 조사는 경도, 부착성과 촉촉함에서 백진주와 설갱의 기호도가 높고 새고아미가 기호도가 낮았는데, 이는 강도 조사 결과와 비례하였다. control과의 유사한 정도는 설갱으로 만든 백설기가 가장 높았 고, 백설기의 종합적인 기호도 역시 설갱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이를 종합한 결과, 건식 쌀가루로 백설 기를 제조 시 설갱이 5가지 품종 중 품질이 우수하며, 습식 쌀가루와 유사한 품질 특성을 띄는 것으로 나타났다.
        4725.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딸기는 독특한 향미 및 비타민 C와 페놀성 물질 함량이 높아 식품학적 가치가 우수한 작물이지만 과피가 약하고 대사속도가 빨라 쉽게 변질되는 작물이다. 죽향, 매향, 설향, 장희, 육보의 딸기 5품종을 -20℃ 냉동조건에서 7일간 냉 동한 후 4℃ 해동하여 냉동 딸기의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DPPH radical 소거능, 총 안토시아닌 및 비타민 C 함량을 분석하였다. 모든 품종에서 냉동 딸기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생과에 비해 감소하였고, 장희가 생과에 비해 0.5%로 가장 적게 감소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모든 품종에서 냉․ 해동 처리 후 증가하였고 장희가 26.27%로 높은 증가율을 나타났다. 죽향을 제외한 나머지 품종에서 냉동 딸기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생과에 비해 증가하였 고 육보가 생과에 비해 27.61%로 높은 증가율을 나타났다.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죽향과 장희를 제외한 나머지 품종 에서 생과에 비해 약간의 증가율을 나타났다. 냉·해동 처리 후 죽향의 비타민 C 함량은 생과에 비해 7.8%로 증가하였 지만 나머지 품종에서 냉동 딸기의 비타민 C 함량은 생과에 비해 감소하였고 장희와 매향이 생과에 비해 4.3과 5.3% 로 낮은 감소율을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5품종 중 장희가 냉·해동 처리 후 생리활성이 가장 좋게 나타났다
        4726.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developed a Amylose magnetic beads (AMBs) based detection system for high efficient separation, concentration and detection of E. coli O157:H7 in real sample. AMBs were synthesized by amylosucrase from Deinococcus geothermalis (DgAS) with iron-oxide nanoparticle (NP). The design of amylose magnetic beads (AMBs) have studied by an enzymatic synthesis with optimized reaction condition such as substrate, sucrose, and iron-oxide NP. AMBs have specific feature. AMBs decorated with functional fusion protein, which consists in a maltose binding protein (MBP) and a streptococcal protein G (SPG). Amylose chains has maltose, thus MBP-SPG binds to the AMB. In addition, SPG specifically binds to the Fc part of antibody. That was used as a linker to immobilize antibody to the surface of AMBs. The resulting AMBs were efficiently separated and concentrated target bacteria, E. coli O157:H7. Concentrated sample is qualitatively analyzed by PCR. Our studies demonstrated that AMB-based PCR significantly reduced the limitation of detection as low as 10 1 CFU/mL, compared to that of conventional PCR. The principle of this system can be served as a high efficiency for detection method of any pathogenic bacteria. In addition, AMBs and MBP-SPG cross-linker protein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pplicable to the portable food based biological processing monitoring system.
        4727.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n importance of food allergen detection has been growing in food industry. Here, we developed a rapid and easy-to-use detection system for Ara h1, a major allergen in peanut, using gold nanoparticles and switchable linkers. The detection system was performed by two steps. In the first step, Ara h1 was mix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0.2 - 1.0μg/mL) of biotinylated anti-Ara h1 antibody (i.e., switchable linker, SLs) solutions for 20 min. After mixing, streptavidin coated gold nanoparticle (Abs. 4.0) was added to the mixture solutions with agitation for10 min. Without Ara h1(control), the region of aggregation caused by quantitative relationship between SLs and gold nanoparticle was observed at more than 0.4 μg/mL of SLs. However, under presence of Ara h1, SLs covered with Ara h1 had less ability to react with gold nanoparticles than naked SLs. This resulted in a change of the quantitative relationship mentioned above, which led to shift of the aggregation region. When 10 nM and 40 nM of Ara h1 were added, the aggregation region was appeared from 0.5and 0.8 μg/mLof switchable linkers, respectively. Ara h1 in peanut sample was also detected with this system. 0.4 μg/mL of switchable linkers are mixed with serially diluted peanut extract solutions. As a result, the shift of the aggregation region was observed from undiluted extract to 10 -2 diluted solution. This system could be adapted to detect other harmful/useful bio materials in food.
        4728.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nched Capsella Bursa-pastoris with quick freezing, and thawing methods. Blanched Capsella bursa-pastoris was packed by vacuum packing (VP) and air containing packing (AP). After then, they were frozen at -20, -40, and 60℃ (immersion freezing). Then, they were stored at -20℃ during 1 week. They were thawed with normal (room temperature), running water and high frequency method. The pH and color of Capsella bursa-pastoris were not different before and after freezing. Likewise, total bacterial counts were shown without variation among them. The amount of drip from thawed Capsella bursa-pastoris was generally more in VP than AP. The cutting intensity of immersion freezing wes higher than that of other freezing methods (P<0.05). Therefore, we selected AP, immersion freezing and high frequency thawing methods for the high quality according to above results
        4729.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replacement effect of black chokeberry (Aronia melanocarpa) used in red-pepper paste seasoning with vinegar. Red-pepper paste seasoning with aronia and vinegar was prepared by mixing red pepper paste, aronia juice or vinegar, sugar and honey, and then aronia juice (J) was added to 0% (C), 50% (A1) and 100% (A2) by replacing the vinegar. As a result, the brightness of the prepared gochujang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level of the aronia juice. Total sugar and salinity of C, A1, and A2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p<0.05) in compared with that of aronia juice, 24.42 mg/mL and 1.11%, respectively. Also, pH level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 with increasing the content of the juice (p<0.05). However, total acidity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level of the juice (p<0.05) and A2 (6.55%) especially was lower than the juice, 8.06%. Meanwhile, the total polyphenols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tent of the juice at gochujang samples (p<0.05) and the polyphenols content of the aronia juice was the highest at all samples (p<0.05). The total anthocyanins were also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level of the juice (p<0.05). Antioxidant activity measured by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rate was the highest at the aronia juice (p<0.05). Consequently, the result of antioxidant activity of red-pepper paste seasoning with aronia suggested that aronia can be used as a substitute of vinegar in red-pepper paste seasoning with vinegar.
        4730.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나트륨 저감화를 위한 염미증진제 개발을 목적으로 대두 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eHVP)의 짠맛 강도평가와 이를 활용하여 샐러드드레싱 내 짠맛 증진효과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강도평가는 NaCl 기준 30 mmol, 40 mmol, 50 mmol 용액에 가수분해물을 각각 0.1%, 1.0%, 1.5%, 2.0% 첨가하여 농도별 증진효과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30 mmol 에서 는 15-22%, 40 mmol은 6-48%, 50 mmol에서는 5-39%의 증진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를 바탕으로 샐러드드레싱에 NaCl 2.0%를 기준으로 eHVP를 0.1%, 0.5%, 1.0%, 1.5% 첨가하여 짠맛강도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농도별로 약 31%, 29%, 43%, 52%의 증진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기호도는 0.5% 첨가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샐 러드드레싱의 색도는 L, a, b값 모두 0.5% 첨가구까지는 증가하다가 이후부터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pH는 대 조구 2.87 ± 0.05, 0.1% 첨가구 2.97 ± 0.03, 0.5% 첨가구 3.03 ± 0.06, 1.0% 첨가구 3.17 ± 0.07, 1.5% 첨가구 3.20 ± 0.06로 eHVP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산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과를 종합하여 봤을 때, 드레싱 안의 발사믹 식 초의 신맛이 대두 단백질 특유의 쓴맛을 감소시키면서 짠맛증진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4731.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의 목표는 쌀가루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쌀면을 제조하는데 있어 최적 품종을 결정하는 것이다. 쌀 면 제조에 사용된 쌀 품종은 아밀로오스 함량이 다른 품종인 밀양 278호, 한아름 2호, 백진주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에서는 쌀을 건식 제분하여 100-150 mesh 체를 통과한 쌀가루를 쌀면 제조에 이용하였다. 쌀가루의 물리화학적 특성 은 호화특성, thermo-mechanical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쌀가루의 아밀로오스 함량에 따라 호화특성 및 thermomechanical 특성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품종별 호화 개시 온도는 밀양 278호, 한아름 2호, 백진주 각각 70.0, 62.7, 63.0 ℃이었으며, 고아밀로스 함량을 갖는 쌀가루 품종인 밀양 278호는 높은 호화 온도를 나타내며, 호화 시 점도의 특성 또한 다른 품종과 차이를 보였다. 제조된 쌀면의 특성은 면의 질감분석, 조리손실률, 국물의 탁도, 단면사진을 통해 분 석하였다. 밀양 278호, 한아름, 백진주로 제조한 쌀 건면의 경도는 각각 4.55, 2.24, 1.89 N의 값을 나타내었다. 면을 삶았을 경우에 백진주는 면이 형성되지 않고 잘게 끊어져 면의 질감을 측정을 할 수 없었으며, 밀양 278호와 한아름 2호 쌀면의 Rmax 값은 각각 0.86, 0.46 N을 나타내었다. 밀양 278호 품종의 경우 다른 두 품종에 비해 호화 시 높은 점도를 나타내고, 낮은 조리 손실률 등 제면 가공적성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4732.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Nanoparticles are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electronics, medicines and getting focus on the application in food industry for developing intelligent delivery system with bioactive ingredients or functional nutrients. Basic study on possible toxicological effect of food applicable nanoparticles is required for a practical application in food industry. In this study, size-controlled bovine serum albumin (BSA) nanoparticles were prepared by a desolvation method and their cytotoxicity was investigated. BSA nanoparticles were prepared with mean diameters as 115, 137, 159, and 299 nm, then cytotoxicity was evaluated with RAW 264.7 macrophages as in vitro model. Cell viabilitie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as increasing nanoparticle concentration. Smaller the sizes of nanoparticles, LD50 valu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LD50 values of BSA nanoparticles were 50, 65, 126, and 170 μg/ml, respectively. Nanoparticle was supposed to induce the apoptosis of RAW 264.7 marcrophages and underlying mechanism will be investigated in future. These findings will be used as valuable basement for nanofood development with BSA nanoparticles.
        4733.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수분함량과 사출구 온도, 스크루 회전속도가 분리대두단백의 조직화 및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압출성형 조건은 스크루 회전속도를 250 rpm으로 고정하고, 수분함량과 사출구 온도를 20, 25% 와 120, 130, 140℃로 조절하였다. 또 다른 압출성형은 수분함량과 사출구 온도를 30%와 140℃로 고정하고 스크루 회전속도를 150, 200, 250, 300, 330 rpm으로 조절하였다. 사출구 온도가 120℃에서 140℃로 증가함에 따라 비기계적 에너지 투입량은 감소 하였으며 스크루 회전속도가 150 rpm에서 330 rpm으로 증가할수록 비기계적 에너지 투입량은 증가하였다. 사출구 온 도가 증가하고 수분함량이 감소할수록 직경팽화율과 비길이는 증가하였으며 밀도는 수분함량 20%에서 유의적인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출구 온도가 증가하고 수분함량이 감소할수록 기공형성이 증가하여 파괴력이 감소하였으며 사 출구 온도 140℃, 수분함량 20%에서 2.07E+04 N/m 2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수분함량이 25%에서 20%로 감소하면 서 갈변으로 인해 총색도차는 감소하였고 스크루 회전속도가 150 rpm에서 330 rpm으로 증가할수록 총색도차가 증가 하였다. 조직잔사지수는 사출구 온도가 증가하고 수분함량이 낮을수록 증가하였으며, 사출구 온도 140℃, 수분함량 20%에서 26.21 ± 4.28%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스크루 회전속도는 250 rpm에서 높은 조직잔사지수를 보였다. 사출 구 온도가 120℃에서 140℃로 증가하고 수분함량이 25%에서 20%로 감소할수록 수용성 질소지수는 증가하였으며 수 분함량 20%, 사출구 온도 140℃에서 9.72 ± 0.62%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스크루 회전속도가 330 rpm에서 150 rpm 으로 감소함에 따라 수용성 질소지수는 감소하였으며 150 rpm에서 4.26 ± 0.81%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수분함량이 분리대두단백 고조직화의 가장 중요한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4734.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특용 작물인 생강(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은 생강과(Zingiberaceae)에 속하는 아열대 또는 열대 원산의 다년 생 초본 식물의 하나로서, 특유의 맛과 향기를 가지고 있으며, 생리 활성 성분으로는 항균작용, 항염작용, 혈청콜레스테 롤저하, 항산화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생강의 매운맛 성분 중의 하나인 6-gingerol은 소염, 살균 효과 및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추(Ziziphus jujube Miller)는 갈매나무과(Rhamnace)에 속하는 낙엽 활엽교목의 열매로서 생리 활성 성분으로는 각종 sterols, alkaloids, saponins, vitamins, serotonin, organic acid, fatty acids, polyphenol, flavonoids 및 amino acids 등이 보고 되어있다. 천연의 단맛을 갖고 있는 대추는 우리나라에서도 생산량이 많아 수입에 의존하지 않고 다양한 식품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특용작물의 생리활성과 높은 기호도로 인해음료류에 많 이 사용되고 있는 생강과 대추의 기능성 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국내외산 생강과국내산 대추의 중간소재를 구입하여 80% 메탄올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의 total phenolics contents (TP), total flavonoids contents (TF)를 측정하였으며, ABTS radical 소거능, DPPH radical 소거능으로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TP 함량(mg GAE/100g sample)은 국내, 국외 생강 중간소재의 경우 각각 1,133 ± 58, 1,520 ± 76으로 국외 소재가 더 높게 나타났다. 대추 중간소재 의 경우 건조분말 1,867 ± 87, 농축분말 372 ± 19로 측정되었다. TF (mg CE/100g sample)는 생강의 경우 국내산 227 ± 13, 외 국산 229 ± 14, 대추의 경우 건조분말 179 ± 11, 농축분말 33 ± 14로 측정되었다. 특용작물의 항산화능은 DPPH 라디칼 소 거능(mg VCE/100g sample)을 측정 시, 생강의 경우 국내산 1,500 ± 170, 외국산 2,067 ± 99, 대추의 경우 건조분말993 ± 64, 농축분말124 ± 9로 나타났다. ABTS 라디칼 소거능(mg VCE/100g sample)은 생강의 경우 국내산 3,322 ± 109, 외국산 1,248 ± 338, 대추의 경우 338 ± 4, 외국산 782 ± 11로 측정되었다. 통계분석(t-test)을 통해, 생강의 TF를 제외한 TP 및 항산화능 에서 국내외산 생강 및 대추 중간소재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단호박과 귀리는 우리나라 에서 식품의 중간소재로 많이 활용되고 있지만 중간소재로서의 기능성 분석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 서, 중간소재로 사용되고 있는 특용작물의 기능성 분석에 대한 기초 자료로 본 실험의 결과가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735.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베리류에 속하는 아로니아와 블루베리는 anthocyanins, flavonoids, phenolic acids 등과 다양한 polyphenolic compound와 vitamin C와 E 등을 다량함유하여 기능성 원료로 각광 받고 있다. 초기 수입에 의존하던 베리류는 최근 국내에서 생산되 기 시작된 후 생산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베리류는 그 특유의 향과 맛, 색으로 인해 음료의 중간소재로써 많이 사용되 며, 그 중 기능성 성분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아로니아와 블루베리의 시판 중간소재를 선택하여 기능성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국내외산 아로니아와 블루베리의 중간소재를 구입하여 80% 메탄올로 추 출 후, 추출물의 total phenolics contents (TP), total anthocyanins contents (TA), total flavonoids contents (TF)를 측정하였다. 또한 항산화능을 측정하기 위해 ABTS radical 소거능,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TP 함량(mg GAE/100g sample)은 국내, 국외아로니아중간소재의 경우 각각 6,050 ± 401, 7,600 ± 176로 국외 소재가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국내외 블루베리 중간소재의 경우 TP 함량이 각각 2,916 ± 200, 2,016 ± 50으로 측정되어 국내산 소재가 더 높았다. TF (mg CE/100g sample)는 아로니아 중간소재의 경우 국내산 3,717 ± 252, 외국산 4,283 ± 100, 블루베리 중간소재의 경우 국내산 1,327 ± 31, 외국산 1,033 ± 40으로 측정되었다. TA (mg CGE/100g sample)는 아로니아의 경우 국내산 538 ± 42, 외 국산 1,097 ± 83, 블루베리의 경우 국내산 513 ± 31, 외국산 350 ± 42로 측정되었다. 베리류의 항산화능은 DPPH 라디칼 소 거능(mg VCE/100g sample)으로 측정 시, 아로니아의 경우 국내산 10,350 ± 475, 외국산 12,667 ± 437, 블루베리의 경우 국 내산 400 ± 176, 외국산 2,483 ± 444로 나타났다. ABTS 라디칼 소거능(mg VCE/100g sample)은 아로니아의 경우 국내산 14,461 ± 356, 외국산 18,050 ± 907, 블루베리의 경우 국내산 7,050 ± 321, 외국산 6,094 ± 184로 측정되었다. 통계분석 (t-test)을 통해, TP, TF, TA 및 항산화능 모두국내산과 국외산 아로니아 및 블루베리 중간 소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 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베리류는 식품에서 중간소재로 많이 활용되고 있지만 중간소재의 기능성 분석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를 중간소재로 사용되고 있는 베리류의 기능성 분석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4736.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곡물류 중 단호박은 서양계호박(Cucurbita maxima Duch)으로 분류되며 당분과단백질, 지방, 총아미노산, 유리당, vitamin A·B1, B2 및 vitamin C와 Fe 및 카로틴 함량이 높고, 전자공여에 의한 라디칼 소거능, SOD 유사활성 및 아질 산염소거 작용 등의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귀리(Avena sativa L.)는 수용성식이섬유의 생리적 기 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수용성 β-glucan의 함량이 높은 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되었다. 귀리는 식품에 이 용 될 때 생곡류의 특유의 이취를 없애고 풍미를 좋게 하기 위하여 중간소재로써 볶은 귀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기능적인 특성으로 선식이나 곡류 차 등 음료의 중간소재로써 많이 사용하게 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곡류 중 기능성 성분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단호박과 귀리를 선택하여 기능성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시중에 서 판매되고 있는 국내외산 단호박과 귀리의 중간소재를 구입하여 80% 메탄올로 추출 후, 추출물의 total phenolics contents (TP), total flavonoids contents (TF)를 측정하였다. 또한 항산화능을 측정하기 위해 ABTS radical 소거능,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TP 함량(mg GAE/100g sample)은 국내, 국외 단호박 중간소재의 경우 각각 476 ± 20, 273 ± 20으로 국내 소재가 더 높게 나타났다. 귀리 중간소재의 경우 106 ± 4, 126 ± 3으로 측정되었다. TF (mg CE/100g sample)는 단호박의 경우 국내산 23 ± 2, 외국산 14 ± 1, 귀리의 경우 국내산 23 ± 2, 외국산 71 ± 6으로 측정되었다. 곡 류의 항산화능은 DPPH 라디컬 소거능(mg VCE/100g sample)을 측정 시, 단호박의 경우 국내산 199 ± 46, 외국산 103 ± 10, 귀리의 경우 국내산 72 ± 5, 외국산 70 ± 6으로 나타났다. ABTS 라디컬 소거능(mg VCE/100g sample)은 단호박 의 경우 국내산 311 ± 8, 외국산 133 ± 4, 귀리의 경우 국내산 161 ± 23, 외국산 2,384 ± 113으로 측정되었다. 통계분석 (t-test)을 통해, 귀리 중간소재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제외한 TP, TF 및 ABTS radical 소거능에서 국내산과 국외산 단호박 및 귀리 중간소재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단호박과 귀리는 우리나라에서 식품 의 중간소재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곡류이지만 중간소재의 기능성 분석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결과를 통해 중간소재로 사용되고 있는 단호박과 귀리의 기능성 분석에 대한 기초 자료를 확보 할 수 있을 것이다.
        4737.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둥근 마는 전북 정읍지역에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숙취해소, 자양강장, 소화촉진, 혈당저하, 변비해소, 피로회복 등 에 이용되고 있다. 주성분으로 전분, 뮤신, 사포닌, 아르기닌 등 특수성분이 많이 들어있고 일반 마에 비해 뮤신, 디오 신, 섬유질이 2.5~3.5배 정도 많이 함유되어 있으나 주로 생과나 분말로 판매되어 꿀, 우유, 요구르트에 섞어 마시거나 즙 등으로 가공 유통이 제한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둥근 마의 이용성을 높이기 위한 적정 초산발효 조건 선발을 위한 품질특성 변화를 알아보았다. 초산발효를 실시하기 전 알콜 발효를 먼저 실시하여 마 첨가비율을 선발한 결과 마 첨가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당도, 알콜 함량은 감소하였으나 마 20% 첨가 시 알콜 함량 16.5%를 나타 내어 대조구 알콜함량 17% 대비 알콜함량 효율이 우수하였다. 마의 주요성분인 디오신 함량이 0.216 mg/g을 나타내었 으며 관능평가에서도 마 첨가량 20%에서 우수하여 초산발효 시 마 첨가량으로 적정 하였다. 마 초산발효를 위한 알콜 함량 선발시험 결과 알콜 함량 6%에서 총산도 4.79%, 당도 3.6°Bx를 나타내었다. 또한 초산균 선발을 위해 자체 선발 균주 17종을 대상으로 16S rRNA로 동정한 결과 A. pasteurianus 2종을 선발하여 초산균으로 이용한 결과 막걸리에서 분리 동정한 A. pasteurianus 초산균 사용 시 총산도 4.41%, 당도 3.7°Bx, pH 3.34를 나타내어 초산발효 조건으로 우수 하였다.
        4738.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at! It entices us with its awesome components such as β-glucan and unsaturated fatty aci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flour size distribution, pH, moisture content, Hunter color value, polyphenol, protein, flavonoid, lipid rancidity, β-glucan content and sensory evaluation of covered and naked oat flour that heated at 80, 120, 160 and 200℃. It was roasted for 5min to begin with, followed by complete cool, and for 10min at the second time. There was some difference in flour size distribution before and after of roasting. With increasing temperature, oat was more broken finely. For the Hunter b value representing the blackish color of the surface, after oats went through a roasting process, one went through until 160℃ showed same color statistically. Moisture content declined more as the roasting temperature became higher. As for pH, its range of variation was small from 6.2 to 6.6. While a polyphenol was on the reduction, protein was on the rise by the increase of temperature. In total, a flavonoid was declined at 80℃ but increased from 120 until 200℃ compared to control. A MAD (malonaldehyde) related with lipid acidification was statistically identical until 160℃ and sharply risen at 200℃. Roasting conditions had significant effect on β-glucan content. A covered oat’s β-glucan was declined as opposite to naked oat’s β-glucan with temperature being increased. Variation in sensory evaluation such as color, taste, smell and preference was observed.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pecimens heated at 160℃ and 200℃ of covered and naked oat in sensory evaluation(p<5%). All things considered including MDA, β-glucan content and sensory evaluation, a optimum temperature for roasting oat to develop processed goods was verified as about 160℃.
        4739.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귀리의 베타글루칸은 혈중 총콜레스테롤 및 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며, 항암작용, 피부염증억제 등의 고기능 성 식품으로 알려져 있지만, 주로 혼반용이나 오트밀로 판매되고 있어서 다양한 가공품 개발이 필요하다. 귀리 가공품 적용을 위하여 귀리의 산패를 예방하고 식미감을 높이기 위한 전처리 방법으로 가볍게 물로 1회 세척 후 물기를 충분 히 제거한 상태에서 증자 5, 10, 20분과 중온볶음(170~190℃) 10, 20, 30분, 고온볶음(220~240℃) 5, 10, 20분으로 구분 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 베타클루칸 함량은 증자와 볶음 처리에서 생귀리 대비 증가하였으며, 증자 20분에서 1.8배, 고온볶음 10분 처리에서 3.2배 증가하였다. 또한 지방 산패의 원인이 되는 산가는 증자와 볶음처리에서 감소하였으며, 증자는 20분 처리에서, 고온볶음 5~10분 처리구에서 낮게 나타났다. 겉귀리 분말을 첨가한 국수를 제조하기 위하여 전체중량의 10~30%까지 첨가하여 국수를 제조한 결과 귀리분말을 첨가함에 따라 조리 후 무게와 부피가 유의하게 증 가하였으며, 수입 밀 또는 우리 밀만으로 제조한 것보다 국물의 탁도가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귀리국수의 물성은 귀리 분말 30% 첨가에서 경도가 급격히 낮아지면서 탄력성도 낮아졌으며 국수의 끊김 현상이 증가하였고, 10~20% 귀리분 말 첨가에서 조리 전, 후의 수입 밀가루 대비 색, 향, 맛 또는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귀리의 영양성 분인 베타글루칸 역시 귀리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4740.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판토텐산과 비타민 B6는 비록 미량 성분이나 건강 유지를 위해 식품이나 건강보조제를 통한 충분한 섭취가 요구되 고 있으나 국내 식품에 대한 판토텐산 및 비타민 B6에 대한 데이터는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판토텐산(pantothenic acid) 은 뇌의 콜린 성분이 신경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으로의 전환을 돕고 체내 지방산 합성과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상처치료, 콜레스테롤 균형, 스트레스 유발 호르몬 조절, 혈압 조절, 피부와 모발 노화 지연, 면역체계 증진 등 다양한 기능에 관여하는 수용성 비타민이다. 비타민 B6(pyridoxine)는 아미노산 및 단백질 대사에 중요한 효소를 구 성하며, 신경전달 물질의 생산과 세로토닌(호르몬)의 분비에 관여하는 수용성 비타민으로서 호모시스테인의 이화작용 및 인산화효소(phosphorylase) 반응의 조효소로서도 작용한다. 판토텐산과 비타민 B6 함량 분석을 위해 HPLC를 이용 하였으며 사용된 지역 농산물은 삼채 등 56 종이었다. 판토텐산은 56종의 시료 중 느타리버섯에서만 유일하게 검출되 었는데 1.9 mg/100g 함유되어 있었다. 비타민 B6는 51개 시료에서 검정되었으며 산수유(열매, 생것)에서 0.16~0.17 mg/100g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감, 한산모시잎, 갓, 키위 등에서 0.070 mg/100g 이상의 함량을 보였다. 본 실험 결 과는 국가 표준 식품성분표(제 9개정판) 제작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