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 추계학술발표회 (2014년 10월) 269

221.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everal Mites are currently the most serious threat to the world bee industry. The ectoparasitic honey bee mites was originally confined to the Asian honey bee(Apis cerana etc.). Varroa destructor and Tropilaelaps clareae has plagued European honey bees, Apis mellifera. Differences in mite tolerance are reported between two honey bee species A. mellifera and A. cerana. We were amplified antimicrobial peptide cDNA genes (Defencin, Abaecin, Royalisin, Apidaecin and Hymenoptaecin) by RT-PCR. We explored the transcriptional response to mite parasitism in A. mellifera 4th instars larvae which differ in susceptibility to V. destructor and T. clareae, comparing parasitized and non-parasitized 4th instars larvae (worker and Drone) from same hive.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of worker bees and Drone bees induced by mites (V. destructor and T. clareae) infection was investigated by northern blot. Mites (V. destructor and T. clareae) parasitism caused changes in the expression of genes related to sex distinction. Bees tolerant to mites (V. destructor and T. clareae) were mainly characterized by differences in the expression of genes regulating antimicrobial gene expression. It provides a first step toward better understanding molecular expression involved in this differential sex distinction host-parasite relationship. We were detected bee virus in A. mellifera, comparing parasitized and non-parasitized 4th instars larvae (worker and Drone). Therefore, this result was demonstrated that mites were another possible route of horizontal transmission, as several viruses were detected in mites and their hosts.
222.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carabaeus typhon has the extensively wide distribution from Europe to the Far East Asia and the extremely similar morphological feature with closely related species. The Korean population of S. typhon had often been confused in its specific status including several misidentifications and synonymous name. By these circumstances, we presum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o exist potential cryptic species or subspecies, which might be separated between local populations across their distribution range. Therefore, the primary aim of this study was to reassess that the geographical populations of S. typhon can be divided into each other and to establish a sketchy knowledge of its unknown phylogenetic relationships between the relatives using COI gene and comparative morphology. As the result, S. typhon was detected as a single species despite to have the wide distribution and the various intraspecific distances ranging from 0.67% to 3.50%. Two species, S. pius and S. babori were revealed to have two distinct lineages respectively. Among them, two Korean female specimens were detected belonging to group B of S. pius, it is suggested as a cryptic species or subspecies.
223.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e present study, lichen(Parmelia sp.) extract showed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Aedes albopictus, and the effect of growth inhibiting activity was investigated. Acetone and methanol extracts of the lichen against larvae of Aedes albopictus were showed high insecticidal activities in low lethal concentration. 50% lethal concentration of the acetone extractof the lichen is 0.13% and the 50% lethal concentration of methanol extract of lichen is 0.15% respectively. This experiment that used acetone and methanol extracts of the lichen were observed for 24, 48 and 72 hours. As a result, the higher concentration and the longer exposure time is increased mortality against Aedes albopictus. Pupation time took more time as the higher concentration of acetone extract of lichen. Consequently, the lichen extract is effect in inhibiting the growth of Aedes albopictus larvae. In this experiment indicates that lichen extract has activity against Aedes albopictus and is available as the natural insecticide.
224.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ethyl Bromide (MB) has been regulated by montreal protocol due to ozone depletion since 1992, and there is a need to develop MB alternative fumigation methods. To find out the efficacies and tolerance in developmental stages of citrus mealybugs (Planococcus citri) which frequently infested in imported pineapples, phosphine(PH3) gas was tested in different exposure times (2~24 hr) and concentrations (0.1∼2g/m3) in small desiccators at 8℃. Based on Lethal 99% concentration × time products (LCTP 99%) of PH3 gas to target developmental insect, 2g/m3 PH3 was applied for 24 hr in 300 m3 fumigation facility, which was designed in well sealed and evacuation system (5 air exchange/min). We monitored PH3 gas in fumigation facility to confirm CTP and checked PH3 gas in atmospheres in air ventiliation process after fumigations to make quarantine guideline and protocol for worker safety as well as efficacy to target pest.
225.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Next Generation Sequencing을 이용한 분석 서열을 기반으로 매미나방의 Microsatellite loci 탐색 및 marker 개발을 수행하였다. 매미나방의 Genomic DNA 서열 분석은 MiSeq Sequencer (Illumina)의 1/8 plate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판독 된 유전자 서열의 길이는 총 3,974,358,483 bp로 평균 248.58 bp로 구성된 총 15,988,036 개의 분석단편이 확보되었으며, 이를 CLC workbench를 이용하여 총 367,397,618 bp로 조합하였다. 조합된 Genomic DNA 서열을 대상으로 반복서열 길이 2~4 bp, 반복횟수 4회 이상의 조건으로 총 1,864 개의 Microsatellite loci를 탐 색하였다. 이 중 반복횟수 6회 이상의 430 loci에 대한 marker 제작 가능성을 TM 55.5~56.5℃, GC contents 30% 이상, primer length 18~22 bp의 조건으로 Primer3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총 207 개의 marker를 제작하였다. 선별된 207개 marker 중 150개 마커에 대해 일반 올리고 primer set를 제작하여 PCR을 통한 유용 성 평가를 실하였으며, 그 결과 총 51개의 마커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어 Genotyping 용 형광 dye인 FAM을 부착한 분석용 마커로 제작하였다. 현재는 PCR 을 통한 결과만을 이용하여 유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추후 분석용 마커를 이용하 여 Genotyping을 통한 유용성 평가를 수행할 예정이다. 주요 검역 해충으로 알려져 있는 매미나방의 Microsatellite 마커의 개발은 한국을 비롯한 인근 지역의 지역적 개체군 분석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결국 식물검역에서 매미나방 의 유출 국가 및 지역에 대한 판별 분석에 유용할 수 있을 것이다.
226.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한국에 서식하는 매미나방의 개체군 구조 분석을 수행하였다. 한국 전역을 32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페로몬 트랩을 이용해 샘플을 채집하였으나, 이 중 31개 지역으 로부터 확보된 930 개체를 대상으로 COI gene 서열이 확보된 876개체(n=20~30) 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Haplotype diversity는 total 0.6853 ± 0.0143으로 나타났는데, 25번 지역이 0.8128 ± 0.0648으로 가장 높았고, 1번 지역이 0.3080 ± 0.1075으로 가장 낮았다. Nucleotide diversity는 total 0.017513 ± 0.012941로 나타 났는데, 25번 지역이 0.027003 ± 0.018376으로 가장 높았고, 2번 지역이 0.005875 ± 0.006619으로 가장 낮았다. 또한, FST는 0.16154로 나타났다. Median joining network에서도 각 지역 간에 뚜렷한 구분점을 발견할 수 없었다. 이로 볼 때, 한국 에서 매미나방은 인접한 지역 간의 개체들이 무작위적 교미가 빈번한 것으로 보인 다. 다만, 이들이 날개의 크기나 무늬 등에 의해 아종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볼 때, 추 후 날개 형질과의 연관성을 비교해 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Neighbor joining tree에서는 3번 지역에서 확보된 2개체가 다른 개체들에 비해 0.5% 이상의 서열 차이로 뚜렷하게 구분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 두 개체들에 대해 NCBI의 blast searching을 해본 결과, 폴란드 개체와 서열이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동유럽으로부터 유래한 EGM으로 추정되었다. 결과적으로 국내 매미나 방의 개체군 구조 분석을 통해 지역 개체군간의 관계를 밝힘과 함께 876개체의 매 미나방 DNA 바코드를 확보하였으며, 이는 외래 유입 매미나방에 대한 일차적 모 니터링에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27.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1년 강원도 고랭지 배추재배지에서 사탕무씨스트선충(H. schachtii)이 우리 나라에서 최초로 발생하였다. 사탕무씨스트선충은 유럽, 미국 등 전 세계적으로 주로 사탕무, 배추 등 십자화과에 피해를 주는 중요한 선충이다. 사탕무씨스트선충에 대한 내성한계 밀도는 방제의사 결정에 중요하지만 작물 재배지역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어 국내 고랭지 여건에 맞는 배추의 내성 한계밀도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사탕무씨스트선충에 대한 밀도별 고랭지배추의 피해수준을 구명하여 내성 한계밀도 기준을 제시하고자 강원도 삼척시 포장에서 포트검정(직경 29cm)으로 2014년 5월 28일부터 8월 13일까지 수행하였다. 토양 1cm3당 0, 0.5, 1, 2, 4, 8, 16, 32, 64, 128, 256, 512 eggs의 밀도별로 배추(품종 : 춘광)를 포트당 1주씩 심었으며 8반복으로 처리하였다. 배추 정식 65일 후 배추의 지상부 생체중을 조사하였으며, 선충밀도는 토양내 씨스트 수와 씨스트 내 2기 유충과 알 수를 조사하였다. 사탕무 씨스트선충 초기 밀도가 토양 1cm3당 2eggs/cm3 이상에서 배추의 지상부 생체중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사탕무씨스트선충에 대한 고랭지 배추 의 내성 한계 밀도는 토양 1cm3당 2eggs 수준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228.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소나무재선충에 대하여 살선충 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베트남 에서 구입한 90종의 한약재를 이용하여 메탄올 추출한 뒤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살 선충 활성을 검정하였다. 10,000ppm 농도로 DMSO에 녹인 시료를 100ppm 농도 로 물에 희석한 후 소나무재선충 감염목에서 분리한 소나무재선충을 24시간 직접 노출시키고, 치사 여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식물체 추출물 처리에서 낮은 살선충 활성을 보이거나 살선충 효과가 없었으나 한련초(Eclipta prostrata) 에서는 100%의 보정사충률을 보였다. 한련초 메탄올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 시 25ppm농도까지 소나무재선충이 생존하지 못하였으며 12.5ppm과 6.25ppm에서 는 각각 28.8%와 85.3%의 생충율을 보였다. 한련초 추출물의 나무주사 효과의 검 토와 함께 한련초 추출물에서 항균 및 항세균 작용이 확인 된 바 있고, 살충작용도 보고되고 있어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살선충 물질의 탐색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 으로 생각된다.
229.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곰솔을 비롯한 소나무류에 막대한 피해를 주는 소나무재선충병의 매개체인 솔 수염하늘소 성충의 방제를 위하여 다목적 산불진화용 방제차(HF-1500N) 및 농업 용 광역살포기(HSU-3000-Ⅳ)를 이용한 지상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공시약제는 소나무재선충병 항공방제에 사용되는 티아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10%)를 이용 하였고, 곰솔림에서 약제를 살포(1,000배 희석액)한 후 경과시기별로 시료를 채취 하여 실내에서 살충효과를 조사하였다. 다목적 산불진화용 방제차의 경우 살포 횟수별로(2주간격으로 1회 살포) 살포 직후 시료를 채취하여 실내에서 솔수염하늘소에 대한 살충효과를 조사한 결과 1 회, 2회, 3회 살포구에서 1일차에 각각 83.3, 77.8, 75%, 3일차는 91.7%, 100%, 97.2%로 나타났다. 2주 경과 후 각각 1일차에 88.9%, 88.9, 97.2%, 3일차에는 처리 구 모두 100% 살충효과를 보였다. 3주 경과 후 1일차에 61.1%, 75.0%, 88.9%, 3일 차에는 72.2%, 80.6%, 97.2%였으며, 4주 경과 후 1일차에는 75.%, 63.9%, 75.0%, 3일차에 86.1%, 72.2%, 80.6%로 나타났다. 또한 약제를 살포한 후 강우가 방제효 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1일차에 78.3%, 3일차에 91.7%의 살충효과를 보 였다. 광역살포기로 부터 70m, 90m, 110m 거리에 솔수염하늘소 성충을 배치하고 약 제 살포 후 건전한 곰솔가지를 먹이로 하여 실내에서 개체사육을 실시한 결과 각각 1일차에는 78.5%, 72.3%, 49.1%였으며, 2일차에는 98.5%, 86.9%, 50.0%가 치사 되었다. 또한 20m, 40m, 70m거리에 소나무를 배치한 후 약제살포를 실시하고 1주 일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살충효과를 조사하였다. 살포지점으로 20m, 40m, 70m 거리에 배치된 시료에서 각각 1주일 경과 후 3일차에 95.3%, 98.0%, 96.0%였 고 5일차에는 모든 처리구에서 100%였다. 2주 경과시에는 3일차에 88.7%, 63.3%, 67.3%, 5일차에 100%, 100%, 93.3%로 나타났다. 3주 경과 후에는 3일차에 각각 70.7%, 49.3%, 18.7%로 살충효과가 떨어졌다.
230.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 애완곤충 시장의 발달과 더불어 수서곤충류에 대한 수요 역시 증가하고 있 어, 본 연구는 수서곤충들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지도를 알아보고 대상곤충의 서식 특성과 실내사육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도시(서울, 부산, 광주) 지역의 대학 생 131명을 대상으로 수서곤충들에 대한 인지도 지수들(선호성, 희귀성, 환경적 중 요성, 교육 및 연구용으로의 활용가치, 시장성, 산업적 활용성)에 대한 조사에서 물 방개(Cybister japonicus Sharp)가 평균적으로 높은 지수를 보였다. 물방개류는 달 뿌리풀이나 나도겨풀 등이 우점하고 있는 둠벙이나 계곡형 저수지에서 성충들이 월동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이러한 식생 주변에 새우, 물고기 알이나 치어, 유 기물 등의 먹이가 상대적으로 풍부하게 존재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물방개류 실내 사육 시 수온이 25℃일 때 산란율이 가장 높았고, 28℃이상에서는 산란을 하지 않 았으며 교미행동도 4회 이상 이뤄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특히, 검정물방개는 난 기 약 7일, 1령충 약 4일, 2령충 약 15일, 3령충 약 32일로 용기 및 성충기를 제외하 고 60여일 전후의 생활사를 보였다. 물방개 2-3령 충은 갈색거저리 유충과 붕어치 어를 장구벌레나 깔따구 유충 보다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검정물방개 1-3 령 충은 장구벌레를 가장 선호하였고 갈색거저리 유충이나 붕어치어 등은 덜 선호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방개류 성충은 제공된 인공사료들 중 멸치분말을 함유한 사료에 가장 강한 선호행동을 보였다. 현재 검정물방개 유충의 생먹이들에 대한 먹 이 선호도를 조사 중이다.
231.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ecently, researches of molecular biology for the identification of root-knot nematode (RKN) species have been reported in plant quarantine. In this study, applicable and reproducible method to extract high quality genomic DNA from single nematode (Meloidogyne spp.) was developed. Also, the modified method was verified by DNA manipulation techniques such as PCR amplification and cloning. Single juvenile was floated in a drop of water and digested with proteinase K for 24 h. After that, DNA was extracted by using distilled water as extraction buffer. PCR amplification was carried out with universal primers spanning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to distinguish species. When using the existing DNA detection method, quantification results showed that 42.86% of the deposited DNA was extracted. Whereas the modified DNA extraction method was increased to 100%. When PCR products test the direct sequencing using the ITS rDNA primers, it was also identified as M. javanica, M. incognita, and M. hispanica. Based on the studies conducted, the application of this modified method would be useful and efficient on plant parasitic nematode molecular assay.
232.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복숭아 과원에서 해마다 노린재가 지속적으로 많은 피해를 끼치고 있으며, 생육초기에는 장님노린재류의 발생이 많고 복숭아 생육후기에는 갈색날개노린재 와 썩덩나무노린재 등의 피해가 많은 경향이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를 이용한 예찰에서는 해에따라 편차를 보이고 있는데 2012년도의 경우 초발시기가 4월 중순경이었으며, 2013년과 2014년에는 3월경 고온의 영향으로 초발시기기가 빨라져 2013년에는 4월 상순에 초발하여 일시적으 로 증가하다가 4월에 저온현상이 지속되어 본격적인 증가는 5월 상중순에 이루어 졌으며 2014년에는 3월 하순에 초발하여 4월부터 본격적으로 발생하였다. 한편 복숭아 과실에서 노린재의 흡즙 부위를 통해 각종 병해의 증가 원인이 되고 있는데, 복숭아 생육초기인 5~6월의 세균성구멍병과 중만생종 수확기의 잿빛무늬 병 발병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2013년과 2014년에는 세균성구멍병의 발병이 크게 증가하였는데, 복숭아 생육 초기인 낙화 후부터 적과하기 전까지 노린재류 방제를 통해 유과기의 세균구멍병 을 75%정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복숭아 성숙기부터 수확기까지 노린재 류 방제를 통해 잿빛무늬병을 39% 정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233.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Under field conditions, we investigated how transgenic Bt cabbage expressing the insecticidal Cry1Ac1 protein affects two target Lepidoptera species — Plutella xylostella (Plutellidae) and Pieris rapae (Pieridae) — as well as the structure of the local non-target arthropod community. When exposed to Bt cabbage line C30, Plutella xylostella and Pieris rapae were significantly less abundant than when in the presence of the non-transgenic control. Multivariate analyses (PerMANOVA and NMDS) showed that composition of the non-target arthropod community was affected by sampling date but not by cabbage genotyp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ansgenic cabbage expressing Cry1Ac1 protein can be effective in controlling Plutella xylostella and Pieris rapae in the field and that cultivation of this cabbage may not adversely affect such non-target arthropod communities.
234.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팀은 누에 번데기 섭취에 의한 근육량 증가를 보고한 바 있다. 지속 연구 로서 경북 영덕군에서 생산된 누에번데기를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한 후 백서에게 섭취시켰을 때 나타나는 혈중 지질 성분의 개선효과를 저항성 운동을 부하하였을 때 나타나는 상승효과와 함께 분석하였다. ICR 마우스 28마리를 네 집단으로 구분 하였다. 집단은 대조군(CON), 운동군(EX), 메뚜기 섭취군(SP), 메뚜기 섭취 + 운 동 병행군(SPEX)으로서 7마리씩 구분하였다. 총 섭취 및 운동기간은 8주였으며, 번데기 분말은 사료 중 카제인과 1:1로 치환하여 공급하였다. 분석은 중량, 지방량, 그리고 혈중 지질성분으로서 총콜레스테롤(TC),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HDL-C),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LDL-C) 그리고 중성지방(TG)으로 하였다. 사육 종료 후 체중 증가량은 집단 구분의 순서대로 26.22 g, 13.33 g, 19.60 g, 9.07 g으로 각각 나타났으며, 저장 지방량은 1.30 g, 0.70 g, 0.87 g, 0.50 g으로 각각 나타 났다. TC는 CON에 비하여 EX 0.39%, SP –13.54%, SPEX –22.77%의 변화가 나타 났으며, HDL-C는 CON에 비하여 EX 12.19%, SP 8.61%, SPEX 31.10%의 변화가 나타났다. LDL-C는 CON에 비하여 EX –9.83%, SP –39.84%, SPEX –78.23%의 변 화가 나타났으며, TG는 CON에 비하여 EX -16.91%, SP –23.38%, SPEX –73.88% 의 변화가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누에 번데기 섭취 혹은 운동과 병행하며 섭취하였을 때 혈중 지질성분을 개선하여 대사증후군을 예방·개선할 수 있다는 점 을 시사하며 이는, 메뚜기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양질의 아미노산 및 불포화지방산 에 의한 것이라 판단된다.
235.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식용곤충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경북 문경지역에서 2013년도에 채취한 벼메뚜기를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한 후 백서에게 섭취시켰을 때 나타나는 혈중 지질 성분의 개선효과를 검토하였다. 동시에 지구성 운동을 부하 하였을 때 나타나는 상승효과를 분석하였다. ICR 마우스 28마리를 네 집단으로 구 분하였다. 집단은 대조군(CON), 운동군(EX), 메뚜기 섭취군(GH), 메뚜기 섭취 + 운동 병행군(GHEX)으로서 7마리씩 구분하였다. 총 섭취 및 운동기간은 6주였으 며, 메뚜기 분말은 사료 중 카제인과 1:1로 치환하여 공급하였다. 분석은 중량, 지방 량, 그리고 혈중 지질성분으로서 총콜레스테롤(TC),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HDL-C),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LDL-C) 그리고 중성지방(TG)으로 하였다. 사육 종료 후 체중 증가량은 집단 구분의 순서대로 10.32 g, 9.25 g, 13.90 g, 11.60 g으로 각각 나타났으며, 저장 지방량은 0.60 g, 0.37 g, 0.39 g, 0.31 g으로 각각 나타 났다. TC는 CON에 비하여 EX 2.93%, GH –8.50%, GHEX –19.06%의 변화가 나 타났으며, HDL-C는 CON에 비하여 EX 50.72%, GH 46.85%, GHEX 54.96%의 변화가 나타났다. LDL-C는 CON에 비하여 EX –27.95%, GH –53.81%, GHEX – 69.16%의 변화가 나타났으며, TG는 CON에 비하여 EX –15.86%, GH –-6.82%, GHEX –42.62%의 변화가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벼메뚜기 섭취 혹은 운동 과 병행하며 섭취하였을 때 혈중 지질성분을 개선하여 대사증후군을 예방·개선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며 이는, 메뚜기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불포화지방산에 의한 것이라 판단된다.
236.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Leptotrombidium pallidum is the major vector mite for Orientia tsutsugamushi, the causative agent of scrub typhus, in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The genome size of L. pallidum was previously estimated to be 191 ± 7 Mb (Kim et al., 2014). Genomic DNA (gDNA) was extracted from a single female from a 9-generation inbred L. pallidum colony and used for whole genome amplification (WGA). The resulting amplified gDNA was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paired-end and mate-pair libraries and sequenced using Illumina platforms (HiSeq2000 and MiSeq). An unamplified gDNA sample extracted from 20 female mites was also used for sequencing in parallel. More than 45Gb sequence reads from both paired-end and mate-pair libraries of the WGA gDNA were trimmed and then de novo assembled using the CLC Asembly Cell v.4.0 for contig assembly and SSPACE for scaffolding. The assembly generated approximately 6,545 scaffolds with N50 value of 92,945 and total size of ~193Mb, which was in a good agreement with our previous estimation. Repeat analysis showed that about 30% of genome (~58Mb) was masked as repeats, most of which were unclassified novel elements. For gene predictions, generated were the PASA models based on genomic alignments of RNA-seq reads from 4 different chigger mite samples (i.e. male, female, larva, and protonymph) and the GeneWise models based on genomic alignments of protein sequences from 4 closely related species with chigger mite. Independently, ab initio gene predictions were performed with AUGUSTUS and FgeneSH with custom trained matrices optimized for L. pallidum and GENEID with pre-trained matrix for Acyrthopsiphon pisum. By combining all together, 15,842 genes were predicted finally. Manual curation is in progress for various groups of genes, including chemosensory receptor genes, immune-related genes, acaricide target genes, etc.
237.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소나무재선충병의 생물학적 방제인자를 탐색하기 위하여 소나무 고사목, 토양 등에서 선충 포획 능력이 있는 선충포식성 곰팡이를 소나무 고사목 및 토양 시료에 서 40균주를 선발하여 배양 특성 및 재선충병 감염목 내 재선충 밀도 저하 효과 등을 조사하였다. 소나무재선충은 1/6 nutrient agar에 소나무 고사목 및 토양 샘플을 치 상하고, 500마리의 소나무재선충을 접종한 후, 25℃ 항온기에서 배양하면서 1~2일 간격으로 선충 포획기관을 형성하는 곰팡이에 의해 치사된 균주가 형성하는 분생 포자를 순수 분리하여 PDA배지를 이용하여 계대배양을 실시하였다. 분리된 40균 주는 25~30℃ 온도 조건에서, pH 5~8의 범위에서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1/6 nutrient agar에서 분생포자를 유도하여 Ø 5㎜ 드릴로 천공한 후 배지와 함께 1g의 균주를 접종하여 60일 경과 후 최종 선충 밀도를 조사하였으며 4개 균주가 현저한 소나무재선충 억제효과를 보여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이용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238.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mported Allium hookeri is sometimes infected by some quarantine nematodes like Meloidogyne spp., Pratylenchus spp. Hot water treatment(HWT) is reported as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method for disinfection of nematodes. The primary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temperature tolerance of Allium hookeri and lethal temperature of Meloidogyne spp., preferably in the range of 5~30minutes at 48~53℃. Second stage juveniles of Meloidogyne spp. were successfully eliminated in hot water bath treated at 48℃ within 1 minute. Egg hatching was suppressed completely at 48℃ more than 26 minutes. No evidence of growth damage was observed on plants treated with HWT even at 48℃ for 30 minutes and 49℃ for 10 minutes. Therefore, the optimum range of HWT is recommended at 48℃ for 30 minutes and 49℃ for 10 minutes on Allium hookeri infected root-knot(Meloidogyne spp.) nematode.
239.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ropolis is a health food, known that high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effects, fresh cut vegetables that rapidly increasing consumption has recently faced the problem storability fall down after washing. To improve storability of fresh cut vegetables are being carried out various studies. In this stud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propolis we were performed to improve the storability of fresh cut vegetables. There was prepared in 20% solution of propolis extracts, by using this solution, propolis solution prepared diluting 0.001 to 1%, were dipped in fresh vegetables (cabbage lettuce, sesame leaf, and lettuce). Vegetables were measured the sensory evaluation and hardness after each treatment by placing in a certain period of time at room temperature and refrigerator. When cabbage lettuce was stored for 3 days at refrigerater, sensory evaluation that the cleavage site is not generated browning in 0.1% propolis solution showed the best results, the hardness was the most excellent. During refrigerated storage after treatment in a 0.01% solution of propolis sesame leaves showed good sensory evaluation include freshness, morphological change of leaves, and high hardness. After treatment propolis of 1% solution at room temperature, Sesame leaves showed the most heavily defensive fragility phenomenon after three days. It was found that the appearance of the side effect,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propolis is rather high. If lettuce is chilled to handle after propolis treatment, after 10 days in the solution from 0.01 to 0.1% showed excellent sensory evaluation, and high hardness.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 storage stability is excellent compared to non-treated as if diluted to 0.1-0.01% propolis solution is to improve the shelf life of fresh vegetables using.
240.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 산림토양으로부터 분리 된 방선균 균주로부터 소나무재선충에 대하 여 살선충 활성을 가지는 균주를 실내에서 선발한 후 실용성 평가를 위하여 곰솔에 대한 나무주사 효과를 조사하였다. 방선균은 액배양 된 방선균 배양여액 20% 첨가 현탁액에서 소나무재선충에 활성을 보였던 11개 균주를 이용하여 경남 진주의 소 나무재선충 발생지에서 10년생 이하의 곰솔을 대상으로 3월 4일에 나무주사를 하 고, 75일 뒤에 나무주사 한 공시목에서 가지를 절취한 뒤 소나무재선충을 접종하여 증식수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MS412균주와 SG9와 16균주에서 증식이 무처리 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이후 6월 14일 각 나무주사목에 대하여 소나무재선충을 가지에 직접 접종한 후 고사진전율을 2개월 후 조사한 결과 SG16균주 접종처리에 서만 고사 되는 곰솔이 없었다.
11 12 1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