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8년 작물보호분야 공동 국제학술대회 (2018년 10월) 380

26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Asian corn borer, O. furnacalis (Crambidae) and the old world bollworm, H. armigera (Noctuidae) simultaneously cause ear damage in corn in Suwon area. It has been assumed that the second generation of larvae of both insects is responsible for the damage. We, therefore, studied proper spray timing of insecticide in order to reduce the damage. A waxy corn hybrid cultivar, Ilmichal, was sown directly on four plots of a field at April 10, April 20, May 4, and May 18, 2018, respectively. A sodium channel blocker, indoxacarb, was sprayed eight times at 3- or 4-day intervals around the silking stage of corn in each sowing plot. At ear harvest time of each plot, we investigated damaged ratio and length of ear, and the numbers of both insect species. The significantly effective spray timings on reduction of ear damage were the sprays at June 29 and July 2 in the plot sown at April 10, the sprays from July 2 to 13 in the April 20-sown plot, the sprays from July 2 to 19 in the May 4-sown plot, and the sprays at July 19 in the May 18-sown plot, respectively. The damage level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insect number.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spray at the silking stage of corn was effective on reduction of ear damage. It was assumed that occurrence time of neonate larvae of the insects at silking stage cause the damage,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using screened pots inoculated with the two species.
262.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is a worldwide agricultural pest that invades a wide range of host crops and rapidly develops resistance to pesticides. T. urticae can be resistant to one acaricide or exhibit multiple resistances or cross resistance to various other acaricides. Acequinocyl inhibits respiration in mitochondria at the ubiquinol oxidation site (Q0) of Complex III of the electron transfer chain. Pyridaben is a METI acaricide that inhibits mitochondrial electron transport at complex I.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ross resistance to seven acaricides in acequinocyl- and pyridaben-resistant strain. Furthermore, the frequencies of the I256V and N321S mutations in mitochondrial cytochrome b (cytb) of pyridaben-resistant and fieldcollected strain was analyzed.
263.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대추 재배 면적이 5,160ha로 전국적으로 면적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추의 재배면적이 증가하면서 기존에 대추에 발생하지 않던 다양한 해충들 또한 발생을 하고 있는데 장님노린재의 경우 2015년 대추에 피해를 준다는 것이 확인 되었다. 현재 대추에 발생하는 장님노린재류는 두 종으로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와 초록장님노린재이다.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와 초록장님노린재는 대추 발아기부터 새순을 흡즙하여 피해를 주는데 피해를 받은 새순과 잎은 정상적으로 생육하지 못하고 잎에 구멍이 뚫리는 등 비정상적인 생육을 하게 된다. 장님노린재의 경우 거의 모든 대추과원에서 발생을 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대추과원에서 정확한 발생 기간과 방제 약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2017~2018년에 걸쳐 2년 동안 발생 소장을 조사 하였으며, 시판되고 있는 농약 10종을 대상으로 약제 선발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시기별 밀도 조사의 경우 약충은 5월 상순부터 발생을 시작하여 7월 중하순까지 발생을 하였으며, 성충은 5월 하순부터 발생을 시작하여 7월 중하순까지 발생을 하였다. 또한 2017년의 경우 약충은 5월부터 꾸준히 발생량이 증가하다 7월 상순 많은 강우로 인해 밀도가 크게 감소하였으며, 2018년의 경우 5월과 7월에 발생량이 많고 6월에 발생량이 급감하여 마치 2세대가 나타나는 듯한 현상을 보였다. 물론 이는 더욱더 시간을 두고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약제 선발 시험의 경우 10종의 약제 중 페니트로티온 등 6종의 약제에서 방제가가 8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추에 발생하고 있는 장님 노린재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장님노린재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5월부터 방제를 시작하여 초기밀도를 낮추어야하며, 이동성이 좋은 장님노린재의 성충이 외부로부터 유입이 될 수 있으므로 성충이 발생하는 7월까지는 꾸준한 관찰을 해 주어야만 그 피해를 줄 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6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수목 병해충을 방제, 예방하기 위해 나무주사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나무주사법은 기상에 상관없이 약제처리가 가능하며, 약제사용량 감소와 천적등 비표적 생물에 대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 나무주사법은 산림 해충을 대상으로만 등록, 적용되어 있을 뿐, 과수에 등록된 제품은 없다. 과수에 나무주사법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농약잔류와 약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천중도)에 Acetamiprid 10% SL을 나무주사 후, 잔류성과 약효를 조사하여 실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약제가 나무주사된 나무는 복숭아 벚나무깍지벌레(Pseudaulacaspis prunicola)에 대하여 방제효과가 있으나, 가지별로 불균일한 약효와 잔류성을 보여 향후 수형, 흉고직경 등을 고려한 나무주사제의 처리법 최적화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26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시설 오이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고 있는 총채벌레류의 효율적 방제를 위해 국내 5지역 꽃노랑총채벌레를 대상으로 10종 약제에 대하여 생물검정을 실시하였다. Emamectin benzoate EC, Chlorfenapyr EC, Spinetoram SC, Spinosad SC은 추천농도에서 90% 이상의 살충활성을 보였다. Cyantraniliprole EC의 추천농도 살충활성이 가장 높은 지역은 장성(79.0%)이었고, 배량농도에서는 모든 지역계통에서 95%이상의 살충활성을 보였다. Neonicotinoid계의 Acetamiprid WP는 지역계통별 추천농도에서 살충활성이 최대 40%(창녕)이었고, 배량농도에서는 최대 81.7%(상주)였다. Dinotefuran WG의 지역계통별 추천농도 최대 살충활성은 80%(평택)이었고, 배량농도에서는 장성계통만 100%의 살충활성을 보인 반면, 나머지 지역계통에서는 85% 이하의 값을 보였다. Thiacloprid SC는 지역계통별 추천농도 살충활성이 최대 59.3%(창녕)이었고, 배량농도에서는 상주와 창녕계통에서 만 90%이상의 살충활성을 보였으며, 평택, 안성, 장성계통에서는 각각 75.0%, 81.7%, 24.2%의 값을 보였다. Thiamethoxam SC의 지역계통별 추천농도 최대 살충활성은 75.6%(상주)였고, 배량농도에서는 안성, 상주, 창녕계통에서 90% 이상의 살충활성을 보였고, 평택, 장성계통에서는 각각 78.3%, 26.5%의 값을 보였다. 본 실험에서 꽃노랑총채벌레는 Emamectin benzoate EC, Chlorfenapyr EC, Spinetoram SC, Spinosad SC에서 높은 감수성을 보인반면 Cyantraniliprole EC과 Neonicotinoid계 5종 약제에 대하여는 저항성이 발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66.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멀티콥터(드론)을 이용한 약제 살포 효과 분석을 위해 배추의 파밤나방을 대상으로 살충제의 조건별 살포 실시 후 약효·약해를 조사하였다. 고정조건은 2M, 5M 고도 조건, 풍속 2m/s 이하이며, 오전 7~8시 경 파밤나방 1~2령을 대상으로 살충제 스피네토람 액상수화제를 기준량인 16배(1,250ml/20L)와 배량 8배(2,500ml/20L) 및 반량 32배(625ml/20L)를 살포한 결과 24시간 후 파밤나방 유충 100%가 사망하였다. 배추 잎에 외관상 나타나는 약해는 없었다.
267.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연 10회 이상 발생하는 온실가루이는 토마토 재배 시 6월 하순 기온이 상승하면서부터 발생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약제에 대한 저항성이 강해 많은 농가에서 방제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온실가루이의 효과적인 방제를 위해 최적교호살포 약제조합을 선발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작용기작에 따라 약제는 각각 신경전달기능을 억제하고, 키틴생합성을 저해하며, 지질생합성을 저해하는 작용기작을 가진 약제로 선정하였다. 각 처리구별로 약제 살포순서를 다르게 하여 교호살포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3회 약제처리 후 성충밀도가 처리전 밀도보다 유의한 차로 줄어들었다. 약충에 있어서는 약제처리전 모든 처리구에서 약충 발생이 낮아 정확한 밀도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어려웠지만 최종조사에서는 신경전달저해, 탈피저해, 지질생합성저해 약제 순으로 처리한 처리구의 밀도가 무처리구와 비교하였을 때 일정수준 억제되는것을 확인하였다
268.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농업용 무인멀티콥터를 활용한 방제면적은 수도작은 물론 밭작물에서도 방제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밭작물은 작물의 형태가 다양하여 비행속도, 살포높이 등을 최적화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배추, 대파, 고추에서 발생하는 나방류에 대하여 무인멀티콥터의 살포 높이에 따른 방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살포된 약제가 작물에 부착되는 정도를 조사한 결과, 배추는 2m, 대파는 3~4m, 고추는 모든 높이에서 비슷한 부착정도를 보였지만, 전체적으로 부착량이 적고 불균일 하였다. 살포 높이별 방제효과는 작물별로 각각 배추(9~10엽기)는 2m높이, 고추(약 1.2m)는 2~3m, 대파(약 60cm)는 2, 3, 4m 각각 비등한 방제효과를 보였다. 각각의 작물모두 경엽처리 대비 약효가 미흡하였으며, 고추는 4m높이 살포시 방제효과가 현저히 낮았다.
269.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최근 농약사용 횟수의 증가로 천적이 사라지면서 전국적으로 크게 발생을 하고 있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년 2~3회 발생하며 포장 잔재물이나 포장 주위의 잡초 등에서 성충으로 월동한 후 다음 해 봄 기주작물인 콩과 작물, 과수작물, 곡류작물에 피해를 주는데 이중 콩이 가장 적합한 먹이원이며 피해가 가장 크다. 콩의 열매 성숙 초기 즉 착협기에 일어나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의한 섭식 피해가 수확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본 실험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대한 기피제 개발 목적으로 미나리과 식물체정유인 아조완 정유와 그 성분들의 톱다리개머허리노린재 성충 및 약충에 대한 기피 활성을 실험실내에서 four-arms olfactometer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아조완 정유를 1.25 mg의 농도에서 처리했을 때 성충 수컷 89% 및 암컷 성충 90%가 기피를 보였다. 4령 약충의 경우, 성충과 같은 농도로 처리했을 때 73%의 기피 활성이 나타났다. 아조완 정유의 기피 활성 물질을 확인하기 위해 GC-MS로 정유를 분석하였고 12종의 정유 성분을 확인하였다. 12종의 아조완 정유성분들 중 각 성충 수컷과 암컷, 4령 약충에서 1 mg 농도로 처리했을 때 thymol과 carvacrol이 100%의 강한 기피 활성을 보였다. 아조완 정유와 정유성분들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 트랩과 같이 “push and pull”전략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270.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Various plant extracts were widely used to control plant diseases and insect pests in organic farming syste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insecticidal activity of plant extracts against three moth in vitro. Insecticidal activity of 21 kinds of farm-made plant extracts including snowbell tree, sweet oleander leaf, sweet oleander and white cedar, collected from farmhouses were tested against diamondback moth (Plutella xypostella) and tobacco cutworm (Spodoptera litura) larvae. In addition, four plant extracts (pyrethrum flower, derris, neem and Sophora flavescens) were tested for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Potato tuber moth (Phthouimaea operculella) larvae. As a result of insecticidal test on diamondback moth, insecticidal activity of pyrethrum flower extract was found to be 50% or more in diluted 100 times. The insecticidal activities against tobacco cutworm were 92.5% at snowbell tree extract, 77.5% at the sweet oleander leaf and white cedar extracts. Among the plant extracts, insecticidal activity of 300 times-diluted pyrethrum flower and derris extract was 85%, neem and Sophora flavescens extracts were similar to non-treatment. Consequently, pyrethrum flower extract and snowbell tree, sweet oleander leaf, white cedar extracts and pyrethrum flower, derris extracts for controlling diamondback moth and tobacco cutworm and potato tuber moth were selected. We think the selected organic materials can be used to control diamondback moth and tobacco cutworm, potato tuber moth under organic farmhouse condition.
27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iticidal and repellent activity of twenty plant essential oils against the adults of two spotted spider mites, Tetranychus urticae, were examined. Sandalwood oil was the most potent one in mortality, whereas clary sage oil exhibited the greatest repellent activity. On those twenty essential oils tested, no apparent correlation between toxicity and repellency was observed.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sandalwood and clary sage oils were identified via GC/MS analyses. The major constituents of sandalwood oils were sesquiterpene compounds, whereas the major ones for clary sage oil were monoterpenes. Among the major components in clary sage oil, linalyl acetate was not only the most abundant constituent, but also the most responsible one for its repellent activity against the adults of the two spotted spider mites. Nevertheless, the combination of seven major constituents of clary sage oil showed lesser repellent activity than the original essential oil did, implying the presence of interactions between the major and minor constituents affecting the overall repellent activity of the crude oil.
272.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유기농경지에서 문제가 되는 해충을 방제하기 위하여 농가에서는 식물추출물 등 다양한 자가제조 유기농업자재를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가 자가제조 유기농업자재를 이용하여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과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eilla occidentalis)에 대한 살충효과를 시험하였다. 유기농업자재는 유기재배 농가에서 직접 수집하였으며 식물추출물로는 마늘, 돼지감자, 은행잎 등의 식물추출물과 목초액, 식물오일 등 8종의 자재를 이용하였다. 해충에 대한 살충시험은 25℃, 60% 습도 조건의 곤충사육실에서 이루어졌다. 처리시험을 위해 오이절편을 페트리디쉬에 넣고 시험곤충을 접종하여 농가수집자재를 원액, 30배, 100배, 300배로 희석하여 충체 살포법으로 처리하였다. 처리 후 24시간, 36시간, 72시간 후 사충률을 조사하였다. 진딧물의 경우 100배 희석처리에서 약초액비가 75%, 유화오일이 62.5% 은행잎액비가 42.5%의 살충효과를 각각 보여주었다. 꽃노랑총채벌레에는 협죽도와 마늘이 94.7%와 88.0% 살충효과를 보여주었다.
273.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유기농업의 실천을 위하여 국내 작부체계와 농업환경에 적합한 한국형 현장적용 기법을 구축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기본 개념은 ‘Natural Enemy in First (NE가 먼저)’로 해충발생시기의 예찰 없이 주 작물을 정식함과 동시에 천적과 보조식물을 혼합 적용해서 해충발생 이전에 천적을 포장에 먼저 정착시키는 생물적 방제기법이다. 시설재배 딸기에서 칠레이리응애, 사막이리응애, 콜레마니진디벌과 천적의 서식처 3종을 주 작물의 정식과 동시에 적용한 결과, 관행방제구에 비해 80%이상의 해충 밀도억제효과를, 천적 단독처리구에 비해 3배 이상의 높은 천적의 밀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포장 환경과 천적의 방사방법에 구애받지 않고 천적의 해충 방제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라인을 적용한 결과, 약제와 천적 혼합처리구에서 라인을 적용하지 않은 처리구에 비해 해충의 밀도가 급격히 감소하고, 천적의 밀도는 2배 이상 높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7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포식성이리응애류는 섭식행동이 왕성한 천적군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수의 종들이 상업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에 우리는 국내 토착 포식성이리응애의 이용도를 탐색하였다. 2012년까지 국내에서 서식이 보고된 포식성이리응애류은 47종을 대상으로 구글 학술검색을 이용하여 논문수를 조사한 결과, 사막이리응애가 3,560개로 가장 많은 수가 검색되었다. 천개 이상의 논문이 검색된 종은 서양이리응애(3,160개), 나팔이리응애(1,590개), 순이리응애(1,510개), 대중이리응애(1,260개), 긴털이리응애(1,190개), 동양이리응애 (1,020개)이었다. 백개 이상의 논문이 검색된 종은 긴꼬리이리응애(314개), 알락이리응애(109개), 엷은줄이리응애(345개), 북방이리응애(143개), 꽃무늬이리응애(200개) 등 5종이었다. 이 중 전세계적으로 상품화가 보고된 종은 사막이리응애, 서양이리응애, 나팔이리응애이다. 국내에 서식이 보고되지 않았으나, 국내외 농업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지중해이리응애는 5,060개가 보고되었다. 긴꼬리이리응애는 국내에서 47종의 식물에서 서식하여 가장 많은 식물 종에서 발견된 포식성이리응애로 농업해충인 점박이응애, 총채벌레류, 가루이류를 포식하며, 농업해충 외에 농작물해충이 아닌 긴털가루응애, 설탕응애, 꽃가루 등의 섭식을 확인하여 앞으로 국내에서 농업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천적으로 활용여부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요구된다.
27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emisia tabaci (Gennadius) is an important polyphagous pest and transmits plant pathogenic virus to numerous agriculture crops. We compared the efficacy of Beauveria bassiana ARP14 strain with commercialized GHA strain against 2nd instar and 4th instar of B. tabaci. The nymphs were exposed in 1×108 conidia/mL by dipping method. There was no difference in mycosis rate between the two strains in both 2nd and 4th instar. After 72 h, mycosis rate of 2nd instar was 100.0% in B. bassiana ARP14 strain followed by 97.4% in B. bassiana GHA strain. In 4th instar, B. bassiana ARP14 strain caused 100.0% while B. bassiana GHA strain caused 93.3%.
276.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nfirm the parasitic and developmental features of A. japonica and D. suzkii was used as a parasitic natural enemy. A. japonica attacked the D. suzukii larvae and the emergence of adults were observed from D. suzukii pupae. Black spots were observed in parasitized D. suzukii larvae. Mortality of parasitized larvae, rate of parasitic and developmental feature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s of host, D. suzukii. Mortality and rate of parasitic of D. suzukii larvae were the highest when second instar larvae were attacked. Developmental period of parasitized D. suzukii larvae showed differences to developmental stag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velopmental stage of pupal period.
277.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rails of the convergence ladybird negatively affected the brown citrus aphid population. On 3 days after treatment of ladybird trails, the population growth rate of the brown citrus aphid on treatment and control swingle flushes in the test tube were –0.1848 and –0.0385, respectively. In pot experime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pulation growth rates between treatment and control swingle plants on 3 and 7 days after treatment of ladybird trails. But, on 10 days after treatment, each population growth rate was -0.0415 and 0.1125, respectively so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statistically. Thus, our result support the potential practical application of ladybird trails as an effective control agent for managing of herbivorous insect pests in citrus groves.
278.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estruxins (Dtxs) are insecticidal cyclic hexadepsipeptides produced by the entomopathogenic fungus Metarhizium anisopliae. Media composition for dtxs production was optimized with industrial grade media. Glycerol and casein peptone were selected as a carbon source and a nitrogen source, respectively. Dtxs production varied with C/N ratios. High yields of dtxs were observed at C/N ratios ranging 0.3 to 1.5, with concentrations mostly higher than 800 mg/L. Low yields were caused by high C/N ratio ranging from 3.0 to 8.0, resulting in less than 500 mg/L. The highest yield of Dtxs was obtained with 2% glycerol and 3% casein peptone, showing 192.2 mg/L of dtx A, 911.1 mg/L of dtx B, and 113.3 mg/L of dtx E,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dtxs production is highly influenced by C/N ratio, especially the content of nitrogen source.
279.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or the studying of effects of matrine and azadirachtine against Aphidius colemani, it was conducted to test the toxic effect of ecofriendly materials. Matrine and azadirachtine are active ingredient of the most commonly used eco-friendly insecticidal materials against insect pests. The effects of materials are investigated by spraying solution to mummies and adults in laborartory condition (Temp: 25℃; 16L:8D; RH: 50-60%). Each materials was diluted and treated with 5 concentrations, 10 wasps for each replications and 3 replications for each concentration. Fitness of A. colemani was assessed by measuring survival rate, emergence rate, longevity and fecundity. Wasps adults were used for experiments within 48 hours after their hatching. Emergence rates were checked for 12 days after spray to mummies of A. colemani, and survival rates were checked at 24 and 48 hours after vial test for adult parasitoids with 10% sugar solution. Adult wasps were exposed to dry residue of material for 24 hours. Longevity was monitored every 12 hours and fecundity was measured by the number of mummies produced by A. colemani adults.
280.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2017년 4월부터 12월까지 갈색날개매미충 알기생봉의 주요발생지인 구례, 순천을 포함한 총 5개의 지역에서 월동난괴를 채집하여 산란특성 및 월동률을 조사하였다. 야외에서 2차례(12월,4월) 채집해온 월동난괴를 실내조건(25 ± 1℃, 40~60% RH, 16L:8D)에 두고 월동률 및 치사율을 조사한 결과 순천과 구례가 각각 월동률 19.69%, 18.17%, 치사율 5.89%, 4.88%로 높은 수치를 보였다. 평균수명인 약 20일 동안의 산란 분포는 주로 우화 후 1~5일 사이에 전체산란 수 중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우화 1일 후에 평균 산란 수 9.2개로 가장 높은 산란력을 나타냈다. 실내에서 하루 중(2시간 단위) 알기생봉의 산란은 주로 20:00-24:00에 분포하였으며 소등(24:00) 후 2:00부터 다시 산란하기 시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