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 심포지엄 및 추계학술발표회 (2010년 10월) 172

141.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전국 애멸구에 대한 약제 감수성을 조사하여, 지역 간 애멸구의 약제에 대한 반 응을 분석, 약제 반응 상관에 의해 집단 이동을 추정코자 애멸구를 전국에서 이른 봄 (월동계통)과 여름 (본답계통)에 채집하였으며 10개의 약제 (carbofuran, carbosulfan, ethofenprox, thiamethoxam, diazinon, dinotefuran, BPMC, fipronil, clothianidin, imidacloprid)를 선정하여, 애멸구를 실내에서 사육하여 충분한 개체 수를 확보 후, 선발 약제에 대한 감수성을 조사한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본답에서 채집한 계통이 월동계통에 비해 imidacloprid에 대해 낮은 감수성을 보 였다. 그러나 영천본답계통과 밀양월동계통은 위의 결과와 상반되는 결과를 보였 다. 밀양과 경산의 월동계통은 특히 carbofuran에 대해 낮은 감수성을 보이고 있었 으며, 밀양월동계통은 전반적으로 약제에 대한 감수성이 낮았다. 약제 반응의 상 관관계에 의한 군집 분류에서 약제는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어 carbosulfan, ethofenprox, diazinon, carbofuran 등 살충기작이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와 나트 륨채널에 관여하는 상대적으로 오래된 그룹, 억제 신경에 작용하는 fipronil 그룹, clothianidin, imidacloprid 등 네오니코틴 그룹, 그리고 thiamethoxam, BPMC, dinotefuran 등의 그룹으로 나뉜다. 이는 애멸구 방제를 위한 약제 선발 및 대체 약 제 선발 시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지역 계통의 분석 결과 월동계통과 본답계통의 약제 반응이 다른 것은 이들의 발생 근원이 다른 데서 기인한 것으로 추정되며, 애 별구의 본답계통은 중국으로부터 이동해 온 것으로 생각된다.
142.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경기도 시설재배지역에서 담배가루이를 채집하여 biotype, TYLCV 보독여부 및 Dinotefuran 등 16약제에 대한 3개 지역개체군별 약제감수성을 검정하였다. 11 개 시․군에서 담배가루이가 확인된 가운데 화성, 고양, 안성지역 담배가루이의 16S rRNA와 Mitochondrial cytochome oxidase I (MtCOI)의 유전자 분석을 통해 B. tabaci biotype의 확인한 결과 고양 일부지역(B-biotype)을 제외한 지역개체군은 Q-biotype을 판정되었다. 또한 2차적으로 계통유연관계(phylogenetic tree)를 분 석하였다. 채집곤충 및 기주식물의 Genomic DNA에 대해 TYLCV specific한 Primer를 이용 PCR을 통해 sequencing과 southern blot을 통해 검정한 결과 모든 지역에서 TYLCV는 검정되지 않았다. 채집한 담배가루이를 실내사육하면서 유묘 검정법을 통해 약제감수성을 검정한 결과, 지역별로 다소 차이는 있었지만 acetamiprid 등 니코티노이드계 약제들에 대해 Q-biotype의 경우 높은 저항성을 보인 반면, B-biotype의 경우 높은 감수성을 보여 대조되는 양상이었다.
143.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시설 배추 벼룩잎벌레의 발생밀도와 피해량을 상호 분석하고 요방제 수준 설정 을 통하여, 신속하고 합리적인 방제체계를 확립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봄 배추(CR-새신록엇갈이) 정식(4월 중순) 후 생육초기(정식 5일 후)와 생육중기(정 식 30일 후)에 벼룩잎벌레를 밀도별로 접종한 후 상품수량을 조사, 피해율을 산출 하였다. 시험구는 망사케이지(1×1×2m. 120목 나일론 재질)로 격리하였으며, 난괴 법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배추 생육초기 벼룩잎벌레 접종밀도와 상품수량과의 관계는 Y = -30.35X + 1418.5, R2 = 0.8656이었으며, 피해율은 10주당 2마리 처리구에서 3.6%, 16마리 처리구에서 37.8%로 접종밀도에 따라 증가하였다. 배추 생육중기 벼룩잎벌레 접 종밀도와 상품수량과의 관계는 Y = -20.41X + 1366.8, R2 = 0.9278이었으며, 피해 율은 10주당 10마리 처리구에서 3.1%, 40마리 처리구에서 66.2%로 접종밀도에 따라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시설배추 봄 재배시 상품수량 피해허 용수준을 5%로 감안할 때 벼룩잎벌레 요방제 밀도는 생육초기 1마리/10주, 생육 중기 7마리/10주로 분석되었다.
144.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착색단고추에 발생하는 해충과 그 발생소장 그리고 근부처리에 의한 방제방법 에 대하여 겨울재배 작형(8월말-9월초 정식, 다음해 7월말 종료)에서는 집중적으 로 연구된 바 있으나, 3월초 정식하는 여름재배 작형에 대하여는 연구된 바 없다. 경남 함양군 서상면 고랭지에서 착색단고추에 발생하는 해충의 종류와 소장을 조 사하고 침투성 약제 근부처리에 대한 여름재배 착색단고추의 생육조사 및 잔류분 석을 실시하였다. 2010년 1월 15일에 파종한 착색단고추를 3월 16일에 플러그묘 에서 큐브로 이식할 때, 큐브 당 침투성 약제 Imidacloprid 1g과 Thiamethoxam 1g 을 각 9주씩 처리하였다. 앞서 겨울재배 작형에서 약해가 없고 효과도 좋았던 것을 바탕으로 하여 약량을 1g으로 선정하였다. 그 결과 식물체 초장을 비교했을 때, 약 체처리 105일 후 관행구는 140cm, Imidacloprid는 114cm, Thiamethoxam는 111cm로 관행구보다 근부처리구의 초장이 짧았으며, Imidacloprid를 보다 Thiamethoxam의 처리구 초장이 더 짧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잔류량은 잎과 열매를 각각 분석 하였고, 잎은 Imidacloprid, Thiamethoxam 둘 다 잔류허용기준 (1.0ppm)을 넘었으나 열매에서는 두 약제 모두 잔류허용기준 보다 낮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겨울재배 작형에서와 달리 작은뿌리파리 이외에는 해충발생밀도가 매우 낮았다.
145.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estimated for cabbage aphid, Brevicoryne brassicae in Brassica campestris L. var. rapa (L.) Hartm. in order to institute of Economic injury levels(EILs). B. brassicae was innoculated on April 29, in differently 0, 5, 10, 20 and 40 adults per ten plant, respectively. After inoculated of B. brassicae, the density was increased until harvest ing gradually in all plots except non innoculate plot. and Higher inoculation density were increased higher than lower inoculation density. Percentage of damage leaf was higher in plots with higher initial aphid density than in plots with lower initial aphid density. And the leaf weight of commodity were decreased in higher initial aphid density. The decreasing rates of leaf weight of commodity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initial aphid density. The relationship between initial B. brassicae densities and the decreasing rates of leaf weight of commodity was well described by a linear regression, Y=0.8416X-3.5147, R2=0.94. Based on the relationship, the number of adults per 10 plant which can cause 5% loss of yield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10.1. And EILs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1.0 adults/plant in late April.
146.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Koch is the most harmful pest among many cropping systems, particularly vegetables and other annual crops. In this study, the methanol extract from the inner bark of Tabebuia impetiginosa was evaluated for acaricidal activity against T. urticae by using a leaf disk method and were compared with commercial acaricide, abamectin. A crude methanol extract of T. impetiginosa had strongly acaricidal activity at 2,000 ppm against the T. urticae. Methanol extract of T. impetiginosa was partitioned with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fraction, successively. In this result, the chloroform fraction showed a strong acaricidal activity at 1,000 ppm. Therefore, active fraction of T. impetiginosa extract was purified by using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an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structure of acaricidal component was analyzed by EI-MS, 1H-NMR and 13C-NMR spectra, and was identified as TI-3123. Based on the LC50 values of TI-3123 and abamectin against T. urticae were resulted in 0.011 mg/l and 0.340 mg/l,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wed that acaricidal activity of the T. impetiginosa can be mostly attributed to TI-3123. Furthermore, TI-3123 was approximately 30.91 times more toxic than abamectin against T. urticae. All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ctive component in T. impetiginosa derived materials could be use for biological control for T. urticae. Further studies should be performed to the structure activity relationship of TI-3123 and compared with its derivatives.
147.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Lettuce was a leaf vegetable with short growing term and cold-tolerant plant. We grew it the whole year. The price of lettuce is the most expensive from July to September. But damages by lots of insect pests appear to greenhouse grown lettuce in summer season. In this study, we observed biological controls of western flower thrips(Franklinella occidentalisi) by the predator mites, Amblyseius swirskii and Neoseiulus cucumeris in lettuce greenhouse from July 7 to September 10. Hypoaspis aculerfer larvae and adults were released 30 individuals per m2 at the first one time as lettuce was planted on the greenhouse. We checked the density of F. occidentalis every 10 days on the 30 lettuce leaves. When the population of F. occidentalis reached 1~5 individuals per a leaf, A. swirskii larvae and adults were released 35 individuals per m2 at 1~3 times and Neoseiulus cucumeris larvae and adults also were released 150 individuals per m2 at 2~3 times in each lettuce greenhouse. During the high temperature season, Amblyseius swirskii was more effective biological controls of F. occidentalis than Neoseiulus cucumeris.
148.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feeding activity of Perilla frutescens extracts against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arvae and to confirm the electrophysiological responses of two sensilla (LST=lateral styloconic sensillum, MST=medial styloconic sensillum) in maxilla galea, a chemoreceptor. Crude extract of P. frutescens in methanol was showed antifeeding activity approximately 70%, and subsequently separated into four fractions - n-hexane(H), chloroform(C), ethylacetate(E), and water(W). Antifeeding activity was only showed in n-Hexane fraction around 99%. H1, H2, H3, H4, H5 were isolated from n-Hexane fraction using an open column chromatography, and the bioassay showed strongest antifeeding activity in H1 fraction. Using an oscilloscope, electrophysiological responses of two sensilla showed more seven times activity in MST. H11, H12, H13, H14 were separated from H1 fraction and antifeeding activity was showed highest in H11 fraction. H11 fraction was examined electrophysiological responses at doses of 100, 10, and 1 ppm, and MST of P. xylostella responded at a dose of 100 ppm. H11 fraction was separated using HPLC and identified using GC/MS and NMR. Finally, the structure of active compound proved to be farnesene with molecular weight of 204, and a formula of C15H24
149.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배 주요해충인 꼬마배나무이의 효과적인 방제를 위하여 배나무 단과지에 월동 성충이 이동시기인 2월 하순~3월 상순, 5월 중순 및 7월 상순에 기계유유제와 살 충제를 혼용하여 방제효과를 비교하였다. 월동성충 이동시기에 기계유유제와 살 충제 혼용살포는 혼합약종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었으며 처리 7일후 살충율이 약 92~95.6%를 보였고, 살충제만 처리하였을 경우는 약 30~65%, 기계유유제만 살포한 경우는 살충제와 혼용하여 살포하는 것과 유사한 95.9%를 보였다. 5월 중 순과 7월 상순에 기계유제 200배와 디노테퓨란수화제 추천농도, 100배와 디노테 퓨란수화제 추천농도를 혼용 처리한 결과, 5월 중순 처리 10일후 기계유제 농도에 따라 각각 살충율이 93.8%, 95.0%를 보였고, 7월 상순에는 각각 90.6%, 80.8%를 보였다. 기계유제 200배, 100배를 5월 중순 살포시 처리 10일 후에 91.7%, 93.3%, 7월 상순에는 83.2%, 76.0%를 보여 7월 상순 방제 효과가 다소 낮았는데, 이는 꼬 마배나무이가 배설물인 감로에 덮여 생활하는 생태적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 된다. 더불어 배나무 잎이 있는 상태에서 기계유제 살포는 약해가 발생될 수 있고 광합성 효율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추후 보다 정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150.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Vapormate™, a new gas formulation of ethyl formate (EF) with carbon dioxide, is an alternative fumigant to methyl bromide (MB). The efficacy of the vapormate fumigation was evaluated on an acaricide susceptible and resistant Tetranychus urticae strains. A resistant strain showed resistance ratio (RR) of 21.9 and 379.6 to acrinathrin and chlorfenapyr, respectively. Fumigation was done in desiccators (6.8 L) which were empty or filled 30% in space with paprika for 6 h at 15℃ in the laboratory. The concentration adopted were 9.6, 17.2, 24.5, 36.4 mg/L in empty desiccator and 10.2, 17.9, 24.9, 35.2 mg/L in paprika-filled desiccator. In empty desiccator, susceptible and resistance T. urticae showed 100% mortality at higher concentration than 17.2 and 24.5 mg/L, respectively. In paprika-filled desiccator, susceptible and resistance T. urticae showed 100% mortality at higher concentration than 24.9 and 35.2 mg/L, respectively. Hatchability was greatly reduced by the fumigation. Hatchability was 3.7% in the empty desiccator at 9.6 mg/L and 37.2% in the paprika-filled desiccator at 10.2 mg/L.
151.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꽃매미의 약충을 포식하는 포식성 침노린재의 꽃매미 약충 및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에 대한 포식량과 대체먹이를 이용한 사육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꽃매미 약충 을 포식하는 포식성침노린재는 다리무늬침노린재, 껍적침노린재, 왕침노린재 등 3 종이 관찰되었다, 실온(25±2℃)에서 하루 포식량은 꽃매미 2령약충을 다리무늬침 노린재가 10마리, 껍적침노린재가 9마리, 왕침노린재가 20마리 각각 포식하였다. 이중 다리무늬침노린재가 꽃매미 서식장소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는 종으로 담배 거세미나방 유충을 이용해 실내 사육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152.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시설재배 딸기에서 점박이응애 방제에 칠레이리응애, 사막이리응애, 지중해이 리응애 등 3종의 이리응애류를 이용하여 효과를 비교하였다. 시설재배딸기에서 점박이응애 방제에 칠레이리응애 3회 방사는 가장 효과적이었다. 사막이리응애를 2회 방사하고 뒤에 칠레이리응애를 2회 방사했을 때도 충분한 효과는 있었지만 칠 레이리응애 3회 방사에 비하여 덜 효과적이었다. 지중해이리응애 2회와 칠레이리 응애 2회 방사도 사막이리응애 2회와 칠레이리응애 2회 방사와 비슷한 결과였다. 사막이리응애와 지중해이리응애의 효과나 낮았던 가장 큰 이유는 초기방사 시 이 들의 생존에 필요한 먹이가 부족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농약사용 시 방제효과가 저조하게 나타난 것은 2차 방제시기가 늦어 점박이응애 밀도가 높을 때 살포하였 기 때문으로 보인다.
153.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제주도 17개 감귤원에서 귤응애 (Panonychus citri MCGREGOR)를 채집하여 9 종의 살비제에 대한 저항성 수준을 leaf spray 방법으로 검정하였다. 지효성 또는 지속기간이긴 살비제인 spirodiclofen, dicofol, spiromesifen, etoxazole, propargite, cyhexatin, fenothiocarb은 약제처리 7일후에 살아남은 개체수가 전체개체수의 5% 이상일 경우 감수성이 저하한 것으로 보았으며 속효성 살비제인 bifenazate, dimethoate는 약제처리 5일후에 살아남은 개체수가 5%가 넘는 경우 감수성이 저 하한 것으로 보았다. spirodiclofen은 모든 지역에서 높은 감수성을 보여 이들 지역 에 대한 귤응애의 효과적인 방제가 기대되어진다. dicofol은 노지 감귤원 한 곳에 서 7.57%의 개체가 살아남아 감수성의 저하가 관찰되었다. spiromesifen은 상대 적으로 살비제의 사용이 많은 하우스 감귤원 두 곳에서 각각 6.74% 그리고 20%의 개체가 살아남아 감수성의 저하를 보였으며 etoxazole은 하우스 감귤원 한 곳과 노 지감귤원 한 곳에서 각각 6.06% 그리고 8.33%의 개체가 살아남아 감수성의 저하 를 보였다. propargite는 모든 지역에서 높은 감수성을 보였다. cyhexatin은 노지 감귤원 한 곳과 하우스 감귤원 한 곳에서 살아남은 개체가 각각 6.25% 그리고 15.37%로 감수성의 저하를 보였다. bifenazate는 모든 지역에서 높은 감수성을 보 였다. dimethoate는 노지 감귤원 한 곳에서 11.96%의 개체가 살아남아 감수성의 저하를 보였다. fenothiocarb는 모든 지역에서 높은 감수성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spirodiclofen, propargite, bifenazate, fenothicarb가 귤응애에 대하여 약제감수성 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알을 포함한 모든 생육단계에 걸쳐 효과가 있는 spirodiclofen, bifenazate, fenothicarb가 이후 제주도 감귤원에서 귤응애 방제에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spirodiclofen은 유용 동물 및 천적에 비교적 안전한 약제이 므로 병해충종합관리 (IPM)에도 적합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bifenazate, fenothicarb는 spirodiclofen과는 다르게 속효성으로 귤응애에 대한 빠른 약효를 원하는 농가에게 적합하리라 생각된다.
154.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Bacillus thuringiensis strain K4 was isolated from fallen leaves, sampled in a forest region of the city of Mungyeong, Korea. The flagellated vegetative cells of B. thuringiensis strain K4 were agglutinated with the H3 reference antiserum and further, agglutinated with 3b and 3d monospecific antisera but non-reactive for 3c and 3e factor sera. These results create a new serogroup with flagellar antigenic structure of 3a3b3d, designated serovar mogi. The strain K4 showed high activity against dipteran larvae, Anopheles sinensis and Culex pipiens pallens while no lepidopteran toxicity. It produced a single ovoidal-shaped parasporal crystal whose SDS-PAGE protein profile consisted of several bands ranging from 75 to 30 kDa. Through the protein identification by nano-LC-ESI-IT MS analysis, the putative peptides of Cry19Ba, Cry40ORF2, Cry27Aa and Cry20Aa were detected. In contrast to the plasmid profile of B. thuringiensis H3 serotype strains, the strain K4 contained only a large plasmid (~100 kb) and we cloned partial cry27Aa, cry19Ba and cry40ORF2 genes from it by thermal asymmetric interlaced PCR. Sequencing analysis showed 87%, 88% and 88% homologous with known cry27Aa, cry19Ba and cry40ORF2 genes, respectively. The new type strain, B. thuringiensis subsp. mogi (H3a3b3d) will be a good resource for new mosquitocidal cry genes.
155.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utographa californica nucleopolyhedrovirus (AcMNPV) has a large doublestrand DNA genome of approximately 134 kbp and harbors 156 open reading frames (ORFs). To elucidate DNA replication cascade of AcMNPV, we developed a novel baculovirus genome that can be maintained in Escherichia coli as a plasmid and can infect susceptible lepidopteran insect cells. This genome, named bAc-MK, contains a mini-F replicon and a kanamycin resistance marker. Using a convenient Tn7 transposon-based system, pPCS-S, 55 single ORF-truncated mutants were generated by random insertion into bAc-MK genome. These single ORF-truncated mutants were independently transfected into Sf9 cells, 16 of them were found affecting viral replication since they defected in producing polyhedra. Furthermore, to verify the pathogenicity of the single ORF-truncated mutants, the remaining 39 mutants were subjected to bioassay to Spodoptera exigua 3rd instar larvae. Among them, ac9-, ac49-, ac103- and ac105-knockout mutants showed higher mortality compared to that of bAc-MK.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se ORFs could be related to pathogenicity of AcMNPV.
156.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산림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돌발 해충의 조기진단을 위하여 2009년부터 현재까지 2년에 걸쳐 유충 사육을 통한 종별 생활사 구명, 기주 정보 수집 및 종 동정을 실시하였다. 유충 채집 및 실내사육은 발생시기인 5월부터 9월까지 수목을 가해하는 유충을 기주와 함께 채집하여 플라스틱 사육용기에 넣어 온도 23℃, 습도 70%, 명암 16L:8D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항습실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2009년 유충 사육 결과 3목 28과 189종이 사육되었고, 2010년 현재까지 3목 24과 165종이 사육되었다. 금년도 유충채집 및 사육을 통해 갈고리나방과, 뿔나비나방과 등 5과가 새로이 추가되었으며, 현재까지 동정된 종수는 130종으로, 앞으로 미동정된 종을 고려할 때 약 50여 종 이상이 추가로 확인될 것으로 기대한다. 사육된 유충을 분류군별로 정리하면 나비목이 20과 153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벌목, 딱정벌레목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나비목에서는 밤나방과가 38종, 자나방과가 20종으로 가장 많이 조사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잎말이나방과, 재주나방과, 독나방과, 쐐기나방과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기주별로 분석한 결과 총 33과 63종의 기주식물이 조사되었으며, 기주별 섭식 유충의 종수는 참나무과가 55종으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장미과, 버드나무과, 진달래과 등의 순이었다. 앞으로 지속적인 유충사육을 통한 종의 정보수집으로 분류군별, 기주별 유충 종을 정리하여 산림해충 진단 및 유충분류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57.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Glutathione S-transferases (GSTs) are multifunctional enzymes that are mainlyinvolved in the xenobiotic metabolism and protection against oxidative damage. Most studies of GSTs in insects have been focused on their role in detoxifying exogenous compounds in particular insecticides. Here, we show the expression profiles of GSTs of the bumblebee Bombus ignitus in response to oxidative stress. We identified a sigma-class GST from B. ignitus (BiGSTS). The BiGSTSgene consists of 4 exons that encode 201 amino acids. Comparative analysis indicates that the predicted amino acid sequence of BiGSTS shares a high identity with the sigma-class GSTs of hymenopteran insects such as Apis mellifera (70% protein sequence identity) and Solenopsis invicta (59% protein sequence identity). Tissue distribution analyses showed the presence of BiGSTS in all tissues examined, including the fat body, midgut, muscle and epidermis. The oxidative stress responses analyzed by quantitative real-time PCR showed that under H2O2 overload, BiGSTS and BiGSTD (identified in our previous study) were upregulated in all tissues examined, including the fat body and midgut of B. ignitus worker bees. Under uniform conditions of H2O2 overload, the expression profile of GSTs and other antioxidant enzyme genes, such as phospholipid-hydroperoxide glutathione peroxidase (Bi-PHGPx) and peroxiredoxins (BiPrx1 and BiTPx1), showed that other antioxidant enzyme genes are acutely induced at 3 h after H2O2 exposure, whereas BiGSTS and BiGSTD are highly induced at 9 h after H2O2 exposure in the fat body of B. ignitus worker bee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GSTs and other antioxidant enzyme genes in B. ignitusare differentially expressed in response to oxidative stress. Taken together, our findings indicate that BiGSTS and BiGSTD are oxidative stress-inducible antioxidant enzymes that may play a role in oxidative stress response.
158.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 identify genes that are differentially expressed, we compared the mRNA expression profile of Harmonia axyridis larvae untreated and treated with LPS. We extracted mRNAs from the larvae with or without LPS treatment, and subjected them to ACP RT-PCR analysis using a combination of 120 arbitrary primers (ACP1-ACP120)and oligo (dT) primer (dT-ACP2). After synthesized cloning DNA from 37 DEGs, it practiced the sequencing homology analysis using BLAST search. Among the 37 DEGs differentially expressed, we identified a cDNA showing homology with previously reported antimicrobial peptide. A cDNA encoding a 82-mer propeptide was identified and its predicted molecular mass and pI was 9.25 kDa and 7.54, respectively. A 35-mer mature peptide was also selected and named herein as Hamoniasin.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chemically synthesized peptide (Mou def 1~8) against human bacterial pathogens was investigate. the result showed all bacteria strains were susceptible to Mou def 2,8 with MIC values in the 32 uM range. And biological changes of the respective cells according to peptide (Mou def 8) treatment were compared. MTT assay was tested that treatment of Mou def 8 decreased cell viability in AML-2, Jurkat, U937 (maximum 200ug/ml, 24hours). That is, fragmentation of DNA, typical characteristics observed in the process of apoptosis, was confirmed in the nucleus of cells dying owing to Mou def 8 treatment.
159.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Classical Swine Fever Virus (CSFV) is a member of the Pestivirus genus of the Flaviviridae. The polyprotein composed of eight nonstructural and four structural proteins (nucleocapsid protein C and three envelope glycoprotein E0, E1 and E2). E2, the most immunogenic of the CSFV glycoproteins, induces a protective immune response in swin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nhance production of E2 protein by fusion with partial polyhedrin of nucleopolyhedrovirus in insect cells. We generated various E2 form by fusion with different combinations of the partial polyhedrin and deletion of the C-terminal transmembrane region (TMR). Expression of the E2 protein was identified by SDS-PAGE and Western blot analysis using anti-CSFV E2 monoclonal antibodies. The fusion expression of an E2 protein with the partial polyhedrin markedly increased expression levels. Also, expression of E2 proteinlacking TMR region was higher than that of intact E2 protein. As a result, the fusion expression of E2 protein lacking the C-terminal TMR with partial polyhedri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insect cells. These suggest that the fusion of target foreign protein with partial polyhedrin could enhance significantly the production of target protein.
160.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 determine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profiles in the salivary gland of a predatory flower bug species, Orius laevigatus Fieber, a subtractive cDNA library was constructed by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The major transcripts encoding trypsins (28.6% of the total ESTs) were eliminated from the library and then remaining salivary gland-specific genes were searched. A total of 513 expressed sequence tags (ESTs) were clustered and assembled into 129 contigs (64 multiple sequences and 65 singletons). About 58% were matched with insect genes. In total, 38 genes (179 ESTs) were found from the library by BLASTx search. A hemolysin-like protein occupied ca. 8% (41 ESTs) of the library. Hemolysin is known to destruct cells including blood cells by forming pores on the cell membrane. A hemolysin-like salivary protein of O. laevigatus might be hemolytic against the prey cells, thereby allowing O. laevigatus to facilitate feeding. Several contigs encoding lipase was also identified from the salivary gland-specific library. Discovery of salivary gland-specific genes should promote further studies on b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in the saliva of O. laevigatus.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