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작물학회 학술발표회 KCI 등재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0 한국작물학회 춘계학술발표회 (2010년 4월) 264

61.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ndophytic Aspergillus Fumigatus sp. LH02, isolated from the roots of soybean and indentified through phylogenetic analysis of 18S rDNA sequence, was found stimulatory to the growth of Waito-C rice seedlings among 13 other endophytic strains screened. In growth hormone analysis, pure culture of fungal isolate produced three gibberellins viz GA4, GA9 and GA12. To know the role and effect on soybean in endophytic association (EA) and non-endophytic association (NEA) under salt stress (70 and 140mM), experiment was carried out at growth chamber using complete randomized block design. The results elaborated that the EA h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hoot length, shoot and root fresh and dry weights, chlorophyll content, photosynthesis rate and leaf area of the plants with and without salt stress compared to control.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alysis of root's surface showed that EA plants were extensively colnized by Aspergillus fumigatus LH02 under high salanity. In phytohormonal anlysis, ABA contents in EA and NEA were almost similar. Howere, when plants were exposed th salt stress, ABA levels were found significantly low in EA compared to NEA plant. In isoflavone content analysis, aglycones, malonyl, acetyl and glucosides isoflavones (total 11 compounds) were analyzed for each treatment through extensive HPLC andalysis. The quantities of isoflavone were found higher in EA plant's leaves with and without salt stress compared to NEA plant leaves. In conclusion, such endophytic association can be beneficial to explore ways to improve crop production under stressful conditions.
62.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ybean sprouts produced at physiological optimal temperature around 20℃ are placed or displayed for several days in market shelf of relatively cool temperature (ca. 13℃). During this period a number of changes occur including changes in color, smell, taste, nutritional quality, and etc. In order to know the changes, soybean sprouts packed in plastic film bag were stored at different temperature of 3℃and 13℃. Morphological characters, physicochemical changes and enzymes activity related to soybean quality (color) were examined. Although the number of fine roots and hypocotyl length were greater in sybean sprouts stored at 1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ameter, fresh weight and dry weight of hypocotyl between storage temperatures. Browning of hypocotyl known as typical deterioration in sprout quality was highly dependent on the activity of polyphenol oxidase (PPO) in hypocotyl. Considering the low level of soluble protein in hypocotyl, the relatively higher activity of PPO suggested a critical role of PPO in stored soybean sprout. PPO activity of sprouts stored at 13℃ was 2 times higher than that of sprouts stored at 3℃ after 4 days. The PPO activity was observed no longer than 6 day in sprouts stored at 13℃. Crude protein content was increased to 30.9~35.4% on a dry weight basis as storage period was extended. The changes in crude protein was more higher in sprouts stored at higher temperature (13℃).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was increased in both temperatures. However, the changing rate was greater in sprouts stored at 13℃.
63.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ea plants growing under natural condition meet various stresses. The tea plants often subjected to adverse condition like low temperature and high light intensity during overwintering. Because tea plant is adapted well to low light intensity, higher light intensity might induce negative effects on tea growth at open field (exposed habitat). We investigated tea plant planted with the seeds of wild tea trees growing at Unsu-ri, Hwagaemyun, Hadong-gun on Nov. in 2008. The experimental field for juvenile tea plants was located in the hill neighboring GSNU at Jinju, Korea. We divided the field into open, semi-shaded, and shaded condition. Light intensity (PAR) at open condition was two times and twenty times higher than at semi-shaded and shaded condition, respectively. Growth of tea plants was highly dependent on light condition, the plants at open field was extremely poor as compared to plants grown at shaded field. Height of plants at open, semi-shaded, and shaded field were 14, 17.3, and 17.8 cm, respectively. Leaf size was also greater in plants grown at shaded field. Photosynthesis-related chlorophyll fluorescence (quantum yield) was also higher in shaded plants. Fv/Fm value of plants grown at open fields was lower by 50% as compared to that of the plants grown at shaded field. Chlorophyll content measured by SPAD meter also indicated higher value in open field plant than shaded plants. Our results suggested the photoinhibition during overwintering period strongly affects the growth juvenile tea plants becau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oil moisture content between open and shaded condition.
64.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re are many species as bioenergy crops and have different cold sensitivity in each. Cold-tolerant camelina and rapeseed, -sensitive jatropha,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cold stress response. Various physiological parameters such as leaf length, width, electrolyte leakage, stomatal conductance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 growth rate treated with cold (2℃) for 5 days. Cold treated jatropha was damaged seriousiy but camelina and rapeseed were withstan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ld-response on plasma membrane H+-ATPase activity isolated from leaves and roots of camelina, rapeseed and jatropha crops were exposed to cold stress. There were an increase in the activity of leaves and roots plasma membrane in cold-tolerant crops (camelina, rapeseed) while decreased the activity in cold-sensitive crop (jatropha). By western-blot analyses, the protein expression of plasma membrane H+-ATPase isolated from leaves and roots of camelina and rapeseed was increased in the presence of cold stress, but not in jatropha. These results may suggest that increased plasma membrane H+-ATPase of crops are closely related with cold-tolerant.
65.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는 경기인삼(홍삼)의 명품 브랜드화를 위해 DNA 검정에 의한 인삼 고순도 종자생산 시스템구축 및 홍삼 적합 원료용 품종개발과 안전 재배기술 확립 연구를 수행 중이다. 현재 홍삼용과 가공용 으로 추천되고 있는 천풍․연풍과 경희대학교와 경기도에서 출원중인 신육성 계통(K-1)인 2년생에 대하여 형 질 특성과 광 반응을 조사하여 재배기술 확립에 관한 연구를 수행 중으로 초중기 생육특성 조사 결과를 보고 하는 바이다. 2007~2008년 연천에서 예정지를 2년 관리 후 천풍, 연풍, K-1, 혼계종을 인삼 GAP표준재배지침 서에 준하여 이식을 하고 관리를 하였다. 출아시는 혼계종 5월 3일에 비하여 천풍은 차이가 없었으나 연풍과 K-1은 각각 3, 8일 빨랐다. 출아율은 시험품종 모두 81~90%로 양호하였다. 광합성속도는 20℃에서 광량이 증가할수록 K-1이 가장 높았고 연풍>천풍>혼계종 순이었다. 혼계종에 비하여 시험품종 모두 경장과 엽장은 길었고 엽폭은 대차 없었다. 지하부 생육특성 조사 결과 근장은 혼계종에 비하여 K-1만이 길었으나 연풍과 천풍은 대차 없었며, 근직경은 K-1, 연풍, 천풍 모두 굵었다. 단풍기는 혼계종 8월 25일에 비하여 연풍은 16일 빠른 8월 9일이었으나 K-1은 9월 2일, 천풍은 10월 8일로 각각 7일, 44일 지연되었다. 아직 K-1의 경우 2년생 저년생이지만 형질특성을 보면 다수성인 연풍과 대등한 생육특성을 나타내고 있어 유망시되며 향후 고년생 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66.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April 2009 two wheat cropping fields, Jeonju and Gimje in Jeonbuk Province, showed yellowish leaves and dead tillers in stem bases with sharp lens-shaped darken lesions. The disease incidence in wheat cultivar Jopummil ranged from 2.2 to 43.5%, with a mean incidence of 28.5%. The different incidence was related the seeding date. Earlier seeding (15th October) fields showed severe incidence as 25.5 to 43.5% while late seeding around the end of October weakened incidence in the cultivar. Based on morphology and pathogenic characteristics, the fungus was identified as Rhizoctonia cerealis that causes sharp eyespot in wheat. The disease severely affected growth and yield including culm length, spike length, number of kernel. The average culm length of the infected cv. Jopummil was 66 cm while that of healthy plant was 74 cm. The number of kernel and tiller per unit area was decreased only in the case of more than 13% incidence, but the length of head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with that of the healthy plants.
67.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서 녹비작물로 이용되는 헤어리베치의 채종용 지지식물로 적합한 밀 품종을 선발하고자 국내에서 장려되거나 재배되었던 금강밀을 포함한 33개 밀 품종을 대상으로 지지효과를 시험하였다. 수원에 위치한 국립식량과학원 시험포장에서 2008년 10월 8일에 보라 헤어리베치와 밀을 3:1 비율로 혼합하여 4 kg/10a을 50cm 간격으로 조파 재배하여 헤어리베치 종자 수확 시기에 도복 정도를 조사한 결과 올밀, 조은밀, 금강밀 은 도복 정도가 4~5 정도로 6 이상을 나타 낸 다른 밀 품종에 비해 지지 효과가 우수하였고 헤어리베치 종자 수량도 조은밀 95kg/10a, 금강밀 94kg/10a, 올밀 86kg/10a로 다른 밀 품종에 비해 헤어리베치 종자 수량 이 높게 나타났다.
68.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겨울철에 유휴지 및 하천변 둔치 등을 활용한 경관용 및 바이오디젤 생산용 유채 재배면적이 확대됨에 따라 유채 생채 및 유챗대의 조사료 이용 가능성을 조사함으로써 겨울철 유휴농지의 활용 및 농가소득 증대를 도모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에서 육종한 고정종 유채 4품종(내한, 영산, 탐미, 탐라)과 1대잡종인 ‘선망’등 5개 품종을 대상으로 개화초기(4. 10.), 개화종기(4. 28.) 및 결실초기(5. 10.)의 품종별 생육특성, 생초수량성 및 성분을 조사하였으며, 종실 수확 후 남은 유챗대 및 곤포 작업 후 유챗대의 성분을 조사하였다. 파종 적기인 전년 10월 15일에 파종한 유채의 수확기별 생초 수량은 개화초기 2,280 ~ 3,400kg/10a, 개화종료 5,080 ~ 6,370kg/10a, 결실초기 4,930 ~ 6,300kg/10a로 나타났으며, T/N율은 개화초기 1.30 ~ 2.86%, 개화종기 1.22 ~ 2.24%, 결실초기 0.74 ~ 0.76%로 나타나 수확기가 늦어질수록 T/N율이 낮아짐 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사료의 가치를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인 ADF(산성세제 불용성 섬유소)와 NDF(중성 세제 불용성 섬유소)는 각각 총 건량의 16.7 ~ 35.9% 와 24.8 ~ 46.6%였으며,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ADF와 NDF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CP(crude protein)는 총 건량의 12.1 ~ 19.4%로 나타났다. 한편 종실 수확 후 유챗대의 수량은 560kg/10a였으며, T/N율은 0.35%, ADF와 NDF는 각각 총 건량의 58.1% 와 70.9%였으며 CP는 2.64%였고, 유챗대를 원형곤포로 만들어 60일간 발효 후 조사한 ADF와 NDF는 각각 총 건량의 54.2% 와 65.5% 였으며 CP는 3.33%로 나타나 발효가 됨에 따라 ADF와 NDF는 감소하고 CP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69.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기후온난화로 월동해충인 노린재류의 발생이 증가하여 콩 꼬투리가 형성되는 시기에 콩 포장으로 유입 되어 꼬투리 및 종실을 가해하여 수량을 크게 저하시킨다. 따라서 콩에 노린재류의 약제방제를 하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생산코자 콩 생육의 R5(종실비대기)에 망을 피복하여 물리적으로 방제하였다. 방제에 사용된 망은 조수해를 방지하기 위한 무지주 고밀도(3mm) 방조망(오양부직포)으로 하였고, 처리는 무방제, 관행(3회 약제방제), 망 피복으로 하였다. 노린재류 발생밀도는 4.8m2당 무방제에서 약충과 성충 모두 합하여 29.3마리, 망피복 4.0마리, 관행(3회 약제방제)은 알락수염노린재만 1마리 관찰되었다. 노린재류 피해립율은 무방제의 58.4%에 비해 관행(3회 약제방제) 4.6%, 망피복은 6.7%로 크게 낮았다. 처리별 노린재류 방제효과는 망피복 처리가 88.5%, 관행 92.2%로 망피복재배의 방제효과도 인정되었다. 종실수량은 무처리의 ha당 1.7톤에 비해 관행은 3.7톤, 망 피복재배는 3.5톤으로 2배 이상 높았고 약제를 3회 방제한 관행과 큰 차이가 없었다. 콩 생육 단계별 망 피복에 의한 노린재류 피해협율은 R4~R6까지 6.5~7.9%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피해립율은 R4 (협비대성기)에 6.7%, R5 (종실비대기)에 16.0%, R6 (종실비대성기) 22.7%로 망 피복 시기가 늦어질수록 피해가 많았다. 망피복에 의한 일조량의 조사는 11시부터 17시까지 2시간 간격으로 4회 측정한 결과 11시 83,800Lux, 13시 90,800Lux, 15시 51,200Lux 17시 24,900Lux가 조사되었고, 망 무피복은 각 87,800Lux, 101,000Lux, 53,700Lux 및 27,400Lux로 콩 재배에는 큰 문제가 없어 망피복 재배에 의한 노린재류 방제효과가 인정되었다.
70.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주식이 부족하여 부식으로 이용되는 콩, 참깨, 고추 등과 같이 여러 작물을 동일포장에 서 간작으로 많이 재배되어 왔지만 최근 노린재류의 발생이 증가되면서 피해는 배가되고 있다. 따라서 콩 간작 참깨 재배시 콩 포장의 노린재류 피해상황을 분석하고, 피해를 경감하고자 2008년 경북 안동 녹전에서 대망2호, 선백깨를 공시하여, 6월 20일에 이모작으로 파종하였다. 콩 포장의 약제살포는 etofenprox를 R4, R5, R6에 하였다. 참깨 포장과 콩 재배 포장과의 거리별 노린재류의 콩 피해조사를 위하여 1m, 5m, 10m 및 15m 거리의 4지점에서 조사하였다. 참깨포장에 관찰되는 주요 노린재류는 알락수염노린재, 풀색노린재, 썩덩나무 노린재였고, 콩 포장에서는 가로줄노린재,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가 추가로 관찰되었다. 처리별 노린재류 발 생밀도는 콩 단작포장이 4.8m2당 5.3마리가 발생되었으나 간작포장은 3배정도 많은 15마리가 관찰되었다. 노린재류 피해협율과 피해종실율은 콩 단작포장에서 각4.1%, 8.5%였고, 참깨간작 콩 포장은 각8.9%, 32.0%로 월등히 높았으며, 참깨를 수확하면 섭식할 기주 식물이 없어 콩 포장으로 이동하여 피해가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종실수량 또한 참깨를 간작한 포장에서 ha당 2.8톤으로 28%정도 감수되었다. 참깨 포장과 콩 포장 과의 거리별 노린재류 피해상황은 1m, 5m, 10m 및 15m지점에서 노린재류 발생밀도는 4.8m2당 각 41.0, 9.6, 6.7 및 7.3마리가 관찰되었고, 노린재류 피해율도 참깨포장과 인접할수록 높았다. 참깨포장과 콩 포장과의 거리별 종실수량은 ha당 1m의 지점에서 1.69톤이었지만 5∼15m의 지점에서는 3.12∼3.30톤으로 참깨포장과 멀어질수록 수량이 높았다. 즉 동일포장내 콩 간작 타작물 재배시 조숙종인 작물을 수확하면 5일이내 콩 포장에 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노린재류의 피해를 줄이고 콩 수량과 품질을 향상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71.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ost traits of crop are quantitative, which are controlled by polygenes. Finely mapping ofquantitative trait loci (QTLs) is very important for cotton genetic improvement. Chromosome segment substitution lines (CSSLs) containing only one or a few segments of donor chromosome introgressed into a recipient genetic background can be used for QTL fine mapping and map-based cloning. In this study, the Gossypium. hirsutum variety ‘ZM36’ and Gossypium. barbadense ‘Hai1’ were respectively used as recurrent and donor parent to produce a segment substitution lines populations, including the BC4F2:3 and BC4S2:4 generations, by using microsatellite marker-assisted selection (MAS). We obtained 283 SSR marks by taking about the average 5 cM distance selection marks on this map, and these marks were carried to the molecular examination with to two populations. The results showedthat recurrent parent genetic background already to restore the very high degree through the high generation of backcross.
72.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romosome segment substitution lines (CSSLs), in which each line carries a single or a few defined chromosome segment of donor genome and has a pure genetic background from a recurrent genotype, is a fundamental approach to conduct the QTL mapping in order to improve the mapping precision. In the present study, variety ‘ZM36’ (Gossypium. hirsutum) and ‘Hai1’ (Gossypium. Barbadense) were used as recurrent and donor parent to produce a segment substitution lines populations,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most of fiber quality traits, yield-related traits and verticillium wilt traits fit the normal distribution in the Kolmogorov-Smirnov test. In 133 lines of BC4S2:3 generation fiber length longer the recurrent parent has 37, micronaire lower than the recurrent parent has 58, Fiber strength over than the recurrent parent has 34. In 199 individuals of BC4S2:4 generation fiber length longer the recurrent parent has 37, micronaire lower than the recurrent parent has 36, Fiber strength over than the recurrent parent has 49. Fiber length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fiber strength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micronaire, seed index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boll weight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lint percentage, lint percentage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fiber length and strength.
73.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canthopanax senticosus is a typical oriental folk medicinal herb and has been used clinically as a tonic, anti-rheumatic and prophylactic for chronic bronchitis, hypertension, anti-stress, ischemic heart disease, and gastric ulcer. Acanthopanax senticosus was successively extracted with water, boiling water, methanol, and 70% methanol.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various extracts were evaluated by antioxidant tests, such as DPPH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metal-chelating activity,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assay. The boiling water extract exhibited the highest activity in the in vitro models of DPPH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assay. The 70% methanol extract showed high metal chelating activity. In addition, the total phenolic content of different extracts was also investigated. These results indicate the high possibility of using A. senticosus for medical application due to their efficient antioxidant properties.
74.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lant leaf color is an important indicator for diagnosing the plant nutrient status. A software was developed by Crop Environment and Production Technology Lab.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to analyze the color image of rice canopy taken at panicle initiation stage (PIS) with digital camera and to recommend nitrogen fertilizer rate for target yield or protein content of rice. The software was coded in Visual Basic Ver. 6.0 and includes subroutine to calculate color indices from the digital image and several model equations relating the color indices to biomass and nitrogen accumulation of rice canopy at PIS, the grain yield to nitrogen density at PIS (PNup) and nitrogen accumulation from PIS to maturity (PHNup), and the PHNup to PNup and nitrogen fertilization rate at PI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ere to test the performance of the Software. Using the Software, nitrogen fertilization rate at PIS was recommended targeting the rice protein content of 6.3% for the 12 plots subjected to different amount of basal and tillering N fertilizer. N recommendation using the software reduce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CV, %) of rice yield and protein content among plot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N treatment plots. However, the actual protein content of rice was lower than the predicted value. This discrepancy would be attributable to the much better weather condition during grain filling period in 2009 compared to the normal year that assume in the Software for N recommendation. Additional calibration process is need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is Software.
75.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유기농업 재배지에서 주로 이용되는 녹비작물의 Allelochemical 특성을 조사하여 생물적 제어 수단으로 서의 실용화 가능성을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토양 이화학적 특성은 시험 후 녹비 처리된 토양의 총 질소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토양 무기태질소의 함량은 무피복구, 헤어리베치처리구 및 헤어리베 치+호밀 처리구는 비료 시비 및 녹비환원과 동시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녹비환원 후 30일 경에 최대에 도달하 였으며, 헤어리베치의 투입량이 많을수록 무기화되는 질소의 양이 많아졌다. 토양 탄수화물은 시험 전에 가장 높았으며, 시간의 경과와 함께 서서히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다. 토양 미생물탄소 및 미생물질소의 양은 조사 기간 동안 녹비환원구가 무피복구에 비해 높았다. 토양 총 페놀화합물은 헤어리베치, 호밀, 헤어리베치+호밀 (1:1)은 환원 후 10일에 최대로 증가하였고, 헤어리베치+호밀(1:3, 3:1)은 환원 후 30일에 최대로 증가하였다. 토양 부식산은 무피복구와 녹비 처리구에서 처리 전에 비하여 처리 후에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녹비 작물 환원에 의한 부식산 증가효과는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녹비환원 후 85일에 잡초발생량은 광엽초종의 경우 헤어리베치+호밀(1:3)>헤어리베치>호밀>헤어리베치(1:1)>헤어리베치(3:1)>무피복 순이었고, 단자엽초 종은 헤어리베치+호밀(3:1)>무피복>헤어리베치>호밀>헤어리베치+호밀(1:3)>헤어리베치+호밀(1:1)순으로 나 타났다. 녹비작물의 환원은 잡초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잡초에 의한 질소 탈취율의 결과 무피복구 는 65.9kg/ha의 질소를 잡초가 탈취하였으나, 녹비환원구는 무피복구의 50%미만으로 나타났다.
76.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약 20%에 해당하는 조건 불리 한계농경지의 활용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산간지역의 한계농경지인 산간경사지, 척박지 및 자갈밭에 수수, 조, 기장을 파종하여 잡곡류 생산성을 평가함은 물론 적정 품종을 선발하여 경지이용률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수수의 한계경지별 출수기 및 성숙기는 큰 차이가 없었다. 간장도 자갈밭을 제외하곤 한계경지별 큰 차이가 없었으며, 수장은 경사지가 38.1cm로 가장 컷고, 척박지가 35.0cm로 가장 작았다. 1수립수는 대조구와 경사지가 각각 2598.1, 2563.8개로 가장 많았으며, 이삭 수도 마찬가지로 대조구와 경사지가 각각 26.7, 26.0이삭/3.3m2으로 가장 많았다. 수량은 경사지가 301.7kg/10a 로 다른 한계경지에 비해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 313.3kg/10a에 비해 약 96%를 차지하였다. 품종별 생육기간 은 큰 차이가 없었다. 1수립수는 목탁수수가 2357.6립으로 가장 많았으며, 수량도 목탁수수가 236.5kg/10a으로 가장 많았다. 조의 한계경지별 출수기 및 성숙기는 큰 차이가 없었다. 수장 및 생육기간도 한계경지별 큰 차이가 없었다. 1수립수는 대조구를 제외하면 경사지가 4913.9립으로 많았다. 3.3m2당 이삭수는 자갈밭이 85.3 이삭으로 대조구에 비해 79.9%로 가장 적었으며, 수량은 경사지가 282.0kg/10a로 대조구를 제외하면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 295.0kg/10a에 비해 약 96%를 차지하였다. 품종별로 보면 수장 및 생육기간은 큰 차이가 없었으며, 1수립수는 메조가 5729.6개로 가장 많았으며, 3.3m2당 수수, 1000립중, 입모률은 품종간에 큰 차이 가 없었다. 수량은 메조와 몽당조가 각각 259.3, 252.3kg/10a으로 많았다. 기장의 간장은 대조구와 경사지가 동일하게 168.3cm로 가장 컷으며, 수장도 경사지가 35.3cm로 대조구 다음으로 컷다. 1수립수는 경사지가 787.1립으로 대조구 다음으로 가장 많았다. 기장의 입모률은 대조구, 경사지 및 척박지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 나, 자갈밭은 39%에 불과하였다. 수량은 경사지가 196.0kg/10a로 다른 한계경지에 비해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 217.0kg/10a에 비해 약 90.3%를 차지하였다. 품종별로 보면 1수립수는 벼룩기장이 827.2개로 가장 많았으며, 수량도 벼룩기장이 173.8kg/10a으로 가장 많았다.
77.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라북도 고구마 육묘면적은 약 50ha이며, 생산량의 70%정도가 전국에 공급되고 있다. 종순의 유통단위가 재배 지역에 따라 무게 또는 수량(속)의 기준으로 나뉘어 있어 이에 따른 종순품질이 상이하고 고구마 삽식농가의 혼란이 초래되고 있다. 따라서 종순의 기준을 설정하여 우량종순 생산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시험이 수행 되었다. 민간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는 분질형 및 황색점질형 고구마 2종의 종순을 대상으로 줄기길이가 30cm 정도 되며, 곧고, 단단한 것을 A등급, 줄기길이가 25cm 정도이며 단단하지만, 휘었거나 불규칙한 것을 B등급, 줄기길이가 20cm 정도이며, 줄기가 연약한 것을 C등급으로 구분하였다. 경경(밑둥에서 5cm), 생체중, 엽면적은 A등급이 B와 C등급과 유의하게 크거나 넓었다. 특히 주당생체중은 A등급이 15.9g, B등급이 7.6g, C등급이 5.0g으 로 큰 차이를 보였다. 삽식 3주후의 주덩굴길이, 분지수, 마디수가 A, B, C 등급의 순으로 길고, 많았다. 분질형 고구마의 포장생존율은 A등급이 98.2%, B등급이 91.2%. C등급이 87.9%로 차이를 보여 등급이 낮을수록 포장생 존율이 낮았다. 황색점질형 고구마도 분질형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수량은 A등급이 1,929kg/10a로 가장 많았 다. 따라서 높은 포장생존율과 수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속(100주)당 1.5kg이상이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품종 별로 종순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금후 품종별 우량종순의 기준설정 및 검토가 필요하다.
78.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최고의 인문지리서인 세종실록 지리지를 통해 경기농업의 현황을 파악하여 기초자치단체 농산물 특화 연구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경기의 간전은 200,347결이었고 이중 밭이 124,173결, 논이 76,173결이었다. 조세대상작목은 稻米 등 13작목, 공물대상작목은 모과 등 19작목, 산야에서 채집한 약재는 93작목, 재배약재는 21작목이었다. 목, 도호부, 군, 현별 농업현황은 재배지의 비옥도의 분포는 비옥지가 매우 많은 지역 2도호부 1현, 바옥지와 척박지 비율이 비슷한 지역 1목, 3도호부, 3군, 11현, 척박지가 많은 지역 1군, 3현, 척박지가 매우 많은 지역 1도호부, 3군, 11현이었다. 간전규모는 2,500결이하 1군 8현, 2,500~5,000결 2도호부 3군, 14현, 5,000~7,500결 2도호부, 2군, 3현, 7,500~10,000결 1현, 10,000현 1목, 2도호부 이었다. 밭의 비율은 50%이하 2도호부, 1군, 3현, 50~60% 3도호부 2군, 7현, 60~70% 3도호부, 1군, 7현, 70~80% 1목, 1도호 부, 3현, 80%이상 2군, 6현이었다. 재배작물의 분포을 살펴보면, 토의로는 오곡은 1목, 7도호부, 5군, 22현, 소두 7도호부, 5군 23현, 교맥(메밀) 5도호부, 5군 21현, 참깨 6도호부 2군, 13현, 봉나무 1목 7도호부, 4군, 21현, 마 7도호부, 6군, 20현, 좁쌀 8도호부 5군, 24현, 녹두 2도호부 8현, 수수 1도호부, 1군, 6현, 벼 1군, 3현, 피 2현, 기장 1군 3현, 보리 2군, 숙(황두) 2군 3현, 삼 1도호부, 대추 1목, 1군에 분포하였다. 토공으로는 느타리 1목, 3도호부, 2군, 9현, 영지 1목, 5도호부, 2군, 19현, 대추 1도호부 2현, 석이 1군, 꿀1도호부 1군 5현, 밀(黃밀) 1도호부 1군, 1현, 연자 2현, 오족이 1군 5현, 그리고 자단, 배단, 모과, 삿갓나물은 1현에 분포하였다. 재배약재 는 안식향 1목 2현, 사자발쑥 1목, 4도호부, 2군, 2현, 현호색 1목, 1현, 봉 1목, 연자 2도호부 2군 1현, 당귀 1도호부, 1군, 3현, 복령 1도호부 2현, 석창포 2도호부 1현, 백복령 2현, 살남초 1현, 속단 1도호부 4현, 복신 1군 2현, 황금 1도호부 2현, 삿갓나물 2군, 오미자 1군 2현, 초피나무열매와 황기 1도호부, 백부자 1군에 분포하 였다. 토산으로는 산개 1도호부 1군 5현, 신감초 1도호부 1군 5현, 송이 2도호부 4현, 송자 1도호부 1현, 밤, 인삼, 석이, 배는 1현에서 분포하였다.
79.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후변화에 대비한 영남지역 지대별 조생종, 중생종, 중만생종의 이앙시기별로 벼 생육과 미질을 비교 분석하여 지역별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조생종인 운광, 중생종 삼덕, 중만생종 칠보벼를 안동, 봉화지역에 5.20, 5.30, 6.10일 이앙하였고, 대구는 5.30, 6.10, 6.20일 이앙하고 생육 및 미질특성을 검토한 결과가 다음과 같다. 등숙비율에서 봉화의 조생종은 6월 10일, 중만생종은 5월 30일 이앙에서 가장 높았고, 안동의 조․중생종은 5월 30일과 6월 10일, 만생종인 칠보인 경우 5월 20일 이앙기에서 등숙비율이 가장 높은 경향이었으 며, 대구에서 조․중생종은 6월 20일 이앙기가 가장 높았으나 중만생종은 비슷하였다. 10a당 수량에서 봉화지역은 이앙이 빠를수록 모든 품종에서 수량이 증대되었으나, 안동은 5월 30일에서 수량이 증대되었고, 대구는 조․중생종 6월 10일과 중만생종 5월 30일 이앙에서 수량성이 높았다. 단백질은 품종, 이앙시기별 일정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으나 대구에서 다소 높고, 아밀로스함량은 지대가 높은 지역에서 모든 품종이 증가되었다. 이앙시기가 늦을수록 완전립 비율이 증가되는 경향이었는데 90%이상은 봉화에서 5월 30일, 안동에서 6월 10일 이앙한 칠보벼가 품질이 우수하였다. 지역 및 품종별로 이앙시기가 늦을수록 식미치(TOYO)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는데 칠보벼가 다른 품종 에 비해 식미치가 높았다.
80.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담수표면직파는 파종 후 균일한 입모수확보가 수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담수 하에서 입모와 관계되는 초기생육형질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담수표면산파 후 담수심 10 ㎝를 유지한 후 3주 뒤 생존 개체를 토양 뿌리내림정도에 따라 입모형을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뿌리가 완전히 땅속으로 고정된 형을 착근1형으로, 뿌리끝부분은 땅속에 있으나 뿌리기부는 땅위로 들떠서 배수를 할 경우 쓰러지는 형을 착근2형으로, 뿌리가 물속에 떠있는 형을 부상형(浮上型으)로 분류하였다. 재래벼계통인 PBR, WD3가 총발아묘수와, 착근1형이 많았고, 남평, 주안벼는 총발아묘수와 입모수와 착근1형이 적었다. 담수산파 후 무 담수시에는 품종간 초장 및 입모율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담수조건에서의 입모율은 생체중 및 초장과의 상관이 컸고 건물중과 근장과의 상관은 작았다. 따라서 담수직파전용 품종육성을 위해서는 반드시 담수상태 에서 초기생육량을 기준으로하여 유전자원을 선발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관한 생리. 생화학적 기초 연구가 필요하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