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물책임법은 제품의 제조, 설계, 표시상의 결함으로 인해 사용자의 생명이나 신체에 피해나 손실이 발생할 경우 제조물의 결함과 그로 인한 피해 사실이 입증되면 제조업자 등이 손해배상책임을 지게 하는 제도이다. 제조물책임법의 시행으로 기업은 제품의 안전성 확보와 만약에 발생할 수 있는 제품 사고를 대응하는 활동을 체계적으로 수립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실제로 기업이 제조물 책임 대응활동을 얼마나 체계적으로 예방하고 대응할 수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는 제도는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조기업의 제조물책임 대응수준 평가제도 도입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제도의 필요성을 조사하여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평가제도로 도입할 수 있도록 연구결과를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is research focuses on a scheduling problem in the semiconductor probing facility. Probing facility is composed of identical parallel machines and the parallel machines form three workstations for the tests with different recipes. Each machine can be set to three different tests and sequence-dependent setup times are required between operations due to temperature and probe card loading/unloading. Precedence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ree tests of each wafer lot. The scheduling problem for the probing facility is a parallel machine scheduling problem with precedence relationship and sequence dependent setup time. We develop heuristic algorithm to minimize makespan for the scheduling problem and numerical experiments are conduct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In this study, we proposed a method for correcting non-compliance of the web standard in webpag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ampled webpages. We collected about 70,000 webpages by using a web crawler and analyzed them by applying various statistical methods. We found that the top three most frequent types of errors and warnings consist of about 60% and 80% of the total number of errors and warnings,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we focus on correcting four most frequent errors and warnings, and showed that the strategy corrected about 95% of these errors and warnings. In addition, we found that different types of errors and warnings are correlated in such a way that correcting one type of error or warning influences on the correction of another types.
정부에서는 발주하고 관리하는 정보화 사업은 년 3조원 규모로, 이러한 정보화 사업은 대부분 사업수행 업체가 제출한 제안서를 분야별 전문가들에 의해 평가를 진행한 후 사업 수행자를 선정하게 된다. 제안서 평가는 제시된 평가기준에 의해 평가위원의 정성적 판단에 따라 점수를 부여 하고 있으나, 실제 평가위원이 어떠한 부분에 중점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점수를 부여하는지는 알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평가위원의 제안서 평가 시 어떠한 요인이 평가점수 부여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 하고자 한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평가를 진행하는 평가위원을 직접 대면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해야 한다. 그러나 평가위원 명단이 보안상 공개되지 않아서 조사에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고, 또한 설문조사 등으로 직접 조사하기에는 부적절한 측면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평가시스템에 등록된 평가위원의 평가의견(Text) 분석을 통해 요인을 분석 하고자 한다. 데이터 분석 도구인 R을 이용하여 온라인 평가시스템에 등록된 평가의견에서 형태소를 추출, 평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요인과 극성을 나타내는 Keyword 사전을 구축 하였고 주요 요인을 이해력, 수행력, 관리력 3개의 차원으로 분류 하였다. 이를 통해 평가위원이 실제 입력한 점수와 주요 요인, 극성 조합에 의해 산출된 점수가 어떠한 상관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회귀 분석을 실시, 주요 요인들이 평가 점수에 미치는 영향도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할 계획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비정형 형태로 입력된 의견을 실제 평가결과 점수로 수치화 할 수 있는 방법론 수립의 기초가 될 것으로 기대 한다.
In the painting process of automotive factory, color changeover cost is incurred every time the color of vehicle is changed. To solve this problem, automotive company usually uses storage space such as Selectivity Banks(SB) or Car Rescheduling Storage and carries out sequence planning so that vehicles of the same color are consecutive, which is called Car Resequencing Problem (CRP). So far, research works for CRP has focused on algorithms finding optimal or approximated optimal solutions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number of vehicles is fixed in SB. However, these results cannot be directly applied to the actual automotive paint shops since they have continuous flows of cars into SB to be handled in a day.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cyclic scheduling method that starts the painting process using the result of Accelerated Dynamic Programming (ADP) and then reapplies the ADP to the vehicles in SB for renewing the painting schedule whenever a certain number of vehicles is painted, represented as a threshold.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we performed a numerical experiment by designing system configurations, based onthe actual vehicle painting process, and proposed a good threshold that can reduce overall color changeover cost.
Indiscriminately installed signboards are messy in out of harmony with the urban environment. In such a case, improving signage project is needed to improve significantly the urban environment. Signboards are installed to give good perceptional effect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customer. Also, Signboards are designed to make harmonize well with the urban environment because signboards are installed in virtually every place, such as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e natural environment, the commercial environment of the city. The design of signboards should consider functional elements as a perceptual media and the user interface communication in order to provide customers with various services such as traffic information and life safety. In this study, we analysis design and functionality the customer is seeking, and suggest design elements of signboards which can well harmonized with the urban environment.
본 연구에서는 온실을 운영하고 있는 농장주를 대상으로 영농작업기록장(농가경영기록장 또는 농가작업일지)의 작성 실태, 활용도 및 작성 상의 애로 사항을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한다. 논문의 목적은 조사된 내용을 분석하여 기존 영농작업기록장의 애로 사항을 도출하고 기록장의 활용방안 제안하는 것이다.
노즐 플레이트는 발전 설비의 증기 터빈에 장착되는 핵심 장비로서 터빈 내부의 blade는 고정익으로 서 터빈에 유입되는 수증기의 유입속도와 방향을 조절하여 회전익에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 노즐 플레이트에는 많은 블레이드들이 inner ring 및 outer ring에 용접 방식으로 제작되어 활용되고 있으나, 용접시의 열변형, 노즐 블레이드 피치간의 불균일에 의한 제품불량 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 더욱이 용접공정 및 후공정으로 인한 제작 기간이 증가하여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는 용접식 노즐 플레이트를 조립식으로 설계 변경하여 구조를 개선하고 이의 적용성을 점검하고자 한다.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노즐 플레이트의 응력해석으로 구조안정성을 점검하고 또한 플레이트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노즐 플레이트의 공기 출구의 속도 노즐단의 엔탈피 효율 등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는 공기 흡입구와 여과기, test section 등으로 구성하여 설계한다.
대형 선박의 Cargo Oil Pump Driving Steam Turbine 내에 설치되는 COPT (Cargo Oil Pump Turbine)는 유조선에 탑재되어 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유류를 다른 저장소로 하역하는데 사용되는 필수 장치이다. 펌프 터빈의 로터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유류를 고속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하는데, COPT의 Rotor Disc는 터빈의 로터를 고속으로 회전 시키는 주요 핵심부품이다. 로터 디스크는 inner ring에 터빈 블레이드를 조립하고 원주방향의 끝 부분에 shroud 커버를 조립하여 블레이드의 테논을 리벳팅으로 마무리하고 체결하여 고속회전 시 안전성을 담보한다. 리벳팅은 오랜 수작업의 전통 체결방식으로서, 가해지는 힘의 정도에 따라 리벳 헤드부분이 깨지거나 변형되어 크랙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블레이드의 중량이 불균형되어 Balancing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또한 오랜 수작업으로 인해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이나 직업병 유발 및 산재사고의 위험에 처할 수 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shroud 커버가 없는 블레이드 형상을 설계하여 리벳팅 작업을 제거한 로터 디스크를 개발한다. 블레이드의 설계 시 구조안전성을 평가하고 설계 안전율을 점검한다. 설계형상을 대상으로 피로수명을 분석하고 수명을 예측하여 새로운 로터 디스크가 장착되어도 사용상의 안전성이나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논문에서는 Kano 분석을 통해 품질 역량 요소가 품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Kano 분석은 물리적 만족에 의한 고객 만족도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방법으로 어떠 특성요인의 제공여부와 그에 따른 고객의 만족관계를 분석하는 이원적 품질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즉, 서비스의 제공을 종축에 고객만족도를 횡축에 두고 개개의 서비스를 감동, 성능, 기본이라는 품질요소로 분류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능성, 신뢰성, 효율성, 사용성 등 8가지 소프트웨어의 품질역량 요소들에 대해 Kano 분석을 통해 특성요인을 분석하고 고객만족도 개선책을 제시한다.
출연기관은 국가 발전을 위한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최근 환경 등의 사회적 이슈가 확대되면서 출연연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도 강조되어가고 있다. 그 결과 출연연이 기본 연구개발의 가치 창출뿐만 아니라 사회적 공헌 또는 기여를 통하여 사회와 더불어 공존하면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추구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은 출연연 이해당사자 교육성과에 대하여 공유가치창출(CSV)의 지표들을 분석하고 도입 시 고려해야 할 정책방안들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