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블레이크는 네 생물에서 네 생물과 방사물이 이원론적 대립과 갈등을 일으킨 후에 조화와 재창조를 성취하는 길을 제시한다. 네 생물과 방사물은 인 간 내면의 분열과 고통, 남성과 여성의 성적 갈등, 이성과 감정의 갈등, 이성적 질서와 창조적 힘의 대립, 생명과 죽음의 갈등, 상상력과 질서의 대립, 혁명과 파괴와 질서 사 이의 대립 등을 역동적으로 보여준다. 그 후에 이들은 최후의 심판에서 조화와 재창조 를 시도하여 새로운 인간세계를 구축한다. 네 생물에서 이러한 블레이크의 상상력은 현대인들에게 상상력의 중요성을 각인시키고, 새로운 세계에 대한 비전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AI-Hub의 ‘방송콘텐츠 한국어-중국어 번역 말뭉치’ 데이터를 활용하여 네이버 파파고의 번역 품질을 평가하고 이를 시각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먼저 BL EU 점수를 통해 파파고 번역 품질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다양한 시각화 기법을 활용하여 번역 품질의 패턴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파파고 번역은 짧고 단순한 문장에서 높은 성능을 보였으나, 문장이 길고 복잡해질수록 번역 품질이 저 하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특히, 구어체 표현이나 문화적 맥락이 필요한 표현에서는 번역 오류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데이터 시각화를 통해 번역 품질 평가 의 이해를 돕고, 파파고 번역의 강점과 약점을 명확히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평가 지표와 데이터셋을 활용하여 번역 품질을 더욱 다각적으로 평가하고, 파파고 번역의 한계점을 개선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team-teaching between Korean English teachers and native speakers of English on English learning anxiety. A total of 248 elementary students in grade 6 participated in this study. One group of students were taught by Korean English teachers and native speakers of English while the other group never had the opportunity to speak with a native speaker in class. A survey questionnaire based on FLCAS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Scale) was newly developed to investigate how the two groups showed differences in English learning anxiety in class.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undertaken to suggest a three-factor solution. The two groups showed differences in English classroom anxiety and confidence in communication with native English speakers. On the other h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students who experienced team-teaching showed more confidence in communication with native speakers only at a rudimentary level. Therefore, 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should make their efforts to develop the skills to promote students’ confidence and higher level of communicative abiliti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ongruence between gender-related words and the speaker's gender. Specifically, we aimed to examine whether lexical access would be facilitated when the gender associated with words match the gender of the speaker uttering the words. To this end, two studies were conducted. In Study 1, subjective usage frequency and stereotypes of 242 potential gender-biased words (113 female words, 129 male words) were measured by a total of 15 participants (8 females, 7 males). The results revealed gender stereotypes, indicating that both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believed certain words would be used more frequently by a particular gender. Based on the stereotypes identified in Study 1, gender-stereotyped words (36 male stereotype words, 36 female stereotype words) and 36 neutral words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stimuli for Study 2, where a lexical decision task was conducted with 20 participants. The results showed no word-speaker congruence effects in reaction times and accuracy. These findings, particularly the absence of congruence effects are discussed in detail in the main text,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Performance-Based Seismic Design (PBSD) is an approach that evaluates how structures will perform under different
levels of seismic activity. It focuses on ensuring that buildings not only withstand earthquakes but also meet specific
performance objectives, such as minimizing damage or maintaining functionality after the event. Unlike traditional methods,
PBSD allows for more tailored, cost-effective designs by considering varying degrees of acceptable damage based on the
structure's importance and use. PBSD was introduced in Korea in 2016 to replace elastic design, which is inevitable to
over-design to cope with all variables such as earthquakes and winds. When PBSD is applied to the structural design new
building, One of the challenges of PBSD is the complexity involved in creating accurate inelastic analysis models. The
process requires significant time and effort to analyze the results, as it involves detailed simulations of how structures will
behave under seismic stress. Additionally, organizing and interpreting the analysis data to meet performance objectives can
be labor-intensive and technically demanding.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post-processor program was developed in
this study. A post-processor was developed based on Excel program using Visual Basic for Applications(VBA). Because
analysis outputs of Perform-3D, that is a commercial software for structural analysis and design, are very complicated,
generation of tables and graphs for report is significant time and effort consuming task. When the developed post-processor
is used to make the seismic design report, the required task time is significantly reduced.
본 연구는 SCGPA(Spent Coffee Grounds Pellet Ash)를 활용하여 다양한 혼합비율로 시멘트 복합체를 제작함으로써 SCGPA 의 신규 건설 재료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강도 시험 결과, 28일 압축강도 36.31 MPa 및 휨강도 12 MPa 를 나타낸 혼합비가 최적 혼합비로 도출되었으며, SCGPA의 시멘트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복합체의 전반적인 강도 특성이 감소하는 경향성을 발견하였다. SEM 및 XRD 분석 결과, SCGPA는 최대 10%의 적절한 치환율을 적용할 경우 큰 강도의 저하를 일으키지 않고 시멘트 대체재로 기능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품질의 굵은 골재를 함께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생산할 경 우, 30 MPa 이상의 압축강도를 가진 구조용 콘크리트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orest fire risk in the Gangwon region using FlamMap, a fire behavior prediction software. The research focuses on the large-scale wildfire that occurred in Gangneung on April 11, 2023. By comparing the actual fire spread data with the simulation results, the accuracy of the FlamMap model was evaluated. The actual fire exhibited a flame length of 5 to 10 meters, with a maximum of 15 meters, while the simulation predicted a range of 3.35 to 6.10 meters. The rate of spread in the actual fire reached up to 40 meters per minute, whereas the simulation forecasted a maximum of 27 meters per minute. Fireline intensity during the first 180 minutes reached 50,000 kW/m in the actual fire, while the simulation results varied between 3,500 and 25,000 kW/m, with some sections reaching up to 50,000 kW/m. Additionally, the actual fire reached nearby residential areas within 3 hours, while the simulation estimated a time range of 503 to 720 minutes. These discrepancies highlight the need for incorporating dynamic weather data and region-specific fuel conditions in future simulations for more accurate fire predict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improvements in the simulation process could enhance fire prevention and response strategies in forest fire-prone regions like Gangwon.
주천이(朱踐耳, 1922-2017)는 중국 현대의 유명한 작곡가 중 한 사람으로, 평생을 민족 음악 창작과 탐구에 헌신하였다. 그 는 중화 민족의 우수한 전통 문화를 토대로 서양 현대 작곡 기 법을 결합함으로써 수많은 영향력 있는 음악 작품을 창작하였 다. 특히 그의 교향곡 작품들은 강한 민족적 색채와 시대적 특 성을 반영하였으며, 전통 문화와 현대 작곡 기법을 깊이 있게 융합함으로써 높은 문화적, 예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본 연 구는 주천이의 교향 모음곡 <검령소묘(黔嶺素描)> Op.23의 <사루생(賽蘆笙)> 악장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민족 문화와 음 악 분석의 관점에서 이 작품이 서양 현대 작곡 기술과 중국 민 족·민속 문화를 어떻게 융합하였는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 작품에 내포된 민족 문화, 음악 구조, 화성의 사 용 등 다양한 측면을 분석함으로써 작곡가의 작곡 기법의 특징 과 규칙을 탐구하며, 나아가 그의 음악 창작에 대한 사고방식 과 창작 기법을 이해하고 습득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본 논문은 이완의 작업, <메이드인>(2013)과 <고유시>(2017)를 중심으로, 포디즘 이후 등장한 네트워크 사회의 기술적 및 경제적 전환의 동기와 인과를 조명한다. 이 특정한 역사적 맥락에서 노동과 자본주의 가속도, 그리고 그 사회경제적 구조의 권력 역학이 행복의 개념과 이미 지를 개인적 이상에서 정량화된 기호의 척도로 전환하는 과정을 분석한다. 특히 1980년대 이후 디지털 네트워크의 융합은 물질적 상품을 넘 어 기호와 데이터의 생산 및 소비가 지배적인 환경을 조성하며, 글로벌 소비사회에서 개인 행복 담론이 노동의 추상화, 시간의 공간화, 그리고 계층적 구분과 동질화의 역학 속에서 재구성되는 방식을 드러낸다. 본 연구는 이완의 작업을 중심으로, 디지털 스펙터클이 초래하는 개인 행복 조건의 상품화 과정을 조명하며, 이를 통해 현대 소비사회에서 수직적 계층화와 수평적 동질화를 지속시키는 구조적 역학을 고찰한다.
오늘날의 디지털 업무 환경에서 직원의 창의성은 조직에 있어 대체할 수 없는 중요한 자원이며, 오랫동 안 직원의 업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플랫폼인 기업 소셜 미디어를 잘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지식관리와 피드백 추구행동을 통한 기업 소셜 미디어 사용이 구성원들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의 메커니즘을 조사하고자 한다. 사회인지 이론에 따르면 개인은 환경적 요인, 인지적 태도 및 행동 때문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논문은 사회인지 이론을 바탕으로 새로운 연구 관점에서 기업 소셜 미디어 사용, 지식관리, 피드백 추구행동, 구성원 창의성 간의 이론적 모형을 구성하고 가설을 제시 한다. 본 논문은 2024년 1월부터 2월까지 중국에서 기업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는 구성원 242명 대상으로 중 국 WenJuanXing 앱에서 리커트 6점 척도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 업 소셜 미디어 사용이 구성원 창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지식관리는 기업 소셜 미디어 사용과 구성원의 창의성 관계에 매개효과가 있다. (3) 피드백 추구행동은 기업 소셜 미디어 사용과 구성 원의 창의성 관계에 매개효과가 있다. 본 연구는 기업 소셜 미디어 사용, 지식관리 및 피드백 추구행동 사이에 유효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시간과 경험의 문제로 인해 몇 가지 한계점과 향후 연 구방향 부분이 있다. 첫째, 현재 연구의 차원을 더 확장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 유형을 풍부하게 할 수 있다. 셋째, 연구 범위를 확대한다. 넷째, 기업 소셜 미디어 사용, 지식관리, 피드백 추구행동과 구성원 창의성 조사에 사용된 척도는 해외의 척도를 차용한 것으로, 문화와 환경의 차이를 고려할 때 국내외 실 제 상황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다섯 번째, 본 연구는 직장 내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는 긍정적인 측면에서 부정적인 측면과 긍정적인 측면 사이의 균형을 고려해야 한다고 논의한다.
본 연구는 대서양연어 (Salmo salar) 파르를 대상으로 다른 광주기 (L24:D0, L15:D9, L12:D12, L9:D15, L0:D24)에 60일간 노출시킨 후에 생존, 성장 및 혈액성분에 관한 영향을 연구하였다. 실험종료 시 생존율의 측정결과 L24:D0 실험구는 90.0± 7.1%, L12:D12 실험구는 87.5±3.5%, L9:D15 실험구는 97.5±3.5%, L24:D0 실험구는 97.5±3.5%로 나타났으나 각 실험구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실험종료 시 각 실험구의 증체율 (weight gain, WG), 일간성장률 (specific growth rate, SGR) 및 사료효율 (feed efficiency, FE)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광주기 차이에 따른 유의한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혈장 성분 중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및 glucose는 L24:D0 실험구가 다른 실험구에 비해 유의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혈장 cortisol은 L24:D0와 L0:D24가 가장 높았으며, L15:D9와 L9:D15와는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L12:D12보다는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혈장 sodium (Na+), potassium (K+), chloride (Cl-) 및 osmolality는 각 실험구 간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 대서양연어 파트에 대해서 60일간 다른 광주기에 노출 시켰을 때 생존 및 성장도의 변화는 보이지 않았으나, L24:D0 실험구에서 조직손상과 스트레스 지표인 혈장 ALT, AST, cortisol 및 glucose 농도가 유의하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trawl net width based on the design drawing and towing condition of sampling trawl used in past surveys to improve the accuracy of estimation for fishery resources. To this end, the trawl gear was modeled as a flexible structure and numerically analyzed, and the analysis results were subjected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a model was derived to calculate the net width by the towing conditions. When the towing conditions from past surveys were input into this model, it was confirmed that the net width increased in a natural logarithmic manner with the increase in the warp length and that decreased linearly as the water depth increased at the same warp length. For verification of the model, the theoretical formula of other study and this model were compared. As a result, despite the values of the two were slightly different, the tendency of changing net width by increasing warp length was consistent each other.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derived model can obtain the net width according to various towing conditions and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accuracy of fishery resources estimation.
Sage (Salvia officinalis) contains various active compounds, including flavonoids and terpenes. In this study, the terpenes content, including camphor, borneol, and eucalyptol, was analyzed. Both subcritical water and conventional solvent extraction methods were used. Using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th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were determined based on temperature and time to selectively extract the desired components from the sage. Thes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were as follows: camphor (130°C for 5 min, 2.73±0.39 mg/g), borneol (130°C for 5 min, 0.72±0.07 mg/g), and eucalyptol (150°C for 5 min, 0.51±0.03 mg/g). A comparison of extracts obtained via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technology and various solvents revealed that the extracts obtained using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had higher levels of all three components. This indicates that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is more efficient and faster than traditional solvent extraction methods. Moreov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technology has the potential to be applied as an eco-friendly alternative to traditional extraction methods for obtaining active compounds like terpen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