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trogen dynamics of Seagrass Zostera marina were investigated in both Dongdae Bay and Ojiri from March to August, 2004. All seagrass samples were separated into four fractions such as leaves (new and adult), sheath and rhizome in order to understand temp
방사선 그라프트 중합법을 적용하여, 폴리에틸렌 다공성 중공사막에 전자선을 조사시킨 후, glycidyl methacrylate(GMA)를 그라프트 중합하였다. 그 후, 음이온 교환기로서 diethylamine (DEA), triethylamine (TEA)를 도입시켜 2종류의 음이온 교환막을 합성하였다. DEA막과 TEA막의 이온교환 밀도는 3.4 mmol/g, 1.74 mmol/g으로 DEA막이 TEA막보다 높은 이온교환기를 얻을 수 있었다. 이 2종류의 음이온교환막에 단백질(bovine serum albumin, BSA)을 투과법에 의해 고정시켜 BSA 고정막을 만들었다. DEA-BSA막의 경우, 그라프트 체인에 BSA가 8층 이상으로 다층 흡착하였으나, TEA-BSA막의 경우, 강한 음이온에 의해 다층 흡착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DEA-BSA막의 경우, BSA 다층 흡착성 고정을 나타내기 때문에 L-Trp가 D-Trp보다 더 강한 흡착 특성을 나타내었다. L, D-Trp 이성질체 혼합물을 투과시킨 BTC에 있어서, DEA-BSA 막의 경우, BSA에 대한 L-Trp와 D-Trp의 키랄 인식이 다르기 때문에 2단계의 BTC곡선을 얻을 수 있었다.
본 논문은 긍정적인 정신적 흥분이 자율신경계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2002년 한일 월드컵 기간 중 국민이 경험한 정신적, 신체적 상태의 변화를 자율신경 평가 도구인 심박변이도(HRV)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실험 대상은 월드컵군과 정상 대조군으로 나누어 심박변이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조군은 수도권 2개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한 건강한 20~30대 남녀 675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월드컵군은 수도권 소재 월드컵 경기장 3개소에서 경기를 관전하기 위하여 대기중인 20-30대 남녀 46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데이터분석은 남녀의 생리학적인 차이를 고려하여 남성군과 여성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금까지 알려져 있던 스트레스 반응과는 다른 경향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스 상태에서는 평균 심박수가 증가하는 것 이외에 다른 지표들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그러나 긍정 스트레스(eustress) 상태에서 심박수와 SDNN 모두 유의하게 높은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p〈0.05). 특히 여성 그룹의 경우, 부정 스트레스(distress) 상태와는 반대로, 모든 주파수분석 파라메타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p〈0.001). 심박변이도의 감소가 건강 상실의 지표가 된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SDNN의 증가와 모든 주파수 파라메타의 증가는 자율신경의 항상성조절 기전이 긍정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 세계적인 스포츠 이벤트로 인한 긍정 스트레스상태의 유발이 국민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Skeletal muscle injury occurs frequently in sports medicine and is the most general form of injury followed by physical impact. There are growth factors which conduct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synthesis of myogenic prodromal cells and regulate vascular generation for the continued survival of myocyt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nfirm the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EA) and electrical stimulation (ES) on muscle recovery processes according to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expression. Eighteen Sprague-Dawley rats were separated into 2 experimental groups and a controlled group. All animals had suffered from crush damage in the extensor digitorum longus for 30 seconds and were killed 1, 3, and 7 days after injury. 30 Hz and 1 mA impulsion for 15 minutes was applied to the EA experimental groups Zusanli (ST36) and Taichong (LR3) using electroacupuncture and the same stimulation was applied to the ES group using an electrical node. Hematoxyline-Eosin staining and VEGF immunohistochemistry were used to ascertain the resulting muscle recovery. There were few morp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 EA and ES groups, and both groups were observed to have tendencies to decrease atrophy as time passed. In the controlled group, gradually diminishing atrophy could be observed, but their forms were mostly disheveled. There were few differences in VEGF expression between the EA and ES groups, and tendencies to have an increased quantity of VEGF with the lapse of time were observed in both groups. In the controlled group, a little VEGF expression could be observed merely 7 days after injury. In conclusion, EA and ES contributed to muscle recovery processes and could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muscle inj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snack intake and 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mong 284 children aged 4~7 years. The degree of 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were assessed by both children's mother and their teachers using Behavior check list. The subjects who had a higher 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core ate more pizza, hamburger, chicken, processed milk, carbonated beverage. These results indicate 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were related positively for snack(pizza, hamburger, chicken, processed milk, carbonated beverage etc.) intake.
휴대전화 개발의 기획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 중 하나는 제품의 전략과 목적에 맞는 적절한 형태인자의 선정이며 현재까지는 주로 직관적이고 정성적인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형태인자 선정의 체계적이고, 합리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감성 형용사를 이용하는 평가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우선 공리설계를 사용하여 개념적 형태인자를 검증하고, 검증된 형태인자의 설계파라미터에 감성형용사를 그룹핑 한다. 그 후 디자이너에게 선정된 형태인자와 그룹화된 감성형용사를 제시하면, 디자이너는 예비 디자인을 수행하고, 그 디자인은 설문조사를 통해 평가 및 분석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프로세스의 적용결과, 공리설계와 감성공학(감성형용사)의 결합으로 제품의 목적에 적합한 형태인자 디자인을 선정할 수 있었으며 향후 휴대전화 개발에 있어 형태인자 이외의 중요 인자의 선정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 has been associated with long hours of computer work and prolonged periods of static posture. In clinical settings, postural correction is a common treatment approach for individuals with neck, shoulder, and back pain.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effect of Forward Head Posture Correctional Device during computer work. Twelve healthy adults (mean age, 27.4 yrs; mean height, 165.0cm mean weight, 65.8 kg)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had no medical history of neurological or surgical problems with their upper extremity. The subjects were asked to perform Head Forward Posture under the guidance of physical therapists and the measured angles were analyzed using a 3-D motion analysis system. Markers were placed on the C7 spinous process, tragus of the ear and forward head angle was between the line from the tragus to the C7 line and the Y-axis at the C7.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difference between, "without" and "with" correctional device was tested by paired t-test. A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t α=.05. In comparison of the computer work between "without" and "with" correctional device, Forward Head Angle wa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05). In conclusion, the range of Forward Head Angl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computer work with the correctional devic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motor control problems in deep muscles in patients with neck, shoulder, and back pain.
We have been performing a wide-field photometric monitoring program, named SPVS (Short-Period Variability Survey), at the Bohyunsan Optical Astronomy Observatory (BOAO). The observation system consists of a small refracting telescope (D = 155 mm, f = 1050 mm) and a 2k×3k CCD Camera. The field of view is 1.0°×1.5°. Detection limit is about V = 13 for short-period small amplitude variables such as δ Scuti-type pulsating stars, and about V = 15 for long-period large amplitude variables such as eclipsing binaries and RR Lyrae stars. The instrument is designed to be remote-controlled through internet.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search for variable objects in bright Galactic open clusters. We present results of test observations conducted towards NGC 7092.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히아루론산과 생분해성이 우수한 폴리 락타이드의 이량체를 결합하여 약물 방출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생체 재료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냉동 건조법을 이용하여 히아루론산과 락타이드를 가교제 1-ethyl-3-(3-dimethyl aminopropyl) carbodiimide (EDC)로 가교시켰다. 생성된 막을 핵자기 공명 분광법으로 분석하여 락타이드 반응도와 EDC 반응도를 결정하였다. 히아루론산에 대한 락타이드 몰비, 가교제 농도가 증가할수록 혹은 가교 온도가 감소할수록, 락타이드 반응도가 증가하였으며 팽윤도는 감소하였다. 서로 다른 락타이드 반응도를 가진 막으로 약물 방출 실험을 수행한 결과 락타이드 반응도가 증가하면 약물 방출 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 친수성이 다른 여러 가지 약물로 약물 방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친수성이 우수한 약물일수록 서서히 방출되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navigator with specific information necessary to assist in the avoidance of collision and in operation of ships to evaluate the manoeuvrability of own ship. The actual manoeuvering characteristics of ship can be adequately judged from the results of typical ship trials manoeuvres. Author carried out sea trials based full scale for turning test, zig-zag test, spiral tests and crash-stop test at actual sea going condition. The turning circle manoeuvres were performed on starboard and port sides with 35˚ rudder angle at the service speed, and Zig-zag procedures were performed on both sides with 10˚ and 20˚ rudder angle respectively. Spiral tests were carried out on the both sides and crash stop test was also carried out. The results from tests could be compared directly with the standards of manoeuverability of IMO and consequently the manoeuvring qualities of the ship is fully satisfied with its.
Inventory information system is providing the benefits of smoother demand, lower inventories(work in process, safety stock) and reduced costs. This study focused on improvement of safety level inventory efficiency by inventory information system.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ventory information system allowed the company to serve its customers more surely and efficiently.
Mobile technologies and services have become one of the inevitable parts of people's lives and mobile businesses have also been widespread. Nevertheless, there have been no such studies of mobile services in the industry and most of the studies have been concentrated on mobile Internet services. therefore, the goals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corporate key parts for popularizing mobile banking services by clarifying the activate method of mobile banking services and to get some tips for service providers and users.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Service Quality, Personal Innovativeness, Social Influence, don't influence users' Perceived Usefulness, which means that when people use mobile banking services, whether people around them use the services doesn'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m. Considerably, that's because mobile banking services are different from games and entertainment contents provided through cell phones that many can easily use and be affected by people around them and reference groups. Second, people use mobile banking services; when they experience the convenience and familiarity; when the service would help them work efficiently. Much of the preceding researches have dealt with service provider only and have focused on mobile Internet. In this regard, when it comes to a viewpoint that regards the mobile banking sector as a new sector of mobile businesses, this study is significant.
목적 : 본 연구는 양측 팔뻗기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팔뻗기 속도의 변화와 수직이동거리를 알아보기 위해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책상위에서의 4가지의 다양한 팔뻗기 과제 수행시 최대 속도와 수직이동거리를 측정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상지에 선천적인 기형, 심각한 외과적 혹은 신경학적 질환이나 지난 1년 동안 상지의 외상이나 통증을 경험했던 사람은 제외한, 우세 손이 오른손인 건강한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상지움직임의 변화는 실시간 삼차원 동작분석 장치인 CMS-HS를 사용하였다. 연구에 적용된 4가지 양측 팔뻗기 과제는 다음과 같다. 과제 1은 왼손으로 컵을 지정된 위치에 옮기는 단순 뻗기 작업을 수행, 과제 2는 왼손과 동시에 오른손도 같은 컵으로 같은 작업을 수행, 과제 3은 왼손은 같은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오른손은 얇은 펜을 옮기는 작업을 수행, 과제 4는 왼손은 같은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오른손은 높이가 10cm 높은 상자위에 같은 컵을 올리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결과 : 왼손과 동시에 오른손도 같은 컵으로 같은 작업을 수행하는 과제 2는 왼손으로 컵을 지정된 위치에 옮기는 단순 뻗기 작업을 수행하는 과제 1과 비교시 최대속도가 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그러나 왼손은 같은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오른손은 얇은 펜을 옮기는 작업을 수행하는 과제 3은 과제 1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05), 같은 컵을 옮기는 과제 2보다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또한 수직이동거리에 대한 짝비교 검정을 실시한 결과, 양손에 같은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왼손의 수직이동거리는 56.8mm였고, 과제 2와 같은 작업을 하는 동안 오른손에 10cm 높이 위에 컵을 올리는 작업을 적용하였을 때 왼손의 수직이동거리는 68.4mm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5).
결론 : 본 연구는 치료적인 팔뻗기 과제 수행시 팔뻗기 속도와, 공간적 동기화가 가능한 양측 팔뻗기의 적용의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팔뻗기 과제에 대한 최대 속도와 수직이동거리를 측정하였다. 양측 팔뻗기 과제는 한측 팔뻗기 과제 수행시보다 최대 속도가 높게 나타났고, 반대편 쪽 작업 수행 난이도가 어려울 경우, 속도가 감소되는 결과를 통해 시간적 동기화를 예측할 수 있었으며, 반대편 쪽 작업대 높이 변화를 통해 공간적인 동기화를 알 수 있었다. 이런 결과는 뇌졸중 환자의 상지 재활시 양측 팔뻗기 과제를 이용한 치료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모기기피제로 사용되고 있는 에어로졸제 4개, 액제 3개, 그리고 로션제 1개 제품에 대하여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와 빨간집모기(Culex pipiens pallens)의 기피력을 조사하고, 기피 주성분인 DEET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쥐를 대상으로 했을 때 흰줄숲모기는 빨간집모기에 비해 흡혈 공격력이 높았으며, 흡혈 대상으로는 쥐(mouse)보다 사람의 손을 더 선호하였다. 쥐를 이용한 모기기피제의 기피력 평가에서, C 제품, G 제품, H 제품이 높은 기피력을 나타냈다. 이들 기피제를 사람 손을 흡혈대상으로 평가한 결과, 3개 약제 모두 2시간 동안은 100%의 기피효과를 나타내었으나 그 이후는 떨어줬으며, C 제품이 효과가 좋았다. GC를 통한 DEET의 분석에서 8종 모기기피제의 내용물 100 g 중량 내 7.31 g에서 38.9 g으로 제품 내 다양한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제품 내 처리된 DEET의 함량과 기피력의 상관관계는 정비례하지 않았다. 면포를 이용한 DEET 잔존량 대비 모기 기피력 평가에서 DEET의 함량이 약 40% 이하로 떨어지면서 흰줄숲모기의 흡혈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분리막 접촉기는 액체-액체, 기체-액체와 같이 두 개의 다른 상 사이에 막이 상계면 혹은 상 장벽의 역할을 수행하여 두 상간의 물질전달이 이루어지게 하는 장치이다 분리막 접촉기는 기체-액체 또는 액체-액체 간에 접촉을 통해 안정된 계면을 형성시켜줌으로써 인위적으로 물질전달속도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접촉면적이 크고 기존 분리정제 공정의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유화(emulsion), 범람(flooding), 편류(channeling), 기포생성(foaming), 그리고 부하(unloading) 등과 같은 기술적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분리막 접촉기가 이용되는 공정과 분리막 접촉기에 사용되는 막의 제조방법, 국내외의 연구동향을 고찰하여 분리공정으로써의 분리막 접촉기에 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