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ismic design and risk assessment require input ground motions that accurately reflect both the seismic intensity associated with the target hazard level and the regional seismic characteristics of Korea. In this study, a scenario earthquake was defined through seismic hazard deaggregation. Due to the lack of recorded ground motions in Korea for this particular scenario, a finite fault was modeled. Seed ground motions related to the scenario earthquake were generated using the empirical Green’s function method, based on the 912 Gyeongju earthquake. During the spectral matching process, the convergence of the spectrum used for ground motion selection and the target Uniform Hazard Spectrum (UHS) was analyzed. This analysis led to the proposal of specific spectral conditions for selecting ground motions. The final set of input ground motions was then applied in time-history analyses of a nuclear power plant containment structure to assess its seismic response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ground motion generation procedure applies to the development of ground motions in regions with moderate seismicity.
Speaking is a key aspect of language learning and an important measure of learners’ proficiencies. On November 19, 2022, the first-ever speaking section of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TOPIK) was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test results revealed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test-takers were Chinese learner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OPIK speaking test by conducting surveys and interviews with 24 Chinese learners of Korean to explore their perceptions of ‘Korean speaking,’ ‘Korean speaking classes,’ and the ‘TOPIK speaking evaluat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seeks to propose effective strategies for improving Korean speaking educ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 three key points. First, it highlights the specific perceptions of Chinese Korean learners regarding Korean speaking, speaking classes, and the TOPIK speaking test. Second, it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how Korean speaking education can be improved for Chinese learners through an analysis of the TOPIK speaking test. Finally, the proposed educational strategies can be practically applied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enefiting both teaching and learning.
This study examined levels in self-directed learning (SDL) and learning engagement among 158 students at a college in Incheon, based on gender, video lecture usage, and English achievement level, using data collected through a Google surve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independent samples t-tes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nd group differences. Female student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 students in all subcomponents of SDL while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learning engagemen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English achievement, learning action, cognitive engagement, and behavioral engagement between students who used video lectures and those who did not, suggesting that a weak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can positively influence learning motivation. Although there was a clear performance gap between the high and low achievement group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emerged in any subcomponent of SDL or learning engagement. Notably, approximately 70% of female students in the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voluntarily utilized video lectures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previewing, reviewing, and clarifying contents, demonstrating active SDL. Qualitative interview data further supported these findings, providing concrete examples of SDL and learning engagement in practice.
본 연구는 부모교육 강사들의 전문성 발달 경험의 의미를 내러티브 탐구 방식을 통해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부모교육 강사로 살아온 삶의 과정을 시간, 공간의 흐름에 따라 이야기로 재구성하여 부모교육 강사들이 부모, 교육자로서 자신의 정체 성을 어떻게 형성하고 전문성을 발달시켜 나앖는지를 심층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0년 이상 중단 없이 부모교육 강사로 활발히 활동하며 동료들과 수강생 들로부터 우수한 평가를 받은 3인의 부모교육 강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 료수집은 2024년 5월 27일부터 8월 20일까지 이루어졌고 인터뷰, E-mail, 일기, 메 모 등을 주요 현장 텍스트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교육 강사의 전문성 발달 경험의 의미는 <실패 경험, 성장의 동력이 되다>, <부모역할 변화로 깊어진 강의>, <실천적 지식, 강의에 스며들다>, <배움의 여정, 끝없이 펼쳐진 길>, <정성으로 빚어 낸 나만의 강의> 등 다섯 개의 주제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부모교육 강사 로서의 전문성 발달 경험은 교육현장에서 겪은 실패와 좌절을 성장의 자양분으로 삼 아 다시 도약하는 도전의 연속이었으며, 자신의 부모역할 변화와 끊임없는 배움을 통해 독자적인 교육콘텐츠를 개발한 실천형 교육자로 성장해 나가는 삶의 여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문화다양성 인식 수준과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 인식 유형별 특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국 중·고등학생 80 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영역의 문 화다양성 인식과 한국어 능력, 사회적 지지, 다문화 경험 등을 조사하였 다. 자료는 기술통계, 다중회귀분석, 군집분석(K-means), 분산분석(ANO VA)으로 진행했다. 분석 결과, 청소년의 문화다양성 인식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으나 행동적 실천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주요 영향 요인은 한 국어 능력(β=0.275), 또래 지지(β=0.213), 교사 관계(β=0.174), 부모 태도 (β=0.132)였으며, 외국인 친구 유무와 다문화 교육 경험도 유의미했다. 군집분석에서는 ‘포용성 고성장형’, ‘수용 감소형’, ‘보통형’ 세 유형이 도 출되었고, 세 집단 간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η²=0.1 5~0.25). 본 연구는 청소년의 문화다양성 인식 증진을 위한 맞춤형 교육 과 정책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하며, 다문화 사회 공존을 위한 기초자 료로 활용될 수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essence, and structure of charge nurses operating in rotational appointment systems in tertiary hospitals. Methods: This qualitative study adopted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he participants were 11 charge nurses with rotational role experience working in tertiary hospitals in a metropolitan area.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lasting an average of 40~60 minutes and, conducted between July 8 and August 30, 2024.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sed for data analysis, which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35 themes, 14 theme clusters, and five categories. Results: The study revealed five categories: (1) ‘Taking the first step as a charge nurse,’ (2) ‘Enduring the weight of being a charge nurse,’ (3) ‘Creating my own charge nurse role,’ (4) ‘Mixed emotions returning after completing the rotation,’ and (5) ‘Ready to take the leap to the next level.’ The findings indicated that charge nurses experienced significant personal and professional growth while performing their roles. They demonstrated leadership, coordinated tasks and personnel, supported staff development, resolved issues, and facilitated communication. This role had a positive impact on both individual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efficiency. Despite initial feelings of anxiety and fear, charge nurses embraced challenges and contributed to improvements in organizational culture and patient safety while setting new goals for continuous growth even after completing their roles. Even in the post-term, they continued to expand their perspectives as nursing managers, increased their influence, and set new goals while pursuing ongoing growth and development.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of charge nurses in rotational systems in tertiary hospitals. Given the crucial role of charge nurses in the nursing leadership pipeline,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comprehensive hospital-wide programs to nurture leadership skills among front-line nursing managers and create supportive policies that fully enable their engagement.
본 연구는 청소년의 기후변화 불안감이 기후변화에 대한 태도 및 실천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후변화 불안감 은 청소년의 태도 및 실천 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기후변화 관여도는 이들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즉, 불안감이 클수록 기후문제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높아지며, 이 는 실천적 행동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기후불안을 교육 적·정책적으로 긍정적 행동 유도로 전환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동기조절전략의 유형을 분 류하고, 이러한 유형에 따른 대학생 성공 및 삶의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 하고자 하였다. G시 소재 대학 보건계열 학과(간호학과, 응급구조학과, 치위생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학습동기조절 전략 척도, 대학생 성공 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군집분석, 다변량분산분석, 일원분산분석 등을 통 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학습동기조절전략에 따라 '소극적 조절집단 (25.6%)', '중간 조절집단(39.6%)', '적극적 조절집단(34.8%)'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적극적 조절집단은 모든 전략에서 높은 점수를 보 였으며, 특히 사회적 인정/외적 보상 추구, 부모(교사)기대에 대한 보답, 공부에 대한 의무 등의 자기조절 전략에서 두드러진 활용 수준을 보였 다. 이러한 학습동기조절전략의 유형에 따라 대학생 성공의 모든 하위요 인과 삶의 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보건계 열 대학생의 학습동기조절전략이 학업적 성취를 넘어 대학생활의 다양한 측면에서의 성공과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 한다.
본 연구는 식물군집구조 분석을 통해 팔공산국립공원 칠곡 가산산성내 식생 특성을 파악하여 지속적인 관리와 보호 에 필요한 자료를 구축하고자 진행되었다. 칠곡 가산산성은 팔공산국립공원 내 위치한 문화유산이며, 국립공원 용도지 구 구분에 따라 공원자연보존지구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보전가치가 높은 지역이다. 칠곡 가산산성 내 96개 조사구에 대한 식물군집구조 분석 결과, TWINSPAN과 DCA 분석을 통해 소나무-낙엽활엽수군락(Ⅰ), 소나무군락(Ⅱ), 서어나 무-소나무군락(Ⅲ), 소나무-서어나무군락(Ⅳ), 물푸레나무-고로쇠나무군락(Ⅴ), 물푸레나무-물오리나무군락(Ⅵ), 아까 시나무-밤나무군락(Ⅶ), 느티나무-낙엽활엽수군락(Ⅷ)의 총 8개 군락으로 나뉘었다. 이는 조림수종인 아까시나무, 밤나 무, 물오리나무가 우점하는 인공림 군락(Ⅵ, Ⅶ)과 자생수종이 우점하는 자연림 군락(Ⅰ, Ⅱ, Ⅲ, Ⅳ, Ⅴ, Ⅷ)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인공림은 관리를 통해 기후적 특성에 맞는 자연림으로의 천이 유도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를 통해 국립공원 자연자원 보전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본 연구는 칠곡 가산산성을 중심으 로 수행하였기에 팔공산국립공원 전체 지역의 식물군집구조를 파악하기에 한계가 있으므로 팔공산국립공원 전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To conduct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aquatic ecosystem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lentic ecosystems such as lakes, in addition to rivers. This requires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biological communities in lakes and developing appropriate assessment indic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collected from 90 lakes between 2022 and 2024, according to four categories of lake types (inflow stream type, lake size, salinity characteristics, and trophic states). The environmental variables used to classify lake types (catchment area, altitude, area of water, electrical conductivity, total phosphorus, and chlorophyll-a) all followed a log-normal distribution with positive skewness. Most of the lake types were characterized by inflow from lowland small streams, small or middle size, and freshwater lakes. However, in terms of trophic states, many lakes were assessed as mesotrophic or eutrophic. Analysis of seven community structure characteristics (taxa richness, taxa abundance, dominance, diversity, richness, evenness, and Lake Benthic Macroinvertebrate Assessment Index, LBAI) and two functional groups (feeding and habitat) showed clear changes primarily associated with trophic states, while other lake types showed irregular increase or decrease or similar levels. In the CCA, which analyzed dominant taxa by abundance and six environmental variables,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lakes were more clearly distinguished by salinity characteristics related to electrical conductivity, unlike the community ind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for future monitoring and assessment of lake aquatic ecosystems using benthic macroinvertebrates.
감마-오리자놀(γ-oryzanol)은 phytochemical의 한 종류로 항산화, 항염증, 항암, 항당뇨, 콜레스테롤 감소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미를 백미로 도정할 때 부산물로 발생하는 미강으로부터 생리활성물질 중의 하나인 γ-oryzanol 함량이 높은 추출조건에서의 분말을 제조하고, 이를 쌀국수에 첨가하여 항산화성이 개선된 국수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미강을 에탄올 농도 0, 20, 40, 80%의 에탄올로 추출한 결과 80%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분말에서 γ-oryzanol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DPPH 소거능과 ABTS 소거능이 가장 높았다. 미강추출분말의 γ-oryzanol의 함량을 높이기 위하여 Saccharomyces cerevisiae로 미강을 고상발효시킨 후 80% 에탄올로 추출하여 동결건조시킨 분말의 γ-oryzanol의 함량은 발효시키지 않은 미강을 추출분말보다 약 2.18배 증가하였으며, DPPH 소거능 및 ABTS 소거능, 단백질분해효능이 증가하였다. 오리자놀 함량이 높은 미강추출 물을 쌀가루에 첨가하여 쌀국수를 제조한 결과 쌀국수의 경도, 탄력성, 씸힘성, 점착성 등이 증가하였으며, 쌀국수의 γ-oryzanol 함량, DPPH 소거능, ABTS 소거능 등이 증가하여 항산화 활성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산청군 신안면 선유동계곡과 그 일대에 형성된 유상곡수의 입지, 공간성과 바위글씨, 향유자, 유상곡수처의 경관 특성을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통해 밝힌 것으로 연구의 결론은 다음 과 같다. 시문분석과 바위글씨 분석을 통해 볼 때 선유동 유상곡수는 덕계 오건(1521~1574)을 시작으로 병은 도경효(1556~1622), 명암 정식(1683~1746), 단성현감 번암 채제공 (1720~1799)과 치옹 이휘부(1809~1869), 만성 박치복(1824~1894)과 단계 김인섭 (1827~1903) 그리고 후산 이도복(1862~1938) 등에 이르기까지 조선시대 저명한 문사들의 유 상곡수 향유 문화가 면면히 이어져 오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선유동 유상곡수 일대의 바위글씨는 경명제각(景名題刻)인 ‘선유동’과 ‘옥류동’ , 제사제각(題詞題刻)인 ‘유상곡수’ , 제기제각(題記題 刻)인 ‘덕계오선생장구소(德溪吳先生杖屨所)’, 제시제각(題詩題刻)인 ‘병은(病隱) 도경효(都敬 孝)의 한시’와‘죽송 도범균(竹松 都範均)’,‘권상식(權相直)과 권상정(權相政)’그리고 ‘도병우(都 炳瑀)’의 인명제각(人名題刻) 등 5개 유형의 총 9방으로 분류되었다. 선유동 유상곡수 주변에는 ‘玉流洞’과 ‘仙遊洞’이란 바위글씨가 혼재되어 있으나 「수월정구곡(水月亭九曲)」의 제9곡이 ‘옥류동’임을 근거로 볼 때, 선유동이란 지명이 이곳 유상곡수 일대의 경관정체성에 보다 부합된다 고 판단된다. 수월정구곡은 총 연장거리는 3.9㎞로 본류인 경호강과 접하는 합류점의 웅덩이를 제1곡 감개담(鑑開潭)을 기곡(起曲)으로 제7곡 와룡폭(臥龍瀑)까지를 안봉천에 설정되었으며, 제8곡 모운벽(暮雲壁)과 종곡(終曲)인 제9곡인 옥류동(玉流洞)은 본 연구의 핵심구역인 선유동 계곡에 설정됨으로서 선유동은 구곡문화와 유상곡수문화의 합일처로서의 경관의미도 내포하고 있다. 한편 인근 단성면에서도 직산대 유상곡수 유적이 존재하고 산청의 옛 지명이 중국 절강성 소흥현 ‘산음(山陰)’과 동일하며 산청의 주산인 회계산 또한 소흥의 옛 이름인 ‘회계(會稽)’와 동일 함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뿐만 아니라 산청 관아의 핵심 누정의 당호(堂號) 환아정 또한 중국 왕희 지의 고사에서 연유하였음은 산청지역에 깊이 스며든 왕희지의 난정 유상곡수의 경관적 동질성과 문화적 풍류 관성을 보여주는 흔적이 아닐 수 없다.
분리막 기술은 에너지 효율성과 연속공정 구성의 이점을 지니고 있으나, 소재 자체의 열역학적 선택도 한계로 인 해 유사 물질 간의 정밀 분리에 제약이 있다. 본 총설에서는 entrainer-assisted membrane separation (EMS) 전략을 통해 크기 공비(size-azeotrope) 난제를 공정 기반으로 극복하는 방안을 고찰한다. Ni/Na, Li/Na 등 혼합계 및 이온교환계에서의 실제 적 용 사례를 중심으로 EMS 전략의 작동 원리, 공정 설계의 유연성, 소재 재사용성과 확장 가능성을 정리하였으며, 향후 기술 적용을 위한 과제와 소재–공정 통합 설계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duce a fermented rice bran extract with enhanced ferulic acid γ-oryzanol contents and high antioxidant activities. The ferulic acid content in the freeze-dried extract of rice bran treated with plantase PT enzyme, increased by 4.1-fold compared to that of untreated sample,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lso increased by 1.5-fold and 1.2-fold, respectively. The γ-oryzanol content of the dried powder prepared by inoculating Apergillus oryzae BOT1869 onto steamed rice bran for solid-state fermentation followed by extraction with 80% ethanol, increased 2.3-fold compared to that in an 80% ethanol extract powder of raw materials. The ABTS scavenging activity also increased 1.5-fold. When the ferulic acid content-enhanced extract and the γ-oryzanol content-enhanced extract of rice bran were mixed and subjected to liquid fermentation with Lactiplantibacillus pentosus BOT406 and then freeze-dried, the ferulic acid content of the extract powder increased about 3.0 times compared to that of original extract powder. In addition, its γ-oryzanol content increased about 1.5 time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1.4 times, and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1.6 ti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by experiments and 3-D finite element predictions of strain-hardening cementitious composite(SHCC) structural walls. The specimen of concrete wall used shear reinforcements to satisfy with design shear strength, while the specimen of a SHCC wall used minimum shear reinforcement. The finite element prediction is based on the total strain crack model, and appropriate tensile models were appl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concrete and SHCC. The accuracy of the finite element prediction was verified by comparison with experimental results, and the SHCC wall showed superior structural performances in overall load-carrying capacity as well as in reductions of damages caused by crack localizations, even with minimum use of shear reinforcements.
도시화로 인한 인구 집중은 다양한 도시 문제를 야기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시민들의 쾌적하고 안전한 공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도시공원의 역할은 확대되고 있으며, 주간뿐 아니 라 야간 이용 역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공원 내 범죄는 주로 야간에 발생하는 경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야간 시간대를 대상으로 한 실증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CPTED 이론 중 영역성 의 하위 요소인 접근통제와 활동 지원 요인이 야간 안전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야간 공원 방문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인식 차이를 검토하기 위해 빈도분석, 다중회귀분석, 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공원의 규모와 명확한 경계 는 모든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야간 안전성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여성과 고연령층은 시각적 식별성과 공간의 통제 가능성을 상대적으로 더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활동 지원 요인에서는 남성은 도로 인접성과 외부 프로그램에, 여성은 편의시설 및 야간 이용 시설에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청년층은 개방성과 활동성을 중심으로 노년층은 시각적 단서와 생활 편의성을 중심으로 안전을 인식하는 특성이 확인되었다. 특히 일부 주민참여 프로그램은 낮은 참여율과 실효성 부족에 대한 불만으로 인해 오히려 야간 안전성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성별 및 연령에 따른 공간 인식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공원 설계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하나님은 출애굽의 구속적 정의를 통해 이스라엘을 선택하시고 그들과 정서적 연대를 형성하신다. 이러한 정서적 연대는 이스라엘에 하나님 백성 공동체로서 ‘마음의 할례’라는 근본적인 변화를 요청한다. 하나님의 긍휼과 정의를 경험한 이스라엘은 이웃과의 정서적 연대를 통해 하나님 백성을 재구성하고 확장하는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할 사명에 붙들려 있다. 고통에 답하는 하나님의 선교를 보여주는 신명기 10:12-22은 하나님의 선교의 중요한 담론인 ‘주변부’와 연관하여 인간의 불의와 탐욕에 의해 ‘타자화’되고 ‘계층화’된 고통의 희생자들을 직시하게 한다. 주변화된 이스라엘을 선택하신 하나님의 선교는 하나님 의 사랑 공동체가 온 우주에 무한히 확장되는 것을 예표적으로 보여주는 증언이자 세상의 상처를 치유하는 종말론적 과제와 도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