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장미산업의 국제화에 대비하여 필리핀 코르딜레라 고냉지 지역에서 생산된 장미의 품질, 수량 및 우수 품종을 연구, 소득 분석을 요약하여 아래와 같이 산업화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절화 내 질적 실험에서는 대비종에 비해 특히 'Jacaranda' 품종은 개화기간 46일, 13일정도의 꽃받침 휨 정도보다 짧은 것으로 나타내므로, 광질, 조사기간 및 온도 등이 영향을 제일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절화 시 'Vicki Brown'와 'Jacaranda' 품종은(개화기간 49일, 13일 꽃 받침 휨 정도 이내) 중, 단초 절화로 분류되는 다른 품종에 비해 단축되는 경향을 보았다. 'Jacaranda', 'Vcki Brown', 'Golden Times', 'Champagne', 'Osiana' 및 'Queen Elizabeth' 품종은 전정에서 46.7일에서 50.77일까지 조기 개화되었으나 'Tineke' 품종은 전정 41일 후에 꽃 받침 휨 정도가 0.5cm에 이르게 되어 개화형성이 늦어짐이 뚜렷하였다. 여기에서 상위 10품종 장미의 순수익은 'American Orange' 품종 77072, 'Yellow Island' 품종 39322, 'Frosty Pink' 품종 27130, 'Champagne' 품종 24516, 'Coral Pink' 품종 23992, 'Lara Pink' 품종 22961, 'Lara Orange' 품종 17856, 'Grand Gala' 품종 17645, 'Golden Times' 품종 20163 및 'Lady X' 품종 19452 등이다.
To screen highly active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s against Spodoptera litura (Lepidoptera, Noctuidae), 46 B. thuringiensis was isolated from 115 samples obtained from several crop soils. Especially,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CAB133 and CAB162 isolates showed 100% mortality against S. litura. LD50 values of CAB133, CAB162 and HD-1 strains of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were 0.089, 3.144 and 0.513 ㎍/㎖ against 2nd larva of μ S. litura, respectively. The weight of 3rd larva of S. litura which were fed crystal inclusion protein (1.267 ㎍/㎖) with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CAB133 was about 30 times lass than control group. CAB133 and CAB 162 strains of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which were taken a highly toxity against S. litura were analyzed by SDS-PAGE, and estimated the molecular weight of the Cry proteins. Their serological identification by H serotypes were showed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3abc) type.
In this study we develop core technology of Multi-Charmel Voice Guidance System based on active 2.45GHz RFID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of advertising. Through this, we can service more familiar with voice information to foreigners by own language in large scale international event. As an alternative to the current high-expensive voice guidance system in exhibition hall and provide more value added services to user. As the result, we present the configuration of integrated software platform which include media server, media client and receiver. It can be as a basis infra equipment for a signtseeing in RFID/USN environment. Additionally through tag information analysis about exposure of advertisement that is collected late, supposed system may achieve role as a new marketing tool.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육종연구소에서 2000년부터 교 배조합 육성을 위하여 국내의 재배농가와 종묘업체로 부터 유전자원을 수집한 후, 2000년부터 2007년에 걸 쳐 교배 및 계통선발육종을 하였다. 2004년부터 2006 년까지 3회의 특성검정을 거쳐서 호접란 신품종 ‘리틀 듀’를 개발하였다. ‘리틀 듀’는 백색 미니 다화성계 품 종으로 꽃잎, 꽃받침, 설판이 모두 백색이며 꽃 크기는 3~4cm 정도이다. 특히 화경이 3~4개 정도가 발생하여 많은 꽃이 피고 꽃배열도 우수하여 관상가치가 높아 시장성이 우수하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조직배양을 통 해 영양번식도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고 재배가 용이하 고 생육속도도 매우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꽃수명도 긴 편이며 병충해 발생도 적고 저온처리를 통한 개화 조절도 용이하여 상업용 재배에 적합한 품종으로 판단 되었다.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estimate the association between asthma oriented by indoor air sources and personal exposure by comparing the case (asthma-patient) and control (non-asthma-patient) groups. We selected 27 participants who showed positive response on lung function and methacholin provocation test. We performed environmental survey with 15 and 10 cases during May and June 2007,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ase and control groups in the level of formaldehyde and TBC (Total Bacterial Count). In the dust allergen test, the case concentration was higher than the control's, without signifiant difference. In the personal exposure assessment of VOCs using OVM (Organic Vapor Monitor) badge, the case concentrations of Benzene, Toluene, and Ethylbenzene were higher than the control'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personal exposure of Xylene case stud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s
목적: 눈의 굴절력을 결정하는 주요요소로는 안축장, 각막굴절력, 수정체굴절력이 있다. 근래에 백내장수술이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초음파에 의한 안축장의 생체계측(biometry)이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백내장수술의 경우 인공수정체의 도수를 결정하는 데 있어 각막굴절력과 안축장의 측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임상에서 백내장환자를 대상으로 초음파검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각막굴절력과 안축장의 상관관계를 지속적으로 조사하여 기존에 보고된 정상안의 안축장과 각막굴절력 사이의 상관계수와 비교하고 그 차이점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백내장 수술환자 가운데 남자환자 155명 155안과 여자환자 150명 150안을 측정대상으로 삼아 Topcon ARK 8100과 Alcon의 OcuScan을 이용하여 각막굴절력과 안축장을 측정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1. 남자의 평균 안축장은 1. 23.59±1.30 mm이었고 여자는 22.93±1.22 mm이었다. 2. 남자의 평균 각막굴절력은 43.89±1.44D이었고 여자는 44.65±1.49D이었다. 3. 전체의 평균 안축장은 23.26±1.26 mm이고 평균 각막굴절력은 44.27±1.47D이었다. 결론: 남자는 안축장과 각막굴절력 사이의 상관계수가 r=-0.339(p=0.00), 여자는 상관계수가 r=-0.255(p=0.02)로 다른 보고들과 비교했을 때 남녀 모두 상대적으로 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자유도 시스템의 내진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반복적인 비선형 시간 이력 해석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많은 계산과정과 노력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해석에 따르는 어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복잡한 다자유도 시스템을 반영할 수 있는 등가 단자유도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등가 단자유도의 이력 모델로는 일반적으로 이선형 모델과 삼선형 모델이 사용된다. 이러한 모델은 탄성 거동 이후 음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지진 발생 시 중력하중에 의한 발생되는 효과를 반영하기 위해서이다. 본 연구에서는 철골모멘트 골조의 실제 응답을 예측하기 위하여 이러한 이력 모델들로 거동하는 등가단자유도 시스템의 필요조건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로스엔젤레스 지역의 SAC 9층 모멘트 저항 골조를 비선형 다자유도 시스템과 등가단자유도 시스템으로 모델링하여 반복하중 푸쉬오버 해석, 비선형 시간 이력해석 및 IDA(Incremental Dynamic Analysis)를 수행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강도저감 모델에 대해서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작업치료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산업재해 환자와 일반 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 삶의 질(SF-36)을 측정하여, 이들 두 군의 삶의 질 수준과 이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산업재해 환자와 일반 환자의 일반적 특성 및 삶의 질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7년 3월부터 8월까지 산재의료관리원 산하 3개 병원과 서울, 인천과 서산에서 4개 종합병원의 작업치료실에 조사를 의뢰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사고나 질병발생 이전에 선천적인 장애가 없었고 직업을 가졌던 경험이 있으며, 설문의 문항을 이해하고 응답하는 데 인지적인 문제가 없는 산업재해 환자 121명과 일반 환자 74명이었다. 결과 : SF-36의 총점에서 산업재해 환자는 일반 환자에 비해 삶의 질이 유의하게 낮았고, SF-36의 8개 범주 중에서는 신체적 기능과 정신건강 범주에서 산업재해 환자의 삶의 질이 일반 환자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일반적 특성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산업재해 환자에서는 연령과 직업복귀 가능성이었으며, 일반 환자에서는 치료기간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벼에 발생하여 엽육을 전체적으로 식해해서 피해를 주는 혹명나방(Cnaphalocrosis medinalis)과 벼애나방(Naranga aenescens)의 곤충병원성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적 방제를 위해, 국내토양에서 분리된 Bacillus thuringiensis 중에서 나비목 해충에 대해 살충활성 가능성을 가지며 이중피라미드형 내독소 단백질을 가진 균주들을 대상으로 생물검정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이용한 Bt 30균주 중, 약 14개 균주가 혹명나방에 50% 이상의 살충율을 나타내었고, 7개 균주가 벼애나방에 살충활성을 보였는데, 두 종 모두에 80% 이상의 살충율을 보이는 균주도 3균주나 확인되었다. 이들 균주는 두 종 해충 뿐만 아니라 배추좀나방, 담배거세미나방에도 높은 살충활성을 보인 것으로 나타나 생물농약으로서의 활용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반면, 이중피라미드형 내독소단백질을 가지고 있으나 두 종 모두에 살충활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은 균주도 확인되었다. 또한 살충활성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지만, 처리한 식물체에 섭식저해 현상을 보이는 유충을 계속적으로 사육하면서 용화율, 우화율 및 번데기 길이를 조사함으로, Bt가 대상 해충의 생물학적, 생태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처리 후 조사기간 동안 생존한 개체라 할지라도 용화, 우화율이 정상개체에 비해 30~40%이상 낮게 나타났다. 특히나 혹명나방의 경우, 번데기 길이에서도 정상개체와 처리 후 생존개체가 차이를 보이며 섭식에 저해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신규 살비제 개발을 목적으로 생물활성 검정을 통하여 신규 화합물 K-16776의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보조제(Adjuvants)를 선발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보조제는 모두 16종 이었으며, 보조제 250ppm이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에 미치는 영향과 K-16776에 보조제를 첨가하였을 때의 살비활성의 증가효과를 조사하였다. 실내 시험 결과 보조제만 처리하였을 경우 보조제 QTO (Methyl(polypropylene polyethylene glycol) bis(trimethylsiloxy)silane)외 6종의 보조제가 6.6~26.4%의 살비활성을 보였으며, 나머지 보조제들은 점박이응애 암컷성충에 대하여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신규화합물 K-16776 원제의 경우 63.4%의 살비활성을 보였으나, 보조제 A, B, C를 첨가하였을 경우 살충활성이 97.5, 100, 100%로 증가되었다. 선발된 3종의 보조제를 첨가하여 점박이응애의 모든 발육단계가 혼재된 온실조건에서 살비활성을 검토한 결과, 처리 12일 후에 살비활성이 각각 20.6, 21.3, 25.9%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적절한 보조제의 선발에 의한 K-16776의 활성 증가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신규 살비제 개발을 위한 실내시험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완화된 평형조건을 만족하는 응력함수를 가지는 새로운 3절점 혼합요소를 제안하였다. 전단변형률을 고려한 본 요소는 Hellinger-Reissner 변분이론에 바탕하여 유한요소정식화를 수행하였다. 응력함수는 강체변형모드를 제거하고, 장일치(field consistency) 개념을 이용하여 곡선보의 극한거동에서 가성구속조건들을 억제할 수 있도록 선정하였다. 또한, 3절점 곡선보의 혼합정식화에서 강체변형모드를 제거하면서 동시에 평형방정식을 완전하게 만족하는 응력함수와 응력매개변수를 선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완화된 평형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응력함수를 도입하였다. 해석결과를 통하여, 제안된 3절점 혼합 곡선보요소가 곡선보의 해석에서 세장비와 곡률에 상관없이 매우 빠른 수렴성과 안정적인 거동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응력분포 계산에 있어서도 기존 혼합요소보다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었다.
The hypereutectic Al-20 wt%Si powders including some amount of Cu, Fe, Mg, Mn were prepared by a gas atomization process. In order to get highly densified Al-Si bulk specimens, the as-atomized and sieved powders were extruded at , Microstructure and tensile properties of the extruded Al-Si alloy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Relative density of the extruded samples was over 98%. Ultimate tensile strength (UTS) in stress-strain curves of the extruded powders increased after T6 heat treatments. Elongation of the samples was also increased from 1.4% to 3.2%. The fracture surfaces of the tested pieces showed a fine microstructure and the average grain size was ab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