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76

        981.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밑빠진벌레과(Nitidulidae)는 딱정벌레목(Coleoptera)에 속하는 곤충으로 감귤 수확기에 낙과하여 부패하는 과실에 발생하여 부패 과를 섭식하며 살아간다. 본 연구는 감귤과원에 발생하는 밑빠진벌레과의 종 다양성과 연중 발생 시기와 정도 를 구명하고자 2009년 6월부터 2010년 5월까지 제주도 감귤원에서 밑빠진벌레과 발생 및 연간동태를 조사하였다. 낙과하여 부패하는 과실에서 채집한 밑빠진벌레 과 성충을 분리 및 동정한 결과 8종으로 분류․동정 되었으며 이중 2종은 국내 미기 록 종으로 동정되었다. 밑빠진벌레과 8종의 연간 발생에서 애넓적밑빠진벌레 종 만 겨울에 다량 발생하였으며 나머지 7종은 초여름부터 초겨울까지 발생하였다. 밑빠진벌레과 8종에 대한 시기별 종 다양도 관련 지수의 변동에서 종수는 겨울철 에 낮게 나타났으며, 종풍부도는 4월에 가장 높았고 1월 및 2월에 낮았다. Shannon지수는 12월과 1월 ¡‘0’값을 보였고 봄부터 가을까지 생육기에는 1.0에 근접하였다. Hill 지수는 겨울철 12월부터 2월까지 낮았고 생육기에는 2.5 부근에 서 변동하였다. 종균등도는 겨울철인 12월과 1월에 ¡‘0’값을 나타냈고 생육기에는 0.8 정도 값을 보였다. 8종의 발생시기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군락분석을 실시한 결 과 유사도 거리 0.5 수준에서 4개 집단으로 분리되었으며,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애넒적밑빠진벌레는 단일 독립집단으로 구분되었다.
        982.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화살깍지벌레(Unapsis yanonensis Kuwana) 여름성충의 온도별 산란 및 발생 약충의 발육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서귀포농업기술센터 시험포장에서 2010년 8 월 감귤 잎에 발생한 성충을 채집하였다. 야외 채집한 성충은 5개 항온기에서 각 온도(13℃, 17℃, 25℃, 29℃, 33℃, 16L8D, RH 30~60%) 처리하여 관찰하였다. 화살깍지벌레는 깍지 내에서 산란 및 부화하여 약충으로 발생하는 특성을 갖고 있 어 잎에 발생한 약충수를 산란수로 조사하였다. 여름성충의 산란기간은 29℃에서 53.1일로 가장 길었으며, 17℃에서는 31.9일, 13℃에서는 33.9일로 조사되었고, 고온조건인 33℃에서 29.0일로 가장 짧았다. 산란 수는 13℃에서 46.5개로 가장 적었으며 저온에서 고온으로 갈수록 증가하여 29℃에서 254.5개로 조사되었으나 33℃에서는 128.1개로 오히려 감소하였다. 한 성충의 산란수는 주기에 따라 증가 및 감소하여 그 경향이 저온인 13℃에서 2회, 그 외 온도에서는 3회 관찰되었다. 1회로부터 마지막 주기까지 각 구간 산란수는 점차 감소하여 29℃의 경우 1회째에 123.2개, 2회째에 84.9개, 3회 이상에서 46.4 개 산란하였다. 발생한 약충의 성비는 1:0.48(13℃), 1:4.85(17℃), 1:2.34(25℃), 1:1.85(29℃), 1:0.56(33℃)로 조사되었다. 온도별 발육실험 결과 약충은 13℃에서 1회 탈피 후 발육하지 못하였고 33℃에 서 2회 탈피하였으나 성충으로 완전히 신장하지 못하였다. 성충까지의 발육기간 은 17℃에서 108.1일, 29℃에서 46.4일, 25℃에서 44.4일이었다.
        985.
        2011.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ltra-thin aluminum (Al) and tin (Sn) films were grown by dc magnetron sputtering on a glass substrate. The electrical resistance R of films was measured in-situ method during the film growth. Also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study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microstructure of the films. In the ultra-thin film study, an exact determination of a coalescence thickness and a continuous film thickness is very important. Therefore, we tried to measure the minimum thickness for continuous film (dmin) by means of a graphical method using a number of different y-values as a function of film thickness. The raw date obtained in this study provides a graph of in-situ resistance of metal film as a function of film thickness. For the Al film, there occurs a maximum value in a graph of in-situ electrical resistance versus film thickness. Using the results in this study, we could define clearly the minimum thickness for continuous film where the position of minimum values in the graph when we put the value of Rd3 to y-axis and the film thickness to x-axis. The measured values for the minimum thickness for continuous film are 21 nm and 16 nm for sputtered Al and Sn films, respectively. The new method for defining the minimum thickness for continuous film in this study can be utilized in a basic data when we design an ultra-thin film for the metallization application in nano-scale devices.
        4,000원
        986.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세계 콩 교역은 일부 소수 수출국과 다국적 곡물메이저가 주도하는 시장구조이며, non-GM 콩 교역물량은 매년 축소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우리나라와 같이 국민이 필요로 하는 콩을 해외시장에서 대부분 조달하는 수입국에게는 매우 불리한 여건이다. 2009년 현재 우리나라의 해외 non-GM 식용 콩 조달은 중국(76%)과 미국(22%)에 집중되어 있으며 특히 중국으로부터의 수입 비중이 매우 크다. 하지만 중국은 근본적으로 대규모콩 순수입국이며, 최근 국제 곡물가격이 상승하자 중국은 국내 물가 안정 차원에서 주요 곡물 수출에 대해 수출세를 부과하고 수출에 대한 관세 환급제를 폐지하는 등 보호적 태도를보이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와 같은 식량수입국에게 안정적인미래 식량 자원 확보의 필요성을 환기시켰다. 이에 단기적으로 무엇보다 콩 수입선 다변화, 선물거래의 활용, 해외농업개발과 연계된 조달방안 마련 등 해외 조달방식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세계적으로 GM 작물의 재배면적이 늘어나는 추세임에도 국내 소비자들의 non-GM 작물에 대한 수요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non-GM 콩의 수요가 늘어날 것에 대비하여 기존 미국과 중국에서 대부분의 콩을 수입해 온 것에서 벗어나 곡물메이저가 진출하지 않고 근거리에 위치한 중앙아시아나 연해주, 또한 수확시기가 다른 점을 이용할 수 있는 남반구 국가들과 같이 다양한 지역의 여러 가지 요소를 전략적으로 고려한 공급기반 확보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일본과 같이 고품질의 non-GM 콩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제곡물 유통기업을 설립하여 효과적 수입조달 체계를 구축하는 것도 필요하다. 동시에 국내적으로는 콩비축 관리제도를 확대 운영하고 조기 경보시스템을 구축하는제도적 노력과 함께 국내 생산 증대를 위한 다각적인 정책노력도 기울여 나가야 할 것이다.
        4,000원
        987.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ES-LMC(Very-Early Strength Latex Modified Concrete)는 콘크리트의 내구성 향상에 기여하는 SB라텍스를 첨가한 신속개방형 보수보강재로서로 교면재포장 및 콘크리트포장 보수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VES-LMC의 밝은 색상은 운전자에게 시각적 부담을 유발하여 주행성을 저하시킬 수 있어, 심리적 안정 도모를 위해 VES-LMC의 색상을 인접한 아스팔트 포장구간과 유사한 흑색으로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흑색안료인 카본블랙을 시멘트량 대비 2% 첨가한 흑색 VES-LMC에 대한 현장 적용성 및 공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현장 적용결과 흑색 VES-LMC는 기존 VES-LMC와 비교하여 작업성, 슬럼프, 공기량 등에는 변화가 없었으며 양생 4시간에서는 20MPa 이상을 발현하였다. 공용성 평가결과 흑색 VES-LMC는 일반콘크리트와 아스팔트포장 구간에 비하여 온도응력발생량이 가장 적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이것은 콘크리트의 안정성을 의미한다. 특히 결빙시 영하권에서도 상온을 유지하여 도로결빙을 예방하고 융빙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988.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 시대를 대비하고 노인들이 행복한 여가시설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 인식하고 이에 물리적으로 행복한 노인 여가시설을 구축함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현재 노인들이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여가 시설에 대하여 활용성이 떨어지는 요인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방법 및 내용으로 첫째, 국내에서 가장 성공적인 공공 노인 여가시설의 모텔로 선정된 대구의 시니어스타워를 방문하여 단순설문 및 관찰을 통하여 장단점에 대한 요소들을 정리 및 KJ기법 및 그라프기법 (Graph Theory)을 적용하여 물리적 공간에 대한 한계성의 요소에 대한 우선순위 그리고 상호관계성을 발췌하여 우선순위 가이드라인을 구축하였다. 둘째, 실제 노인들이 여가시설에서 느끼는 만족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부산시 사상구 노인여가 시설에 방문 및 현지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발췌한 우선순위법(Priority Method) 결과와 비교한 내용을 기반으로 최종적으로 개선 할 사항을 정리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첫째, 물품 및 기기를 노인의 여가공간에 효율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노력과 이를 실질적으로 다룰 수 있는 전문성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물리적 기기 및 프로그램을 활용한 노인여가 시설도 중요하지만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특성을 고려하여 자발적으로 참여하기 위한 참여 형 공간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994.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wherd Star and the Weaving Maid Star have been famous stars in East Asian countries. Nowadays Altair is defined to be the Cowherd Star in public materials including science books, mass media, public outreach programs, and movies played in public planetariums and science museums. However, in astronomical books and star-charts in history, the Cowherd Big Star (牽牛大星) has been known to be Dabih or β Cap in the constellation Capricorn, and the asterism Cowherd consists of six stars including Dabih. Since the same title is given to the different objects simultaneously, considerable misunderstanding and confusion among the public have occurred. In this paper we consider this problem in two aspects. One aspect is which star has been defined to be the Cowherd Star in ancient literatures; the other is which stars were regarded as the Cowherd or the Cowherd Star in the historical records of occultation or conjunction in History of Koryo,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and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the Choson Dynasty. As a result, we see that Altair has been regarded as the Cowherd Star in folklore and literature, but Dabih has been defined to be the Cowherd Big Star in astronomical works. An explanation proposed by previous researchers on the reason why such double meanings have been appeared is introduced. In the explanation, the fact that the Altair was defined as the Cowherd Star in ancient times had not been handed over properly, and the name of Cowherd was later put to the Dabih and its surrounding five stars to form one of 28 lunar lodges. Based upon these facts, we suggest the following ideas: (1) Altair should be introduced to be the Cowherd Star in public-friendly programs, and Dabih should be noticed to be the Cowherd Big Star in the field of history of astronomy. Dabih should be added as the astronomical Cowherd Big Star in academic books such as a dictionary of astronomical terminology. (2) The Korean pronunciation for Altair should be al-tear instead of al-tairu in accordance with the definition in the astronomical terminology dictionary compiled by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4,200원
        995.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폐기되고 있는 제지슬러지의 자원 재활용을 위한 육묘용 상토로서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상업 용토 토실이를 대조구로 하여 제지슬러지와 토실이의 혼합 상토 (1:1, v:v), 그리 고 제지 슬러지 단용 상토를 처리로 하였다. 토마토의 육묘 결과, 제지슬러지 혼합 상토에서의 생육은 토실이 상토와 비교하여 초장, 근장, 생체중과 건물중 등에서 그 차이 없었다. 반면, 제지슬러지 단용 상토에서의 생육은 현저히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오이묘의 생육결과에서도 반영 되 어 제지슬러지 단용 상토의 오이묘 생육은 현저히 억제되었다. 본 시험의 결과, 제지슬러지의 자원 재활 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미 가공 제지슬러지의 높은 pH와 EC의 안정화, 그리고 Zn의 함량을 낮추는 등의 처리가 선행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996.
        2010.1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lms consisting of a silicon quantum dot superlattice were fabricated by alternating deposition of silicon rich silicon nitride and Si3N4 layers using an rf magnetron co-sputtering system. In order to use the silicon quantum dot super lattice structure for third generation multi junction solar cell applications, it is important to control the dot size. Moreover, silicon quantum dots have to be in a regularly spaced array in the dielectric matrix material for in order to allow for effective carrier transport. In this study, therefore, we fabricated silicon quantum dot superlattice films under various conditions and investigated crystallization behavior of the silicon quantum dot super lattice structure.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spectra showed an increased intensity of the 840 cm-1 peak with increasing annealing temperature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i-N bonds. A more conspicuous characteristic of this process is the increased intensity of the 1100 cm-1 peak. This peak was attributed to annealing induced reordering in the films that led to increased Si-N4 bonding.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analysis showed that peak position was shifted to higher bonding energy as silicon 2p bonding energy changed. This transition is related to the formation of silicon quantum dots.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and electron spin resonance (ESR) analysis also confirmed the formation of silicon quantum dots. This study revealed that post annealing at 1100˚C for at least one hour is necessary to precipitate the silicon quantum dots in the SiNx matrix.
        4,000원
        997.
        2010.1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olar cells have been more intensely studied as part of the effort to find alternatives to fossil fuels as power sources.The progression of the first two generations of solar cells has seen a sacrifice of higher efficiency for more economic use ofmaterials. The use of a single junction makes both these types of cells lose power in two major ways: by the non-absorptionof incident light of energy below the band gap; and by the dissipation by heat loss of light energy in excess of the band gap.Therefore, multi junction solar cells have been proposed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However, the 1st and 2nd generation solarcells have efficiency limits because a photon makes just one electron-hole pair. Fabrication of all-silicon tandem cells using anSi quantum dot superlattice structure (QD SLS) is one possible suggestion. In this study, an SiOx matrix system was investigatedand analyzed for potential use as an all-silicon multi-junction solar cell. Si quantum dots with a super lattice structure (Si QDSLS) were prepared by alternating deposition of Si rich oxide (SRO; SiOx (x=0.8, 1.12)) and SiO2 layers using RF magnetronco-sputtering and subsequent annealing at temperatures between 800 and 1,100oC under nitrogen ambient. Annealing temperaturesand times affected the formation of Si QDs in the SRO film.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spectra and x-ray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revealed that nanocrystalline Si QDs started to precipitate after annealing at 1,100oC for onehour.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images clearly showed SRO/SiO2 SLS and Si QDs formation in each 4, 6, and8nm SRO layer after annealing at 1,100oC for two hours. The systematic investigation of precipitation behavior of Si QDsin SiO2 matrices is presented.
        4,000원
        998.
        201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호남권 해안은 대한민국의 전체해안선 중에서도 갯벌의 면적이 가장 크며,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청정 갯벌지역을 보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갯벌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관광 자원과 활용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3,000원
        999.
        201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generation of periodontium is the goal of periodontal therapy. Many periodontologists try to achieve this goal by using guided tissue regeneration(GTR) method. However, these procedures always include several disadvantages.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2 (rhBMP-2) stimulated ectopic bone formation when it was implanted in rat muscles with insoluble bone matrix by differentiating muscle cells into chondrocytes and osteobla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osteoinductive potential of the mixture of rhBMP-2 (5 μg/ml) and heparin (0.25 or 25 μg/ml ) at the critically sized rabbit calvarial defects. And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at heparin also acts to enhance the bone forming activity of rhBMP-2. The 12 rabbits (4-month-old; NewZealand White) were used in the present study. 5 μg/ml of rhBMP-2 and 0, 0.25 or 25 μg/ml of heparin were mixed and blotted into anorganic bovine bone and filled cranial defects. The animals were sacrificed following a time schedule (1, 3, and 6 weeks). Sections were made in 7 μm thicknesses, stained with H&E and Masson's trichrome method, and examined under a light microscope. The differences among each obtained percent value were evaluated by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 p value of p<0.05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an ANOVA test was performed to verify significant differences. To adjust for multiple comparisons when one-way analysis of varia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p<0.05), Scheffe`s post hoc test was used to identify which group differences accounted for the significant p-value. In control group, osteoinduction was not outstanding, however, in experimental groups, osteoinduction was significantly outstanding, and as the concentration of heparin mixed with rhBMP-2 increased, osteoinduction was increased. Mixtures of rhBMP-2 and heparin affect bone formation at initial bone formation, but that effect disappeared following a time lapse.
        4,300원
        1000.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썩덩나무노린재(Halyomorpha halys Stal))는 노린재목(Hemiptera) 노린재과 (Pentatomidae)의 곤충으로서 감귤을 비롯해 감, 복숭아등 과수와 콩과식물을 가 해하는 작물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썩덩나무노린재 방제약제선발, 유 인물질 연구 등에 이용하고자 실내 개체군을 수립하였으며 산란행동을 구명하였 다. 2009년 10월~11월 제주시 유기농 감귤원에서 채집한 약 20마리 썩덩나무노린 재 성충을 초기 개체군으로 시작하였다. 아크릴 케이지(크기 110×70×55cm)에 자 율적으로 먹이에 접근하도록 하였고 최대한 인위적인 노력이 투입되지 않도록 관 리하였다. 산란재료 및 수분공급을 위한 식물재료로 칼랑코에 및 페페(소형 포트 20개)를 제공하였다. 주먹이로는 검은콩 및 생땅콩을 충분히 제공하였고, 사육실 온도 25±1℃, 상대습도 40~70%, 광 16L:8D 조건에서 사육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초기 개체군이 효과적으로 정착하여 규모화 된 실내 개체군(2010년 9월 현재)을 유지 시킬 수 있었다. 교미행동 관찰결과 수컷이 더듬이 및 머리 앞부분을 이용 뒤쪽에서 암컷의 복부 끝을 두드리고, 이 때 암컷이 교미를 수락하는 경우 복 부 끝을 들어 올리게 되며, 그러면 수컷이 돌아서서 교미에 성공하였다. 산란은 적 게는 13개에서 많게는 39개까지 무더기로 알을 낳았고, 난괴 당 평균 알 수는 28.5 개 이었다. 알을 낳는데 걸리는 시간은 1개의 알을 낳는데 2분 27초에서 2분 32초 사이가 걸렸고, 총 산란시간은 1시간 18분에서 21분까지 소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