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ly, machine learning is widely used to solve optimization problems in various engineering fields. In this study, machine learning is applied to development of a control algorithm for a smart control device for reduction of seismic responses. For this purpose, Deep Q-network (DQN) out of reinforcement learning algorithms was employed to develop control algorithm. A single degree of freedom (SDOF) structure with a smart tuned mass damper (TMD) was used as an example structure. A smart TMD system was composed of MR (magnetorheological) damper instead of passive damper. Reward design of reinforcement learning mainly affects the control performance of the smart TMD. Various hyperparameters were investigated to optimize the control performance of DQN-based control algorithm. Usually, decrease of the time step for numerical simulation is desirable to increase the accuracy of simulation results. However, the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presented that decrease of the time step for reward calculation might decrease the control performance of DQN-based control algorithm. Therefore, a proper time step for reward calculation should be selected in a DQN training process.
PURPOS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optimal placement of the overturning prevention device based on a 3D object model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girder-type overturning prevention device for the remote control construction of bridges
METHODS : Based on existing construction methods and literature research, a detailed design model of a phase-optimized conduction prevention device is presented. The 3D-object model data, optimal placement, and an operating range of the equipment developed for the remote control construction of bridge girders were considered.
RESULTS : The shape of the overturning prevention device was selected taking into account the dimensions and operating range of numerous devices developed for the remote control construction of the bridge. In particular, the detachable device was chosen to allow a trouble-free construction considering the spacing between the pier cap of the bridge and the girders. The overturning prevention device presented based on this 3D object model will be manufactured as a mock-up and used for a demonstration project on remote control bridge construction. CONCLUSIONS : This will enable easy and economical construction as this development will support remote control construction of bridge girders to avoid accidents such as workers falling from high places like piers.
본 연구에서는, 5가지 식물의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모기기피 효과 실험을 진행하고 누드 쥐를 모델로 하여 흰줄숲모기에 대한 모기기 피제의 유효용량 및 유효시간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식물의 휘발성분을 GC-MS로 분석하였다. 유효용량은 개박하가 10, 50, 100, 200 μg/mL 에서 72.9, 83.7, 86.4, 97.3%의 효율로 가장 높았다. 누드 쥐를 대상으로 한 유효시간 연구에서는 5가지 식물의 메탄올 추출물 중 개박하, 개다 래 및 개똥쑥이 90.5%로, 30분까지만 지속하였다. 각 식물의 휘발성분을 분석한 결과, 애플민트 28개 성분, 개다래 19개 성분, 개똥쑥 27개 성분, 개박하 26개 성분, 민들레 19개 성분이 확인 되었다. 특히 모기기피제의 유효 성분으로 알려진 네페탈락톤(nepetalactone)이 개박하의 휘발성분 중 한 성분으로 확인 되었다(27.95 mg/Kg). 본 연구결과는 다양한 휘발성분을 함유한 식물을 이용한 모기기피제 재료로서 가능성을 제시한다.
국내에서 한시적 식용 곤충으로 등록된 아메리카왕거저리의 사육에 적합한 온도를 규명하고자 온도별 발육특성을 조사하였다. 25°C, 27°C, 30°C, 33°C 등 4개의 온도(9L/15D, 65% R.H., 1330-1800 lux 조건)에서 1-18령까지 발육기간은 30°C가 120.0 ±5.8일로 가장 짧았 고, 그 다음이 33°C (132.6±10.7일), 27°C (136.5±9.2일), 25°C (156.7±7.5일) 순이었다. 30°C는 25°C보다 36.7일나 단축되었다. 33°C의 경 우, 25°C, 27°C, 30°C에 비해서 폐사율이 2.7-3.3배나 높았다. 33°C를 제외하고 온도가 높을수록 발육기간이 단축되는 경향이었으며, 온도별 발육기간은 고도의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체중의 경우, 30°C가 가장 무거웠고 그 다음은 27°C, 33°C, 25°C 순이었다. 두폭, 체폭, 체장 도 체중과 같은 경향을 보여, 온도 간에 발육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온도와 발육기간, 체중, 체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29-30°C가 가장 적합한 온도이었다. 온도별 전용율은 17령이 43.1%로 가장 높았고, 18령(30.3%), 16령(15.4%), 19령(7.1%), 20령(1.9%)순으로 88.8%가 16령-18령 사이에 전용이 되었다. 전용기간(15-20령)은 27°C와 30°C가 각각 18.8±1.9일, 18.8±2.3일이었고, 그 다음이 33°C (23.0±2.4일), 25°C (23.1±2.9일) 순으로 온도가 낮을수록 늦어지는 경향이었다. 번데기기간 또한 온도가 높을수록 짧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암수 간의 번데기 기간은 각각 11.1±2.2일, 11.6±2.4일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들로 볼 때 아메리카왕거저리의 발육에 적합한 온도는 30°C로 판단된다.
최근 새로운 엽채류로 관심받고 있는 루꼴라의 주요 해충에 대한 발생과 피해정보는 물론 주요 해충인 파밤나방을 효율적으로 방제할 수 있 는 살충제를 선발하였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경기도 화성과 고양의 루꼴라 포장에서 발생한 해충은 모두 4목 7과 9종이었다. 이중 피해가 높았던 파밤나방에 대해 시판 살충제의 방제 효과를 포장에서 검정한 결과, Spinetoram SC, fluxametamide EC, chlorantraniliprole WG, cyantraniliprole DC, emamectin benzoate EC는 루꼴라 재배 포장 2개소에서 95% 이상의 높은 살충효과를 보였고 2배량에서도 약해가 없어 루꼴라 재배지에서 파밤나방 방제 전용 살충제로 등록되어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정서곤충을 이용한 치유프로그램 활동이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 43명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치유 프로그램에 이용된 정서곤충은 누에나방[Bombyx mori (Linnaeus)]이다. 스트레스의 정도는 타액 ɑ-아밀라아제 검사를 통해 측정하였다. 스트레 스 수치를 평가하기 위한 타액 샘플 채취와 곤충 선호도에 대한 설문지는 곤충치유활동에 참여하기 전과 후에 측정되었고, 활동을 모두 마친 후에는 치유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대한 만족도 점수를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곤충치유프로그램 활동은 참여 아동의 타액 ɑ-아밀라아제 수치를 통계적으 로 낮추고, 곤충에 대한 선호도를 높여준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누에를 이용한 치유프로그램 활동에 참가한 아동들의 만족도는 5점 만점에 4.23 점이었다.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 석하고, 감정부조화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요양보 호사의 감정부조화를 감소시키고, 사회적 지지를 높게 형성하여 감정노 동으로 인한 심리적 소진을 완화시킬 수 있는 심리적 개입 및 기초자료 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인천, 경기 지역에 소재한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직접방문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783부를 최종 통계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첫째, 사회적 지지는 심리적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 의 경우,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에 대해서 심리적 소진에 부적인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부조화와 사회적 지지는 감정 노동과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율성지지가 학교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 로써 학교생활을 하는데 긍정적인 요인들을 파악하고 학교생활적응 능 력을 증진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 마련과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중학생이 느끼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학교생활적응에 통계적으로 직접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자아탄력성은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모자율성은 학교생활적응에 통계적으로 직접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자아탄력성은 완전매개 하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이는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을 완화시키는데 중요한 변수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학교는 청소년들의 현재의 삶을 즐겁고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다양한 사회적 경험의 기회로써 활 동의 장이 되어야 하며, 균형적인 성장을 돕는 활동을 제공하여 전인적 인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사회의 다각적인 관심과 노력의 필요성을 제 기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by analyzing and exploring the work experience of infection control nurses (ICNs) in response to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4 ICNs, (two in in-depth interviews and 12 in groups of six) from February 19, 2021, to March 20, 2021, and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ntent. Results: In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ICNs took the lead in responding to infectious diseases, where they felt pressure in doing everything. In addition, they were confused by a lack of workforce and undetailed job plans. ICNs have been exhausted by insufficient support and system, such as the lack of support in the hospital, communication with health authorities, and difficulties with patients and visitors. However, ICNs settle with the help and encouragement of those around them. For example, pride in the work that only ICN can do, change in the cooperation of hospitals, and development of ICNs’ unique method of perseverance. Conclus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CNs experienced structural, physical, and mental difficulties at work. Nevertheless, the study found that a driving force enabled ICNs to endure, and that to efficiently respond to new infectious disease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ecure ICNs and strengthen them.
In this study, N/S co-doped carbon felt (N/S-CF) was prepared and characterized as an electrode material for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EDLCs). A commercial carbon felt (CF) was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of thiourea and then thermally treated at 800 oC under an inert atmosphere. The prepared N/S-CF showed a large specific surface area with hierarchical pore structures.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the N/S-CF-based electrode was evaluated using both 3- electrode and 2-electrode systems. In the 3-electrode system, the N/S-CF-based electrode showed a good specific capacitance of 177 F/g at 1 A/g and a good rate capability of 41% at 20 A/g. In the 2-electrode system (symmetric capacitor), the freestanding N/S-CF-based electrode showed a specific capacitance of 275 mF/cm2 at 2 mA/cm2, a rate capability of 62.5 % at 100 mA/cm2, a specific power density of ~ 25,000 mW/cm2 at an energy density of 23.9 mWh/cm2, and a cycling stability of ~ 100 % at 100 mA/cm2 after 20,000 cycles. These results indicate the N/S co-doped carbon felts can be a promising candidate as a new electrode material in a symmetric capacitor.
Recently, wideband acoustic technology has been introduced and started to be used in fisheries acoustic surveys in various waters worldwide. Wideband acoustic data provides high vertical resolution, high signal-to-noise ratio and continuous frequency characteristics over a wide frequency range for species identification. In this stud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wideband acoustic systems were elaborated, and a general methodology for wideband acoustic data analysis was presented using data collected in frequency modulation mode for the first time in Republic of Korea. In particular, this study described the data recording method using the mission planner of the wideband autonomous acoustic system, wideband acoustic data signal processing, calibration and the wideband frequency response graph. Since wideband acoustic systems are currently installed on many training and research vessel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knowledge for fisheries acoustic research using the state-of-the-art system.
Density and sound speed contrasts (g and h , respectively), and swimming angle were measured for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without swimbladder. The density contrast was measured by the volume displacement method while the sound speed contrast was measured by the acoustic measurements of travel time (time-of-flight method). The swimming angle was measured by dividing it into daytime, nighttime, daytime feeding and nighttime feeding. The g was 1.001 to 1.067 with an average (± standard deviation) of 1.032 (± 0.017), and the h was 1.007 to 1.022 with an average (± standard deviation) of 1.015 (± 0.003). The swimming angles (mean ± standard deviation) were 16.8 ± 10.3° during the daytime, 1.9 ± 12.3° during the nighttime, 30.2 ± 12.6° in the daytime feeding and 35.0 ± 13.2° in the nighttime feeding. These results will provide important parameters input to calculate theoretical scattering models for estimating the acoustic target strength of sandf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