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형강판을 이용한 구조물은 기존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비하여 공기단축효과 및 경제성 등이 우수하고 유지관리비의 절감 측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최근 수로암거 및 생태 이동 통로등에 철근콘크리트 암거 대체 재료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앞으로 적용실적이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파형강판을 사용한 구조물은 주로 아치형과 박스형의 두가지 형태이며, 아치형 구조물은 압축력에 의하여 설계하며 박스형 구조물은 플레이트 부재내의 모멘트에 의하여 설계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대골형 파형강판보다 골의 피치와 깊이가 늘어난 성능 개선된 파형강판의 성능을 평가고하고 설계에 반영하기 위해 정적 압축 시험 및 휨시험을 수행하여 시험체 두께별 이음부의 극한강도 및 모멘트 강도를 검토 하였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rmentation extracts on the concentration of serotonin and melatonin in the serum of the ICR mice. The ICR mice were divided into water control group, lactobacillus fermentation solution including (Lactobacillus paracasei and Bifidobacterium longum B6) control group, positive control group (milk and doxylamine succinate), negative control group (caffein) and the groups treated with the extracts of Berberis koreana bark (WE: water extracts, FE-L.P: fermentation extracts of Lactobacillus paracasei, FE-B.L: fermentation extracts of Bifidobacterium longum B6). After ten-day feeding treatment, the mean concentration of serotonin for water control, WE, FE-L.P and FEB. L group was 134.72, 183.01, 232.09 and 223.78 ng/ml, respectively. The mean concentration for FE-L.P and FE-B.L group were approximately 66% larger than that for water control group. The mean concentration of melatonin for water control, WE, FE-L.P and FE-B.L group was 76.92, 106.66, 157.56 and 141.81pg/ml, respectively. The mean concentration of melatonin for FE-L.P and FE-B.L group were also larger than that for water control group.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fermentation extracts of Berberis koreana bark have relatively greater potential to induce secretion of serotonin and melatonin. Therefore, the fermentation extracts have antidepressant effect.
The composition analysis and electron donating activity of 4 kinds of Korean wild sannamuls[Cacalia firma Komar. (CFK), Aster scaber Thunb. (AST), Ligularia fischeri (Ledeb.) Turcz. (LFT), Synurus palmatopinnatifidus (Makino) Kitam., SDN)] were investigated. The Korean edible mountainous vegetable was named a sannamul or chwinamul in Korea, generally. Most of them, the characterization of the each vegetable was reported, individually without comparative research. This study was compared the proximate compositions, mineral, dietary fiber and electron donating abilities on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of sannamuls. In the chemical analysis of sannamuls, CFK was shown higher value in ash (5.4±0.18%), crude fat (2.5 ±0.14%), carbohydrate (8.1±0.21%), potassium (475.45±0.34mg) and magnesium (64.70±0.48mg) than others. Each mineral of the 3 other samples was a similar value but phosphorus in LFT was contained 62.91±0.43%. The compositions of total dietary fiber of the samples were listed CFK LFT SDN AST and the RC50 Value on DPPH radicals, LFK CFT AST SDN. These results have susggest that CFK and LFT may be useful for a funtional material to food developmen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nhance anticancer activities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by eluting high amount of shikonin through ultra high pressure process. Extraction yield was increased up to 5~10% by ultra high pressure process, compare to the normal extraction processes such as water solvent extraction, 70% ethyl alcohol solvent extraction. The cytotoxicity of the extracts (1.0μg/ml) from ultra high pressure process was showed the lowest cytotoxicity 13.4% for human lung cell (HEL299). The anticancer activities showed 80~85% by adding 1.0μg/ml of the extracts from ultra high pressure process in several cancer cell lines such as AGS, Hep3B, MCF-7 and HeLa cells. Among them, MCF-7 cell of the endocrine system was highest inhibited than other cells. The anticancer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ultra high pressure extraction process showed 10~15%, which was higher than the extracts from normal extraction processes. From HPLC analysis of the extracts, the contents of shikonin in the extracts from ultra high pressure process was 11.42% (w/w), which was 20% higher than others. This results indicate that ultra high pressure process could increase the extraction yield of shikonin and other contents, which resulted in higher anticancer activities.
In this study, whitening activity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extract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several extraction processes: water extraction at 100℃ (WE100) and 60℃ (WE60), 70% ethyl alcohol extraction (EE) and ultra high pressure extraction (HPE) at 500 MPa for 30 minutes at 60℃. The extracts from ultra high pressure extraction showed the highest tyrosinase inhibition and melanogenesis inhibition activities as 52% and 79.5%, respectively, in adding 1mg/ml than others extraction processes. HPE extracts also showed the strong reducing power as 3.19 that absorbance at 450 mm. The contents of polyphenol in WE100, we measured as 10.1μg/ml in adding 1mg/ml. Extracts have a high total flavonoid contents by HPE as 4.1μg/ml at 1mg/ml. We can conclude that better whitening activity of extracts from high pressure extraction was due to high antioxidant activities which could be extracted by higher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in HPE than others.
최근들어 사장교나 현수교와 같은 케이블 형식의 장대교량이 많이 건설되거나 계획중에 있다. 하지만 도로교 설계기준에 제시된 풍하중 산정시 중요한 요인인 기본풍속 산정함에 있어서 1995년까지 측정된 풍속자료를 근거로 한 일반교량에 적합한 풍속을 명시하고 있어 장대교량에 적합한 풍속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태풍의 빈도가 높고 대부분의 장대교량이 건설되고 있는 서남해안지역으로 구체화하였다. 풍하중기준과 같이 극치I형분포(Gumbel분포)에 의해 일반교량에 적용할 100년, 장대교량에 적용할 200년 재현기대풍속을 적률법과 최소자승법의 두 가지 방법으로 추정하고, 극한 상황인 해상에서 불어오는 풍속으로 보정하여 지상풍속보다 약 17%정도 큰 값을 추정하였다. RMS error 방법에 의해 재현기대풍속의 적합성을 평가한 결과 최소자승법이 서남해안지역의 경우 적합성이 우수하였다.
고력볼트의 현장 조립시 볼트 구멍 간의 불일치로 인하여 볼트 구멍을 확장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 외국 기준에서는 볼트 구멍 크기, 형태, 하중 방향에 따라 미끄럼하중에 대한 규정을 따로 두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과대구멍에 대한 시방규정이나 이에 대한 접합부 특성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접합부재 표면처리와 볼트구멍 크기의 변화가 접합부 내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험을 통해 정량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볼트 구멍 크기 및 형태에 따른 접합부의 미끄럼하중의 변화와 체결 후, 장기축력이완의 경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160시간 및 800시간 동안 고력볼트의 축력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대상 고력볼트로 KS B 2819에 규정된 TS(Torque Shear)형 고력볼트를 사용하였다. 표준 볼트구멍 대비 그 외 볼트구멍의 미끄럼하중의 변화는 10%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장기축력이완은 직경 2.5배의 슬롯구멍에서, 2.6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 발효에 의한 인삼열매 추출물의 여러 가지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인삼열매 추출물과 유산균 발효 인삼열매 추출물의 ginsenoside Re, Rc 및 Rb1의 함량분석 결과 유산균 발효에 의해 ginsenoside Re, Rc 및 Rb1의 함량이 모두 증가하였다. 인삼열매 추출물과 유산균 발효 인삼열매 추출물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과 SOD 유사활성 측정결과 1.00 %의 농도에서 유산균 발효 인삼열매 추출물은 각각 86.34, 76.82 %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과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었고, 인삼열매 추출물은 각각 49.78, 40.80 % 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과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어 유산균 발효에 의해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산균 발효 인삼열매 추출물 0.50 %의 농도로 처리한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procollagen type I (COL1A1)은 828.13 % 증가하였으며,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은 87.88 %, tumor necrosis factor (TNF)-α는 99.92 % 감소하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처럼 항산화, 주름, 항염에 효능을 보이는 유산균 발효에 의한 인삼열매 추출물은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강 구조물의 보강공법으로는 강판 보강공법이 대표적인 방법으로 통용되고 있으나, 일부 구조물에서는 고정 설비 및 기타 간섭물로 인하여 보강 시공이 번거롭고, 보강부재 접합시 원부재의 단면 손실이 수반되는 단점이 있다. 최근, 강재의 원가 상승으로 강판 보강공사의 시공비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복합소재를 이용한 보강공사의 경우는 재료의 자중이 가벼워서 보강재 취급이 수월하고 내화학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유지비용이 절감되기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에서는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강 구조물의 보강의 기술적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강재와 복합소재와의 부착성능 및 보 부재를 통해 휨 보강 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항복 이전까지는 강재와 아라미드섬유 쉬트가 일체 거동에 따른 보강효과를 예상할 수가 있었다. 또한, 보강 겹수가 증가함에 따라 무보강 실험체 대비 내력이 증가했지만, 예상 보강효과(1겹에서 12.5%, 2겹에서 25%)에 비해 절반 정도의 수준의 개선효과를 보였다. 그 이유는 모든 보강 실험체가 계면파괴로 파단되었고, 이후 아라미드섬유 쉬트가 실험체 내력 개선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근 복합소재의 재료적 개선 및 접착제의 부착성능 향상으로 인하여 강 구조물의 보강공사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으나, 보강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착성능 향상을 위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In order to compare what kinds of transcription factors are associated with the inhibition of preadipocyte cell proliferation, we prepared several grape extracts and tested the expression patterns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As a result, 50% ethanol extract of Campbell early seed inhibited adipogenesis derived from the MDI solution. Extract of Campbell early seed was significantly inhibited lipid droplet formation and expression of molecular factors C/EBP-alpha and delta in 3T3-L1 cells. It is suggested that grape extracts of fractions would be a good candidate for the development of regional skin fat modulato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nhancement of cosmeceutical activities of Berberis koreana bark by different extraction processes. The extracts are WE (water extract at 100℃, control), USE (ultrasonification for 1 hours at 60℃ with water), HPE (high pressure for 5 minutes at 60℃ with water) and USE + HPE (ultrasonification process for 1 hours after high pressure for 5 minutes at 60℃ with water), respectively. The cytotoxicity of the extracts was in the range of 24.02~26.94% at 1.0 mg/ml concentration. The USE + HPE showed the lowest cytotoxicity. Compared to the WE,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in the USE + HPE increased to 121.5% and 154.2%. The USE + HPE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t 1.0 mg/ml concentration in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inhibition activity of xanthine oxidase and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test, respectively. Tyrosinase inhibition of WE, USE, HPE and USE + HPE at 1.0 mg/ml concentration was measured as 17.72, 19.62, 22.83 and 24.16%, respectively. Hyaluronidase inhibition activities of the USE + HPE were higher than 20.8%~29.5% of the WE. Our results suggested that the extracts from ultrasonification process after high pressure extraction has relatively high cosmeceutical activities, and that the bark of Berberis koreana could be considered as a candidate of new functional cosmetic agents.
댐퍼는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로 인한 구조물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구조물에 도입되는 에너지 저감장치로써, 이에 대한 연구와 적용은 반세기에 걸쳐 진행되어 왔다. 특히 수동형 댐퍼의 대표격인 강재댐퍼는 1970년대 초반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형태의 연구가 수행되어 크고 작은 건축물에 적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슬릿형 강재댐퍼의 성능평가실험결과를 수집하여, 슬릿을 형성하는 스트럿 높이에 대한 폭비(형상비)에 항복강도 특성을 평가하였다. 주 평가 대상은 설계를 위한 항복강도이며, 실험결과대 설계식에 의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강재댐퍼의 항복강도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위하여 국내외 실험결과를 대상으로 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기존 국내 제안식이 스트럿 형상비 0.2이하, 1의 휨거동 및 전단거동이 명확한 경우의 항복강도를 예측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렇지만 향후 보다 많은 실험결과를 통하여 스트럿 형상비 및 슬릿 형상에 대한 보완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일본에서와 같이 강재 댐퍼용 저항복강재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Perceived air quality (PAQ) is defined as evaluation of indoor air satisfaction and comfortable sensory by occupants.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criteria of indoor pollutants and lowest sensory thresholds. In this study, we compared indoor PAQ by questionnaire with measured benzene, toluene and nitrogen dioxide (NO2) concentrations in home indoors. The NO2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Seoul, while benzene and toluene were the highest in Asan. Average PAQ score in winter was higher than that in summer.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AQs of home indoor air pollution and measured pollutant concentrations were not shown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r) ranged between -0.453<r<0.258. Several groups have been divided to analyze what may affect PAQ scores such as gender, city, home indoor smoking, passive smoking, and self-reported respiratory symptoms. Gender, city, and self-reported respiratory symptoms by indoor air quality were associated with high PAQ scores by using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 are confirmed that no association between concentrations of home indoor pollutant and PAQ scores. Therefore we further need to develop new indicator indoor air pollutants, measurement, and evaluation by PAQ.
본 연구의 목적은 슬릿형 강재댐퍼보다 에너지 소산능력 등이 우수할 것으로 예상되는 V형 강재 댐퍼 개발에 있다. 이를 위하여 댐퍼 스트럿의 높이 및 각도에 대한 실험체 9개를 만들어 전단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스트럿 높이가 270mm이고,스트럿 각도 60˚인 경우의 V형 강재댐퍼가 가장 우수한 내진성능 보유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기존내력식을 이용한 댐퍼의항복강도를 비교한 결과, 기존 실험결과를 분석한 범위 내에서 V형 댐퍼의 실험결과가 높게 평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영어교육은 고비용 저효율이다. 이러한 현상은 대학의 입시위주의 영어교육이 문제라는 지적이 있어왔다. 그리하여 정부에서는 대학 수능의 영어 평가를 국가영어 능력 평가시험으로 변화를 꾀하여 미래 지향적으로 전환 하고자 하고 있다. 그리하여 각 시도 교육청은 영어 공교육 강화 방안을 정책으로 추진하고 학교 영어교육의 패러다임을 변화하여 영어로 영어수업을 하게하고 원어민과 영어 전용 교실의 도입 그리고 영어마을 등 영어교사들의 영어 연수 등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본 논고는 ICT를 활용하여 현장의 영어 공교육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 증명해 보이기 위해, 초-중-고등학교 그리고 예비 영어교사 대학생들에게 멀티미디어 코스웨어와 코스웨어 관리시스템을 활용하여 블렌디드 러닝을 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영어 공교육을 정상화하려고 하는 사례연구를 요약 보고하여 현장 영어 공교육의 정상화를 어떻게 할 수 있는지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학습자들은 멀티미디어 코스웨어를 통하여 원어민의 발음와 충분한 입력을 받고 교실과 일상생활에서 부족한 연습을 할 수 있었고, 교수자는 코스웨어 관리시스템을 통하여 학습자들의 학습을 관리하여 수준별-개별적인 도움과 안내를 통해 학생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학생들은 원어민의 도움 없이도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할 수 있었고 이러한 코스웨어와 코스웨어 관리 시스템을 잘 활용하면 한국인 영어교사가 원어민 영어교사보다 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 보였다. 그리하여 본 사례연구는 정상적인 학교교육만 받아도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증명해 보이고, 교육청이 하드웨어와 원어민 사업의 투자에만 정책적인 배려를 하지 말고 코스웨어 관리 시스템이 있는 코스웨어를 보급하고 하드웨어와 그러한 코스웨어를 학습에 잘 이용할 수 있는 교사 양성 및 연수를 실시하여 ICT와 코스웨어를 그리고 코스웨어 관리 시스템을 잘 활용할 수 있는 교사를 기르고 연수하도록 제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