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트 클로버에서 마이코라이자 접종이 가뭄스트레스와 관련된 생리학적 요인들을 조사하기 위하여, 마이코라이자 접종 (AM) 또는 비접종구에서 정상관수 (WW) 또는 가뭄 스트레스 처리 (DS)하여 7일동안 주기적으로 잎 수분포텐셜, 상대수분함량, 건물중, 광합성효율, 증산, 기공전도성, 프롤린 및 암모니아 함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모든 조사항목에서 정상적인 관수조건 (대조구)에서는 전 시험기간 중 변화가 매우 적었으며, 마이코라이자 접종에 의한 변화도 매
 ,  , The walnut leaf beetle, Gastrolina depressa, belongs to family Chrysomelidae (Coleoptera), and is one of the major pests of walnut trees. G. depressa eggs were oval and dark orange. The three G. depressa larval ins tars were gray in color. The larval period was approx. 8.14 days (24 ", C, 16L:8D). Adults of both sexes were dark blue, and females were larger than males. Overwintered adults emerged in late April, and laid eggs in clusters on young leaves of the host tree. Mature 3rd instar larvae pupated after a short prepupal period. Adults emerged starting mid-May and entered into diapause shortly afterward.
The overexpression of Phosphoprotein Enriched in Astrocytes (PEA15) gene is commonly found in human diabetic patients. The overexpression of this gene in skeletal muscle and fat tissues have been reported to cause insulin resistance, thereby impairing insulin stimulated glucose uptake. We introduced a gene of mouse PEA15 (mPEA15) and enhanced green fluorescent protein (EGFP) into fertilized one cell pig zygotes using microinjection, and produced a piglet that showed overexpression of mPEA15 in the muscle tissues and expression of EGFP in the ear tissues and hooves. RT-PCR RFLP, southern blot and FISH analysis showed that the tissues carried the transgene. Real-time RT-PCR and western blots demonstrated that PEA15 gene was overexpressed in the various tissues and muscle tissues, respectively. These facts suggest that expression vector system is normally expressed in the trnasgenic (TG) pigs. To use as animal diseases model for type 2 diabetes,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confirm whether diabetes occur in these TG pigs, especially insulin resistance.
Salmonellosis is a major bacterial zoonosis that causes self-limited enteritis to fatal infection in animals and food-borne infection and typhoid fever in humans. Multidrug-resistant strains of Salmonella spp. has increased over the last several decades and recently causes more serious problems in public health. The present study was investigated bacteriocidal effects of sodium chlorate, sodium azide, sodium cyanide, and sodium salts mixture containing sodium chlorate, sodium azide, and sodium cyanide on infection with S. typhimurium in macrophage RAW 264.7 cells, and antibacterial effects of sodium salts mixture for murine salmonellosis. In infection assay of S. typhimurium in RAW 264.7 cells, bacterial survival rates within macrophage in all treated groups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ing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with the passage of incubation time. Administration of sodium salts mixture showed a therapeutic effect for S. typhimurium infected ICR mice. The mortality of mice treated with sodium salts mixture was 70% until 12 days, while that of control mice was 100% until 9 days after S. typhimurium inf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trongly indicate that sodium salts mixture has a potency treatment for murine salmonellosis.
해안지대에 서식하는 염생식물인 퉁퉁마디의 염처리와 인공토양에 따른 생육반응을 조사하여 시설 내 인공재배상에 적합한 토양을 선발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토양은 가볍고 인공재배상에서 이용이 간편한 난석,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 및 혼용처리로 하였으며 염처리는 NaCl 농도를 200mM로 처리하였으며 복합비료를 시비하여 4개월간 재배하였다. 초장, 생체중, 건물중에 있어서 식물 생육은 다공성 난석과 펄라이트를 혼합한 토양에서 생육이 좋았으며 NaCl 처리 시 생육과 엽록소 함량은 토양종류에 관계없이 감소하였다. 프롤린 함량은 보습성이 낮은 난석과 펄라이트의 경우 대조구 값이 염처리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활력은 처리별 그 차이가 거의 없었고 퉁퉁 마디의 경우 염처리가 항산화물질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Deoxynivalenol (DON) and zearalenone (ZEN) are mainly contaminated mycotoxins in feeds.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and survey the contamination of DON and ZEN in one hundred thirteen samples of feeds. After cleaning all samples with immunoaffinity column, the mycotoxins were analysed by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fluorescence with diode array detector (HPLC /FLD with DAD). The average recoveries of DON were 88.76 and 95.40% at the levels of 200 and 1,000 μg/kg and 87.09 and 98.40% of ZEN were recovered at the levels of 100 and 500 μg/kg, respectively. The limit of detection (LOD) were 6.0 and 3.0 μg/kg for DON and ZEN, respectively.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DON were 372.1, 324.0 and 990.9 μg/kg in chicken, pig and cattle feed, respectively. Those of ZEN were 76.1, 43.7 and 196.2 μg/kg for them, individually.
Currently, 10% of the domestic aircraft accidents and 9% of delays and cancellations were generated due to poor maintenance. Aircraft maintenance work is divided into works in material warehouse and in hangar. In material warehouse, the problem in aircraft maintenance work is occurred when the serial number of parts are identified and entered. In hangar, work order are duplicatively written. In addition, the maintenance information is not shared and then work order is wrong delivered.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maintenance process and the informations that occurs in the material warehouse and hangar for large airline company to solve the problems. And serial numbers are replaced by QR code. And documented work order and manual are handled using the tablet PC. In conclusion, this paper studied smart work of maintenance process about tire parts. We expect to improve the inefficiency of identification of serial number and total maintenance time is reduced by real-time information sharing.
1976년부터 2010년까지 35년 동안 여자만 수질환경의 특성과 장기변동 경향을 조사하였다. 3개 정점에서 수층(표층과 저층)별 계절별로 년 4회 수온, 염분, 수소이온농도, 용존산소, 학적산소요구량, 부유물질 및 영양염류에 대해 조사한 결과, 표층수와 저층수 간에는 수온, 염분, 용존산소, 수소이온농도 및 아질산질소도 차이가 있었으나(p〈0.05), 그 외 수질항목은 표 저층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공간적 분포 특성은 염분, 화학적산소요구량, 암모니아질소 및 용존무기질소는 정점간 높은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나(p〈0.0001), 그 외 조사항목에서는 정점간 차이가 없었다. 또한, 계절별로는 수소이온농도에서는 유의성인 차이가 없었으나, 그 외 모든 조사 항목에서는 유의적이 차이가 입증되었다(p≤q0.0438). 정점별 계절별 평균치의 주성분 분석결과 여자만 안쪽의 정점 1에서는 염분과 수소이온농도는 낮고, 화학적산소요구량, 부유물질 및 영양염류는 높은 상태이었으며, 만 입구 측으로 갈수록 반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1년 동안 수질의 장기 변동은 네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항목에 따라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수온, 화학적산소요구량 및 부유물질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염분는 불규칙으로 점차 낮아지는 상태이며, 영양염류중 인산인은 1991년부터 2001년까지 증가 상태이었고, 그 후 1980년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용존무기질소는 증가하는 경향으로 1990년 후반부터 그 폭이 커지는 추세로 2010년에는 평년의 1/3 수준의 특징을 보였다. 여자만에서 수질 특성은 경인연안, 아산연안, 천수만, 군산연안 및 목포연안과 마찬가지로 육수 유입의 원인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The present study was investigated the antibacterial effect of several sodium salts and the sodium salt mixture composed with sodium chlorate, sodium azide and sodium cyanide on Salmonella gallinarum (S. gallinarum) infection in murine derived macrophage RAW 264.7 cells. In the infection assay of S. gallinarum in macrophage cells pretreated with 15 mM sodium chlorate, 0.3 mM sodium cyanide, 0.3 mM sodium azide and the sodium salt mixture (15 mM sodium chlorate, 0.3 mM sodium cyanide, 0.3 mM sodium azide), respectively, the numbers of S. gallinarum in all treated-groups tended to decrease in the process of time after treatment, but the group treated with sodium cyanid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with control. After 24 hours of treatment, the number of S. gallinarum in sodium azide (p<0.05), sodium chlorate (p<0.001) and the sodium salt mixture (p<0.001) treated-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and that in the sodium salt mixture treated-group was decreased the higher than all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sodium salt mixture composed with sodium chlorate, sodium azide and sodium cyanide, has the antimicrobial activity for S. gallinarum and may be beneficial on the control of intracellular pathogens.
본 연구는 해역의 수질오염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2010년 2, 5, 8, 11월에 광양만 20개 정점과 진해만 23개 정점에서 COD (화학적산소요구량, Chemical Oxygen Demand), Chlorophyll a, 대장균 Escherichia coli를 조사하였다. 또한, 광양만과 진해만의 지형학적특성을 고려하여 각각 3개 구역, 4개 구역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광양만의 COD농도는 춘계 (평균: 4.3 mg L-1))에 가장 높
제주도 숨은물벵뒤 습지에서 Betaproteobacteria의 종다양성을 조사하였고, 신분류군 후보 22균주를 확보하였다. 분리주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Burkholderiaceae (3균주), Comamonadaceae (8균주), Oxalobacteraceae (5균주) 및 Neisseriaceae (5균주) 등 4개 과에 속한 15속, 그리고 소속 미상의 Burkholderiales 소속1속(1균주)으로 동정되었다. Chr
Company's survival in a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is depend on what kind of strategy will be used for facing this business competition society. For this, many companies continued to apply management techniques to improve the activities in this process has been running productivity-oriented activities to switch away from the quality has become a central activity. In other words,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quality improvement activity) for the continuing businesses is an important strategic element. In this study, single-PPM (Single-PPM) the company's leading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will be used and browse to accommodate factors that affect a successful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absolute requirement for companies to learn about the condi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corporate trie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activity.
제주도 한라산에 위치한 국내 최대규모의 고산습지인 숨은물벵뒤 습지의 Alphaproteobacteria와 Gammaproteobacteria강에 속하는 세균 종의 다양성을 조사하였고, 신분류군 후보 균주 19종을 확보하였다. 신종후보 균주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하였을 때 표준균주와 98.7% 미만의 유사도를 보이는 균주들을 신종후보균주로 간주하였다. 총 19종의 세균이 Alphaproteobacteria와 Gammaproteobacte
제주도 한라산의 숨은물벵뒤 습지는 여러 다른 생태계에 비해 접근이 용이하지 않아 생물다양성이 높다고 여겨져 왔으나, 세균의 다양성과 새로운 종에 대한 보고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한라산의 고산 습지인 숨은물벵뒤 습지에서 담수 및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Bacteroidetes, Firmicutes, Actinobacteria문에 속하는 세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세균 중 위의 3개의 문에 속하는 균주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
Incheon Port has many advantages for import of log and timber for furniture. More than 50% of lumber which was imported is through Incheon Port. However, most companies move and set up their business by taking lease of workshop. Because of expensive cost of transportation, it is suggested to construct a lumber Industrial district in the North Port in Incheon. By researching the national plans about the North Port and Incheon Ports, an adequate acquaintance of lumber industry in Incheon has been realized. ills study conducted the economic effect analysis for lumber industry clustering and the necessity of cluster composition is derived. Then effectiveness analysis for lumber industry cluster composition is sequentially operated.
느타리버섯 푸른곰팡이병에 대한 품종 저항성은 포장에서 효과적인 검토가 불가능하여 한천 배지상에서 푸른곰팡이균이 균을 저해하는 특징 fungistatic, lysis, toxin enzyme 등에 대한 각각의 특성을 실내에 검정할 수있는 방법을 검토하기 위하여 균사생장과 특이 현상을 조사하였다. 대치배양에서는 느타리버섯 균주에 따라 대치선 형성위치, 푸른곰팡이균의 느타리균사 생장부분 위로 생장(overgrowth), 대치선 이후의 버섯균의 용균(lysis)현상이 발생하여 효과적인 저항성 검정이 가능하였다. 배양여액을 여지에 적용하는 방법은 버섯균과 병원균의 종류에 따른 균사생장 및 특이적 현상이 타나나지 않았으나, well plate를 이용한 배양여액 희석방법으로 균사생장의 억제정도의 확인이 가능하였다. 분활 petri dish를 활용하여 동시배양의 경우 약간의 버섯균이 억제되는 현상은 보였으나, 푸른곰팡이균이 버섯균 생장 부분 위로 덮어 효과검정이 불가능하였다. 버섯균을 petri dish 전체에 배양한 후 그 위에 병원균의 균총을 접종하는 방법은 overgrowth, lysis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병원성의 검정이 용이하였다. 실내에서의 느타리버섯균의 푸른곰팡이병에 대한 저항성 검정은 대치배양, 배양여액법, 생장후 접종법에 의한 방법으로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표고 봉지재배시 적정한 영양원을 선발하기 위하여 참나무톱밥과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T5의 pH는 4.7로서 T1(대조구)과 대등하였다. 균사 생장량은 T5에서 배양 35일경에 모두 생장하였으며, 대조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혼합배지에 따른 배양특성은 T5가 배양일수 87일로 T1(대조)과 대등하였으며, T1, T2 및 T5의 갈변정도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우수하였고, 배양율도 100%이었다. 혼합배지에 따른 재배기간을 조사한 결과 초발이 소요일수, 생육기간, 재배일수 모두 T5처리구가 T1(대조)과 대등하였다. 혼합배지에 따른 수확주기별 수량 및 상품화율은 T5에서 수량이 348g/kg으로 T1(대조구)에 비해 높았으며, 생물학적 효율은 34%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가장 높았다.
잣버섯 재배를 위해 도입육성된 솔향의 적정 균사생육 온도는 26~32℃이었다. 재배적 특성에 있어서 배양일수는 30일, 초발이소요일수 7일, 생육일수는 6일로 총 재배일수가 43일이었으며, 갓색은 연노랑색이었다. 미송톱밥+옥분(90:10)의 배지에 봉지재배로 3차에 걸친 생산력 검정시험을 수행한 결과 수량은 115g이었으며, DNA 다형성 검정결과 GMLL66035와는 다른 국내 고유의 자생균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