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표준의 환경기준 설정과 그 기준에 미달되는 각종 제품 및 산업의 규제를 주요내용으로 하고 있는 그린라운드(GR)의 물결을 타고 정부의 환경관련 법적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건설공사 현장의 폐기물 처리에 대한 문제가 업계의 주요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재건축, 재개발 사업의 활성화와 더불어 점차 가속화되는 폐 콘크리트의 발생은 환경오염 방지뿐만 아니라 자원 재활용 측면에서 시급한 대책의 수립이 요구 된다. 폐 콘크리트 재활용 기술은 일본과 유럽 등 선진 각국에서 이미 1970년대부터 개발 보급되기 시작하여 최근에는 보다 다양한 재활용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건설폐기물의 연도별 발생량 예측결과 발생총량은 2012년 약 73,076천 톤/년에서 2016년에는 약 3.27%가 증가한 75,468천 톤/년이 발생한 것으로 전망되며, 폐콘크리트 발생량은 2012년 48,303천 톤/년 → 2016년에는 51,049천 톤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건설폐기물 발생량 중에서 50% 이상을 차지하는 폐콘크리트를 고부가가치화 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사용 촉진을 위한 제도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폐기물 발생량 및 폐콘크리트 발생량 분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품질인증현황, 신기술인 증현황 등을 분석하고 현행 건설폐기물, 순환골재 사용에 따른 제도를 분석하여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 및 순환골재 재활용촉진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며 건설폐기물의 자원순환을 촉진하여 자연환경 파괴를 최소화하고 자원순환 시스템 구축에 기여하고자 한다.
경량 콘크리트는 기포제를 사용하여 건축자재의 경량화와 단열성을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기포제의 사용은 콘크리트의 체적이 감소되고, 압축강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별도의 기포제를 사용하지 않고 산업 부산물인 폐발포 폴리우레탄을 재활용하여 콘크리트의 경량화와 단열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그리고 콘크리트의 시공성과 재료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소량의 혼화재를 사용한다. 이러한 혼화재의 혼입률이 폐발포폴리우레탄이 혼입된 경량 콘크리트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시험 결과, 두 개 회사의 혼화재에서 폐발포 폴리우레탄이 고르게 분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혼화재의 혼입률을 다르게 하여 배합한 결과는 혼화재의 혼입이 많을수록 콘크리트의 유동성이 감소된 반면, 콘크리트의 함수율과 압축강도는 소폭 증가하였다. 또한, 난연성능과 차음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국내 폐발포 폴리우레탄의 재활용율을 높이고, 이를 활용한 경량 콘크리트의 최적의 배합설계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스토리 저작 지원 소프트웨어인 <스토리헬퍼>에서 제시된 모티프 분류 체계를 중 심으로, 카드를 이용한 스토리텔링 보드 게임의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스토리텔링 보드 게임의 유형을 네 가지로 분류하고 개발 목표를 설정했다. 이후 모티프 분류 체계에 따라 205개의 모티프 카드를 구성한 뒤 기본형 모드와 확장형 모드의 개발 모델을 제시했다. 해당 모델을 기반으로 테스트 플레이를 진행한 결과, 창의적이면서도 개연성있는 스토리 창작이 가 능한 점과 확장형 모드를 통해 게임의 긴장과 불확실성을 극대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 후 포커스 그룹 테스트를 통해 게임성을 검증하고, 모델을 정교화하고자 한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methods to reduce seeding expenses, thereby increasing farm incom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ain shelter controlled cultivation and adapted seeding times on the stable seed production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Methods and Results: Seed germination was conducted under 10 condition compose to control, water washing, cold storage at 4℃ for 15 days, seed sterilization with a benomyl pesticides, hormone treated seed by submerging in 100 ppm GA3 with the cold storage at 20℃ and 25℃, darkness in a covered petridish and illuminated with a 1,500 Lux lamp. There were three cultivation type, open cultivation with non-woven fabric mulching, cultivation with a vinyl covering and rain sheltered in a plastic greenhouse. Sowing dates were April 27, May 18, June 7 and June 28, 2013. Plants were spaced 10 ㎝ apart in rows 30 ㎝ apart. Mixed oil cake fertilizer, N-P2O5-K2O (12-10-10) was applied at 600 ㎏• 10 a−1. Conclusions: Optimum germination occured in darkness at 25℃ and cold storage after submerging in GA3. The highest seed yields (4.5 ㎏• 10 a−1) occurred in the plastic greenhouse for the April 25 sowing. The highest root yield (17%) was found on April 1, under greenhouse condi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로그라이크 게임에서 파생된 영속적 죽음의 매커니즘을 고찰하고 해당 매 커니즘이 가져오는 독특한 플레이 양식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게임에서의 일반적인 죽음의 과정과 영속적 죽음의 과정을 비교 분석했으며 이후 영속적 죽음의 과정이 게임의 플레 이와 리플레이에 미치는 결과를 살펴보았다. 영속적 죽음은 캐릭터의 부활 가능성이 없다는 점 에서 극도의 긴장을 유발하는 플레이 사이클을 구축한다. 이러한 치명적 패널티는 플레이어로 하여금 죽음을 유예하기 위한 선택적 플레이를 야기하지만 이후 플레이어의 숙련된 스킬을 바 탕으로 자신의 선택을 수정하고 대안적 세계를 구축해 나가는 리플레이로 이어진다. 신중한 선 택과 대안적 플레이를 요하는 영속적 죽음의 매커니즘을 통해 진지한 고민을 담을 수 있는 게 임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는 생활수준 향상과 에너지 소비의 증가로 인해 범세계적으로 에너지 수요가 급격히 증가 되었으며 과거 국내에 설치된 폐기물처리시설의 경우 폐기물의 성상 불균형 현상과 낮은 발열량으로 인해 에너지 생산 및 활용 부분을 고려할 수 없었으나 현재 폐기물에 대한 인식변화와 체계적인 분리수거체계로 인하여 고발열량의 연료 확보가 가능하다. 폐기물처리 기술 중 하나인 소각처리 기술은 쓰레기 발전 등의 여열 이용을 충실히 하는 것에 의해 화석연료 사용량 감소를 실현 가능하며 2013년 ‘자원순환사회촉진법에 관한 법률’ 의 개정으로 폐기물은 바이오매스 연료발전으로 자리매김 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폐자원에너지화를 위한 가연성 폐기물 고형연료화, 소각폐열 회수로 인하여 지역난방이나 전력생산 등에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소각시설의 효율적 폐열회수를 위한 조건을 도출하고자 국내・외 소각시설의 폐열회수 및 전력생산에 대한 사례 조사를 토대로 국내에서 현재 설치되어 있는 공공자원회수시설 및 민간 고형연료 시설 중 모범적으로 운영 중인 사례를 찾아 온도 및 압력 범위를 조사하여 이를 기초로 소각폐열 발전량에 따른 실제 스팀생산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온도 및 압력 변화에 따른 모델링을 통하여 효율 향상을 위한 최적 설계의 근거치를 산출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국내 소각처리 시설 운영 비용절감 및 에너지 회수율 향상을 위한 최적 설계에 필요한 방법론 도출과 데이터 산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기업들은 본연의 가치창출활동과 사회적 공헌을 일체화시킨 공유가치창출이라는 CSV(Creating Shared Value)의 개념을 도입하고 있다. 기업은 일회성이 아닌 지속가능한 CSV를 확산하기 위한 경 영 전략으로써 인간적인 관계를 통해 접근하는 서비스디자인 영역에서 발전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업이 CSV활동에서 서비스디자인을 도입한 네 가지의 사례를 영국의 디자인카운슬의 더블다이아몬 드 모델 적용단계에 있어서의 발견, 정의, 개발, 전달이라는 네 단계를 집중 분석함으로써 CSV확산과 서비스디자인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시사점으로는 첫째, CSV전략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적용은 직접적인 수익창출이 아니더라도 지속가능한 기업경영을 위해 효과적이다. 둘째, 기업은 서비스디자인을 추진함에 있어 사회적인 문제점을 정확하게 발견하는 단계가 우선시되 어야 한다. 또한 소비자들이 직간접으로 참여한 만큼 진정성 있는 서비스의 전략수립과 결과를 평가하 고 피드백 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요구된다. 셋째,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도입함에 있어서 CSV 의 핵심적 가치의 유지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향후에는 많은 기업들이 CSV를 바탕으로 한 미 래 시장의 경영 전략에 서비스디자인을 적극적으로 적용하여 기업의 비즈니스 기회에 경제적 사회적 이익을 모두 추구할 수 있는 긍정적인 결과가 나오길 바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dequate standard pot and number of plants per tree of raising seeding pot on the foxtail millet transplanting culture in the southern province. Due to the various application of wellbeinghealth food recently, for upbringing of the foxtail millet, millet and sorghum in minor cereals, R & D and policy support is being promoted actively. The foxtail millet growing season is so short from 90 to 130 days, and it is large variations for a growth temperatur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When it comes to foxtail millet transplantation, seedling quality of 406 holes, 200 holes and 162 holes of raising seeding pot type were not all significant, and field rooting percentage is accounted for all 94 to 95%. Yield of a foxtail millet was exposed in 406holes 305 kg/10a>162holes 303 kg> 200holes 302 kg order, and it was no significance between test processing. When it's the raising seeding transplanting culture, in case of pot culture, 406holes pot culture were reduced the bed soil cost 63%, pot 50%, working hours 18% for 200holes pot. Transplanting seedling quality per a foxtail millet transplanting culture method, dry weight was high inclination as transplanting number of plant is less, and field rooting percentage displayed more than all 95%. Yield appeared to 2 plants seedling transplanting 315kg/10a> 3 plants seedling transplanting 304kg>1 plant seedling transplanting 256kg order. The projected cost per the pot-sort on the raising seeding transplanting culture of foxtail millet, the seedling transplanting culture of 406holes was reduced 40% percentages compared to 200holes as 76,230won/10a. As a result, 406holes pot and 2plants seedling transplanting culture, labor-saving culture was possible.
In this study, pressure drop was measured in the pulse jet bag filter without venturi on which 16 numbers of filter bags (Ø140 × 850 ℓ) are installed according to operation condition(filtration velocity, inlet dust concentration, pulse pressure, and pulse interval) using coke dust from steel mill. The obtained 180 pressure drop test data were used to predict pressure drop with multiple regression model so that pressure drop data can be used for effective operation condition and as basic data for economical design.
The prediction results showed that when filtration velocity was increased by 1%, pressure drop was increased by 2.2% which indicated that filtration velocity among operation condition was attributed on the pressure drop the most. Pressure was dropped by 1.53% when pulse pressure was increased by 1% which also confirmed that pulse pressure was the major factor affecting on the pressure drop next to filtration velocity. Meanwhile, pressure drops were found increased by 0.3% and 0.37%, respectively when inlet dust concentration and pulse interval were increased by 1% implying that the effects of inlet dust concentration and pulse interval were less as compared with those changes of filtration velocity and pulse pressure. Therefore, the larger effect on the pressure drop the pulse jet bag filter was found in the order of filtration velocity(Vf), pulse pressure(Pp), inlet dust concentration(Ci), pulse interval(Pi).
Also, the prediction result of filtration velocity, inlet dust concentration, pulse pressure, and pulse interval which showed the largest effect on the pressure drop indicated that stable operation can be executed with filtration velocity less than 1.5 m/min and inlet dust concentration less than 4 g/m3. However, it was regarded that pulse pressure and pulse interval need to be adjusted when inlet dust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4 g/m3. When filtration velocity and pulse pressure were examined, operation was possible regardless of changes in pulse pressure if filtration velocity was at 1.5 m/min. If filtration velocity was increased to 2 m/min. operation would be possible only when pulse pressure was set at higher than 5.8 kgf/cm2. Also, the prediction result of pressure drop with filtration velocity and pulse interval showed that operation with pulse interval less than 50 sec. should be carried out under filtration velocity at 1.5 m/min. While, pulse interval should be set at lower than 11 sec. if filtration velocity was set at 2 m/min.
Under the conditions of filtration velocity lower than 1 m/min and high pulse pressure higher than 7 kgf/cm2, though pressure drop would be less, in this case, economic feasibility would be low due to increased in installation and operation cost since scale of dust collection equipment becomes larger and life of filtration bag becomes shortened due to high pulse pressure.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present the valuation system of soil carbon sequestration potentials of soil in accordance with the new climate change scenarios(RCP). For that, by analyzing variation of soil carbon of the each type of agricultural land use, it aims to develop technology to increase the amount of carbon emissions and sequestration. Among the factors which affects the estimation of determining the soil carbon model and influence power after the measurement on soil organic carbon, under the center of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explanatory variables this study were investigated. Chemical fertilizers (NPK)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amount of soil organic carbon and as with the first experimental results, when cultivating rice than pepper, the fact that soil organic carbon content increased has been found out. The higher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the higher the amount of organic carbon in the soil and this result is reliable under a 10% significance level. On the other hand, soil organic carbon, humus carbon and hot water extractable carbon has been found out that was not affected the soils depth, sames as the result of the first year. The higher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the higher carbon content of humus and hot water extractable carbon content. According to IPCC 2006 Guidelines and the new climate change scenario RCP 4.5 and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total amount of soil organic carbon to the crops due to abnormal climate weather, 1% increase in atmospheric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was found to be small when compared to the growing rate of increasing 0.01058% of organic carbon in the soil.
이 연구의 목적은 영어과 수업실연 평가에서 교사의 수행수준을 구분하는 분할점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문항중심의 수준설정 절차를 제안하는 것이다. 수준설정 방법은 문항중심 방법과 피험자 중심 방법으로 나누어볼 수 있는데, 문항중심 방법의 경우에는 특정한 수행수준의 피험자들이 문항의 정답을 선택할 확률을 기반으로 분할점수를 결정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준설정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수준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수업관찰 평가도구 개발 단계에서 수업실연에서 중요하게 관찰해야 하는 항목들을 도출하고 각 항목의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문항중심의 수준설정 절차를 기반으로 특정 수행수준에 도달한 교사가 각각의 평가항목에서 얻을 것으로 예상되는 점수를 판단하는 절차뿐만 아니라, 수업실연에서 각 항목의 중요도를 함께 판단하도록 하여 평가항목의 가중치도 함께 결정하는 절차도 포함하였다. 수업실연 평가에서 항목에 대한 평가뿐만 아니라 항목에 대한 가중치까지 동시에 결정함으로써 수업실연의 전반적인 수행 수준과 분할점수의 관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인 적용사례를 제시하기 위하여 TEE(Teaching English in English) 수업실연 평가의 수준설정 과정과 결과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