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7

        21.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ik Kyung-sook. 2012. Do they teach the prospective teachers properly?: Suggestions based on an analysis of the courses on culture at the English education departments of Korean college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0(2). pp. 239-268. This study analyses the contents of the courses on culture at the English education departments of Korean colleges to evaluate if the prospective teachers are learning properly what it takes for teaching culture. Referring to the relevant theories and the results of a pilot questionnaire on the practice and difficulties in culture education at Korean secondary schools, this study diagnoses the courses on culture(/culture teaching) by examining the contents of the appropriate syllabuses. The analysis shows that most departments offer a culture-related course or two, but mostly about culture on a macro-level. It also reveals that contents about the multicultural nature of the English speaking communities are not properly included and that the relevant teaching approaches/methods are rarely dealt with. The contents targeting the prospectiv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were rarely found, which inevitably discloses the college educators’ lack of adequate concept of ‘culture education’ in this globalized era. This study finally suggests that the ethnographic perspective and knowledge along with the notion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serve as the key concepts in constructing a suitable model of culture education for the prospective teachers as well as the learners in Korea.(197)
        7,000원
        22.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urrent research aims to verify whether distance learning can be adopted in practical cooking class for Korean foods in a two-year college. The distance learning education can be a supplementary method to the traditional cooking class. The face-to-face teaching method and the distance learning method were compared in order to determine which of the one is more effective teaching method in the practical cooking class. The results of the present experimental study were analyzed based on the participant's learning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the evaluation of the experimental process, and the academic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in the face-to-face class evaluated their class experience higher than those in the distance learning class with respect to the participant's learning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and the evaluation of the experimental process. On the contrary, regarding the academic performance, the participants in the distance learning class showed higher scores than those in the face-to-face class. The end result supports the claim that the distance learning method is more effective in the participants for gaining cooking knowledge.
        4,300원
        23.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본 연구는 안경광학과 교육과정의 질적 향상을 위해 학내·외의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를 바탕으로 대학 전공 교육의 개선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 법: 설문을 통해 경기도, 경남, 전남, 전북에 소재 대학의 재학생 507명과 서울시, 대전시, 경기도, 전북에 근무하는 안경사 138명을 대상으로 안경광학과 전공교과목에 대한 요구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안광학 영역 요구도는 재학생들의 기하광학 과목이 가장 높았으며, 두 집단(재학생과 안경사)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1). 안과학 영역 요구도는 재학생들의 안질환 과목이 가장 높았으며,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1). 안경학 영역 요구도는 재학생들의 안경재료학 과목이 가장 높았으며,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5). 검안학 영역 요구도는 재학생들의 굴절검사학 과목 평균점수가 4점 이상으로 가장 높았으며,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p < .05). 4개 전공 영역의 요구도 비교에서는 2집단 모두 검안학 영역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안경학, 안과학, 안광학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안경사는 실습 4개 과목 중에서 굴절검사 과목 확대 요구도가 재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들의 요구를 전공 교육에 반영하여 안경원에서 보다 유용한 시력검사를 할 수 있도록 굴절검사와 관련된 과목의 확대와 강화가 요구된다.
        4,000원
        24.
        2010.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 개설되어 있는 지역별 연기과 현황과 움직임/신체활동 교과목 및 무용전공 교수의 편성비율을 분석해 보고, 움직임/신체활동 교과목이 왜 필요한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움직임/신체활동 교과목을 개발하고 활성화 시킬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기자를 위한 움직임/신체활동 교과목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의 지각능력(움직임의 범위) 및 다양한 연기를 표현 할 수 있는 기본적인 움직임 동작의 기능을 습득하도록 한다. 둘째, 창의적 동작 연출 능력을 다양하게 구사하고 움직임에 대한 독창적인 경험을 얻도록 하며, 그러한 동작과 감정의 표현을 연결하는 구성능력을 향상시킨다. 셋째, 움직임/신체활동 교과목을 통해 연기자에게 필요한 심리적 내지 정신적 안정과 더불어 신체적 발달을 도모한다. 넷째, 연기자의 신체성(몸)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갖도록 한다. 다섯째, 특수한 상황의 연기를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재능을 향상시킨다. 이처럼 다양한 움직임/신체활동 교과목을 발전시키기기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움직임/신체활동 교과목은 연기자에게 맞는 체계적인 교과목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둘째, 움직임/신체활동 교과목을 전공하는 교수를 각 대학에서는 임용해야한다. 셋째, 연기자들을 위한 맞춤형 교수-학습 전략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유발하고, 수강신청에 있어서 선호도 인지를 상승시켜 움직임/신체활동 교과목을 활성화시켜야 한다. 넷째, 움직임/신체활동 교과목을 담당하는 교육자들은 연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움직임/신체활동 교육목표를 명확하게 설정하고, 교수역량을 강화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6,300원
        25.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e-learning contents for the “fashion information analysis,” which should be performed in combination of theory and practice in fashion education, in a recent Web-based education environment. The e-learning contents are developed by using the three steps of analysis, design and development. In order to analyze the requirements of curricula, the status and content of fashion information related curricular provided by general universities and cyber universities are analyzed, and then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the education objectives and detailed contents of e-learning contents are determined. Design and development of e-learning contents consist of the types, education menus and education form. The types of e-learning contents are developed into an education form combined with tutorial and practice/activity types. The education menus are comprised of syllabic, the profiles of professors and students, announcements, questions and answers regarding respect subjects, materials, and notes. Meanwhile, the education form consists of the following sections: “Before the Learning”, “Learning”, “Review Questions”, “Final Review”, “References”, and “Practice”, “Before the Learning” consists of two parts of a theory lecture that is composed of video clips and Power-Point presentations, and practice that consists of an audio(or video) lecture and illustration or Photoshop software execution window.
        4,900원
        26.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I discuss how to organize the syllabus of 'Practice in teaching Korean' course, which is one of the obligatory courses for the undergraduate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 students. Among other courses, 'Practice in teaching Korean' is a practical class in which the students visit the real class and also practice the real teaching skill. This course includes forming syllabus program, visiting an actual class, teaching exercise and lecture simulation. Currently, the demand for the professional Korean teachers is increasing gradually. At this point, it would be a meaningful work to look closely into teaching plans of the same course in many other Korean Departments, and to point out some critical issues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In this paper we strongly propose that the importance of the practical excercise should not be neglected. Also, I will design syllabus of 'Practice in teaching Korean'and suggest a phase OJT(on-the-job training) program.
        7,000원
        28.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practical English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which had been administered both on- and off-line. After over 1,400 freshmen took two TOEIC-based courses consecutively,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measure the students’ satisfaction of the program and their perceived usefulness of on-line learning. The effectiveness of the English program was measured through the improvement in the students’ TOEIC scores, their perceived usefulness of online learning,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The resul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tudents’ TOEIC scores in both semesters, with greater improvement in the second semester as compared to the first. Although the students’ overall perception of the usefulness of e-learning was in the middle on the scale, those who perceived online learning as useful were shown to have spent more time studying for the courses outside class, thereby improving their TOEIC scores and enhancing their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Pedagogical and research implications are suggested.
        6,000원
        29.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e-learning courses in higher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how the courses are being run and examine students’ perceptions of e-learning courses to provide an optimal learning environment. An end-of-course, summative evaluation and log files in an e-learning system were used in order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three e-learning English courses in a university. The section of background information in the evaluation showed that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taking the courses are seniors, majoring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Factors were found to influenc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courses such as use of various multimedia, interactions between instructor and students, and among students, and instructors’ evaluation of students’ achievement. A post-hoc analysis showed evidence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by course. Thes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quality assurance is an issue in setting and managing e-learning English courses, which are expected to grow rapidly in a near future due to students’ increasing need for e-learning.
        5,100원
        30.
        200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eeds of each enterprises for safety managers ability should be clarified and then the resul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regular curriculum and assessed it regularly. Keeping the student competance without this series of feedback will not be possible. A metho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curriculum course, DACUM(Developing A Curriculum) could be applied in order to find out what subject will be useful. Questionnaire results with weight factor could be put into this study Task Analysis method and the importance determining method have been introduced here. As a further study, it is concealed that a study taking into account of company size, nature, local situation are needed to find out more useful application.
        4,300원
        31.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itially, QFD (Quality Function Deployment) was introduced in 1972 to help design supertanker in Mitsubish's shipyards in Kob, Japan and formally defined by the American Supplier Institute in 1987 as a system for translating consumer requirements into appropriate company requirements at every stage, from research, through product design and development, to manufacture, distribution, installation, and marketing, sales and services. Although QFD has complex and tedious procedure to complete, since 1972, it has now been used by Japanese, American, and European because of its fruitful merit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nd analyze the trend on the choice of cultural subjects of university students using QFD. The data a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The samples for this study are randomly chosen from the universities in Seoul, Kangnung, and Samchok during 3 months (2000. 3 ∼ 2000. 5).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lay an important role not only for service of students but also for opening of subjects.
        4,300원
        32.
        1999.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에서는 많은 산업재해로 인해 물질적 손실뿐만 아니라 국가 신뢰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어 선진국이 되기 위해서는 산업재해를 획기적으로 줄여야만 한다.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서는 여러 방법 중 각 사업장의 안전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산업안전관리자를 좀더 효율적으로 양성할 필요가 있다. 효율적인 안전관리자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교육과목이 체계적으로 연구되어 각 과목들의 상대적 중요성의 분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교과목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고 이의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안전관리자를 위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은 AHP(Analytical Hierarchy Process)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안전관리분야(W=0.355),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분야(W=0.242), 기계안전분야(W=0.13), 건설안전분야(W=0.12), 전기안전분야 (W=0.091), 화공안전분야(W=0.062)순으로 안전관리분야와 인간공학 및 시스템 안전분야의 상대적 중요성이 높게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 교과목뿐만 아니라 산업안전공단이나 산업안전협회 등의 안전교육 계획수립 시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4,000원
        33.
        202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캡스톤디자인은 공학 분야 교육프로그램으로 시작되었다면 현재에는 전방위 모든 교과목까지 확대되어 기업이 요구하는 현장적응형 직무능력을 갖춘 종합설계 창의교육과정으로 확대되었다. 그러나 창의문제해결을 위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을 지도하는데 창의활용을 고려한 교재가 부재하여 교육목표를 달성하는데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의 제품디자인 전공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을 중심으로 교육과정 운영안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캡스톤디자인과 창의적 문제해결모형(CPS) 등 이론적 배경을 문헌조사를 통해 정의하였다. 그리고 창의적 문제해결모형 캡스톤디자인 교과운영 방법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제시된 연구를 바탕으로 결론 및 시사점 논의를 통해 결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대학생들의 창의성과 창의적 성향, 문제해결능력 교육에 활용하고자 산업디자인학과의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매뉴얼로 활용하기 위한 효율적 창의문제해결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개발 내용은 산·학이 협력하는 캡스톤 디자인 방식과 창의적 문제해결모형이라는 두 가지 개념을 결합시켰다. 본 연구로 개발된 창의적 문제 해결력 운영 방안은 현재의 캡스톤디자인 교육과정을 변형하여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을 적용한 과정으로 구체적으로 수업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될 것이다. 향후 실질적인 수업을 위한 자료 활용 및 교사의 창의문제해결 수업을 위한 활용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34.
        2020.01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 한국어학과의 교과목 개설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어학과의 교과과정에 존재하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향후 교과과정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중국 31개의 4년제 대학 한국어학과의 교과목 중 한국어학 관련 과목을 제외한 나머지 과목을 한국 문화, 한국 문학, 한국학 세 영역으로 나누어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교육과정 운영 현황을 고려하지 못 하였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으나 중국 각 지역을 대표하는 대학들을 대상으로 최근 개편된 교과과정을 반영하여 현재 중국 대학 한국어학과의 교 과과정 개선 방향 및 현황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35.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이론과 실기 교육, 학계와 산업계의 융합 교육을 지향하는 게임 교과목 교육의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학습 방법론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교수자 중심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 학습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는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여 4PBL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4PBL 모델은 학습 접근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3P 모델과 문제기반학습(Problem based Learning) 방법론을 보강, 발전시킨 모델로 개인지(Personal based Learning), 문제기반학습(Problem based Learning), 프로젝트기반학습(Project based Learning), 실행기반학습(Performance based Learning)으로 구성된다. 본고에서는 구체적인 게임 교과목 교육 사례를 들어 각 단계별 PBL의 개념과 특징을 설명하였다. 이와 같은 시도는 변화하는 교육 패러다임 속에서 게임 기획과 개발에 대한 지식을 주체적으로 구조화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36.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게임소프트웨어학과에서 4학년 학생들이 캡스톤디자인 과목에서 게임제작을 할 수 있도록 대학 4년 교과과정에서 가르쳐야 하는 기술요소들을 구조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게임소 프트웨어학과 학생들이 졸업요건으로 게임제작실습 프로젝트를 수행해야 한다고 가정하고, 이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요소를 분석하고, 기술요소들 간의 구조를 분석해 보자는 것이다. 이 는 학생들이 게임제작을 위해 대학 저학년에서 어떤 기술을 배워야 하고 그 기술이 고학년 과 목에서 어떻게 연결되는지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의미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또한, 통상적으로 교과목명 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현재의 교과과정에서 발전하여, 이들 기술요소들의 목록과 구 조적인 위치를 기반으로 게임소프트웨어학과의 보다 구체적인 교과과정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37.
        200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was made to propose the improved contents of Practical Business English (PBE) that can be actually commanded by graduates working for trade companies in Busan metropolitan area. In addition to general business English regulated by customary practice, PBE can provide students with specific words, sentences and expressions which are practically used in local trade companies; moreover, both employers and employees engaged in international business in Busan area actively agree to the proposal. Students should given opportunity to take the lecture of PBE not only at the college of commerce but at the department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as well, and to experience field work in the local trade companies which reflect the property of Busan industries, as interns according to the requirement of curriculum. PBE should also cover the contents that affords a better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culture and regional customs, together with the faculty of the fluent command of business English.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