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91

        461.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간호보건계열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G시의 3개학과 간호보건계열 대학생 410명을 대상으로 2017년 9월 26일부터 10월 31일까지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기술통계, ANOVA, ANC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공선택 동기에 따라 전공만족도(F=9.856, p<.001) 및 진로성숙도(F=6.005, p=.001)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학점은 진로성숙도(F=2.755, p=.042) 및 취업스트레스(F=3.503, p=.016)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토익점수는 전공만족도(F=4.514, p=.004)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취업스트레스는 전공만족도(r=-.314, p<.001)와 진로성숙도(r=-.514, p<.001)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전공만족도(β=-.125, p=.007), 진로성숙도(β=-.459, p<.001)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간호보건계열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저학년 때부터 학과별 특성에 맞는 전공지도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그에 따른 진로지도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4,000원
        462.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satisfaction level of school meal services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Approximately 97.2% of student-subjects have agreed on the necessity of a free meal service for school lunch; 44.3% of student-subjects voiced the need to provide free meal services in order to eliminate discrimination of low-income students. Over one-third of student-subjects (36.7%) cited nutrition as the main benefit of providing a free meal service. The majority of parent-subjects (95.1%) have recognized the need for a free meal service in school; approximately 37.3% of parent-subjects responded to need the free meal service in order to eliminate the discrimination of impoverished students. Both student- and parent-subjects express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ingredients and the type of soup/nutrition provided. Student-subjects insisted on better food hygiene and a new menu, but cited the noisy cafeteria as a problem associated with school meal services. In addition, approximately 56.5% of student-subjects responded to the need for nutritional education in school. Parent-subjects were primarily concerned with hygiene regarding the preparation of school meal services, noting the temperature of foods as the biggest problem in school meal services. The majority of parent-subjects (88.1%) responded to the need for the nutritional education in school. Results of this survey indicate that school meal services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menu options and increasing food hygiene.
        4,300원
        463.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Korean buffet restaurant, which was developed by combining the Korean food and a buffet, allows a large menu to be enjoyed at a reasonable price and has become popular with men and women, young and old, and become a new type of eating ou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waiting time management and menu quality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in a Korean buffet restaurant to help quality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Korean buffet restaurants.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nl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taff attitude toward waiting time. Hygiene, sensory factor, and variety of menu qualit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respectively. In addition, satisfaction with food and servi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visit inten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virtuous cycle structure that will improve the re-visit intention by satisfying customers through waiting time management and menu quality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buffet restaurants.
        4,200원
        464.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교정공무원의 직무만족 및 업무노력의 영향 요인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미국 연방교정국의 여성 교정공무원을 대상으로 하여 직무만족과 업무노력을 종속변수로, 내적동기, 참여, 발전지원, 조직공정성 등의 동기요인과 보수 만족, 성과주의, 업무량, 물리적 환경 등의 위생요인을 독립변수로, 응답자의 인구통계 학적 변수인 관리자, 소수인종, 학력, 근속년수 등을 통제변수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적동기가 직무만족과 업무노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공정성 역시 직무만족 및 업무 노력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과에 따라 승진 및 보수를 결정하는 성과주의 조직풍토는 직무만족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업무노력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성과주의의 확립과 이로 인한 남성과의 공정한 경쟁이 보장된다는 사실에 만족감이 상승함에도 불구하고, 가정 및 직장의 이중부담으로 인하여 스트레스에 더 취약한 여성의 경우 경쟁증가로 인하여 업무노력이 저해되는 부정적 효과가 남성에 비하여 더 큰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결과가 참여적 관리의 효과에서도 관찰되었는데, 여성은 자신의 의견이 조직운영에 반영될 때 만족감이 상승하기는 하지만, 이 역시 자신의 업무부담의 증가를 의미 하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업무노력정도가 오히려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해석은 업무량의 적절성이 직무만족 및 업무노력 모두에 성과주의 확립보다 더 큰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도 그 정당성이 뒷받침된다.
        6,000원
        465.
        2018.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 제시한 도시재생은 물리적 재생, 경제적 재생, 사회적 재생으로 구분된다. 본 논문은 서울시와 경기도 그리고 인천의 도시재생과 도시재생뉴딜사업의 추진현황을 살펴 보았다. 도시재생 사업은 사람 중심 사업이 되어야 한다. 즉 낙후된 지역의 환경개선을 통해 도시 전체의 미관을 높여서 공공의 자산 가치를 높이는 것에 목적을 두어야한다. 또한, 도시재생뉴딜은 도시재생법 상의 도시재생과는 개념적으로 유사해도 내용적으로는 상당히 다르다. 이는 단순한 기존 재생의 확장이라 할 수 없다. 현재의 조건방식으로 추진되면 도시재생뉴딜은 사실상 과거의 재개발 또는 재건축의 소규모화 모델이 될 가능성이 크다. 본 논문에서는 주민참여와 사회적 약자를 위한 통합적 도시개발사업에 따른 주민들의 삶의 만족 제고의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위로부터의 도시재생에서 아래로 부터의 도시재생 패러다임 전환과 지속가능한 주민참여를 전제로 한 통합적 도시재생이 제도화되어야 하고 그 개선방안들을 복합적이고 다양한 차원에서 논의돼야 할 것이다.
        6,100원
        467.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yaluronic acid is natural polysaccharide existing around skin or cartilage, and is known as a moisturizing factor. It is expected that hyaluronic acid cosmetics market will continue to grow in the future, as its use and demand increases, like medical supplies and health food besides cosmetics containing hyaluronic acid. However, There are few present studies on content in cosmetics containing hyaluronic aci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atisfaction and examine what effect was produced on sebum and moisture in skin after applying to cosmetics the hyaluronic acid helpful in maintaining moisture in skin at 5%, 20% and 50% concentration. For 71 days, a clinical trial in a total 39 persons living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was carried out. And sebum and moisture was measured through skin diagnosis system A-ONE TAB before trial and each day when clinical trial was conducted for hyaluronic acid content group. Besides, this study was to examin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eating habits, and living habits, and satisfaction after the clinical trial. This study analyzed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ime to measure the skin condition among hyaluronic acid content groups by utilizing statistical package program SPSS v. 21.0 through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proces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yaluronic acid content according to any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ating habits and living habits among groups (p>.05). With regard to hyaluronic acid conten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oisture and sebum prior to clinical trial in T zone and U zone among groups (p>.05). A change of moisture in T zone among groups according to hyaluronic acid cont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2nd week (F =3.636, p<.05). And the highest level was shown in 50%(44.15±2.672), being followed by 20%(43.15±2.340), and 5%(41.62±2.219). Accordingly, it was shown that, as hyaluronic acid content relatively increased, the moisture in T zone increase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hange of moisture in U zone, the change of sebum in T zone and U zone by group according to hyaluronic acid conten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sebum level of T zone by group(p>.05). For analyzing the subjective satisfaction after clinical trial among groups according to hyaluronic acid content, satisfaction score was the highest in 'skin moistness' (4.38±0.650) for 5% group, 'skin moistness' (4.69±0.480) for 20% group and 'skin texture smoothness' (4.54±0.519) for 50% group.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each subjective satisfaction by group according to hyaluronic acid content(p>.05). It was thought that the results of skin condition and subjective satisfaction survey according to hyaluronic acid content would be baseline data for developing cosmetics containing the hyaluronic acid and marketing a skin moisturizer.
        4,600원
        468.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영상제작 인력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전문영역 및 다양한 직급의 영상제작 인력(402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직업만족도와 관련요인들의 직간접효과 및 조절효과를 밝힌 실증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영상제작인력의 직업만족도에 이들의 업무자율성이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 업무자율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의사소통 능력이나 대인갈등 요소에 의하여 증가 혹은 감소되는 지에 대한 이중매개효과를 입증하고, 셋째, 최근 영상제작분야에서의 성차별 문제에 대한 증대된 관심과 함께, 전술한 영상제작 인력의 업무자율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직접효과 뿐 만 아니라, 의사소통능력 및 대인갈등의 이중매개효과가 성별에 따라서 어떻게 상이한 양상을 보이는지 규명해 볼 수 있도록 성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자료분석 결과, 첫째, 업무자율성을 많이 가질수록 직업만족도도 높다는 사실이 밝혀져, 영상제작인력의 직업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업무자율성이 매우 중요한 선행요인임이 입증되었다. 둘째, 직업만족도에 업무자율성이 미치는 긍정적 직접효과는 특히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두배 이상 월등히 강하게 나타난 점이 주목된다. 셋째, 업무자율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남성의 경우 의사소통능력을 매개(mediation)로 하여 한층 더 강화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업무자율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는 여성의 경우에서만 대인갈등을 매개로 약화되었는데, 이러한 대인갈등의 부분매개효과는 여성에게서만 발견되었다. 영상제작인력의 직업만족도에 업무자율성이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능력 및 대인갈등 등의 매개효과를 규명함에 있어서, 성별의 조절효과가 반드시 반영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고, 자료분석 결과 밝혀진 주요 사실들을 토대로, 영상제작 인력의 직업만족도 향상을 위한 함의를 모색하고 논의하였다.
        6,300원
        469.
        2018.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개임 및 오락 목적의 매체 이용 정도, 가족과의 대화시간,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개입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의정부에 소재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학년을 대상으로 눈덩이 표집방법에 의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중 277명을 한국청소년 정책연구원(2015)에서 사용한 게임 및 오락 목적의 매체 이용 정도, 가족과의 대화 시간과 삶의 만족도 척도로 각 변인을 측정하고, 독립표본 t-검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게임 및 오락 목적의 매체 이용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고, 가족과의 대화시간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많았다. 게임 및 오락 목적의 매체 이용 정도는 가족과의 대화 시간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가족과의 대화시간과 삶의 만족도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게임 및 오락 목적의 매체 이용은 가족과의 대화 시간을 줄어들게 만들고, 가족과의 대화 시간이 증가하면 삶의 만족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가족과의 대화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게임 및 오락 목적의 매체 이용을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에서 관심을 갖고 자가조절이 가능하도록 교육과 지원이 요구된다.
        4,800원
        471.
        2018.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6년 7월~2018년 2월까지 해운회사의 상선에서 위탁실습을 다녀온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위탁실습생의 근로실태 및 실 습만족도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평균 근로시간은 10시간, 최소 휴식시간은 4시간 미만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실습 만족도에 대하여 만족 또는 보통 수준을 보였으며, 벌크선과 컨테이너선에서 실습한 학생들의 만족도가 다소 낮게 나왔다. 라면 끓이기, 휴식 중 작업, 야식 준비 등 실습 목적 외 부당한 지시를 받는 사례가 다수 있었다. 실습생은 선원법 상 선원이 아닌 자로 분류 되어 있다. 이로 인해 근로시간 또는 휴식시간 등에 대해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일부 해운회사에서는 실습교 육을 가장한 실질적 근로(노동) 인력으로 활용하고 있는 사례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472.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at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public awareness and satisfaction of the weather forecast service provid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through social media data as a way to overcome limitations of the questionnaire-based survey in the previous research. Sentiment analysis and association rule mining were used for Twitter data containing opinions about the weather forecast service. As a result of sentiment analysis, the frequency of negative opinions was very high, about 75%, relative to positive opinions because of the nature of public services. The detailed analysis shows that a large portion of users are dissatisfied with precipitation forecast and that it is needed to analyze the two kinds of error types of the precipitation forecast, namely, ‘False alarm’ and ‘Miss’ in more detail. Therefore, association rule mining was performed on negative tweets for each of these error typ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 considerable number of complaints occurred when preventive actions were useless because the forecast predicting rain had a ‘False alarm’ error.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people’s dissatisfaction increased when they experienced inconveniences due to either unpredictable high winds and heavy rains in summer or severe cold in winter, which were missed by weather forecas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nalysis of social media data can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about forecast users’ opinion in almost real time, which is impossible through survey or interview.
        4,000원
        473.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argeted on the non-processed, semi-processed, and full-processed seafood to investigate the consumers’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evels of purchase attributes for each seafood product.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survey on 335 randomly chosen seafood consumers. Respondents' importance-satisfaction scores of purchase attributes were measu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importance of purchase attribut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atisfaction on 21 out of 23 attributes, according to the non-processed, semi-processed, and full-processed seafood(p<0.05). Consumers regarded intrinsic attributes such as ‘freshness’ of products as very important when purchasing non-processed seafood, and their satisfaction was also high. On the other hand, for semi-processed and full-processed seafood, external attributes such as ‘date of manufacture or expiration date’ were considered as more important attributes to purchase them. Consumers also perceived that full-processed seafood was less in quantity and more expensive than non-processed and semi-processed ones. In case of semi-processed seafood, the difference of importance-satisfaction score for ‘taste’ was large, and it was considered the taste should be improved according to consumers’ taste.
        5,4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