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보육시설 평가인증에 대한 보육 종사자들의 조력인식과 조력을 받은 후 보육종사자 들의 조력만족도는 보육종사자변인간의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보육 시설 종사자 4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 조력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전문가에 의한 객관적 지도를 받을 수 있으므로 조력이 필요하고, 희망하는 조력기관으로는 평가인증사무국과 보육정보센터를 지지하고 있었다. 둘째, 평가인증 조력도움을 원하는 영역으로는 보육환경, 안전, 보육과정, 상호작용 나타났으며. 조력자의 자격은 이론과 현장경험에 일정한 자격을 갖춘자를 원했고 보육시설에 전문조력자 를 직접 지원하는 방식을 지지하고 있었다. 셋째, 조력자의 자질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적인 개선사항을 인식하고 파악하는 능력을 가진 자를 가장 선호하였고 , 교사를 존중하고 친밀하며 신뢰적인 관계형성에 대한 부분의 만족도가 높았다. 넷째, 평가인증 영역별 조력 만족도는 보육환경, 운영관리, 상호작용 조력은 집단 교육 및 강의참가에 대한 조력이 많았고 만족도도 높았다.
본 연구는 축제만족도 및 이용행태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허브축제의 계획 및 프로그램 구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2010년 허브축제 방문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2010년 남원허브축제는 운봉읍 용산리 일원에서 개최되었으며 허브홍보, 판매, 전시관 및 체험프로그램이 운영되었으며인근의 경관농업지구와 연계하여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였다.지인을 통한 홍보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별로 축제개최 인지방법이 달랐다. 방문객의 절반가량이 축제를 목적으로방문하였으며 바래봉 철쭉 감상을 목적으로 방문한 경우도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였다.방문객은 축제 전반에 대하여 보통보다 약간 높은 만족도로 평가하였다. 행사내용, 서비스, 안내팜플렛, 볼거리,체험거리, 안내시설을 독립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방문객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적인
학교숲사업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응답자는 지역주민과 교사 모두 7%와 25%에 불과했으며 학교숲의 효과에 대해서는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사들은 학교숲의 교육적 효과가 가장 크다고 응답하였으며 지역주민들은 ‘학교숲사업’의 교육적 효과(4.35), 환경적 효과(4.40), 지역의 공원역할(4.42), 학교의 이미지 제고(4.16) 등에 대해서 모두 긍정적효과가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학교숲의 이용실태에 대한 결과를 확인해보면 대상 초등학교의 학교숲 이용목적으로는전반적으로 ‘걷기, 달리기’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 반면 ‘환경교육 및 자연교육’을 위해 이용한다는 응답은 낮게 나타나지역주민은 초등학교 학교숲을 운동 목적으로 많이 이용함을 알 수 있었다. 학교숲을 이용하는 이유로는 ‘가까이 있어서이용하기 쉽기 때문(접근성 양호)’이란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마지막으로 대상지별로 지역주민과 교사의 학교숲에 대한 만족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학교숲 이용의 활성화를위한 추가 조성요소도 파악할 수 있었다.학교숲은 해당 학교만의 관심사가 아니며 중앙정부, 지자체 및 사회단체 등 다양한 지원주체가 통합적으로 지원체계를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현재 1년 단위로 행정에서 주관하여 지원하는 학교숲 조성사업이 단계별 사업추진과 다년간 지원을통한 사후유지관리시스템으로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할 것이다. 또한, 학교숲가꾸기사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좀 더 많은 재원확보가 필요하며 학교숲의 공감대 형성을 위해 보다 내실있는 홍보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세계는 무선통신 기술의 발달로 휴대용 모바일 폰의 형태도 단순 무선통신을 하는 휴대폰에서 휴대폰과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 일정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기능을 통합시킨 스마트폰이 출시되었다. 이 스마트폰은 완제품으로 출시되어 주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휴대폰과는 달리 수백여 종의 다양한 애플리케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에 모바일 폰의 사장도 노키아와 삼성 중심의 휴대폰 시대에서 애플의 독주와 삼성전자 등이 뒤를 쫒고 있는 스마트폰 시대로 전환하였다. 스마트폰의 편리성, 기능성 등을 이유로 많은 고객들이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을 구입하고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몇몇 사용 중 기능고장 등으로 인한 애프터서비스의 부실로 고객의 불만이 상승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핸드폰과 스마트폰의 애프터서비스 품질 구성요인을 분석하고, 고객감동 요인, 고객만족 요인, 고객불만해소 요인의 존재 및 차이 여부를 평가하고, 나아가 이 품질 구성요인이 고객만족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도를 분석하고 평가함으로써 기존 핸드폰 시장에서 애프터서비스 전략과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프터서비스 전략이 어떻게 차별화 되여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Chinese university or college students' preference for and satisfaction with Korean food in the Daegu and Gyeongbuk areas. A questionnaire developed from literature review included a series of questions about Korean food that included preference, satisfaction, product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We analyzed 240 valid responses.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frequence, IPA,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were performed using SPSS software. Of the 41 kinds of Korean food included, the students' average preference was 3.24 and satisfaction was 3.23 on a 5-point scale. The students questioned preferred Bulgogi (3.99), Galbigui (3.92), Galbitang (3.88), Galbizzim (3.87), and Samgyeopsal (3.86) to other Korean foods. With regard to satisfaction, Bulgogi (3.94) was chosen by Chinese students as the most satisfying Korean food, followed by Galbitang (3.80) and Galbigui (3.80). The perceived quality of the Korean food also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In service science, it is critical to measure service satisfaction for innovating service processes, which is challenging for service sectors oriented to the usage of IT systems. For that purpose, in this study, a model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화훼장식이 돌잔치 고객의 만족도와 장소 재방문 의도 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 문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남녀나 기혼자와 미혼자 는 거의 비슷하였으나 연령은 20대와 30대가 주류를 이루었고, 학력은 대졸자가 가장 많았다. 요인분석 결과 7개의 중요 변수 즉, 화훼장식을 위한 디자인의 스타 일과 구성, 디자인의 조화와 색감, 접근성, 시설, 서비스와 가격, 만족도, 그리고 재방문 의도로 이론적 모형이 구성되었다. 모형화한 연구가설의 검증 결과에 대한 타 당성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SPSS 14.0K를 이용하여 탐 색요인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모형의 모든 인과 관계의 경로계수를 동시에 측정하기 위해서는 구조 분석 방법을, 타당성 평가를 위해서는 AMOS 7.0의 측정 모 형을, 그리고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기술적 통계, 빈도 분석, 크론바하 알파를 이용한 신뢰도 분석과 요인 분 석법을 이용하였다. 가설을 검증한 결과, 매개변수인 만 족도에 가장 큰 항목을 차지하는 항목은 화훼장식의 스타일과 구성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화훼장식의 조 화와 색감이었다. 그리고 서비스와 가격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접근성과 시설은 만족도에 영향을 미 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돌잔치의 기획 및 연출을 위 해서는 화훼장식이 가장 중요한 변수라는 것을 의미하는 한편, 이 중요 변수를 잘 활용하면 고객의 만족도가 증 가하게 되고 만족도가 증가하게 되면 재방문 의도가 향상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특성에 따른 성생활 만족도 및 하위항목을 알아봄으로서 뇌졸중 후 성생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 뇌졸중 환자 60명(남성 36명, 여성 24명)을 대상으로 성생활 만족도와 일반적 특성 및 질병 관련 특성을 알아본 후, 관련성을 파악하였다. 결과 : 성생활 만족도는 감각장애가 없는 경우에 높았다(p<.05). 성생활 만족도의 하위항목은 성별, 직업유무, 음주 여부, 마비부위, 감각장애, 복용약물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경제상태, 발병기간, 발병횟수와도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p<.05). 성생활 만족도와 하위항목인 성교 시간의 충분성, 성교 횟수의 충분성, 성교 후의 편안함, 애무에 대한 흥분감, 절정감, 성 문제에 대한 대화, 배우자의 성관계 만족성, 성에 관한 흥미, 성생활의 다양성, 성행위 능력은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p<.05). 결론 : 뇌졸중 환자의 만족스런 성생활을 위해서는 감각장애와 환자의 실제 성 수행 및 폐쇄적인 성 문화를 고려하고 일반적 특성 및 질병 관련 특성을 조기에 파악함으로서, 성생활 만족도의 저하가 우려되는 위험군을 선정하여 적극적인 중재를 제공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sumption of milk, along with satisfaction for improvement of the school milk program in middle school. The subjects were 447 middle school students(265 male, 182 female) in the Gyeonggi area, who were ask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 SAS package. The results showed that 53.2% of the subjects were participating in the school milk program. Regarding the frequency of milk consumption, 77.7% of students reported daily milk consumption and 65.3% of students reported they drank milk when it was available. 56.8%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school milk program. Male students not participating in the school milk program cited the reason as "eating at home", while non-participating female students cited the reason as "tasteless". When asked whether they accepted or rejected the school milk program, male students(97.7%) and female students(97.8%) answered "it should be executed". To improve the school milk program, most of the students(72.2%) stated that "it should be selected among flavored milk(strawberry, banana, chocolate, black bean, and husked rice milk) instead of white milk".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intake of milk, the students should develop the habit of drinking milk to gain the attention of parents. Also, schools should attempt to help through offering proper dietary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different levels of learning satisfaction concerning bakery and confectionery institute students in relation to their educational environment as well 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260 students enrolled in the bakery and confectionery institute at Gyeongju in the Pohang and Ulsan area, and 242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12.0 Windows.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students were mostly satisfied with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teaching methods of the institut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for recognizing teaching methods and major recognition. Furthermor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major recognition of students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learning satisfaction. Therefore, the staff at the bakery and confectionary institute should provide the proper curriculum and facilities for the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purchasing behavior and satisfaction for imported processed snacks of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and to provide nutrition education information for mothers. 81.4% of the respondents often purchased imported processed snacks and the main reason (51.0%) for purchasing imported processed snacks was preference of children. A total of 58.0% of the respondents purchased imported processed snacks at a large-scale discount store. 41.9% of the respondents purchased imported dairy products everyday, and 24.8% of them purchased the products once per week. The percentage of not purchasing at all was very high for imported confectionary, jelly and candy, nuts, and drinks. The food additive checking score was very high when purchasing imported processed snacks. The graduate school group and unemployed mothers checked significantly more often for food additives (p<0.05). The taste satisfaction score was very high, and employed mothers were satisfied with taste significantly more than unemployed mothers. Nutrition education using imported processed food labeling should be performed, and quality management before importing processed food should be carried out.
본 연구는 서울대공원 동물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5개 해설프로그램의 만족도와 인식변화를 참가자 설문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의 전체 만족도는 높았으나, 이 중 참가자 태도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학부모가 안전성 측면에서 우려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각 프로그램 간 만족도는 프로그램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내용만족도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동물해설 프로그램은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동물원에 대한 긍정적 인식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원의 환경해설 프로그램은 동물원에 대한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매개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동물원의 기능이 단순한 전시기능이 아닌 교육과 연구 등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통해 관심 또한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동물원 환경해설 프로그램을 보다 활성화 시킬 필요성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