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46

        641.
        199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ignocellulose and lignolic compounds were absolutely given much weight in the biosphere, and their degradation was essential for continuous biological carbon circulation, whereas aerobic cellulolytic microorganism dissolved the cellulose into their elements in the first stage, strict anaerobic cellulolytic microorganism`s role was taken a increasing interest through the recent research. It was reviewed that anaerobic microbial degradation process of lignocellulose and its derivatives (celljlose, lignin, oligolignol and monoaromatic compound), and function of anaerobic microorganism on the environmental ecology.
        4,000원
        643.
        199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iosurfactant have a low toxicity, good biodegradable, various structure. It can be used for a broad range of purposes in a large variety of different applications. Sorbitol mono alkyl ester synthesized by the Porcine Pancreatic lipase catalyzes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between a sugar alcohol and plant oils. We are examined the surface tension, emusion stability and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were evaluated. Consequently It has a good properties of biosurfactant.
        3,000원
        646.
        199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배거세미나방 핵다각체병 바이러스(Spodoptera litura nuclear polyhedroses virus: SINPV) 미생물살충제로 개발하기 위하여 기주식물, 온도 보관조건 및 태양광선에 의한 병원성 및 안정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콩잎에 살포한 SlNPV의 담배거세미나방 3령과 5령 유충에 대한 은 각각 와 였으며 에 대한 은 3령과 5령에 대하여 각각 7.3일파 8.9일이었다. SINPV는 에서 4시간, 에서 1 10분 처리하였을 때 활성이 저하되었으며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급격한 활성감소현상을 보였다. 또한 SINPV는 동결보관이 나 보관보다 안정적인 활성을 유지하였다. 콩잎표변에 살포한 SINPV는 콩잎표변에 살포한 경우 3일 후에 불활화하였으나 콩잎 이면살포에서는 10일간 활성이 지속되었다.
        4,000원
        649.
        199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600원
        650.
        199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angmyun-broth was collected as samples from 25 common restaurants in Bucheon to examine it`s sanitary condition. The main course of bacterial contamination was persuited for it`s sanitary improvement. Bacterial count in summer sample was not greatly different from that in winter, resulting in total count 1.7×10 exp (7)/㎖, lactic acid bacteria 8.7×10 exp (6)/㎖, coliform group 1.2×10 exp (5)/㎖, Staphylococcus aureus 6.5×10 exp (2)/㎖. Bacterial contamination occurred remarkably with the use of storage barrel in which remnent Nangmyun-broth was still resting, because the remnent Nangmyun-broth contained high level of bacteria. Good santary condition in Nangmyun-broth was obtained by the use of clean barrel which had been washed with tap water or sterilizied with steam before filling fresh Nangmyun -broth for cold storage. The growth of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was inhibited in the presence of acetic acid(0.01∼0.05%) or mustart(0.1∼0.5%).
        4,000원
        653.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방과 식품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쑥의 특성 중 항미생물 효과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쑥씨에서 분리한 정유를 GC, GC-MS로 분석한 결과 77종의 휘발성 물질이 동정되었고 그 중에서 가장 많이 존재하는 것은 campher(14.242%), borneol(12.812%), 1.8-cineol(6.437%), terpinen-4-ol(1.185%) 등으로 전체 정유성분의 약 35%를 차지했다. 이들 4종과 Mugwort seed extract(essential oil)를 가지고 대표적인 식품 미생물인 S. cerevisiae, L. mesenteroides, L. plantarum, A. oryzae와 B. subtilis 그리고 식품오염 정도의 지표 미생물인 E. coli 등의 생육에 미치는 항미생물 효과를 측정한 결과 terpinen-4-ol이 가장 효과가 커 1000ppm 정도로 미생물의 생육을 거의 억제시켰으나 cineol, essential oil은 효과가 그다지 크지 않은 반면에 borneol과 campher는 항미생물 효과가 미약했다.
        4,000원
        654.
        198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8년 7월부터 10월까지 약 4개월간 질병매개모기 및 뇌염다발지역인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소재 약 30,000M2의 자연수답을 선정, 이에 서식하는 질병매개모기인 중국얼룩날개모기(Anopheles sinensis)와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를 대상으로 포식천적어송사리(Aplocheilus latipes) 및 왜몰개(Aphyocypris chinensis)방사와 미생물제제(Bacillus thuringensis H-14)를 병합처리하여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포식천적어송사리가 0.6fish/TEXM2/TEX가 존재하는 논에서는 7월부터 8월까지 55.0~57.6%의 자연 방제가 이루어졌으며, 한 표본당 평균 10마리 이상으로 증가될 때 미생물제제(B.t. H-14)를 1Kg/ha의 농도로 처리한 결과, 24시간후 100%의 방제를 보였으며, 10월 11일 본 실험이 끝날 때까지 98%의 방제율을 유지하였다. 천적어가 존재하지 않는 논에서는 수면 1TEXM2/TEX 당 1.5마리의 비율로 포식어(Aphyocypris)를 방사한 결과 9월 21일(방사후 2주)까지 88.2~96.7%의 만족할 만한 방제율을 유지하였다. 천적어가 존재하지 않는 또 다른 논에서 미생물제제(B.t. H-14)를 1Kg/ha의 농도로 단독 처리한 결과, 24시간 후 100%의 방제율을 보였으나, 7일 후에는 개체군밀도의 회복현상을 나타내었으며 B.t.(H-14) 2차 처리후 모기유충의 개체군밀도를 억제할 수 있었다.
        4,000원